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제주인의 의식과 제주정신의 정립 : 세미나 종합 토론

        제주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제주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1996 東아시아硏究論叢 Vol.7 No.-

        안녕하십니까? 도민의식 대토론회에 사회를 맡은 고성준입니다. 도제 승격 50주년을 맞는 우리 제주사회는 대단히 중요한 전환기에 서 있다고 생각이 듭니다. 지나온 50년을 돌이켜 봐야 하고 앞으로 헤쳐나가야 할 21세기의 50년을 준비해야 하는 시점입니다. 바로 목전에 두고 있는 21세기는 새로운 흐름으로 인해서 격변의 소용돌이를 예고하고 있습니다. 이른바 세계화·정보화·지방화라는 새로운 흐름은 지금 세계를 돌이고 예고하고 있습니다. 이른바 세계화·정보화·지방화라는 새로운 흐름은 지금 세계를 송두리째 흔들고 있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입니다. 이러한 새로운 도전에 제주사회가 어떻게 응전하느냐 하는것이 21세기 제주의 미래의 발전의 관건이 아닌가하는 생각도 갖고 있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21세기를 준비하는 우리 제주인의 의식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KBS제주방송총국이 기획을 하고 제주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가 주관이 되어서 제주도민 의식조사를 지난 4개월 동안 진행을 해왔습니다. 오늘이 도민 의식구조 조사 분석 결과를 가지고 여러분들을 모시고 토론회를 가져보고자 합니다.

      • Peace in East Asia, Relation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nd the Future of Cheju-do

        Ko, Sung Joon 제주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1991 東아시아硏究論叢 Vol.2 No.-

        국문요약 세계적 차원에서의 냉전질서의 붕괴는 89년 몰타에서 있었던 미-소간의 정상회담에 서 비롯되나 최근 미 소의 "핵 감축선언"은 이제 냉전시대는 돌아을 수 없는 강 을 건너 갔음을 뜻한다. 바야흐로 미 ·소관계는 전반적으로 대립과 분쟁을 지양하고 협력 과 안정을 기반으로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미소간의 새로운 데땅뜨는 그동안 두나라가 첨예하게 대립해온 동아시아의 국제 질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소련과 중국의 화해와 일본과 소련의 관계개선이 이루어지면서 동아시아에서도 새로운 질서가 구축되고 있는 것이다. 유럽에서의 빠른 데땅 뜨흐름에 비추어 보면 동아시아의 새로운 질서는 아직은 데땅뜨로의 전환기에 머무르고 있 다고볼 수 있다. 그러나 동아시아의 평화를 정착하기 위해서는 한반도의 평화정착이 기본적 이라는 인식을 미 · 일 ·중 ·소 네나라가 모두 같이하고 이를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 어 동아시아의 화해적 협력구조는 전망이 밝다고 할 수 있다. 북한은 최근 사회주의 권의 변화와 어려운 경제사정의 타개 그리고 새롭게 구축 되고 있는세계질서에 적극 적응하기 위해 대외정책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유엔에의 단독 가입, 일 본과의 적극적인 수교교섭, 미국과의 접촉과 교류의 확대 등은 새로운 외교정책임 에 틀림없 다. 89년부터 일기 시작한 사회주의권의 변혁에 북한은 대단히 방어적인 태도를 견지해 왔다. 즉 북한은 외부의 변화압력에 대해 '우리식대로 살자'는 전략을 내세워 대응해 온 것이다. 그러나 최근의 내외환경의 변화가 초래한 경제 및 외교적 도전은 '북한식 사회 주의'의 방파제를 위협할 정도로 벅찬 것이 되었다. 북한이 '홀로서기 식'정책을 고수하면 할수록 1990년대의 로빈손 크루소에 지나지 않음을 보여줌을 북한의 지도층은 인식하게 된 것이다.북한은 그동안 지키고 발전시켜 온 사회주의 체제를 유지시켜 가는일이 급선무라고 판단하고 있다 이와 같은 위기인식은 북한으로 하여금 적극적인 대외경제개방화와 일본 그 리고 미국에의 적극적인 접근노력을 기울이게 하고 있다. 또한 통일문제에서도 공존체제에 보다 주력하는 방향을 북한은 나아갈 것이다.동아시아의 평화와 한반도의 긴장완화라는 새로운 정치적 흐름은 동아시아지역의 경 제가 상호의존성을 높이는 협력체제를 구축하게 하고 있다. EC와 미-카나다 자유무역지대 등과 같은 세계경제의 (지역울타리 쌓기)추세에 발맞추어 아시아-태평양협력체제구상에서부 터 동아시아경제권 형성에 이르기 까지 여러가지 형태의 경제공동체 형성노력이 나타나고 있다. 동아시아국가간의 교류와 협력이 가속화되는 동아시아의 새 질서속에서 한 · 일 증 ·소 ·미국이 서로 교차하는 제주도의 국제적 위상은 크게 변화할 것이 틀림없다.지난 4월 고르바초프는 제주방문이후 제주도자체에 대한 동아시아시대의 지정학적 내지는 경제지 리적 가치 등이 새롭게 조명되면서 동아시아의 변화에 따른 제주도의 국제화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우선 제주도는 앞으로 동아시아의 평화와 안정을 정착시키는 '제2의 제네바'와 같 은 역할을 수행해 나갈 것이다. 국제평화기구, 국제분쟁조정기구, 평화박물관·등이 제주도 에 설치되어 동아시아의 평화를 정착시키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둘째로 동아시아 경제공동체 형성과 관련하여 제주도가 그 연결고리의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소련 ·중국 · 일본을 있는 극동권과 동아시아지역과 태평양연안국가 그리고 유럽을 잇는 해운 ·항공교통의 중심지로 제주도가 각광을 받을 것이다. 이는 제주도가 동 아시아에서의 국제교역의 센터로 발전되어 갈 것을 예고하는 것이다.셋째로 제주도는 지리적 ·문화적 특성으로 인해 동아시아의 사회 ·문화 공동체 형성에 이바지할 학술 ·문화의 교류센터로서의 역할도 기대된다.이렇듯, 동아시아의 변화는 제주도의 국제화를 촉진하고 있다. 이에 대한 준비를 도 민의 중지와 합의를 바탕으로 그리고 중앙정부와의 연계속에 착실히 진행시켜야 할 시점에 와 있다

      • INTERNATIONALIZING CHEJU ISLAND : A View From Abroad

        Shon, Jim 제주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1991 東아시아硏究論叢 Vol.2 No.-

        국문요약역사적으로 제주도가 고립된 섬이라는 인식은 기본적으로 잘못된 생각이다. 제주도는 이미 오래전부터 일본 중국들의 동아시아 국가들과 교류해왔고 특히 지정학적 위치에서 볼 때 제주의 중요성은 더욱 새롭게 인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주를 중심으로 약 1,500킬로미터의 반경에는 동경, 북경, 상해, 대만, 오키나와, 평양 및 서울의 약 8억3백만의 인구가 살고 있다. 제주를 자유무역지역으로 개발하자는 논의는 여러번 있었다. 특히 1983년에는 미국의 다국적 기어인 백텔이 한국의 연구소로부터 연구용역을 받아 조사한 바에 의하면 제주는 세계의 어느 지역 못지않게 국제화된 도시로서의 잠재성을 지니고 있다고 평가했다. 특히 백텔은 제주가 국제무역지대로 성공하기 위해서는 훌륭한 기업유치계획, 호텔 및 주거환경이 개발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지금까지의 제주도는 관광을 하기는 좋은 지역이나 기타 산업 및 기업들의 경제활동을 의해서는 좋은 곳이 아니라는 인식이 팽배하다. 제주가 이러한 지역이 되기 위해서는 단순히 비지니스만을 위한 「국제비지니스센터」와 같은 것만이 되어서는 안된다. 예를 들어 하와이는 제주처럼 관광산업이 잘 발달되어 있지만 여러인종이 모여사는데 아무런 불편이 없다. 특히 「마츠나가 평화연구소」같은 훌륭한 연구기관이 있어서 국제화에 기여하고 있다. 사실상 국제화에 이러한 대학연구기관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고 말할 수 있다. 제주가 국제화될려는 노력은 기울이면서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 바로 환경문제이다. 이것을 위해서는 제주도청에 「환경과」같은 것을 두어 실제적으로 관심을 가져야 한다. 특히 개발계획은 극도로 계획적이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제주국제화의 실질적 방안으로 다음의 것을 제시한다. 첫째, 국제연구소의 설립필요성, 이것은 제주대학교 부설 가칭 「평화외교연구소」같은 것을 통행서 실현시킬 수 있다. 이것을 통해서 아시아지역의 분쟁을 해결, 중재하는 ?샵, 국제회의를 개최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이 연구소는 회의장 시설 거주지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제주발전은 환경을 중요시하는 계획으로 나가야 한다. 이것을 위해서 엄격한 도시 계획법시행. 특정지역 (예를들어 성산포 인근지역)의 개발제한, 제주민들을 위한 종합적이고 합리적인 개발계획, 제주도의 개발을 자문하는 공정한 기구의 구성 및 민주적 절차가 중요시되는 제주민들의 참여가 중요하다.

      • 한반도 냉전구조의 해체와 동북아시아 협력

        박상식 제주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1999 東아시아硏究論叢 Vol.10 No.-

        우근민 제주도지사님, 조문부 제주대학교 총장님, 김부찬 제주대 동아시아 연구소장님 그리고 이 자리에 참석해 주신 신사숙녀 여러분: 20세기의 마지막을 장식하고 새로운 밀레니엄의 시작을 눈앞에 두고 있는 오늘날의 국제정세는 몇가지 점에서 과거 냉전시기와 다른 현상들을 보이고 있습니다. 우선 냉전시기에는 미국과 소련을 중심으로 한 양극체제가 국제관계의 특징이었으나 탈냉전시기에는 미국이 유일의 초강대국으로 등장 범세계적 주요문제에 직접 개입하는 1극체제가 형성되었다는 점입니다. 그러나 미국이 비록 군사적으로는 절대적인 힘의 우위를 점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미국 단독으로 세계의 모든 문제들을 해결할 수 없을 만큼 오늘날 세계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즉 국가간에 정치, 군사적 대결위협은 감소된 반면 상대적으로 국가 냉서의 종교, 인종, 종족분쟁 등이 증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경제분야를 중심으로 세계화가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이와 함께 단일국가의 노력이나 정책만으로 해결하기 힘든 환경, 마약, 인권, 테러리즘과 같은 범지구적 문제가 국제사회의 새로운 이슈로 떠오르게 되었습니다. 이와 같은 변화는 국가간 상호의존성과 상호갈등을 동시에 증대시키고 있습니다.

      • 韓·美關係의 展望

        文大彈 제주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1992 東아시아硏究論叢 Vol.3 No.-

        要地한국은 對蘇聯 封鎖政策이라는 미국의 世界戰略에서 하나의 전초기지 역할을 해 왔으며, 韓 ·姜 兩國은 軍事 ·安保政策에서 이해관계의 일치를 보여 왔다. 그러나 지난 몇 년 동안 공산진영 붕괴와 냉전종식 등 세계정세의 지각변동에 따라 한반도 의 전략적 의미는 변화하고 있다. 이에 덧붙여 미국의 재정 및 무역적자로 인한 國 防費 삭감 등 미국의 國內政治 ·經濟的 요인으로 미국의 東아시아 전략은 수정이 불 가피하게 되었고, 2000년까지 3단계에 걸친 驗韓美軍을 포함한 東아시아 駐屯美軍 의 감축계획이 발표되었다. 이러한 배경속에서 韓國軍의 독자적 전력 증강과 방위 비 분담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外交 安保에 관해 한국의 자주성과 국가이익이 부 각되면서 韓 ·美關係는 일방적 의존관계에서 「동반자적 협력관계」잘 향해 수정되고 있다.그러나 駐韓美軍의 전략적 의미가 감소된다고 할지라도 璉 ·太地域은 미국의 국 가이익에 있어 경제는 물론 政治 ·軍事的으로 유럽에 못지않은 중요성을 띠고 있는 바 東아시아에 불안정 요인이 제거되고 한반도에 평화가 보장될 때까지 韓 ·美 안보 체제의 골격은 상당한 기간동안 변화되지 않을 것이다.한편 한반도에서 전쟁의 위험이 상대적으로 감소됨에 따라 韓 ·美관계에서 安 保 ·軍事보다는 경제와 무역의 측면이 부각되면서 양국간 무역갈등이 표출되고 있 다.그러나 무엇보다도 미국은 한국이 이미 극동지역의 안보를 위해 60만 대군을 유 지하고 GNP의 5∼6%를 방위예산에 투입하고 있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한국의 경제안정은 한국의 민주발전은 물론 한 ·미 유대관계를 튼튼히 하는 요건이 될 것이 며, 그것은 다시 東아시아 安保의 디딤돌인 것이다.앞으로 21세기를 향하여 미국의 經濟 政治的 국내정세가 어떻게 바필것이며 세 계적 냉전해소에 따라 한반도를 둘러싼 中國 · 日本 등의 역학관계가 어떻게 전개될 지는 두고 볼 일이지만 통일 이후까지도 한반도에 미군을 주둔시키겠다는 미국이 한 국의 安保 전략적 가치를 인정한다면 友好協力 관계에는 아랑곳하지 않는 무차별적 인 통상압력을 제고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