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Effect of Frequent Testing in Student Achievement and Student Perceptions of Frequent Testing

        Donghee Shin(신동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9

        본 연구의 목적은 빈번한 시험이 학생들의 기말고사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과 시험 빈도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이 어떠한지를 조사하고자 함이다. 연구를 위한 자료는 47명의 한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2018년 봄 학기에 그들의 영어 듣기와 읽기 수업에서 수집했다. 23명의 실험 집단에게는 8번의 퀴즈가 주어졌고, 24명의 비교 집단에게는 2번의 퀴즈가 주어졌다. 두 집단 모두 퀴즈 외에 동일한 중간고사와 기말고사를 치렀고, 시험 빈도 외에는 가능한 똑같은 강 의 내용을 유지했고 똑같은 과제를 주었다. 중간고사, 기말고사, 사전테스트와 사후테스트의 결과는 빈번한 시험이 학생들의 기말고사 점수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 지 알아보기 위해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두 집단의 기말고사 점수의 p 값은 .993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또한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통해 빈번한 시험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학생들은 빈번한 시험을 중간고사와 기말고사를 대비하는 데 있어 공부를 게을리 하지 않을 수 있고 학습내용을 기억하고, 추가적인 공부를 더 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frequent testing in student achievement on final exams and students’ perceptions of frequent testing. For the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47 Korean university students taking an English reading and listening course in the spring of 2018. Students in a treatment group (n=23) were given 8 quizzes; students in a comparison group (n=24) were given 2 quizzes. Both groups had the same midterm and final exams in addition to the quizzes. Results of the midterm exam, final exam, pretest, and posttest in the study were used to explore the effect of frequent testing on students’ scores on final exams.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the p-value of the two groups’ final exam scores was .993 demonstrating that the two groups’ final test results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Furthermore, this study investigated students’ perceptions of frequent testing through the use of survey and interview. The survey and interview results revealed that students viewed frequent testing as beneficial in preparing for midterm and final exams, in not procrastinating on studying, in improving retention of the learned course material, and in studying more.

      • KCI등재

        N스크린 서비스를 이용한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전략

        신동희(Donghee Shin),김희경(Hee-Kyung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3

        본 연구는 N스크린 서비스를 이용한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전략에 관한 것이다.이를 위해 N스크린 서비스와 스마트 콘텐츠의 개념을 밝혔고, 관련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본 연구의 차별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국내의 N스크린 서비스는 동일한 콘텐츠를 다양한 플랫폼에 서비스하는 OSMU 방식이 대부분인데,이것은 미디어나 플랫폼의 속성을 고려하지 않은 사업자 중심의 일방적인 서비스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크로스 미디어를 기반으로 한 ASMD 방식을 소개하였다. 스마트 미디어 종류에 맞는 콘텐츠를 서비스하고, 사용자의 참여를 높여 수용자에게는 다양한 재미와 풍부한 콘텐츠 경험을, 개발업체에게는 홍보효과와 매출신장을 기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크로스미디어로 개발 된 국내외 콘텐츠 사례를 중심으로 ASMD를 통한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전략을 제시하였다. 앞으로 미디어와 플랫폼은 점점 다양해 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계속해서 OSMU 방식으로만 스마트 콘텐츠가 개발된다면 N스크린의 활용 범위가 제한적일수밖에 없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크로스미디어를 통한 ASMD가 그 부분을 극복하는 방법에 휴리스틱하게 기여하고자 한다. This study discusses crossmedia storytelling strategy plans by utilizing N-Screen service. It conceptualizes the definitions of N-Screen service in terms of smart contents. Related previous researches are extensively introduced to clarify how N-Screen service would be different from previous similar services. Most domestic N-Screen services have adopted OSMU method which provides the same contents from various platforms. It is,however,centered only on a development companys one-sided service and neglects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a media or platform. In this lightof gap, this study introduces ASMD method which is based on cross media. By providing right contents services according to types of smart media and enhancing a users participation, users can enjoy a variety of entertainment and rich contents experiences and development companies can expect better promotion effects and an increase in sales. Finally, this study argues for strategies of cross media storytelling by using ASMD method, based onboth domestic and overseas examples of contents development with crossmedia. As more and more diverse forms of media and platform would be introduced in the future, new strategies and perspectives would be imperative to cope with new environment. Conventional OSMU method bears inherent limitations to cover the range of N-Screen application. This study discusses the ways to mitigate the limitations by proposing ASMD method with crossmedia.

      • SCOPUSKCI등재
      • KCI등재

        A Study on Non-English Major Students’ English Learning Anxiety in General English Conversation Class

        신동희(Donghee Shin),문지순(Grace Ge-Soon Moo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causing language anxiety by non-English major university students taking general English conversation class in a women’s university in Seoul. It also aimed to examine if their level of anxiety is significantly varied in terms of their age, fields of majors, and length of studying English. For the study, the subjects were 514 first-year students in Korean EFL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classrooms during a 15-week semester in the fall of 2019. The participants responded to a 23-item modified survey based on Horwitz’s Foreign Language Classroom Anxiety Scale (FLCAS). In order to find out 1) what factors make learners anxious while learning EFL and 2) how their English learning anxiety varies by age, different fields of majors, and length of studying English, their responses to the questionnaire were analyzed by using SPSS 26. The findings revealed that most anxiety-provoking factors among students were their fear of (1) making grammatical mistakes, (2) having oral tests, and (3) speaking without preparation in class. Furthermore, a ANOVA was used to analyze the responses. The study foun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length of studying English (F = 5.559 and p-value was .000 on the ANOVA test). In respect to age and different fields of majors, the ANOVA test disclos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의 한 여자 대학교에서 영어회화 수업을 수강하는 비영어전공 대학생들의 언어 불안을 유발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조사하고 그들의 불안 수준에 나이, 계열, 그리고 영어 학습기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검토하고자 함이다. 연구 대상은 2019년 가을 학기에 교양영어 수업을 15주 간 수강한 514명의 1학년 한국 대학생들이다. 이들은 Horwitz의 Foreign Language Classroom Anxiety Scale (FLCAS)(외국어 교실 불안 척도)를 바탕으로 23문항으로 수정된 설문에 응답하였다. 1)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EFL) 학습 중 불안을 유발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2) 나이, 계열, 영어 학습기간에 따라 학습 불안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SPSS 26을 이용하여 설문에 대한 응답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의 불안 유발 요인은 대부분 (1) 문법적 실수를 하는 것, (2) 구술시험을 치르는 것, 그리고 (3) 준비 없이 수업 시간에 말하기였다. 응답을 분석하기 위해 ANOVA test를 사용한 결과 영어 학습기간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F=5.559, p-value = .000). 한편, 나이와 계열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A Study of English Major Students’ Beliefs about Language Learning

        신동희(Donghee Shin),이영희(Younghee Cheri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4

        목적 본 연구는 여대생 영어 전공 학생들의 영어 학습에 대한 신념을 Horwitz의 언어 학습 척도 (BALLI) 설문지를 통해 분석하고, 각 학년에 따라 영어 학습에 대한 신념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를 위해 2021년 봄 학기에 한국 여대생 71명을 대상으로 BALLI 설문지를 통한 양적 자료와 11명과의 인터뷰를 통한 질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여대생 영어전공학생들의 영어 학습 신념에 차이가 있는지 각 학년 별 평균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학생들은 영어가 학습하기에 중간 정도 어렵다고 생각했지만 누구나 영어 말하는 것을 습득할 수 있다고 믿었다. 또한 많은 학생들은 영어 습득을 위해 가장 중요한 전략은 반복하고 연습하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영어를 배우는 주된 원인은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들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였고 많은 학생들이 영어를 잘하면 더 좋은 직장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는 믿음을 가지고 있었다. 학습자의 신념과 각 학년에 따른 신념의 차이는 “언어학습의 성격”과 관련된 신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관찰되었다. 결론 교사는 학습자가 영어 학습에 대해 어떤 신념을 가지고 있는지 진단하고 학습자로 하여금 영어 학습에 대한 자신의 신념을 더 잘 이해하고 인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학습자의 긍정적 신념이 지속될 수 있도록 격려하되 부정적 신념은 완화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교사는 학습자의 영어 학습에 대한 신념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이는 수업에서 영어 학습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가능할 것이다. Objectives This article aims to discuss female English major students’ beliefs about English language learning at the tertiary level, hinged upon Horwitz’s Beliefs about Language Learning Inventory (BALLI), thereby identifying salient differences in learner beliefs by different academic years. Methods The BALLI questionnaire was used to obtain quantitative data from 71 Korean women’s university students, 11 of whom further volunteered to engage in interviews conducted for data collections during the spring semester of 2021. Results The results evidenced that students assumed that they could learn to speak English even though they considered it was a medium-difficult language to master. Most participants also perceived that practicing and repeating as much as possible was one of the most critical tactics at their disposal. The primary motivation for learning English was to understand the language’s speakers better; they believed that if they were equipped with proficiency in English, it would help them land a decent career.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beliefs and different academic years,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observed in the beliefs associated with “the nature of language learning.” Conclusions The findings indicate that teachers diagnose students’ beliefs about English learning, thus better understanding and becoming aware of them. Students’ positive beliefs should be sustained and encouraged, but their negative beliefs could be alleviated by teachers’ positive instructional practices in class, instilling positive and efficient beliefs about English language learning. It is further suggested that teachers are fostered to counter flawed beliefs with valid information and pertinent knowledge as they have the prospects to affect learners’ beliefs.

      • KCI등재

        국내·외 환경교육 논문 분석을 통한 연구 경향 비교

        신동희(Donghee Shin),이지희(Jihee Lee) 한국환경교육학회 2009 環境 敎育 Vol.22 No.4

        To understand the research trend of environmental education(EE) during last two decades, we analyzed a total of 801 research papers published from 1990 to 2008, 418 research papers from Hwankyungkyouk and 393 research papers from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JEE), respectively. The majority of the authors in both journals majored in EE, followed by authors of science education major in Hwankyungkyouk and authors of social science major in JEE. In both journals, more researches were data-collected by quantitative method rather than qualitative method. In particular, the ratio of researches by qualitative method have been dramatically increased since the mid 1990s. The significance test was less used in Korean EE researches than those in JEE. In both journals, more EE researches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were accomplished, which tended to be more salient in Korea.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119 EE programs in both journals proposed that EE program needs to be developed more diversely in content as well as in educational method.

      • SNS를 활용한 집단참여형 콘텐츠 특성 연구

        신동희(Shin, Donghee),김희경(Kim, Hee Kyung),김태양(Kim, Taeyang)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4 디자인지식저널 Vol.30 No.-

        인간이 타인과 소통하고 싶어 하는 욕망은 면대면 접촉에서 비면대면 접속으로 이어지고 있다. 테크놀로지와 미디어의 발달은 커뮤니케이션의 다양성을 가져왔는데 소셜 미디어 중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가 현재 가장 대표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의 빠른 보급과 확산으로 언제 어디서나 SNS를 이용한 소통이 가능해졌다. 이제 페이스북이나 트위터는 단순히 자신의 상태를 알리거나 기업 혹은 단체를 소개하는 글에서 부터 마케팅, 게임으로 까지 이어지고 있는데, 최근에는 개인의 지인뿐만 아니라 불특정 다수가 뜻을 같이 하여 단순한 글이나 이슈를 확대하여 콘텐츠 화하는 집단참여형 콘텐츠를 제작하는 데까지 이르렀다. 이것은 집단참여형 콘텐츠라고 할 수 있는데, 사례를 분석해 본 결과 집단참여형 콘텐츠는 구전성, 현장성, 참여성, 공유성, 이야기성, 예측불허성, 콘텐츠성, 자기효능성, 놀이의존성의 9가지 특성을 도출할 수 있었다. The instinctive need of humans to interact with others has led the means of communication from face-to-face communication to non face-to-face communication. The advances in technology and media brought forth diversity in ways people communicate and interact. SNS(Social Network Services) is at the forefront of current social media. In addition, Smart phones enabled communication through SNS any time at any place. Now the use of Facebook and Twitter goes beyond simply updating one"s status or introducing companies and organizations. Many use Facebook and Twitter as a marketing tool, for gaming, and in recent developments, a streamline of random people amplify a certain comment or issue to come up with collective participation contents.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 of social media and SNS; and highlights and studies the two cases where the characteristics of SNS are applied, resulting in collective participation contents, also called SCC. The study shows that the attribute of SCC has affected how companies make their marketing contents for social media and that SCC had an influence on how people now find value less in economy and more in play and fun.

      • KCI등재

        인터넷 포털의 저널리즘적 역할에 관한 고찰

        신동희(Donghee Shin) 한국언론학회 2014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0 No.1

        국내 인터넷 뉴스 생태계는 개별 언론사들의 영향력이 약화된 가운데 포털을 중심으로 한 뉴스 유통구조가 생태계의 핵심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포털의 서비스 정책 변화는 인터넷 뉴스 생태계 환경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인터넷 뉴스 생태계는 언론사 입장에서는 광고수익이 대폭 감소된 상황에서 트래픽 확보를 위해 헤드라인 기사의 선정성, 네트워크 광고의 선정성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고, 실시간 트래픽 확보를 위해 검색어와 연관된 기사 생산을 위해 언론사 간 유사한 기사를 쏟아내는 문제점이 지적되고있다. 또한 포털의 경우도 뉴스 검색 제휴방식과 서비스 방식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고, 트래픽 집중에 따른 사회적 비판 여론에 직면해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현 인터넷 뉴스 생태계 구조는 언론사와 포털 모두에게 긍정적이지 못한 상황이 되었고, 인터넷 환경에서 저널리즘의 품질하락과 언론사의 신뢰성 추락 및 포털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확산시키고 있다. 현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언론사와 포털의 적극적인 협조체제와 상생방안 도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포털의 뉴스 검색 서비스에 대한 평가와 개선방안 모색을 중심으로 인터넷 뉴스 생태계상의 문제점을 분석해보고 언론사와 포털 양자 모두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해결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This study addresses the current debate on Internet portal"s news service in Korea. The debate has been elevated recently due to the intensifying conflict between major newspapers and rising portal. The market share has been increasing steadily and the influence of Internet portals (namely mind share) have been even more skyrocketing due to popular news services provided by the portals. The newspapers has regarded the emerging portals as a challenging threat to their long-protected walled garden of news content markets. They criticize the low quality news from the portal, illegal content editing, and degrading content of yellow journalism. On the other hand, Internet portals counterargue that it is the newspapers that lead to the low quality of news and further argue that the newspapers firms should face the reality of changing Internet ecology. It may be the result of paradigm change from newspapers to new media. And Internet portals lead the wind of innovation as a change catalyst. The debate seems to be stucked with a Catch 22 discussion between the two parties. This study addresses the conflicting issues from an ecology perspective in the hope to resolve the matter peacefully. It suggests co-regulation as an alternative regulatory approach solving the endless debate.

      • KCI등재

        종합병원 병동부의 간호동선 및 의료진 가시성 개선을 위한 연구

        신동희(Shin, Donghee),강미선(Kang, Miseon) 대한건축학회 2016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ways to improve a staff’s working environment, mainly focusing on shortening the walking distance of nurses and enhancing staff visibility to patients from the nurse station (NS). Article reviews were performed on nurses’ walking distance and staff visibility. Seven general hospital ward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layouts have been chosen and analyzed, four wards for nurses’ walking paths and six wards for staff visibility. Interviews with nurses and drawing reviews were performed to figure out their care delivery method and the relevance it has to the layouts. Furthermore, the quantitative data collected by drawing reviews were compared among ward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Nurses walked longer distances where nurses’ designated rooms were not pertinent to the ward"s layout. The standard deviation of nurses’ walking distance in a ward differed by the location of the NS and the arrangement of patient room types. Staff visibility was better in the ward that had a double corridor type, centrally located NS and shared rooms near the NS. To sum up, the nursing path and staff visibility from the NS were affected by a combination of the ward"s plan, rooms’ layouts, corridor type, nurse station type and the operating systems of wards. This study focuses on improving staff and nurses’ working environment, which are easily neglected due to patients being the first priority in hospital design. Thus, this work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an operating system, objectives and the priority of wards in planning it. It will help designers and planners to provide better environments for employe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