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선아리랑의 정립과 기원의 창조

        정우택 ( Jeong Woo-taek ) 국제어문학회 2015 국제어문 Vol.0 No.65

        이 논문은 정선아리랑의 대표곡 및 기원 정립 과정과 정선아리랑의 주체 문제를 둘러싼 서로 다른 주장들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정선아리랑 정립과정의 기록을 최대한 제시·분석하였다. 조선 왕조 초기에 고려 왕조를 섬기던 7인의 충신이 개성에서 정선의 거칠현동(居七賢洞, 현재 정선군 남면 소재)으로 은거지를 옮겨 살며, `불사이군(不事二君)`의 충절을 한시 율창으로 부른 것이 정선아리랑의 시원이 되었다고 전해진다. 그 노랫말이 바로 "눈이 올라나 비가 올라나 억수장마 올라나 / 만수산 검은 구름이 막 모여 든다"라는 것이고 이 노래는 지금 정선아리랑을 대표하는 노래로 널리 불려지고 있다. 노랫말 중 `만수산`이 고려 왕도(王都)인 송도(松都)에 있는 산이라고 주장한다. 그런데 "눈이 올라나 비가 올라나 억수장마 질라나/ 만수산 검은 구름이 막 모여 든다"는 노랫말은 문헌기록에 1967년에야 처음 나타난다. 같은 시기에 위 노랫말과 `고려 유신(遺臣) 기원설`을 연결시키는 내러티브가 정선군에서 발간한 『정선아리랑』 가사집에 처음 등장한다. `고려 유신-거칠현동` 기원설은 1968년 전후, 국가 이념 및 시책을 홍보 지원하는 군 공보실의 주도로 만들어진 것으로 확인된다. 그리고 1970년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참가를 위해 정선아리랑의 유래와 대표곡을 설명하는 과정에 이 노랫말과 기원설은 하나의 콘텐츠로 확정되고, 이 경연대회에서 정선아리랑이 민요 부문 1등상(문화공보부 장관상)을 수상함으로써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고려 유신-거칠현동` 기원설에는 정선아리랑이 양반 사대부로부터 유래한 `고급`한 노래라는 점(민요의 상층기원설)과 `국가에의 충성`을 주제로 했다는 점을 부각시키려는 의도가 잠재되어 있다. `고려 유신-거칠현동` 기원설은 정선의 관련 문중과 지역 유지들에 의해 적극적으로 채택되고 선양되었다. 그러나 아라리 현장에서는 정선아리랑의 기원과 성격, 주체에 관해 다른 입장을 보인다. 아라리를 놓고 상징 투쟁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정선아리랑을 상층-사대부 기원설을 통해 문자라는 리터러시의 권위 속에 등재시키려는 그룹(관, 유지, 문중)과 실제 아라리를 노동과 생활 속에서 소리와 구전으로 전승 전파하며 부르는 민중들 사이에 `신조와 구조/ 문자성과 구술적 현장성` 등의 구분이 생겨났다. 정선의 일반 민중들은 정선아리랑이 민중들의 노동과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생성된 소리라고 주장한다. This paper aims to make a survey of the archetype of JeongSun Arirang and the process of its establishment. Much effort was made on the collecting and analyzing of the documents and records which contain related materials on JeongSun Arirang. In the early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seven loyalists to the Korea Dynasty moved from GaeSung to Jeongsun and lived in secluded residences in GeoChilHyun Dong(located in Nam Myun, JeongSun at present). It has been said that the origin of JeongSun Arirang came from the seven loyalists` metrical song in the form of Chinese poem which expressed their `determined refusal of double-minded fidelity.` Some of the words of their song are as follows: “Will it snow or rain? Will the rainy spell suddenly begin? Black clouds from Mt. ManSoo are awfully gathering together.” In these days, their song is widely being sung in Jeongsun district as the typical song of JeongSun Arirang. It has been also asserted that Mt. ManSoo in the words pointed to the mountain in SongDo, capital of Korea Dynasty. But the words of the song, “Will it snow or rain「Will the rainy spell suddenly begin」 Black clouds from Mt. ManSoo are awfully gathering together.” appeared, for the first time, in the documents in 1967. 「 JeongSun Arirang」, a collection of words of JeongSun Arirang published by JeongSun county office showed a narrative which tried to connect the above-mentioned words to the `Korea loyalists origin` theory. It may be inferred that the `Korea Dynasty loyalists origin` theory was made out before and after 1968 designedly by the Information Service Bureau of JeongSun county office which aimed to advertise and support the national ideology and policy. The above words and the theory of origin were settled down as a firm content in the process of explaining the origin and typical song of JeongSun arirang when it attended in 1970 National Folk Art Contest. JeongSun arirang won the 1st prize in the section of folk songs contest and then spread fast over the country. The `Korea Dynasty loyalists-GeoChilHyun Dong origin` theory has the hidden purpose of lightening the fact that JeongSun arirang was a kind of noble song created by the upper class of old Korea(theory of folk song`s upper class origin) and it was based on the theme, faithfulness to the nation. The `loyalists of Korea Dynasty origin` theory has been actively accepted and advertised by the related family and local leaders in JeongSun. But, in JeongSun, a theoretical and symbolic dispute brole out in terms of the origin, characteristics and original makers of JeongSun Ariarang. There exist two devided groups: one(containing public office, local leaders and related family) attempts to place JeongSun Ariarang on the authority of literacy through the upper class origin theory, and the other(common people) only enjoys singing JeongSun Ariarang in the everyday work and life, orally taking over and handing down it in the form of actual Arari. The division comes from the difference between fidelity and social structure, literacy and on-the-spot oral information. The common people in JeongSun insist that JeongSun Ariarng natually came into being in everyday labor and life.

      • KCI등재

        일반논문 : 낙오자와 영원인 -서정주의 신라 기획과 전율의 시학-

        정영진 ( Young Jin Jeong ) 반교어문학회 2015 泮橋語文硏究 Vol.0 No.41

        서정주는 당대의 허무주의를 현대 서구문명의 병폐로 이해했으며 신라정신을 통해 이 문제를 극복하고자 했다. 이 글에서는 우선 서정주의 신라정신이 그가 상상한 신라 사회에서 어떤 방식으로 기능하고 있었는지 살펴봄으로써, 서정주의 신라 기획이 사회문화적 가치체계로서 제안된 것이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서정주가 상상한 신라 사회는 현실규범과 현실논리에서 낙오한 이들이 영원성의 세계 속에서 재생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사회였다. 이 ‘낙오자’들은 비록 현실로 복귀할 수 없지만 영원성의 세계에 거주하면서, 신라인들에게 영원성의 세계를 현시한다. 즉, 그의 신라 기획은 사회통합적 성격을 내포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서정주의 시에는 이러한 신라사회의 모습이 전혀 드러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서정주는 서구정신과 신라정신의 대립이나, 현실세계와 영원성의 세계의 관계 역시 시에서 다루지 않는다. 그의 시에서 신라의 ‘영원인’들은 현실사회에서의 낙오자의 성격이 삭제된 채, 사랑의 주체로 나타난다. 이들은 다만 새로운 앎과 감동을 소유하고 절대적 세계를 현시한다. 즉, 신라 기획의 일부만이 시에 바쳐졌다고 할 수 있는데 이는 서정주의 시인식에 따른 결과이다. 서정주는 현대시가 ‘전격적 쇼크’ 혹은 ‘전율’로 체험되어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신라 기획의 사상적 성격을 모두 제거하고, 불사(不死)의 이미지로 전형화 된 영원성의 세계만을 시화(詩化)했다. 불사의 이미지들은 현실 전부를 점유해버리는 현실초과의 성격을 띠는데 이로 인해 그것은 영원성으로 감각된다. 다시 말하면 현실에서의 절대성이 영원성으로 치환되고 있는 것이다. 서정주 시(중기시)의 개성(스타일)의 확립은 신라정신이라는 보편적 사상 기획에 근거한 것이기는 했지만, 동시에 순수시에 대한 신념과 현대사회에서의 시의 효과에 대한 그의 시인식에 따라 신라 기획의 일부만을 미학화 한 결과였다. Seo Jeong-ju understood nihilism at the time as a social ill of modern western civilization, and sought to overcome this problem through the Silla spirit. This article seeks to show that the Silla planning of Seo Jeong-ju was suggested as a sociocultural value system by examining how Seo Jeong-ju`s Silla spirit was functioning in the Silla society he imagined. The Silla that Seo Jeong-ju imagined was a society allowing those who failed in terms of the norms of reality and logic of reality to be born again within the world of eternity. Although these losers may not return to reality, they could show the world of eternity to the people of Silla, while residing in the world of eternity. Seo Jeong-ju`s Silla planning implied a character of social integration. However, Seo Jeong-ju`s poetry do not reveal such features of the Silla society at all. Not only that, Seo Jeong-ju does not deal with the conflict between the western spirit and Silla spiri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ld of reality and world of eternity in his poetry. The ‘people of eternity’ of Silla appear as the main agents of love in his poetry, and these agents display an absolute world and possession of new knowledge and impression. Thus, in other words, only a part of the Silla planning has been dedicated to his poetry, which is a result of Seo Jeong-ju`s cognition on poetry. Because Seo Jeong-ju believed that modern poetry must be experienced through ‘lightning shock’ or ‘thrill’, he removed all ideological characters of Silla planning, and only treated the world of eternity, which was embodied through the image of immortality, in poetry. The establishment of personal characteristics (style) of Seo Jeong-ju`s poetry (middle-period poetry) was based on the planning of a universal idea called Silla spirit, however, was also a result of treating only a part of the Silla planning aesthetically based on his cognition on poetry, concerning the effect of poetry in modern society and his principle on pure poetry.

      • KCI등재

        박지원 <삼종형수록대부금성위겸오위도총부도총관증시충희공묘지명(三從兄綏祿大夫錦城尉兼五衛都摠府都摠管贈諡忠僖公墓誌銘)>의 구조와 서술전략 : 정조 <錦城尉朴明源神道碑銘幷序>와의 비교를 통해

        정순희(Sun hee Jeong) 어문연구학회 2015 어문연구 Vol.83 No.-

        박지원은 정조의 명에 따라 을 쓴다. 그 묘지명은 정조의 와 비지류의 구성 요소, 구성의 전개 과정, 어휘에서 상당히 비슷하다. 두 작품은 주제상으로도 서로 긴밀하게 연결된다. 에서는 박명원이 어떻게 '충희(忠僖)'로운 삶을 살았는지를 보여주고, 에서는 박명원이 정조에게 어떤 '은인(恩人)'인지를 보여준다. 이때 '충희'와 '은인(恩人)'은 각각 신하와 임금의 입장에서 박명원을 규정한 말일 뿐, 박명원을 중심으로 보면 같은 말이다. 에서 박명원은 할아버지(영조(英祖))로 인해 아버지(사도세자)를 잃은 정조의 '슬픔'을 깊이 슬퍼하고, 사도세자의 묘 이장을 실현시킴으로써 정조의 '슬픔'과 실천적으로 연대한다. 그 '슬픔'과 연대의 과정이 바로 '충희'와 '은인'으로 명명된 박명원의 삶이라는 말이다. 박지원은 을 통해 박명원과 정조 사이의 이해와 연대를 보여주며, 동시에 과 박명원을 사이에 두고 박지원 자신과 정조 간의 이해와 연대도 함께 보여준다. 박지원은 또한 과 박명원을 사이에 두고 정조와 대립하기도 한다. 에서 정조는 박지원의 『열하일기』를 박명원의 저작이라고 밝힌다. 이것은 '문체반정(文體反正)'을 염두에 둔 정조의 도발이다. 이에 대해 박지원은 박명원의 에서 자신의 8촌형 박명원에게 글쓰는 재주는 없었노라고 밝히며 정조와 대립한다. 박명원은 박지원과 정조에게 각각 다르게, 결정적인 영향을 준 사람이다. 박지원과 정조는'문체반정'과 관련된 대표적 신하와 임금으로서, 자의식 강한 '작가(作家)'로서, 박명원의 행적을 담는 비지류 산문을 통해 연대하고 대립하는 것이다. Ji-won Park inscribes Myojimyeong for Myeong-won Park, which iSamjonghyeongSurokdaebuGeumseongwiGyeomohwidochonggwanJeungsichungheegongMyojimyeong>. It is similar to of King Jeongjo as well as composition, development process and word of Bijiryu. Two works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in the topic. Myeong-won Park shows us how to live a faithful and happy life in Myojimyeong, and gratitude for King Jeongjo as a savior. Specifically, 'ChungHee' and 'savior' are words used to define Park Myeong-won from vassal and king, but they are the same words based on Myeong-won Park. In Myojimyeong, Myeong-wonPark deeply grieved for King Jeongjo who lost his father(Prince Sado), and practically band together with King Jeongjo's sadness by moving the grave of Prince Sado. Solidarity with the sadness is Park Myeong-won's life designated as 'ChungHee' and 'savior'. Ji-won Park shows understanding and solidarity between Myeong-won Park and King Jeongjo as well as between he and King Jeongjo. Furthermore, Park Ji-won sometimes conflicts with King Jeongjo between Myojimyeong and Myeong-won Park. In Shindobimyeong, King Jeongjo determines that 『YeolhaIlgi』 is Myeong-won Park's writing. This is a provocation of King Jeongjo based on Munchebanjeong. Ji-won Park is opposed to King Jeongjo on this because he determines that Myeong-won Park, a third cousin, does not have a talent in writing in Myojimyeong. Myeong-won Park is a person who influence differently to Ji-won Park and King Jeongjo. Ji-won Park and King Jeongjo are a vassal represent and king related with Munchebanjeong and self-conscious writers. In addition, they band together and conflict through Bijiryu prose which includes track of Myeong-won Park.

      • KCI등재

        1950-60년대 북한의 정선(鄭敾)에 관한 인식

        김미정 ( Kim Mi-jeong )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인문과학연구 Vol.- No.33

        이 글에서는 1950-60년대 북한의 문예 정책 속에서 정선(鄭敾, 1676-1759)에 관한 인식이 변화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북한에서 정선은 1950년대 전반부터 탁월한 사실주의 풍경화가로 규정되면서 그의 위상과 회화의 가치가 높이 평가되었다. 그리고 1960년대 후반까지 민족미술의 특질을 규명하는 과정에서 각종 매체의 지면에 정선의 작품이 민족의 보물로 소개되었다. 정선의 생애정보에 맞춘 기념행사는 1950-60년대에 3차례 치러졌으며, 그중에서 1956년과 1959년에는 전람회도 개최되었다. 그러나 정선에 관한 북한의 인식은 초기에 부여받았던 높은 위상으로 고정되었던 것이 아니라, 시기와 문예 정책에 따라 달라지면서 1970년대에 이르러서는 평가가 낮아지기도 했다. 김홍도가 인민의 낙천성을 표현한 사실주의 인물화의 대가로서 시종일관 그 가치가 변하지 않은 것에 비하면 정선은 비교적 짧은 기간 위상이 높았던 화가였다. 이러한 현상은 남ㆍ북종화풍을 절충한 독창적 필법과 적묵의 효과가 특색인 정선 화풍이 사회주의 리얼리즘 미술에 적합하지 않았기 때문일 것이다. 정선의 화풍은 1950년대 후반 서정적인 풍경화의 허용과 함께, 자유로운 표현과 예술적 기교가 인정되었던 스탈린 사후 ‘미학적 해빙기’에 일시적으로 주목받을 수 있었다. 1950-60년대 북한의 정선 관련 문헌들을 살펴보면, 문예계 정책에 따른 자의적인 해석이 가미 되었음을 간과할 수 없다. 하지만 한국 학계에서 1960년대 후반에 이르러 정선을 주목하기 시작했던 상황과 비교해 보았을 때, 이 연구에서 살펴본 북한의 정선 관련 문헌들이 지닌 미술사적 의의는 되새겨볼 필요가 있으리라 생각된다. In this paper, the author examined the aspect of changing the recognition of Jeongseon(鄭敾, 1676-1759) in North Korea’s literary policy in the 1950s and 1960s. The North Korean art world defined Jeongseon as a realism landscape painter from the early 1950s and highlighted his stature and the value of his painting. Also, it defined the character of national art in the late 1960s and introduced the works of Jeongseon through various media as a treasure of the nation. According to the lifetime information of Jeongseon, a commemorative event was held three times in 1950s and 60s, and an exhibition was also held in 1956 and 1959. However, the recognition of Jeongseon in North Korea was not fixed at high stature in the early period, but changed according to the period and literary policy, and the evaluation on Jeongseon were lowered in the late 1960s. Kim Hong-do was evaluated as a master of realistic figure painting that expresses the optimism of people, and the evaluation was not changed to the present, while Jeongseon received high evaluation for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This is because Jeongseon’s rough strokes and unique style of painting were not suitable for the style of socialistic realism. The painting style of Jeongseon could be temporarily highlighted during the “aesthetic thawing season” in the late 1950s after Stalin’s death, when free expressions and artistic craftsmanship were recognized along with the permission of a lyrical landscape. Even though the North Korean Jeongseon-related literature in the 1950s and 60s reviewed in this study was interpreted politically and arbitrarily, it is meaningful to ruminate over its artistic significance compared to the situation of South Korea’s academic world in the late 1960s when Jeongseon started to be studied.

      • KCI등재

        1950년대 가난과 보수주의 시학

        정영진(Jeong, Yeong-Jin) 동악어문학회 2015 동악어문학 Vol.64 No.-

        1950년대 경제적인 가난은 명백한 사실이다. 하지만 시에서는 별로 가난에 대해 관심이 없었다. 궁핍한 생활에서 비롯한 고독과 비애의 정서를 발견하기는 쉽지만, 가난을 전면적으로 다루는 시들은 아주 적다. 서정주는 말한다. “가난이야 한낱 남루에 지나지 않는다.” 이렇게 말할 수 있는 까닭은 무엇일까. 이 글은 서정주의 시를 당대 한국 현실을 리얼하게 다룬 소설들과 겹쳐 읽으면서, 서정주 시의 미적 이데올로기와 시장경제 원리와의 연관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1950년대 ‘가난’이 저항 담론의 수행성을 구성할 수 없었던 까닭과 서정주 시의 보수주의 미학의 성격을 가늠해보고자 한다. 1950년대 서정주 시처럼 자본주의 세계의 질서와 원리를 고유한 자기 원리로 번역해 낸 시인은 없어 보인다. 이때의 자본주의 질서와 원리란 이윤추구를 목적으로 하는 체계라기보다는, 인간의 본성에 따라 사익을 추구하고 개인들은 최대의 만족을 얻기 위해 자유롭게 시장에 참여하며, 이때 가격은 수요와 공급에 따라 ‘보이지 않는 손’에 의해 형성된다고 보는 ‘시장 원리(maket principle)’를 의미한다. 경제주체들의 자유로운 경쟁이 이루어지는 시장은 자기 조절 기능이 있기 때문에 인위적인 개입이 시장의 흐름을 깨는 것으로 간주된다. 서정주는 역사적 신체를 배제하고, 인간의 타고난 본성들의 향연을 이상화했다. 그는 훼손되지 않은 본연의 인간성이 다른 수많은 본연의 생명들과 자연스럽게 교류하는 세계에 영원성 내지 절대성을 부여하고자 했다. 서정주는 시장 지향의 심성(mentality)이 구축되어가는 전후사회의 집단적 무의식-교환의 감각을 내면화하는 등-을 대담하게 구도를 잡아 미학화 했다고 볼 수 있다. 어쩌면 서정주에게 전통은 ‘동양’이나 ‘신라’에 있다기보다는 ‘현실’을 수용해가는 민중들의 집단적 무의식 차원과 결부지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서정주의 보수주의 미학(시학)의 핵심은 바로 현실수용의 구조를 미학화 하는 데 있기 때문이다. The economic poverty during the 1950s is a clear fact. However, poems did not have much interest in poverty. It is easy to discover the sentiment of solitude and sorrow based on impoverished life, and, however, there are an extremely small number of poems that overall deal with poverty. Jeong-ju Seo says “Poverty is nothing but merely being ragged.” What is the reason he can make such a statement? This study seek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esthetic ideology of the poems of Jeong-ju Seo and the principles of market economy, while reading both the poems of Jeong-ju Seou and the novels that realistically depicted the realities of Korea during the time. This study seek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conservatism aesthetics of the poems of Jeong-ju Seo and the reason that ‘poverty’ was not able to compose the performance of the confrontation discourses in the 1950s. There seems to have been no poet that translated the orders and principles of the capitalism world into his or her own unique principles as the poems of Jeong-ju Seo had in the 1950s. The orders and principles of the capitalism world means the ‘market principle’ that considers that human beings pursue their own interests pursuant to human nature, individuals freely participate in the market to obtain maximum satisfaction, and the price is formed by an ‘invisible hand’ pursuant to demand and supply, rather than meaning a system that has its objective as profit-seeking. Because a market where free competition by economic agents is formed has a function of self-control, artificial intervention is regarded to break the flow of the market. Jeong-ju Seou excluded the body of history and idealized the banquet of the inner natures of people. He sought to grant absoluteness or eternal nature to the world where the undamaged human nature naturally interacts with the numerous other natural organisms. Many believe Jeong-ju Seo forms an aesthetic sense by boldly grasping the composition of the group unconsciousness in the postwar society ? internalization of the sense of exchange - where a market-oriented mentality was being constructed. Maybe, the tradition to Jeong-ju Seo could have been combined with group unconsciousness of the public accepting the ‘reality,’ rather than the ‘East’ or ‘Silla.’ That is because the core of the conservatism aesthetic (poetry) of Jeong-ju Seo is in making an aesthetic sense in the structure of acceptance of reality.

      • 沖庵金淨의 <濟州風土錄> 硏究

        조정윤(Jo, Jeong-yun) 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2018 충청문화연구 Vol.21 No.-

        본고는 沖庵 金淨(1486~1521)이 제주 유배 중에 지은 <濟州風土錄>의 내용 및 문체적 특징을 검토하여 김정 문학의 일면모를 밝혀보고자 한 것이다. 김정은 탁월한 文才를 바탕으로 22세 되던 해 文科別試에서 장원급제하여 환로에 들어섰다. 순창군수 재직 시 朴祥과 함께 廢妃愼氏의 복위를 청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유배되기도 하였지만, 다시 復官되어 中宗의 두터운 신임을 받아 빠르게 승진하며 도학적 이상 정치의 실현을 위해 소격서의 革罷, 鄕約의 간행, 현량과 실시 등 여러 개혁 정치를 시도하였다. 그러나 신진 사림들의 정치 개혁 시행 및 僞勳削除 요구 등에 위기의식을 느낀 훈구공신들이 일으킨 己卯士禍에 휘말려 錦山및 珍島를 거쳐 제주도로 유배되었다가 1521년 10월 제주에서 賜死되었다. 궁행실천의 도학적 학문자세를 지녔던 김정은 유배객이 되어서도 濟州民을 위해 풍속을 교화하고자 노력하였으며, 제주 유배시기 작품에는 좌절과 고독, 슬픔의 감정 등이 나타나기도 하지만, 자연의 섭리를 이해하고 천명에 순응하고자 하는 모습이 나타난다. 이러한 실천적 학문성향과 작품 경향은 <제주풍토록>에서도 발견된다. <제주풍토록>은 제주의 이색적 풍토에 대해 비평적인 소개로, 미개한 풍속에 대한 실천적 도학자의 교화와 개혁의 시각이 담겨있다. 김정은 제주의 기후와 풍속, 지리, 산물 등, 제주의 환경과 사회상을 상세하게 기록하면서 그 원인과 개선점에 대해서도 지적하였다. 또한 제주도의 지리적 환경 및 謫所의 주변을 서술한 부분에서는 유배자의 고독과 비애의 감정을 드러내기도 하지만 원망이나 불평이 아닌 천명에 순응하는 달관의 경지를 보여주어 비장미를 표출하였다. 한편, 김정의 산문은 ‘西漢風’을 추구하였던 것으로 평가받았다. <제주풍토록> 역시 제주의 물산을 나열적으로 서술하고, 내용의 범위와 규모가 넓은 면에서 <子虛賦>와 비견된다. 수록내용이 풍부하면서도 세부적인 수식이나 자잘한 묘사를 생략하고 축약적인 4자구를 多用하고 있으며 虛字와 典故의 사용이 적어서 호방하면서도 간결한 효과를 보여준다. 곧 <제주풍토록>은 김정의 ‘修己治人’의 학문적 경향에 의해 저술된 것으로, 제주 환경에 대한 敍事와 유배생활의 정서에 대한 抒情이 조화를 이룬 작품이다. This thesis is designed to examine the contents and the characteristic of the style of Record of Jeju Customs (濟州風土錄) that Chuangam Kim Jeong wrote during his Jeju exile, and to reveal an aspect of Kim Jeong"s literature. Kim Jeong won the first place in the special civil service examination and entered government service on the basis of his excellent literary talent when he was 22 years old. While holding the office of Sunchang county governor, Kim jeong filed an appeal to ask the restoration of Ms Shin, a retired queen with Park Sang and was exiled, but was restored to his office and then was promoted with the deep confidence of Jungjong tried to perform various political reformations for the realization of the ideal politics of Confucianism, such as the reformation of Sokyeokseo (昭格署), the publication of Hyangyak (鄕約), and the establishment of Hyunlyang department (賢良科), etc. But Kim Jeong was swept away by the Literati Purge raised by the meritorious elite threaten by the political reformation and enforcement of the Neo-Confucian Literati, the requirement of the deletion of the memorial service, etc. and was exiled to Eunsan, Jindo, and Jeju Island, poisoned into death October, 1521. Although Kim Jeong who had a Confucian attitude to practice in person was an exile, he tried to educate the residents of Jeju Island regarding their customs. Even though the works during the Jeju exile show such emotions as desperation, solitude, sorrow, he tried to understand the providence of nature and to conform to Heaven"s will. Such tendency of practical studies and works is found even in Record of Jeju Customs (濟州風土錄). Record of Jeju Customs (濟州風土錄) is a critical introduction of Jeju"s exotic customs, containing the viewpoint of a practical Confucian"s educating and reforming uncivilized customs. Kim Jeong recorded Jeju"s environment and society such as its climate, customs, geometry, products, etc. in detail, pointing out the cause and improvement. In addition, although he shows an exile"s solitude and sorrow in the part describing the geological environment and the place of exile, he shows not resentment or complaint, but a far-sighted view conforming to Heaven"s will. Meanwhile, Kim Jeong"s prose was estimated as pursuing ‘Seohanpung’ (西漢風). Record of Jeju Customs (濟州風土錄) also describes Jeju"s products, similar to Jaheobu (子虛賦) in that the range and scale of the contents are wide. The recorded contents are rich, detailed modification or petty description are omitted, a number of abbreviated four-letter phrases are used, Huhja (虛字) and reference episodes are rare, which show a broad and brief effect. Thus Record of Jeju Customs (濟州風土錄) was written by Kim Jeong"s cultivating himself and ruling other people, harmonious between the description of Jeju"s environment and the sentiment of his exile life.

      • KCI등재

        전곡리 구석기 유적 절대연대측정의 현황 및 제언

        김명진(Myung jin, Kim),김은정(Eun jeong, Kim),정봉구(Bong gu, Jung) 한국구석기학회 2021 한국구석기학보 Vol.- No.44

        전곡리유적 지표에서 발견된 주먹도끼는 형태적 특징으로부터 오랜 인류의 소산으로 인식되어 온 아프리카 아슐리안형 주먹도끼에 비견되었다. 아울러 찍개와 달리 동아시아에서의 발견 사례가 드물었던 점이 부각되어 전기 구석기시대의 유물로 예찰되었다. 따라서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절대연대 값을 얻고자 유적의 기저를 이루고 있는 용암대지에 대한 K-Ar 연대측정이 처음 시도되었다. 이후 각 문화층의 생활상을 비롯하여 각 시기의 자연환경 변화 및 유적 형성과정을 이해하고자 지형 및 지질조사, 고생물학적 분석 등 자연과학적 연구를 폭넓게 병행되었다. 특히 퇴적층의 시간 층위를 확립하고자 K-Ar/Ar-Ar 연대측정, FT 연대측정, 화산재 분석, TL/OSL/IRSL/BLSL 연대측정, 고지자기 연대측정, 동위원소측정, AMS-14C 연대측정 등이 다각적으로 시도되었다. 현재까지 40여 년의 발굴조사 및 연구가 거듭되면서 전곡리유적의 절대연대를 둘러싸고 20여 건의 성과가 축적되었다. 이 글에서는 현무암 용암대지의 형성부터 전곡리유적의 소멸까지를 통시적 관점에서 고찰하기 위해 전곡리유적에서 산출된 모든 절대연대 값들을 고고층서적으로 종합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절대연대 분포를 통계적으로 추정하는데 가장 적합하다고 알려진 커널밀도추정(kernel density estimation, KDE)을 이용하여 각 고고층서의 절대연대 확률밀도함수 산출을 시도하였다. 절대연대 확률밀도함수는 OxCal 프로그램의 KDE_Model 명령어를 사용하여 산출하였으며, AT 화산재(22~25 ka)의 존재로 인해 고고층서의 하한을 보다 객관적으로 인정할 수 있는 플라이스토세 퇴적층부터 백의리층 순으로 확률밀도함수의 특성을 해석하였다. 그 결과, 전곡리유적에서는 500 ka 이전에 형성된 백의리층 위로 500~120 ka 사이에 현무암 용암대지가 형성되었으며, 120~60 ka 사이의 하성퇴적층(or 호소퇴적층), 60~25 ka 사이의 플라이스토세 퇴적층이 순차적으로 퇴적된 것으로 추론되었다. 전곡리유적은 출토유물의 고고학적 중요성만큼이나 형성 시점에 대한 검토도 중요하다. 하지만 지난 42년간 다양한 절대연대측정이 이루어졌고 수많은 자료들이 산출되었음에도 아직까지 전곡리유적의 형성 시점에 대한 합일된 절대연대편년은 성립되지 않은 상황이다. 이러한 연구현황의 한계를 극복하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모색해야 하는 시점에서 (재)겨레문화유산연구원이 수행중인 22차 발굴조사를 통해 주먹도끼와 함께 전곡리유적의 형성과정을 복원할 수 있는 다양한 퇴적양상이 확인되었다. 이 글에서는 전곡리유적의 절대연대편년 수립을 통한 미래지향적 고고학 연구를 위해 유적의 형성 및 폐기 과정 복원, 고고지질환경 복원, 나아가 고고과학 분석결과의 종합 및 고고통계분석을 통한 절대연대편년 구축 등을 추가로 제언하였다. The hand-axe found at the surface of the Jeongok-ri Site is comparable to the Acheulean-type hand-axe that has been recognized as a product of mankind for a long time due to it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unlike chopper, the rare discovery in East Asia was highlighted, and it was foreseen as a artefact of the Lower Paleolithic. Therefore, to obtain an absolute age corresponding this, K-Ar dating was first attempted on the lava plateau that forms the basis of the site. Since then, natural scientific research such as topographical and geological researches and paleontological analysis has been extensively conducted in parallel to understand the lifestyles of each cultural layer, changes in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he process of formation of site in each period. In particular, various attempts including K-Ar/Ar-Ar dating, FT dating, volcanic ash analysis, TL/OSL/IRSL/BLSL dating, paleomagnetic dating, isotope geochronology, AMS-14C dating, etc. were made to establish the temporal stage of sedimentary layers. Over 40 years of excavations and investigations have been repeated until now, and about 20 achievements have been accumulated around the absolute age of the Jeongok-ri site. In this study, all absolute agd calculated from the Jeongok-ri site were compiled in an archaeological format to examine the period from the formation of the basalt lava to the extinction of the Jeongok-ri site from a diachronic perspective. Based on this, we tried to calculate the absolute dating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for archaeological stratigraphy using kernel density estimation (KDE), which is known to be the most suitable for statistically estimating the absolute age distribution. It was calculated using the KDE_Model command of the OxCal program. Due to the presence of AT volcanic ash (22~25 ka), the characteristics of the absolute age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were analyzed in the order from the Pleistocene sedimentary to the Baekuiri layer, which can more objectively recognize the upper limit of the archaeological stratigraphy. As a result, it is inferred that a basalt lava plateau was formed between 500 ka and 120K above the Baekui-ri layer formed before 500 ka, and the fluvial sedimentary layer (or lake sedimentary layer) between 120 ka and 60 ka, the Pleistocene sedimentary layer between 60 ka and 25 ka were sequentially deposited in the Jeongok-ri site. As much as the archaeological importance of the excavated remains of Jeongok-ri ruins, it is also important to examine the timing of their formation. However, although various absolute dating measurements have been made over the past 42 years and numerous data have been produced, a unified chronology by absolute dating for the formation of the Jeongok-ri site has not been established yet. At a time when it is necessary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of the current research status and seek future research directions, various sedimentary patterns along with hand-axe that can reconstruct the formation process of Jeongok-ri site were confirmed through the 22nd excavation conducted by the Gyeore Institute of Culture Heritage. For future-oriented archaeological research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bsolute date chronology of Jeongok-ri site, it is suggested to reconstruct the formation and disposal process of the remains, reconstruct the archaeological geological environment, and furthermore, to establish an absolute date chronology through the synthesis of archaeological science analysis and archaeological statistical analysis.

      • KCI등재

        ‘집-나무-산’의 공간기호체계 연구

        정유화(Jeong Yu-hwa) 우리문학회 2008 우리文學硏究 Vol.0 No.25

        정지용의 시 텍스트는 ‘上/下’의 대립적 코드를 변환해 가며 ‘집-나무-산’이라는 수직상의 공간기호체계를 건축하고 있다. 먼저 ‘상/하’의 대립적 코드로 건축된 ‘집’의 기호체계를 보면, 오로지 自我(지상)와 神(천상)의 교섭만을 중심으로 수직 운동을 한다. 그의 집은 그 수직 운동에 의해 집의 내부와 천상의 세계가 소통ㆍ융합하게 된다. 이에 따라 그의 집은 세속적, 육신적인 집에서 정신적, 종교적인 집으로 전환한다. 하지만 ‘집’의 기호체계는 그 특성상 안팎의 운동을 하기는 쉬워도 상하의 운동을 하기는 매우 어렵다. 그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집’의 변환코드로써 ‘나무’의 기호체계를 창조하게 된다. ‘나무’의 기호체계는 ‘집’처럼 천상으로만 운동하는 것이 아니라 땅속으로도 동시에 운동하는 수직성을 보여준다. 천상으로의 운동은 神의 성령을 수육하려는 운동이고, 땅속으로의 운동은 원죄의 땅인 ‘검은 흙’을 정화하려는 운동이다. 그리고 이 ‘나무’의 기호체계는 신적인 삶의 원리를 매개해주는 것으로서 육체적 자아를 영혼의 자아로 재생시켜주는 의미작용을 한다. 하지만 문제는 자아와 神이 이미 완전한 합일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텍스트를 지속적으로 산출할 필요가 없게 되었다는 사실이다. 이에 따라 그는 ‘나무’의 변환코드로써 ‘산’의 기호체계를 창조하게 된다. 지상과 천상을 매개하는 ‘산’의 기호체계는 ‘나무’의 범주를 벗어나 인간적 삶의 원리와 자연적 삶의 원리를 보여준다. 그래서 ‘산’의 기호체계는 두 층위의 의미작용을 한다. 그중의 하나는 산정을 향한 그의 등정이 다름 아니라 곧 인간적 기표를 해체하고 사물로서의 기표가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하나는 이와 달리 인간적 가치를 지닌 ‘산장(방)’을 수직상승하게 하여 그 속에서 산정과 천상의 세계를 향유한다는 층위이다. 이러한 구조를 지닌 ‘집-나무-산’의 수직적 공간기호체계를 수평으로 눕힌다면, ‘집-기차-배’의 수평적 공간기호체계와 대응하게 될 것이다. The texts of Jeong's poems switch the codes of 'up' and 'down', and thereby construct a symbolic system of space: 'house-tree-mountain'. The symbolic system of 'house' constructed from these two opposite codes first shows a vertical extension centered on the sole connection between God and the Self. This extension permits the house described by Jeong to connect and unify its interior space and the Heaven. The house is converted accordingly from its physical and secular nature to a spiritual and religious character. However, it is difficult to see that this symbolic system represents an upward-downward extension though susceptible to the inward-outward counterpart. In order to overcome this limitation, Jeong creates another symbolic system of 'tree' instead as a switching code. The symbolic system of 'tree' does not merely indicate an upward extension to the Heaven, as does that of 'house', but also reveals its simultaneous vertical nature of downward extension underneath the Earth. The upward extension is a motion of embodying the spirit of God, and the downward counterpart a motion of purifying the 'black soil' of the Earth of the Sin. The symbolic system of 'tree' also signifies the reproduction of the spiritual Self from the physical as a mediator of the principles of divine life. The problem is however that, because God and the Self have already been unified here, it is not necessary to produce such texts constantly. Accordingly, Jeong devises another symbolic system of 'mountain' as a switching code for that of 'tree'. The symbolic system of 'mountain' mediating between the Earth and the Heaven while freeing itself from the bounds of the category of 'tree' shows the principles of human and natural life. Therefore, this symbolic system has two layers of signification. One of these two layers signifies that Jeong's climb towards the summit of a mountain deconstructs the signifier of being human and becomes a true signifier as being a thing. Unlike this layer, the other signifies that the vertical rise of the mountain hut or cabin bearing a human value alludes to the enjoyment of the Heaven's world and the mountain's summit both in that shelter. The horizontal layout of the vertical symbolic system of 'house-tree-mountain' in this structure enables it to correspond to a horizontal symbolic system of 'house-train-boat'.

      • KCI등재

        이념의 타자로서 상상된 김남천 소설 속 여성과 그 너머의 실재로서의 여성

        손정수(Jeong-soo Son) 구보학회 2023 구보학보 Vol.- No.34

        이 논문은 이념의 타자로서 설정된 김남천의 소설 속 여성 인물을 전제로 하여 그 한계를 넘어 실재로서의 여성의 방향으로 더 뻗어 있는 두 가지 사례로 나혜석과 허정숙의 삶과 글을 살펴본 것이다. 그 과정에서 남성 작가에 의해 형상화된 여성 인물의 한계를 드러내는 한편, 다른 한편으로는 남성적 상상의 범위를 벗어나 존재하는 여성적 삶과 글의 구체적 상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비교를 통해 「바다로 간다」와 「경영」, 「맥」 연작에서 김남천 소설 속 여성 인물(최영자-최무경)이 외적 현실과의 대립을 간접화하면서 내적 윤리를 가다듬는 데 충실한 수동적인 태도를 보였다면, 나혜석과 허정숙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그와 같은 수동성의 한계를 넘어 보다 능동적인 태도로 여성적 삶의 내러티브를 써나갔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혜석은 현실과 정면으로 부딪치며 자신의 욕망에 충실한 글쓰기를 수행했으며, 허정숙은 남성 파트너를 교대해가며 현실의 법을 벗어나는 이념적 행동을 지속하였다. 두 여성이 그려나간 이와 같은 삶의 상태는 그 서로 다른 방향에도 불구하고 남성 작가의 소설 속에서 상상된 여성의 상태를 초과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하나의 맥락을 공유하고 있다고 하겠다. 한편 이 논문은 시야를 그녀들의 삶 전체로 확장하여 이 문제에 대응하는 방식의 추이를 살펴보았다. 나혜석은 이혼 이후 화가와 여성 지도자로서의 명성을 잃고 사회적으로 고립된 상황에서 불우하게 삶을 마감했으나 자신의 욕망에 충실하면서 현실에 맞서는 여성적 내러티브의 넓은 외연을 펼쳐 보였다면, 주도적으로 남성과의 관계와 이념적 방향을 추구했던 허정숙의 경우 해방 이후 북한 정권의 요직을 맡으며 비교적 평탄한 삶을 살았으나 결과적으로는 이전의 이념과는 모순되는 상태에 이르렀다고 보았다. 죽음이라는 목적지가 전제된 삶의 내러티브라는 측면에서 바라보면 나혜석과 허정숙이 도달한 삶의 결말은 그 본질에서 표면의 양상과는 아이러니를 이루고 있다고 판단했다. This paper examines the lives and writings of Na Hye-seok and Heo Jeong-suk as two cases that go beyond the limitations of female characters in Kim Nam-cheon’s novels who are set up as ideological others and extend further toward women as the Real. In the process, on the one hand, it will reveal the limitations of female characters portrayed by male writers, while on the other hand, it will attempt to examine the specific state of female life and writing that exists outside the scope of male imagination. Through that comparison, the female characters (Choi Young-ja and Choi Moo-kyung) in Kim Nam-cheon’s novels show a passive attitude that is faithful to refining internal ethics while indirecting the conflict with external reality. If so, it could be confirmed that Na Hye-seok and Heo Jeong-suk went beyond the limits of such passivity in different ways and wrote narratives of feminine life with a more active attitude. Na Hye-seok confronted her reality head-on and wrote faithfully to her own desires, while Heo Jeong-sook alternated between her male partners and continued her ideological actions that deviated from the laws of her reality. Despite their different directions, the state of life depicted by the two women shares a common context in that it exceeds the state of women imagined in novels by male authors. Meanwhile, this paper expanded its perspective to their entire lives and looked at trends in how they responded to this problem. After her divorce, Na Hye-seok lost her reputation as a painter and female leader and ended her life in a socially isolated situation but she unfolded the broad outlines of a feminine narrative that confronts reality while remaining faithful to her desires. In the case of Heo Jeong-suk who took the lead in relationships with men and pursued an ideological direction, she lived a relatively smooth life while holding key positions in the North Korean regime after liberation, but ultimately ended up in a state that contradicted her previous ideology. When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a life narrative premised on the destination of death, the ending of life reached by Na Hye-seok and Heo Jeong-sook was judged to be ironic in its essence from the surface asp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