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조기 위암의 림프절 전이 양상

        윤효영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1996 忠北醫大學術誌 Vol.6 No.2

        진행성 위암에서 외과적 절제술중의 림프절 절제술에 대해서는 더 이상의 논란의 여지는 없으나 위절제술과 더불어 시행되는 광범위한 림프절 절제술은 수술후 자율 신경계의 손상, small capacity syndrome, dumping 증후군, 역류성 위염 등의 수술후 합병증 등이 문제가 되고 있어, 최근에는 조기 위암에서 축소 수술이 여러 병원에서 조심스럽게 논의되고 있다. (목적) 본 연구는 조기 위암에서 림프절 전이 양상을 규명하여 위축소 수술의 적응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1992년 9월부터 1995년 6월까지 충북대학교병원 외과에서 조기 위암으로 위아전 절제술 및 D2 이상의 림프절 곽청술을 시행한 4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병변의 위치, 심달도에 따른 림프절 전이 양상을 분석하였다. (결과) 총 49명 환자의 병변의 크기는 0.7-4.5cm까지 분포하였으며, 곽청된 림프절의 평균치는 29.9(범위 25-39)개였다. 심달도는 점막암이 20명, 점막하 암이 29명이었다. 점막암 환자중 병변의 위치에 상관없이 주변 림프절의 전이는 없었다. 점막하 암의 경우 병변이 위체부(n=10)에서 관찰될 때 10%(n=1)에서 림프절 전이가 발견되었으나 우위동맥을 포함한 위소만곡 주변의 림프절 전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병변이 유문부에 위치하고 심달도가 점막하까지 침습한 경우에는 림프절 전이율은 21%(n=4)로 상대적으로 높은 전이율이 관찰되었다. (결론) 조기 위암이 웨체부에서 관찰되며 심달도가 점막에 국한된 경우에 소만곡부위 특히 우위동맥 주변의 림프절 전이는 드물 것으로 생각된다. 이 경우 주기적으로 추적 검사가 가능한 환자에서 내시경적 위절제술, 부분 위절제술 및 유문부 보존 위절제술 등의 축소 위절제술을 시도할 수 있겠다. Gastric surgeons routinely perform radical gastrectomy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including more than D2 lymph node dissection. This approach is reasonable but it may increase morbidities such as ANS injury, small capacity syndrome, dumping syndrome and reflux gastritis. To diminish these operative morbidities and to secure a good quality of life after gastric operation, various methods of limited surgery for early gastric cancer(EGC) have evolved. To evaluate the pattern of lymph node metastasis according to depth of tumor invasion and location of tumor, we analysed 49 cases of EGC operated with more than D2 dissection from September 1992 to May 1995. Followings are our results. 1. Average number of lymph node dissection was 29.9(range 25-39). 2. There was no lymph node metastasis in mucosal cancers(n=20), 3. In submucosal cancers(n=29), the size, gross appearance and histologic classification of tumor were not predictive factors whether lymph node metastases take place or not 4. Tumors located in middle third of the stomach have less chance of lymph node metastasis than tumors located in antrum(10% vs 21%). 5. No metastasis was observed in either suprapyloric lymph node or the lesser curvature lymph node in EGC located in the middle third of the stomach.

      • 담도-위 누공 : 증례보고

        윤효영,류동희,송영진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2005 忠北醫大學術誌 Vol.15 No.2

        위궤양에 의한 담관-위 누공은 매우 드문 질환이며 소화성 궤양에 의한 담관 누공의 경우 대부분 내과적 치료가 우선적으로 시행된다. 저자들은 내과적 치료에 호전되지 않는 궤양성 담관-위 누공을 외과적 절제술을 시행하여 완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64세 남자 환자가 15년 동안 지속된 식사 후 복통과 우상복부 동통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위 내시경 소견상 위전정부, 소만곡 후벽에 담즙이 역류하는 궤양저가 관찰되었으며 상복부위장관 촬영상 위전정부와 총수담관이 교통하는 소견이 있었으나 전산화복부단층 소견상 담석의 증거는 없었다. 담관-위누공 의심하에 체간미주신경절단술, 유문절제술, 담낭절제술, 총수담관절제술 후 환자는 퇴원하였다. Choledochogastric fistula complicated from gastric ulcer is very rare. Most of the internal biliary fistula by peptic ulcer were successfully managed with conservative treatment. Authors reported successful surgical resection of choledochogastric fistula caused by gastric ulcer. A (54-year old man visited our hospital complaining of postprandial abdominal pain and right upper quadrant pain for 15 years. He has a history of peptic ulcer medication for four years, recently. A gastrofiberscopy revealed ulceration on the posterior wall along the lesser curvature, gastric antrum with bile reflux from ulcer base, and histopathology of the biopsy specimen revealed an ulcer without evidence of malignancy. Barium upper gastrointestinal study showed fistula between stomach and common bile duct. In abdominal CT, there was a pneumobilia with dilated intrahepatic duct without common bile duct dilatation. After the diagnosis of choledochogastric fistula, we performed truncal vagotomy with antrectomy and cholecystectomy with resection of extrahepatic bile duct. The patient has remained well since his discharge from hospital.

      • 병렬 처리를 적용한 다관절 매니퓰레이터의 구성

        朴孝英,李潤培 조선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1992 自然科學硏究 Vol.15 No.1

        Industrial robots generally have five or six degree of freedom. But, the simple robots being used in manufacturing plants are usually below four degree of freedom, and these are proceeded by the sequential action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or indication.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be simple articulated manipulator so as to improve flexibility, performance and processing speed of machine's arm, articulated manipulator, which is composed of two or more joints. To achive this objective, we will propose algorithm which makes parallel processing possible according to proper division of each joint-action of articulated manipulator. We will apply it to the articulated manipulator.

      • 거대 위점막하종양(위장관 간질종양)의 치료 : 증례보고

        윤효영,송영진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2009 忠北醫大學術誌 Vol.19 No.2

        Non-disruptive and complete en bloc resection must be used in all cases of GISTs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s). Recurrence of GISTs is closely related with mitotic count and tumor size generally, besides, GISTs larger than 10 cm have high recurrence rate. A 77-year-old female presenting with abdominal mass was referred to our institute. Computed tomography (CT) image revealed a huge tumor with central necrosis (21x17x12 cm in size) posterior wall of the stomach, the pancreas and the transverse colon. There was no nodal or distant metastasis on the CT scan. Diagnosis of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 (GIST) was confirmed by endoscopic ultrasonogram (EUS) and we successfully excised the tumor by partial resection of the stomach. Pathological examination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of the specimen showed that mitotic count was more than 10/50HPF, surgical margin was negative, and CD117, CD34 were positive. After 7 months of surgery, newly appeared abdominal mass (8 cm) was detected in right lower quadrant. Therefore, chemotherapy using imatinib mesylate (Gleevec) at a dose of 400 mg daily was preceded and the tumor disappeared. After 19 months of surgery, newly appeared abdominal masses were detected around pancreas, splenic hilum and right lower quadrant of abdomen on the CT scan. 위장관간질종양의 절제는 종양 피막을 손상시키지 않고 완전 절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위장관간질종양의 재발은 유사분열 수, 종양의 크기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종양의 크기가 10 cm 이상의 거대 종양의 경우 재발 가능성이 매우 높다. 77세 여자 환자가 복부 종괴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복부 전산화단층 촬영상 종양의 크기는 21×17×12 cm 이었다. 위장관간질종양 의심 하에 위부분절제술 및 종양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조직검사상 종양의 무게는 730 gm, 유사분열 수는 50 HPF에서 10개 이상이었으며, CD117 및 CD34는 양성이었다. 환자는 수술 후 7개월째 우하복부에 장경 8cm의 종양이 관찰되어 imatinib mesylate 400 mg 투여 후 소실되었으나 이후 환자는 외래에서 주기적으로 추적 관찰 중 수술 후 19개월째 췌장 주변 및 비문, 우하복부 등에 다발성 종양이 새로 발견되었다.

      • Cisapride가 금식기 담낭의 수축운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송영진,장이찬,윤효영,이상전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1996 忠北醫大學術誌 Vol.6 No.1

        Cisapride의 식사후 담낭의 수축운동에 대한 영향을 규명하고자 20-30대의 건강인 12명(남자 6명, 여자 6명)을 대상으로 placebo, cisapride 10㎎ 혹은 20㎎을 경구복용한 후 담낭체적의 변화를 초음파로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Placebo를 복용한 군에서는 검사기간중 완만한 체적의 변동이 있었으나, cisapride를 복용한 후에는 담낭체적이 지속적으로 현저하게 증가되었다. 이러한 담낭체적의 증가는 placebo를 복용한 군과 비교해 볼 때, cisapride 10㎎을 복용한 군에서는 60분후부터, 20㎎을 복용한 군에서는 50분후부터 통계학적 유의성이 있었으며(p<0.05), 이러한 경향은 검사종료시까지 지속되었다. 그리고 최대체적은 cisapride 10㎎을 복용한 군에서는 120분후에 최초체적의 145%에, cisapride 20㎎을 복용한 군에서는 90분후에 최초체적의 162%에 도달하였다(Fig. 2). 한편 체적곡선 아래의 면적은 cisapride 10㎎을 복용한 군은 31325 ±2518, 20㎎을 복용한 군은 33355 ±4726로, placebo를 복용한 군(23510 ±2864)보다 유의하게 컸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cisapride의 경구섭취는 금식기 담낭의 수축운동을 억제하는 이완효과가 있음을 알 수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담낭수축억제효과는 장기간 cisapride를 복용하는 환자에서 담석형성이 촉진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고, 반대로 담석존재시 선통 발작을 억제하거나 예방하는 효과가 있을 수도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Cisapride(C23H29CIFN304) is one of the well-known prokinetic agents. It operates upon whole gastrointestinal tract, from lower esophageal sphincter to anal sphincter, and holds the most promise for patients with colonic motility disorders. It is known to function as an indirect cholinergic stimulant through increased release of acetylcholine in the intramural plexuses. Unlike metoclopramide, it does not have the antidopaminergic effects on the central nervous system. But its effect on the biliary system is not clearly elucidated. This study was performed in 12 healthy volunteers, and focused on the change of gallbladder volume after cisapride ingestion during fasting period. With the interval of 2-4days, placebo, 10㎎ or 20㎎ of cisapride were given. Cisapride inhibited the contraction of gallbladder compared with placebo. The results suggest that cisapride can induces the possible cholelithiasis, but, on the other hand, it can be used as the possible spasmolytic agent in the gallstone disease.

      • 여성에 있어서 연령 및 생리주기가 대장통과시간에 영향을 미치는가?

        송영진,이상전,윤효영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1995 忠北醫大學術誌 Vol.5 No.1

        20대에서 60대까지의 병력상 장운동 장애가 없는 여성 43명(50세미만으로서 생기주기가 규칙적이고 검사기간동안 나포기에 있는 자 13명, 황체기에 있는자 15명, 50세이상으로서 폐경기이후인 자 15명)을 대상으로 방사선 비투과표지를 수회 투여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대장 통과시간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우측결장 11.2 ±2.2시간, 좌측결장 9.5 ±1.1시간, 직장 및 에스상결장 10.7 ±1.9시간, 전 대장 31.3 ±2.8시간이었다. 2) 50세미만 군은 우측결장 10.9 ±1.2시간, 좌측결장 9.9 ±1.3시간, 직장에스상결장 및 직장 9.9 ±2.3시간, 전 대장 30.7 ±3.0시간이었고, 50세이상군은 우측결장 11.5 ±1.9이상, 좌측결장 8.8 ±0.8시간, 직장 및 에스상결장 12.1 ±2.0시간, 전 대장 32.4 ±2.4 시간으로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3) 난포기 여성군은 우측결장 11.1 ±7시간, 좌측결장 8.6 ±1.2시간, 직장 및 에스상결장 10.4 ±1.3시간, 전 대장 30.1 ±2.4 시간이었으며, 황체기 여성군은 우측결장 10.8 ±1.2시간, 좌측결장 11.0 ±2.1시간, 직장 및 에스상결장 9.5 ±0.8시간, 전 대장 31.3 ±4.2 시간으로 좌측결장에서는 황체기가 난포기보다 통과시간이 유의하게 길었으나(p<0.05), 전체 대장 통과시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어(p>0.05) 생리주기상의 시기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p>0.05). 이상의 결과로부터 노인화에따라 대장 통과시간이 길어짐을 알 수 있었으나 생리주기에 따른 대장통과시간의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다. 따라서, 여성에 있어서 노인화에 따른 변비는 대장통과시간의 지연과 관련이 있을지 모르나, 생기주기에 따른 변비증상의 발현은 대장통과시간의 지연과는 관련이 없음을 시사한다. 아울러 이는 황체기가 변비 증상의 심한 정도와 관련이 있을지 모르지만 그 변화 양상은 장 평활근에 대한 progesterone의 영향과는 연관이 없음을 시사하고 있다. To ellucidate the effect of age and the phase of a menstrual cycle in women on the segmental or/and total colonic transit time, mean colonic transit time was measured in 43 women(13 in the follicular phase, 15 in the luteal phase, and 15 of the postmenopause) between 3rd decade and 7 the decade. All had complained of no functional gastrointestinal symptoms, and premenopausal women have regular menstrual cycles. Multiple bolus techniques of radioopaque markers were used by taking twenty markers for three consecutive days, and then two abdominal films on the day 4th. and 7th.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Mean transit time was 11.2 ±2.2 hours in right colon, 9.5 ±1.1 hours in left colon, 10.7 ±1.9 hours in rectun and sigmoid colon, and 31.3 ±2.8 hours in total colon. 2) Mean transit time under age 50 was 10.9 ±1.2 hours in right colon, 9.9 ±1.3 hours in left colon, 9.9 ±2.3 hours in rectum and sigmoid colon, and 30.7 ±3.0 hours in total colon, while over age 50 they were 11.5 ±1.9 hours in right colon, 8.8 ±0.8 hours in left colon, and 12.1 ±2.0 hours in rectum and sigmoid colon, and 32.4 ±2.4 hours in total colon, which showed statistically differences in rectum and sigmoid colon, and total colon(p<0.05). 3) Mean transit time of women in the follicular phase were right colon 11.1 ±7 hours, left colon 8.6 ±1.2 hours, rectum and sigmoid colon 10.4 ±1.3 hours, and total colon 30.1 ±2.4 hours, in the luteal phase were right colon 10.8 ±1.2 hours, left colon 11.0 ±2.1 hours, rectum and sigmoid colon 9.5 ±0.8 hours, and total colon 31.3 ±4.2 hours. Although transit hour in the left colon was longer in the luteal phase than in the follicular phase,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total colon transit time(p>0.05). These results showed mean colon transit time prolongs as women become older, but is not affected by the specific phase in a menstrual cycle.

      • SCOPUSKCI등재

        혈액투석 중인 만성 신부전 환자에서 G 형 간염 바이러스의 감염률 및 임상적 의의

        최규완,백승운,김정룡,이준혁,고광철,이종철,이윤하,김윤구,오하영,이효석 대한소화기학회 1999 대한소화기학회지 Vol.33 No.1

        Background/Aims: We aimed to elucidate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HGV infec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undergoing hemodialysis, and to define the potential etiologic-role of HGV in the development of chronic liver disease. Methods: One-hundred and seventy-eigh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undergoing hemodialysis were included. After extraction of RNA from serum,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was performed using the primers from the NS5a region. The PCR products were analyzed by liquid hybridization. Results: The prevalence was 9.0% (16/178). The prevalence rates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presence (8.5%) or abscence (10.8%) of past history of blood transfusion, patient's age or maintenance duration of hemodialysis (p$gt;0.05). Anti-HBc-positive patients (12.4%, 16/129)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revalence rate (p=0.01) of HGV infection than anti-HBc-negative patients (0%, 0/49). Twelve of the 14 HGV positive patients without co-infection showed persistently normal ALT level during a year of follow-up. Conclusions: The prevalence of HGV in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undergoing hemodialysis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volunteer blood donors. HGV may share the route of transmission with adulthood HBV infection. The etiologic-role of HGV in the development of chronic liver disease may be considerably poor. (Kor J Gastroenterol 1999;33:78 - 89)

      • SCIESCOPUSKCI등재

        Cancer Chemopreventive Compounds of Red Ginseng Produced from panax ginseng C.A. Meyer

        Yun, Taik-Koo,Lee, Yun-Sil,Lee, You-Hui,Yun, Hyo-Yung The Korean Society of Ginseng 2001 Journal of Ginseng Research Vol.25 No.3

        Fresh Panax gineng C.A. cultivated in Korea(Korean red ginseng) was found to be ineffective as anticarcinogenic or cancer preventive in experimental animal model or in human case-control and cohort study. However, when treated with heat, the fresh ginseng, white ginseng were highly effective cancer preventives. Four compounds including 20(S)-ginsenoside Rh$_1$(Rh$_1$), 20(S)-ginsenoside Rh$_2$(Rh$_2$), 20(S)0-siwenoside Rg$_3$(Rg$_3$) and sinsenoside Rg$\sub$5/ were consequently purified from Korean red ginseng, and they were tested by Yun\`s 9 week medium-term anticarcinogenicity test model. Rg$_3$ and Rg$\sub$5/ statistically significantlydecreased the incidence of benzo(a)pyrene-induced mouse lung tumor, Rh$_2$showed tendency of decrease, and Rh1 showed no effect. It is, therefore, concluded that Rg$_3$ and Rg$\sub$5/ are active anticarcinogenic components in res ginseng and they either singularly or synergistically act in the prevention of cancer. 발암물질을 투여하여 발생하는 마우스 폐선종은 홍삼추출믈의 투여에 의하여 그 발생율이 억제되나 수삼을 투여하면 발생율이 억제되지 않는다. 또한 암환자-대조군연구 결과에 있어서도 수삼즙 또는 수삼절편을 복용한 사람에서는 암의 위험비가 감소되지 않으나 수삼열탕 또는 홍삼을 복용하면 현저한 위험비의 감소를 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열로 처리된 홍삼중에 암예방 유효성분이 있을 것이라고 추정되어 왔다. 저자들은 4종의 홍삼중의 진세노사이드 즉 Rh$_1$, Rh$_2$, Rg$_3$ 및 Rg$_{5}$ 를 고려홍삼으로부터 분리합성하여 윤의 9주 중기 항발암실험법에 의하여 항발암성을 관찰한바 진세노사이드 Rg$_3$와 Rg$_{5}$의 투여시에는 통계학적으루 유의한 폐선종 발생율이 감소되었으나 Rh$_2$에서는 폐선종발생율이 약간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고 Rh$_1$에서는 전혀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와 같은 소견으로 홍삼에 의한 항발암작용 또는 암예방작용은 홍삼중의 진세노사이드 Rg$_3$및 Rg$_{5}$가 유효성분임을 파악하였으며 이들 진세노사이드 Rg$_3$ Rg$_{5}$ 및 Rh$_2$가 단독 또는 복합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추정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