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Opiates에 의한 PRL과 LH분비의 억제와 촉진에 관한 연구

        오세량,박광훈 대한산부인과학회 199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3 No.4

        내인성 opioid peptides가 뇌하수체전엽 hormone의 생산 및 분비에 깊이 관여한다는 견해에 따라 morphine과 opioids의 특수수용체 길항제인 naloxone을 따로, 혹은 동시에 혼합주사하여, 이들 물질에 의한 혈중 prolactin치와 LH치의 변동상황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이 결과를 얻었다. 1. 백서(흰쥐)는 오후 prolactin-surge를 보여 오후 4:00에 최고치에 달한다(196.4 ± 12.3ng/ml). 2. Naloxone을 주사한 즉 오후 prolactin-surge가 완전히 억제되었다. 3. Morphine은 오후 prolactin-surge를 크게 촉진하여 16:00에 최고치인 236.3 ± 11.5 ng/ml에 달하였다. 4. Naloxone과 morphine을 동시에 투여하면 naloxone의 오후 prolactin-surge의 억제능력이 MOR에 의하여 완전히 봉쇄되어 대조군과 같은 prolactin-surge를 일으켰다. 5. LH-surge는 prolactin과 같이 오후 surge를 보여 최고치 184.4 ± 8.1ng/ml에 달하였다. 6. Naloxone은 오후 LH-surge를 크게 촉진하여 16:00에 282.9 ± 11.4 ng/ml에 달하였다. 7. Morphine은 오후 LH-surge를 완전히 봉쇄하였다. 8. Naloxone과 morphine을 동시에 투여하면 MOR이 NAL에게 억제되어 최고치(232.2 ± 16.5ng/ml)에 달하는 LH-surge를 보였다. The influences of opiates and their specific receptor antagonists on the secretion of the anterior pituitary hormones, prolactin and LH, were studied in the adult male rats. Rats demonstrated the afternoon prolactin and LH surges everyday as well as the other animals which reached the peak levels at 16:00 oclock. The surge of prolactin was completely inhibited by administration of naloxone , but was stimulated significantly by administration of morphine and increased from 40.3 ± 2.3 ng/ml to 236.3 ± 11.5 ng/ml. In the simultaneous administration of naloxone and morphine, the suppressive action of prolactin secretion of naloxone was completely blocked by morphine and prolactin releas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reaching 198.0 ± 17.6 ng/ml at 16:00 oclock. In contrast to prolactin surge LH-surge was completely suppressed by administration of morphines and stimulated by administration of naloxone, reaching 282.9 ± 11.4 ng/ml at 16:00 oclock. When naloxone and morphine were simultaneously administered, the suppression of LH surge by morphine was completely inhibited by naloxone, and showed the significant afternoon Lh surge, reaching 232.2 ± 16.5 ng/ml at 16:00 oclock. It is concluded that endogenous opiates and their specific opiate receptor antagonist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secretion of the anterior pituitary hormones, especially prolactin and LH.

      • KCI등재

        태아의 혈장 Cortisol 및 Cortisone이 분만에 미치는 영향

        오세량,조영준 대한산부인과학회 199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3 No.5

        인간에서 glucocorticosteroids가 분만유발에 기여하는 역할을 규명코져 분만시에 모체 및 신생아의 혈장 cortisol과 cortisone치를 측정하여 그의 변동상황과 상호 관련여부를 살폈다. 1. 모체혈장 cortisol치는 분만에 따른 자궁수축이 전체 혹은 선택적제왕절개분만시에 가장 낮아 417.8 ± 17.2 ng/ml인데 반하여 자궁수축이 가장 강한 자연경질분만시에 600.1 ± 18.6 ng/ml로서 현저한 차이(p$lt;0.5)가 있었으며 자궁수축이 강할수록 높았다. 2. 모체혈장 cortisol치는 자궁수축의 강도에 따른 변동을 보이지 않았다. 3. 태아의 혈장 cortisol치는 모체의 그것보다 크게 낮았으며, 자궁수축의 강도에 따른 현저한 차이(p$lt;0.05)가 있어서 자연경질분만때 148.2 ± 15.9 ng/ml였고 선택적 제왕절개분만때 73.7 ± 9.1 ng/ml이었다. 4. 태아혈장 cortisol치는 자궁수축의 강도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모체에 비하여 현저하게 높았다. 따라서, cortisol치는 모체의 것이 태아의 것보다 높았고 아울러 자궁수축의 강도에 따라 양자가 증가하였던 것에 반하여 cortisone치는 모체에서는 변동하지 않았지만, 태아의 cortisol치는 모체의 경우보다 현저하게 높았을 뿐 아니라 자궁수축정도에 따른 증가상을 보여 분만에 모체에서는 cortisol만이, 태아에서는 cortisol과 cortisone이 같이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In order to assess the effect of cortisol and cortisone on the induction of labor and delivery, the plasma concentration of the above two hormones were measured by radiommunoassay at spontaneous and induced vaginal delivery, and elective and emergency cesarean section. The maternal plasma cortisol levels at elective cesarean section, which did not accompany the uterine contraction were 417.8 ± 27.2 ng/ml, and at spontaneous vaginal delivery, which accompanied the most intensive uterine contraction, were 600.1 ± 24.3 ng/ml. However, the cortisone levels in maternal plasma did not change by mode of delivery. The fetal plasma cortisol and cortisone levels demonstrated the significant increase, according to the degree of uterine Contraction. I conclude that the maternal and fetal cortisol, and fetal cortisone may play some role in the induction of labor and delivery.

      • KCI등재

        Ectopic Gestation 시의 환부의 절제에 따른 hCG치의 감소상황

        오세량,한세준,정종일,고성민,이용은,홍관표,김영미 대한산부인과학회 199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5 No.10

        자궁외임신에서 이환된 난관조직을 완전절제하는 수술과 난관을 보존할 수 있는 수술을 시행하여 융모조직으로 부터 생산되는 hCG량과 수술에 따라 hCG량의 감소를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견해를 보였다. 즉 수술후 최초의 hCG량을 알아야만 hCG치가 계속되는 시간을 알 수 있으며 수술후 hCG량을 방사면역측정법으로 최소한 24일까지는 측정하여야 하고 hCG치의 감소 및 소실상황을 관측하여야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A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the length of time serum of β-subunit of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β-hCG) could be detected following removal of ectopic pregnancy. The disappearance pattern of β-hCG was almost equal in complete removal of trophoblastic tissue and in conservative surgical treatment. The initial hCG titer i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determining the length of time in which positive titers will be detected.

      • KCI등재

        양수내 beta-Endorphin치와 분만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이종수,오세량,정혁,한세준,장하종,오승진 대한산부인과학회 199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4 No.4

        자궁수축과 양수내 beta-Ep치와의 관계를 알고저 경질분만과 제왕절개분만의 2개의 분만방식에 따른 자궁수축에 차이가 있는 경질분만의 제왕절개분만시의 양수내 beta-Ep치를 측정하였다. 경질분만의 경우에는 양수내 beta-Ep치가 제왕절개분만시보다 현저히 낮았다(p$lt;0.05). To Evaluate the concentrations of beta-endorphin in amnionic fluid during labor and delivery, they were measured in the vaginal delivery and cesarean section by radioimmunoassay. The levels of beta-endorphin of amnionic fluid in vaginal delivery in which the uterine contraction was more intensive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it in cesarean section in which the uterine contraction was relatively weaker or absent(P$lt;0.05).

      • SCOPUSSCIEKCI등재

        다발성 황색인대 골화에 의한 척수병증 1례

        강동수,오석전,정환영,김남규,김광명,이승로 대한신경외과학회 1991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Vol.20 No.7

        The authors report on case of myelopathy due to multiple ossification of ligamentum flavum at the level of thoracic spine. The prominant symptoms were numbness of both leg & foot, gait disturbance, spatic motor weakness. Motor power was mild decreased. Metrizamide myelography, CTMM, MRI showed prominant ossified ligamentum flavum at T₄T_(5) T_(7) T_(8) T_(10), which compressed arachnoid space & spinal cord, most prominant at the level of T_(8). Total laminectomy was made from the level of T₄to that of T_(10) by two staged operation. There was marked compression of the dural sac by the ossified ligamentum flavum. Removal of the lesion produced satisfactory decompression. In post-operative state, pre-operative symptom was improved, but there was still impairment of position and touch sense below T_(10) at Right side. Left side was normalized. Microscopic examination of nodule revealed ossification of ligamentum flavum.

      • KCI등재

        임신중 혈장 Renin 활성도의 변화

        오긍식(KS Oh),전송원(SW Chun),정성노(SR Chung),조수용(SY hough) 대한산부인과학회 198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3 No.7

        정상임신 51례와 중독증임신 24례, 초기임신 8례를 대상으로 R.I.A.방법을 사용 P.R.A를 측정하여 정상가임부, 정상임부 및 중독증임부의 분만전과 후, 비임 및 임신초기와 말기의 P.R.A의 변화 그리고 연령별, 초산경산에 따른 동태 및 pitocin과의 관계를 고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비임시에 비해 정상임신초기 및 임신말기의 분만 전과 분만 후 2일에 P.R.A는 비임신시에 비해 임신초기에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임신말기에는 임신초기에 비해 유의한 감소를 보였고 비임신시에 비해서는 유의한 증가를 유지하였다. 2. 연령별, 초산 및 경산에 따른 분만 전과 후의 P.R.A의 관계는 유의한 상호관계가 없었다. 3. Pitocin투여군과 비투여군에 있어서 P.R.A의 변화는 정상임부 및 중독성임부에 있어서 공히 유의성이 없었다. 4. 정상임부의 분만 전과 후의 P.R.A는 분만 전에 비해 분만 후에 있어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5. 정상임부 및 중독증임부의 분만 전 P.R.A는 정상임부에 비해 중독증임부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Of the subjects who visited for antenatal care and delivery between December 1. 1978 and March 1. 1979. 51 cases of normal pregnant women, 24 cases of toxemic women and 8 cases of first trimester of normal pregnancy were made the subject of study. Plasma renin activity(P.R.A.) was estimated with the usage of radioimmunoassay method. It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Compared to non-pregnancy, P.R.A. showed significant increase during the first trimester of normal pregnancy.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P.R.A. during the third primester compared to the first trimester but the third trimester maintained significant increase in P.R.A. compared to non-pregnancy. A comparison of P.R.A. in case before and after delivery of normal pregnancy showed that compared to before delivery it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delivery. Lastly, a comparison of before delivery state of normal pregnant women and toxemic women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P.R.A. of toxemic women than normal pregnant women.

      • KCI등재

        모체와 태아혈중 Progesterone 및 Estradiol-17B와 분만과의 관계

        정혁(H Jung),오세량(SR Oh) 대한산부인과학회 198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1 No.3

        분만에 따른 자궁수축이 반복되는 동아네 Progesterone 과 Estradiol-17B 가 여하이 변동하 고 또한 이들 hormone이 분만진행에 여하한 영향을 끼치는 가를 알고자, 자궁수축이 시작 하기전과 분만이 진행하여 자궁수축이 가장 강한 시기에서의 양 hormone치와 자연적 자궁 수축이 없는 선택적 제왕절개술 분만의 경우 마취시작 직전과 마취시작후 30분에서 모체혈 청치를 측정하여 그들의 증감상황을 조사하였으며 아울러 신생아 혈청의 양 hormone치도 측정하여 모아의 혈청치를 비교하였다. 1. 경질분만시의 모체혈청 progesterone 치는 분만시작전 (574+-37ug/ml)에 현저하게 감소하 였다. (p<0.001) 제왕절개 분만시는 마취시작전 (559+-34ng/ml)보다 마취시작후 30분(384+-28 ng/ml)에서 역시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나 (p<0.05) 경질분만에 비하여 감소폭이 작아 양자간에 유의한 차 (p<0.01)가 있었다. 2.모체혈청 Estradiol-17B 치는 경질분만에서와 제왕절개술 분만에서 모두 똑같이 대폭증가( 평균 32.33+-2.96ng/ml에서 95.73+-6.83ng/ml로 ) 하였다(p<0.001) 3. 분만중에 모체혈청 Progesterone 치의 감소와 Estradiol-17B 치의 증가가 동시에 진행되며 P/E ratio가 17.8에서 3.3으로 대폭저하 하였다. 4. 신생아 혈청Progesterone치와 Estradiol-17B치는 모체혈청내치보다 항상 현저히 높았다. 따라서 분만시의 자궁수축은 모체혈정내 Progesterone치의 감소와 Estradiol-17B치의 증가를 동반하나 어느것이 원인이고, 어느것이 결과인지는 미상이며, 또한 이것만으로서 자궁수축이 유발내지는 지속되는 것인지도 미상이었다. The concentrations of Progesterone and Estradiol-17 beta in maternal and neonatal sera were meaured on 35 uncomplicated pregnancies before and during labor by radioimmunoassay. The maternal serum progesterone level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567+-35 ng/ml before the onset of labor to 319+-2.96 ng/ml at the acme of the uterine contraction, and the maternal serum Estradiol-17 beta level increased concomitantly and more markedly than the alteration of progesterone level from 32.33+-2.96 ng/ml before the onset of labor to 95.73+-6.83 ng/ml at the acme of the uterine contraction . Thus the ratio of the maternal serum progesterone level to Estradiol-17 beta level fell considerably from 17.8 before the onset of labor to 3.3 at the end of the second stage of labor. The neonatal serum progesterone and Estradiol-17 beta levels, however were constantly higher than the maternal levels of them. It is conclued that uterine contraction occurs under the condition of decreased serum level of progesterone, associated with concomittant increase of serum level of Estradiol-17 beta which are of fetal origin.

      • KCI등재

        제왕절개술시의 모체 및 태아혈장 B-endorphin과 ACTH에 관한 연구

        최영균(YK Choi),오세량(SR Oh) 대한산부인과학회 198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2 No.8

        제왕절개분만시 분만 진통 마취 및 수술 등의 스트레스가 모체와 태아에 미치는 영향을 연 구함으로 어떠한 상황하에서 또한 어떠한 마취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모,아에게 스트레스가 가장 적은가를 결정하는 기준을 얻고자 전신마취와 척추마취하에 선택적 제왕절개술과 응급 제왕절개술을 시행하여 모체와 태아의 혈장 B-endorphin과 ACTH의 변동 사항을 조항하였 다. 1. 모체혈장내 B-endorphin과 ACTH치는 선택적 제왕절개 때나 응급제왕절개 때나 전신마취 하에 시술하는 것이 척추마취하에서 시술하는 것보다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 응급 제왕절 개술의 경우가 선택적 제왕절개분만의 경우보다 현저하게 높았다. 즉 응급제왕절개술을 전 신마취하에 시실하는 것이 가장 높았고, 선택적 제왕절개술을 척추마취하에 시술하는 것이 가장 낮았다. 2. 제대혈정 B-endorphin치는 선택적 제왕절개술일 때는 거의 변동하지 않았고, 응급 제왕절 개술 때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나, 제대혈장 ACTH는 응급제왕절개술 때 와 선택적 제왕절개 술 때에 모두 현저히 증가하며, 전신마취때에 척추마취때 보다 더 증가하였다. 따라서 모체 혈장 B-endorphin과 ACTH치는 전신 마취때와 응급 제왕절개술 때 가장 현저하게 증가하며 제대혈자 ACTH치도 모체의 ACTH치와 거의 같은 증가상을 보이나 제대혈장 B-endorphin치 는 마취와 수술에 따른 변동은 하지않고, 시술전 모체에게 진통이 있는 경우에 한하여 반응 하였다. The effect of spinal and general anesthesia on the pituitary response to elective or emergency cesarean section were studied in 33 parturients and their 33 newborn infants. Maternal plasma concentration of B-endorphin and ACTH were measured before sugery and 30 minute after skin incision Umbilical vein and artery plasma B-endorphin and ACTH at delivery were determined also. Maternal plasma B-endorphin and ACTH levels and unbilical cord plasma ACTH level were elevated more markedly at surgery underr general anesthesia than spinal anesthesia and at emergency surgery than elective surgery.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general and spinal anesthesia in umbilical cord plasam B-endorphin level which rose considerably at emergency surgery and not at elective surgery. The results show that the method of anesthesia, labour-stress before surgery and surgical stress influence the maternal B-endorphin and ACTH response , but the fetal B-endorphin response in influenced only by labor stress before surgery.

      • KCI등재

        The effects of cervicovaginal stimulation and administration of naloxone on the secretion of prolactin in the rats.

        한세준(SJ Han),오세량(SR Oh) 대한산부인과학회 198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2 No.9

        Serum prolactin levels were measured following decapitation of the adult female rats, which were stimulated cervicovaginally with a cotton rod or injected with naloxone into the abdominal cavity or both just before the onset of study and 1 hour, 5 hours, 7 hours and 9 hours later. The afternoon prolactin surge in the normal rats was most prominent at 16:30 reaching 60.90±10.72 ng/ml, whereas in the cervicovaginally sitmulated rats, the plasma prolcatin levels showed a peak at 14:30 and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normal afternoon prolactic surge level. In the naloxone-injected rats, the plasma prolactin level did not increase and in the cervicovaginally stimulated rats with simultaneous injection of naloxone , neither the prolactin surge nor decrease in plasma prolactin level were observe.

      • KCI등재

        분만방식에 따른 모체 및 태아 혈장내 B-endorphin과 ACTH에 관12345한 연구

        최영희(YH Choi),오세량(SR Oh) 대한산부인과학회 198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2 No.7

        분만에 의하여 모체 및 태아가 받는 스트레스의 양상을 알기위하여 분만방식에 따른 모체와 태아의 혈장 B-endrophin치와 ACTH치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1. 모체 혈정 B-endrophin치는 경질분만의 경우 108.5+-29.1pg/ml 제왕절개분만의 경우 61.8+-9.7pg/ml로 각각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그러나 경질분만과 제왕절개분만과의 유의한 증가를 보이지 않았다. 2. 제대혈정 B-endrophin은 경질분만의 경우 118.8+-24.3pg/ml로 증가하였으나, 제왕절개분만 의 경우에 증가하지 않았으며 제왕절개분만에 비해 경질분만의 경우에 유의한 증가를 보였 다. 3. 모체혈장 ACTH치는 경질분만 경우 158.6+-42.2pg/ml, 제왕절개분만의 경우 96.3+-13.6pg/ml로서 각각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분만방식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4. 제대혈장 ACTH치는 경질분만의 경우 133.7+-27.2pg/ml 제왕절개분만의 경우 96.2+-19.2pg/ml로 증가하였으나, 분만방식에 따른 유의한 증가는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산모에 있어서는 분만방식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고, 태아에 있어서 는 제왕절개분만을 함으로서 스트레스가 적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concnetration of B-endorophin and ACTH in relation to the mode of delivery were studied in maternal and umbilical cord plasma in 30 healthy women at delivery and 30 healthy newborn infants. during cesarean section the mean maternal plasma B-endrophin level was increased from 32.8+-8.5pg/ml before induction of anesthesia to 61.8+-9.7pg/ml at 30 minute after induction, while in spontaneous vaginal delivery the mean B-endrophin level was increaed from 69.5+-11.4 pg/ml at early labour to 108.5+-29.1 pg/ml at delivery. At vaginal delivery the umbilical cord plasma B-endrophin level was increaed makedly, but at cesarean section delivery was not increaed . The mean maternal plasma ACTH levels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48.9+-15.9 pg/ml to 158.6+-42.2 pg/ml during vaginal delivery and from 50.6+-11.7pg/ml to 96.3+-13.6pg/ml during cesarean section. The mean umbilical cord plasma ACTH levels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at vaginal delivery and during cesarean section . These findings show that the maternal plasma B-endrophin level and ACTH level and umbilical cord plasma ACTH level were increased by the stresses of labor surgery and anesthesia, but umbilical cord plasma B-endrophin level was not increased by surgery and anesthes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