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간-시계열 모형을 이용한 결측대체 방법에 대한 연구

        이진희,신기일,Lee, Jin-Hee,Shin, Key-Il 한국통계학회 2007 응용통계연구 Vol.20 No.3

        표본조사에서 항목무응답 발생 시 결측대체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방법은 결측변수와 관계 있는 보조변수를 이용하는 것이다. 최근 이진희 등 (2006)은 2002년 강원지역의 농가경제 자료를 이용하여 표본조사에서 공간통계를 이용한 결측대체 (missing imputation) 방법을 비교하였으며, 자료들 사이에 지역적 상관이 존재할 때 이를 이용한 결측대체가 효율적임을 보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확장한 개념으로, 강원지역의 2000-2002까지의 월별 자료가 공간상관과 시계열상관이 존재함을 확인하고 이 관계를 결측대체에 이용하였다. 또한 공간상관과 시계열상관이 모두 존재할 경우 공간시계열 모형을 이용한 결측 대체 방법이 공간모형을 이용하였을 때에 비해 더 효율적임을 모의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It is a common practice to use the auxiliary variables to impute missing values from item nonresponse in surveys. Sometimes there are few auxiliary variables for missing value imputation, but if spatial and time autocorrelations exist, we should use these correlations for better results. Recently, Lee et al. (2006) showed that spatial autocorrelation could be efficiently used for missing value imputation when spatial autocorrelation existed, using the data from the farm household economy data in Gangwon-do, 2002. In this paper, we present au evaluation of spatial and space-time nonresponse imputation methods when there exist spatial and time autocorrelations using the monthly data during 2000-2002 from the same data previously used by Lee et al. (2006). We show that space-time imputation method is more efficient than the other through the numerical simulations.

      • KCI등재후보

        낯설게 하기 기법을 사용한 화예 조형 교육 가이드라인 도출 -현대미술에 나타난 낯설게 하기 사례의 행동장면분석과 근거이론 방법론의 적용을 통하여-

        이진희,유택상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22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47 No.-

        The development of human society of today is mostly powered by the expansion of intellectual ability of human being. One of the hindrances of the expansion of intellectual ability of human being might be the fixed view in seeing things and thinking. We tend to think in a stereotyped way of fixed thinking unconsciously. We need to avoid these way of fixed thinking to attain creativity and originality in art creation. We can find numerous cases of art works using defamiliarization techniques which seem to be used break up these way of fixed thinking in contemporary art. The researcher tried to present the guidelines applicable to the creation of floral art and its education by deriving and structuring the characteristics from contemporary art work images which can be considered as applying defamiliarization techniques. The behavior setting analysis and the grounded theory methodology which are considered as qualitative research were utilized as the methods of research. To concrete, firstly the researcher performed research deriving descriptive sentence as open-coding of the grounded theory methodology utilizing behavior setting analysis technique based on the chosen photo images of art work. And then the researcher proceeded the research through cyclical repetition of applying axial-coding and selective-coding of the grounded theory methodology until all groups were categorized. Therefore finally a series of theories were derived, which were structured as presentable form. As a result, 3 top concepts, 10 upper concepts, 29 middle concepts, 74 lower concepts, and 231 bottom concepts were derived. These concepts were constructed and presented as the creative guidelines for floral art creation which can be applied to floral art education. The meaning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its first trial of deriving guidelines for floral art education by apply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such as the behavior setting analysis and the grounded theory methodology based on the cases of defamiliarization technique application among contemporary art works. 현대사회가 발전할 수 있었던 이면에는 인간의 지적 능력의 확대가 있다. 지적 능력의 향상을 방해하는 것 중에는 고정적 사고, 고착화된 인식에 빠지는 것이 있다. 우리는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무의식적으로 선입견과 고정관념에 빠져 판단하게 된다. 작품을 창작하는 활동에서 창의성과 독창성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고착화된 사고에서 벗어나는 것이 필요하다. 현대예술에서는 고착적 사고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기법 중에 하나로 낯설게 하기 기법을 사용한 사례들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대조형 예술작품 이미지를 낯설게 하기 기법으로 바라보아 특징적인요소를 추출하고 구조화하여 화예 조형 예술작품에 적용할 수 있는 작품 창작 및 교육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행동장면분석과 질적 연구방법론 중 하나인 근거이론 방법론을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표집된 현대조형 작품의 사진 이미지를 바탕으로 행동장면분석을 진행하여 기술문으로 추출하고 이를 다음 단계의 근거이론 방법론의 개방코딩으로 삼아, 축코딩과 선택코딩의 순환적 적용을 통해 일련의 이론을 도출하였으며 이를체계화하여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3개의 최상위개념과 10개의 상위개념, 29개의 중위개념, 74개의 하위개념과 231 개의 최하위개념이 도출되었다. 이 결과는 화예 조형 교육의 창작 가이드라인으로 체계화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현대 미술에 나타난 낯설게 하기 사례를 바탕으로 행동장면분석과 근거이론 방법론의 질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화예 조형 교육의 가이드라인을 도출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지리학습을 통한 공간적 사고 교육에 대한 예비교사와 현직교사 간 성향 비교

        이진희 한국지리학회 2023 한국지리학회지 Vol.1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reservice and inservice geography teachers’ disposition toward teaching spatial thinking through geography.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Teaching Spatial Thinking through Geography Disposition Inventor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Overall, both preservice and inservice geography teachers showed moderate dispositions toward teaching spatial thinking in their classrooms. Preservice teachers exhibited more positive dispositions toward teaching spatial thinking compared to inservice teachers. Preservice and inservice geography teachers acknowledge benefits of geographic representations and geospatial technologies in geography education but lacking confidence in using them for own teaching practice.

      • KCI등재

        특허권 존속기간 연장등록 대상이 되는 발명 - 구 특허법 시행령 제7조 제1호 ‘신물질’의 의미

        이진희 사법발전재단 2022 사법 Vol.1 No.62

        특허발명 중에는 다른 법령에 정한 허가 등의 절차를 거쳐야만 비로소 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유형이 있다. 그 대표적인 예가 의약품에 관한 특허발명이다. 의약품에 관한 특허발명의 경우 약사법에 따른 의약품 품목허가에 소요되는 기간 동안 이를 실시할 수 없기 때문에 특허권자가 특허발명을 독점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기간이 다른 유형의 발명에 비해 사실상 단축되는 결과가 발생할 수 있다. 특허권 존속기간 연장제도는 이러한 불이익을 구제하기 위한 제도이다. 특허법 시행령은 의약품과 관련한 특허권 존속기간 연장등록 대상 발명을 특허발명을 실시하기 위해 신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최초로 품목허가를 받은 의약품의 발명이라고 규정한다. 또한 약효를 나타내는 활성부분의 화학구조가 새로운 물질을 신물질이라고 지칭한다. 위와 같은 규정 형식에 의할 때 특허권 존속기간 연장등록 대상 발명의 범위를 확정함에 있어서는 신물질에 해당하는지가 핵심 쟁점이 된다. 그런데 특허법령에는 신물질의 의미가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지 않고, 그에 따라 실무상 특허권 존속기간 연장등록 대상 발명의 범위를 둘러싸고 다양한 해석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신물질이 의미하는 바를 어떻게 이해하는 것이 타당한지를 특허법령의 규정 형식에 기초하여 검토하였다. 먼저 특허법 시행령과 약사법의 규정 형식을 대비할 때 특허법 시행령의 신물질과 약사법의 신약은 서로 구분되는 개념으로 이해된다. 또한 신물질 해당 여부는 물질의 화학구조를 대비하는 것에 의해 판단되어야 한다. 신물질에 해당하기 위하여 기존의 허가 의약품과 상이한 치료효과를 가져야 한다거나 약효의 개선이 있어야 한다는 것과 같은 추가적인 요건은 필요하지 않다. 신물질을 규정짓는 요소 중의 하나로서 약효는 그 통상적인 의미에 따라 의약품의 약리작용에 따른 효과를 의미한다. 여기에는 정성적인 효과뿐만 아니라 정량적인 효과도 모두 포함된다. 신물질을 규정짓는 요소로서 활성부분은 유효성분에 관한 약사법의 규정 형식 및 활성성분과 활성부분의 관계에 관한 미국 FDCA 시행규칙 등을 참고할 때, 내재된 약리작용에 의하여 그 의약품이 나타내는 효능·효과의 직접 또는 간접적인 원인이 되는 부분으로 해석된다. 결국 신물질은 내재된 약리작용에 의하여 그 의약품이 나타내는 효능·효과의 직접 또는 간접적인 원인이 되는 부분의 화학구조가 새로운 물질이라고 정의될 수 있다. 다만 현재의 해석상 논란이 입법의 불완전성에서 비롯되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이 문제의 궁극적인 해결책은 특허법령에 사용된 용어의 정의 규정을 도입하는 방법 등을 통해 특허권 존속기간 연장등록 대상 발명의 범위를 보다 명확하게 정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For some inventions, getting a patent is only half of the game. They demand more attention from the applicant before they are ready for exploitation, e.g. going through approval process under the laws other than the Patent Act. A typical example is a patented invention related to a pharmaceutical drug. In such cases, the invention must await drug approval under the Pharmaceutical Affairs Act before it can be practiced and the patentee often ends up with a shorter period of time to enjoy the patent monopoly in effect when compared to other types of inventions. The patent term extension regime is designed to address such disadvantages.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Patent Act stipulates that an invention eligible for a patent term extension is an invention of a drug approved for the first time with a new substance as an active ingredient to practice the invention. A “new substance” is defined as a substance whose chemical structure of the active moiety that exhibits the drug effect is new. The languages of the laws and regulations are designed in a way that put the definition at the center when determining which inventions are eligible for patent term extension. However, it would not be an overstatement to say that the meaning of the term “new substance” is far from clear under the current scheme of applicable laws, as various interpretations were crafted surrounding the scope of eligible inventions. This article examines the proper meaning of a new substance under the current scheme of applicable laws. Comparing how the languages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Patent Act and the Pharmaceutical Affairs Act are designed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the term “new substance” in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Patent Act and the term “new drugs” in the Pharmaceutical Affairs Act are two distinct concepts. Whether a substance is a new substance should be judged by examining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substance. In order to qualify as a new substance, there is no need for additional requirements, such as that it has to have a different therapeutic effect from that of a previously approved drug or that it should have an improved effect. Effect, as a defining factor of a new substance, has the usual meaning of the result generated by the pharmacological action of the drug product, qualitative or quantitative. Active moiety, which determines whether a substance falls within the above definition of a new substance, is interpreted as the part directly or indirectly generating the efficacy and effect of the pharmaceutical drug by its intrinsic pharmacological action, according to the relevant language of the Pharmaceutical Affairs Act on active ingredients and Title 21 of U.S. Code of Federal Regulations (Food and Drug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e ingredient and active moiety. Putting them altogether, a new substance can be defined as a substance whose chemical structure, directly or indirectly causing the efficacy and effect of the drug by its intrinsic pharmacological action, is new. As such, close examination of the statutory and regulatory languages yields some clue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term. However, given that the live controversy over interpretation of the term arises from the gap in legislation, the ultimate solution would be statutory amendment, namely by introducing a provision defining the term to the Patent Act to more clearly define which inventions are eligible for patent term extens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