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일반논문 : 금남최부(錦南崔溥)의 <탐라시삼십오절(耽羅詩三十五絶)> 연구(硏究)

        임준성 한국고시가문학회 2011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27

        이 글은 조선 전기 때의 인물 錦南崔溥(1454-1504)의 <耽羅詩三十五絶>를 조명한 것이다. 崔溥는 占畢齋金宗直의 문인으로 士林의 맥을 이은 호남의 士林의 윗자리를 차지하는 분으로 어려서부터 기질이 남다르고 강직하고 올곧은 성품을 지녔다. 당시 燕山君의 폭정과 勳舊派의 專橫을 좌시하지 않았으며, 선비로서 비판의 칼을 늦추지 않았던 실천적 지식인이었다. 그러나 잇다른 士禍에 연루되어 甲子士禍때 결국 51세의 나이로 희생되고 말았다. 崔溥의 문집 『錦南集』에는 <耽羅詩三十五絶>이 전하지 않는다. 다행히 淸陰金尙憲이 지은 『南사錄』에 <耽羅詩三十五絶>과 序이가 전하고 있어 崔溥의 詩的인 면모를 살필 수 있게 되었다. 이 작품은 1487년 11월 推刷敬差官이라는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제주땅에 처음으로 발을 내딛어 그곳에 머무른 석달 남짓한 동안에 제주의 역사와 풍물을 압축하여 한 편의 대서사시로 엮어낸 것이다. 이는 崔溥의 박물학적인 지식이 총동원된 결과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이토록 짧은 기간 내에 가능했던 이유는 그가 『東國輿地勝覽』을 增補하는 작업을 맡았을 때 제주의 물산과 풍속을 소문과 문헌자료에만 의존하여 기록할 수밖에 없는 현실을 안타까워하다가 때마침 추쇄경차관이라는 제주를 경험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였기 때문이다. 崔溥의 <耽羅詩三十五絶>은 서사시적 구조를 띠고 있다. 일반적으로 개인적인 감정을 토로하기 보다는 제주의 자연풍경과 탄생전설, 그리고 역사와 풍물 등을 객관적 사실을 토대로 하여 제주 전반에 걸친 일종의 장편서사시로 분류할 수 있다. 崔溥의 서사적 경향은 그가 과거에 1485년에 『東國通鑑』을, 1486년 『新增東國輿地勝覽』을 편찬했던 경험에서 밀접한 관련이 있지 않을까 싶다. 역사서와 지리지는 사실관계를 밝혀내는 것이 중요한 작업이다. 갖가지 사실을 검토하고 확인하는 과정을 통해 崔溥는 객관적이고 분석적인 능력을 키워나갔을 것이다. 이는 經世濟民에 강한 포부와 의지를 가졌기에 가능하다고 본다. 這是評說朝鮮前期人物錦南崔溥(1454~1504)的<耽羅詩三十五絶>。崔溥是占畢齋金宗直的文人,居於繼承士林的湖南士林的上層階級的他, 從小就負有非凡的氣質,剛直及淸廉的品德。當時沒有旁觀燕山君的暴政和勳舊派的專橫, 作爲書生沒有延遲批判的實踐知識分子。但是連續被士禍牽連,最終在甲子士禍時以51歲的年齡犧牲。崔溥的文集《錦南集》裏沒有傳下來<耽羅詩三十五絶>。好在淸陰金尙憲寫的《南사錄》裏傳下來〈耽羅詩三十五絶〉和序,可以察看崔溥詩的面貌。這作品是1487年11月,爲了執行推刷敬差官職務第一次邁步濟州島,在濟州島遷留的3個月左右把濟州島的曆史和風物壓縮編成一篇大書史詩。不可置疑,這是崔溥動用了所有的博物學知識的結果。在如此短暫的時間內可以做到的理由是他被負責擔任《東國輿地勝覽》的增補工作時,對只能記錄依照濟州産物和風俗的傳聞及文獻資料的現實環境感到可惜時,恰好有絶好機會可以體驗推刷敬差官的濟州。崔溥的<耽羅詩三十五絶>具有敍述詩的結構。抒發個人情感的較少,一般是以濟州的自然風景和誕生神話、曆史、風景等客觀事實爲基礎, 描寫濟州的整體的可分類爲一種長篇敍述詩。覺得崔溥的敍述風格應該與他在1485年編撰《東國通鑑》、1486年編撰《新增東國輿地勝覽》等獲得的經驗有密切的關系。曆史冊和地理記,最終要的工作是表明其事實關系。通過檢討和確認各種事實的過程,崔溥培養了客觀能力和分析能力。正是因有對經世濟民具有强大的抱負和意志,才得以形成

      • KCI등재

        錦南 崔溥의 <耽羅詩 三十五絶> 硏究

        임준성 한국시가문화학회 2011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27

        이 글은 조선 전기 때의 인물 錦南 崔溥(1454-1504)의 <耽羅詩三十五絶>를 조명한 것이다. 崔溥는 佔畢齋 金宗直의 문인으로 士林의 맥을 이은 호남의 士林의 윗자리를 차지하는 분으로 어려서부터 기질이 남다르고 강직하고 올곧은 성품을 지녔다. 당시 燕山君의 폭정과 勳舊派의 專橫을 좌시하지 않았으며, 선비로서 비판의 칼을 늦추지 않았던 실천적 지식인이었다. 그러나 잇다른 士禍에 연루되어 甲子士禍 때 결국 51세의 나이로 희생되고 말았다. 崔溥의 문집『錦南集』에는 <耽羅詩三十五絶>이 전하지 않는다. 다행히 淸陰 金尙憲이 지은 『南槎錄』에 <耽羅詩三十五絶>과 序이가 전하고 있어 崔溥의 詩的인 면모를 살필 수 있게 되었다. 이 작품은 1487년 11월 推刷敬差官이라는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제주땅에 처음으로 발을 내딛어 그곳에 머무른 석달 남짓한 동안에 제주의 역사와 풍물을 압축하여 한 편의 대서사시로 엮어낸 것이다. 이는 崔溥의 박물학적인 지식이 총동원된 결과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이토록 짧은 기간 내에 가능했던 이유는 그가 『東國輿地勝覽』을 增補하는 작업을 맡았을 때 제주의 물산과 풍속을 소문과 문헌자료에만 의존하여 기록할 수밖에 없는 현실을 안타까워하다가 때마침 추쇄경차관이라는 제주를 경험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였기 때문이다. 崔溥의 <耽羅詩三十五絶>은 서사시적 구조를 띠고 있다. 일반적으로 개인적인 감정을 토로하기 보다는 제주의 자연풍경과 탄생전설, 그리고 역사와 풍물 등을 객관적 사실을 토대로 하여 제주 전반에 걸친 일종의 장편서사시로 분류할 수 있다. 崔溥의 서사적 경향은 그가 과거에 1485년에 『東國通鑑』을, 1486년 『新增東國輿地勝覽』을 편찬했던 경험에서 밀접한 관련이 있지 않을까 싶다. 역사서와 지리지는 사실관계를 밝혀내는 것이 중요한 작업이다. 갖가지 사실을 검토하고 확인하는 과정을 통해 崔溥는 객관적이고 분석적인 능력을 키워나갔을 것이다. 이는 經世濟民에 강한 포부와 의지를 가졌기에 가능하다고 본다.

      • KCI등재후보

        白雲 景閑의 詩世界 : 無心의 美學을 中心으로

        林俊成 한국고시가문학회 2004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13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investigate the literary meaning of Buddist poetry of Baekungyeonghan.(白雲景閑, 1298~1375), explaining image through his works. This study is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the poetry world of Baekungyeonghan(白雲景閑) who is representative poet of the latter Korea Dynasty era. Because the existing study concentrate on dealing with ideal, religious and literary aspect, So it obviously could not explain the characteristic of Baekungyeonghan's poetry. The impartiality and aesthetics are not passive concept, which means right state, various situation and condition is not partial, but active concept to accomplish the best state. It plays an important part, which explain the tensed relation that is generated by Baekungyeonghan(白雲景閑) unexpected adversity between ego and reality. It makes a precondition to clear the poetic characteristic of Baekungyeonghan(白雲景閑). In the future, the concentrative and careful inspection will be required to understand poetry world of Baekungyeonghan. And I expect that his characteristics about aesthetics is stood out in bold relief by deep studying and discussion about his poet-spirit and poet-vision.

      • KCI등재

        패러매트릭 디자인에서의 집합적 구축방식을 통한 디지털 조형 연구

        임준성,안성모 한국기초조형학회 2019 기초조형학연구 Vol.20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generative characteristics of parametric design patterns created in a collective construction method and to study their characteristics to establish the principle of parametric design generation. Collective construction in the aspect of nature appears in a wide range of organic forms or physical and chemical inanimate objects. There are two main types in this study: self-similarity and self-organization. The formative properties of self-similarity extend spirally, nonlinearly and horizontally with gradualness, contractions, expansion and repeatability, affecting the part in the shape of the whole. Self-organization has symmetrical, partitioned closed form and open features, affecting the whole in the part. By using a generative algorithm-based design tool ,GRASSHOPPER, in order to precede and apply the collective construction method to the parametric design pattern in nature, the method of collective construction features in formal and unstructured expansion, openness, closeness, cognitive variability and contrasting formative characteristics through the method of module movement, size, rotation, and change process.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shape that depends on the method of collective deployment, while also identifying the shape that varie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changing of the module, and one module affects the overall form. Through this process, the collective construction means that the natural form is not merely a passive process, but an active process that creates new meaning and value. Moreover research through case studies in the field of architecture and art shows the possibility of leading collective construction through fundamental concepts and utilization of various fields as design products beyond decorative elements. From this perspective, the composition of the collective method could reveal the meaning of the method and the form in which a single simple object is organized into integrated form through a collective constru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집합적 구축 방식으로 생성된 패러매트릭 디자인 패턴의 생성적 특성을 도출하고 그 특성을연구하여 패러매트릭 디자인 생성 원리는 정립하는 것이다. 자연계에서 집합적 구축은 유기적 형태의 구조, 또는 물리적, 화학적으로 일어나는 무생물에 의한 광범위한 영역에서 나타난다. 자연계의 집합적 구축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자기 유사성, 자기 조직화로 나눠지게 된다. 자기 유사 집합적 구축 방식의 조형적 특성은 점진적, 수축, 팽창, 반복성을 가지고 나선형, 비선형, 수평적으로 확장하며, 부분이 전체의 형태에 영향을 주며, 자기 조직 집합적 구축은 전체의 형태에서 부분에 영향을 주면서 대칭, 분할로 형태의 폐쇄, 개방적인 특징을 갖는다. 자연에서의 집합적 구축 방식을 선행하고 패러매트릭 디자인 패턴에 적용하기 위해 알고리즘 기반으로 이루어진 그래스호퍼를 사용하여 집합적 구축방식을 모듈의 이동, 크기, 회전, 변화 과정의 방법으로 정형적, 비정형적확장, 개방성, 폐쇄성, 인지적 가변성, 대조적인 조형적 특성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집합적 구축방식에 따라 달라지는 형태를 확인 하는 동시에 모듈에 변화에 따른 특성에 따라 조형이 달라지며, 하나의 모듈이 전체의 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집합적 구축 방식은 단순히 자연계의 형태를 수동적 과정이 아니라 새로운 의미와 가치를 생성하는 능동적 과정임을 의미하며, 건축과, 예술의 분야의 사례조사를 통한 연구로 장식적 요소를 넘어 디자인 결과물로 근본적 개념, 다양한 분야의 활용성을통해 집합적 구축의 가능성을 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으로 볼 때 집합적 구축방식의 조형은 하나의 단순한 객체가 집합구축 방식을 통해 통합된 형태를 조직하는데 있어 그 방식과 조형이 의미를 밝힐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곡성군 누정 제영시와 고목판 현황

        임준성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12 南道文化硏究 Vol.0 No.23

        Of the pavilion this paper Gokseong-County recorded history, literature data about the status of my English poems and old woodblock look for. Where is the pavilion that exist in the current Gokseong-County 32 locations. General walks the historical literature records where the 106 locations degree high is showing. This nationally, is higher. Gokseong the pavilion's failure to call deserves. Pavilion material of literature exists in the record that Gokseong-County pavilion status at the time of this paper, with my English poetry literary characteristics examine. Beautiful nature and arithmetic Gokseong-County said that the remaining few works. Thus, future work to deal with bandits to accumulated that could be found. In addition, the pavilion was built before 1945, 14 locations of the Survey. Status of old woodcut by summing all points in 199 tablets, favor though enough to have a vast amount of it was confirmed that the results However, has been neglected by governments and some clan. Pavilion and high Gokseong-County old woodblock through cultural content as thus he was able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Representative of maintenance is Gokseong-County cultural attractions can be positioned within the earliest possible time to be expected.

      • KCI등재

        식영정에 비친 임억령의 삶과 현판

        임준성 한국시가문화학회 2021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47

        This thesis is to briefly discuss the events that Lim Eok-ryeong spent in Seongsandong(星山洞) and the possibility of the cultural contents of Shikyoungjung(息影亭)'s signboard as a test. Lim Eok-ryeong lived until the age of 73. He came up from him hometown Haenam to receive the teachings of his teacher, Nuljae Park Sang. He speculates that he had a relationship for the first time when he came to Seongsandong, where Kim, Yoon-je lived, where he studied together at the time. He then passed the national exam and lived in her office, leaving the vice versa of Damyang at the age of 64 and descending to Seongsandong, not him hometown Haenam. There lived his wife Yang and his two daughters. There were junior writers who followed his himself. His Daughter's husband Kim Seong-won built a pavilion for himself, "Sikyoungjung," and spent his old age there. The fact that he remains close to 350 poems that sang the scenery of Seongsandong, I can say that Seongsandong is important in his life. Here, the presenter's attention was the existence of Lim Eok-ryeong's family, namely Yang's wife and two daughters. It can be said that Seongsandong, not his hometown, was possible because he had a family. To this end, in order to elevate the Seongsandong family of Lim Eok-ryeong, which was missed in the previous study, to elucidate, comparing and reviewing the Sunsan-Lim clan genealogy and the Jeju-Yang clan genealogy. The next is the possibility of Shikyoungjung's cultural contents. Sikyeongjeong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pavilions representing Damyang, Jeollanamdo, and is famous enough to be called Ildongsamseung(一洞三勝) along with nearby Soswaewon(瀟灑園) and Hwanbyeokdang(環碧堂). The pavilion is not a simple structure, but a central space for cultural activities, and is a place where people of the day shared their conversation. It can be said that the signboard hanging in the pavilion as well as the natural environment in the near and distant places with the center of the pavilion is a prototype of cultural content that can be reconstructed as a storytelling element. 이 논문은 석천 임억령이 성산동에서 지냈던 삶과 식영정 현판의 문화콘텐츠적 가능성에 대해서 소략하나마 시론적 성격을 띠고 논의하기 위한 것이다. 임억령은 73세의 삶을 지내오면서 스승인 눌재 박상의 가르침을 받기 위해 고향 해남에서 올라와 당시 동문수학 했던 김윤제가 살던 곳으로 놀러오면서 처음으로 성산동에서 인연을 맺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후 과거에 합격하여 환로생활을 지내면서 담양부사를 끝으로 64세 때에 고향 해남이 아닌 성산동으로 내려왔다. 그곳에는 첩실인 양씨부인과 두 딸이 살고 있었으며, 자신을 따르는 후배 문인들이 있었다. 사위 김성원이 자신을 위해 ‘식영정’을 지어주면서 그곳에서 만년을 보냈다. 그가 성산동의 승경을 노래한 시가 350여 수가 적지 않음을 볼 때 그의 삶에서 성산동은 중요한 몫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여기서 본고가 주목했던 것은 임억령의 가족, 곧 양씨 부인과 두 딸의 존재였다. 임억령에게 고향이 아닌 성산동은 곧 가족이 있었기에 가능했던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존의 연구에서 간과하였던 임억령의 성산동 가족을 논의의 장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선산임씨족보와 제주양씨족보를 비교 검토하면서 밝히고자 하였다. 그 다음은 식영정 누정의 문화콘텐츠적 가능성이다. 식영정은 전남 담양을 대표하는 누정의 하나로 인근의 소쇄원, 환벽당과 함께 일동삼승(一洞三勝)이라 할 정도로 유명하다. 누정은 단순한 건축물이 아닌 문화활동의 중심 공간으로 당대의 인물들이 교유를 나눴던 곳이다. 누정을 중심으로 원근의 자연환경은 물론이고 누정에 걸린 현판은 스토리텔링 요소로도 재구성이 가능한 문화콘텐츠의 원형이라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