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남북한의 언어 규범

        황경수 淸州大學敎 學術硏究所 2005 人文科學論集 Vol.31 No.-

        The object of this study is concerning about korean language. As a result, the language norm due to language policy sets up different each other on the basic of that context this study look into the case and efferts of different situation between 'Hangulmachumbeop', Stundard pronunciation, Standard language norm, Orthography of Loanwords, Romanization that devised in 1988 by South Korea and 'Goseonmalgyubeomgip' that devised in 1987 by North Korea. It is commonly infers a cause from a different language norm of which has it origins under the each nation to prescribe the dialects setting up the language norm.

      • 중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의존명사의 통합관계

        황경수 청주대학교 학술연구소 2004 淸大學術論集 Vol.2 No.-

        Is this study, the bound nouns are investigated syntactically and semantically. Therefore, in this thesis, the definition of the bound noun was made in the first place, and the criteria to distinguish the bound noun from the other-free nouns and suffixes were established. On the basis of criteria were the examples of the bound noun classified into two distinction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concluded as follows: A bound noun, unlike the free nouns, cannot be used alone, and should be preceded by an-nominal form-adnomial form of a predicate, substantive, or demonatrative ad-nominal form. The bound noun can be distinguished as follows: First, the bound nouns are dependent. Second, the ones have constraints in synthetic relation. Third, they must be attached to a definite article. Fourth, they must can case-ending. Finally, they must be nouns.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a bound noun and a free one, a bound noun and a clitic, a bound noun and a suffix, and a bound noun and the final ending are discussed on the basis of the above-mentioned content. Final ending {-ㄴ, -는, -ㄹ} : geos(것), noleus(노릇), daelo(대로), de(데), deus(듯), mankeum(만큼), moyang(모양), ba(바), beob(법), bun(분), sem(셈), su(수), yang(양), i(이), jul(줄), jung(중), tas(탓), teo(터). Final ending {-ㄴ, -는} : balam(바람), cheog(척), pyeon(편). Final ending {-는} : deung(등), ttawi(따위). Final ending {-ㄹ} : gyeoleul(겨를), ttaleum(따름), ppun(뿐), jigyeong(지경). Without Final ending {-ㄴ, -는, -ㄹ} : deungdeung(등등), ttaemun(때문).

      • 建築物의 리모델링 特性과 活性化 方案에 관한 硏究

        황경수,이상우 경기대학교 부설 산업기술종합연구소 2001 산업기술종합연구소 논문집 Vol.22 No.-

        The various architectural movements to avoid the functionalism in morden architecture have tried. In these present days, architecture movement hold the concept of remodelling in common. This study aims to propose architectural remodelling analysis methodology which quantifies the new movement.

      • 후레이크狀 보리 加工製品 開發에 關한 硏究

        黃敬銖 부산여자대학 1987 釜山女子專門大學 論文集 Vol.9 No.-

        우리의 식생활에 있어서 쌀과 함께 가장 중요시 되어 온 보라는 중앙아시아 및 중국의 강서지역이 그 원산지로서 한반도의 기상 및 지질에도 적합하다. 한반도 내 에서의 재배지역은 그림 1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영하 60C 이상인 남반부에 치우쳐 있다. 보라는 껍질이 종실에 밀착하여 분리되지 않는 겉보리(皮麥 또는 大麥. Covered barley or Hulled barley) 와 성숙 후에 껍질이 종실에서 잘 분리되는 쌀보리( 麥 또는 麥,Naked barley or Unhulled barley)가 있는데 이중 쌀보리는 재배역사가 짧고 추위에도 약하며 남부의 따뜻한 지방에서 주로 재배되어 왔으나 겉보리보다 수량이 많고 수확도 빠르며 탈곡 조제에도 편리한 경향이 있어 그 재배가 안전한 호남지방에서는 보리 수확량의 거의 대부분인 약 99% 가 쌀보리이나,영남지방에서는 전체 보리 생산량의 25.9% 만을 쌀보리가 차지하고 있다. 즉,겉보리의 주산지는 경남북 및 충남북으로 이 지역 보리 총 생산량의 86.6% 를 차지하고 있으며,쌀보리의 주산지는 전남 북과 경남 및 충남의 일부 지방으로 총 생산량의 94.6% 를 차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보리는 벼 재배후의 유휴경작지 이용의 변에 있어서도 그 중요성이 큰 작물로서 그 대부분이 식용으로서 소비되고 있다.

      • 大豆蛋白을 利用한 植物性치즈 開發에 關한 硏究

        黃敬銖 부산여자대학 1989 釜山女子專門大學 論文集 Vol.11 No.-

        It was attempted to prepare a cheese-like product using soybean protein as a substitutive casein source. The best quality of curd was obtained from the soybean milk prepared by the heating condition for 20 minutes at 90 - 950C. In contrast to the curds prepared by adding lactic acid, glucono-delta-lactone or various calcium salts as a coagulant to soybean milk, much better one was made by the lactic fermentation with 10 % of mixed starter culture containing equal volume of Streptococcus lactis, Streptococcus cremoris, Streptococ-Cus thermophilus and Lactobacillus bulgaricus. Although the product obtained from only the soybean milk was resulted in the lowest sensory acceptance, the sensory properties of soybean cheese-like products were improved markedly by the homogenization process with the milk fat, hardened vegetable fat or Na-caseinate, etc .. With increasing of ripening period at 100C, RH 85 % the textural and flavor qualities were improved gradually and characteristic beany flavor was decreased to lesser extent.

      • KCI등재

        신문 언어의 오류 양상에 대한 고찰

        황경수 한국국어교육학회 2011 새국어교육 Vol.0 No.87

        이 연구는 일간 신문의 언어 오류 양상에 대하여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다. 대중매체인 신문은 수용자에게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며, 즐겁게 하고, 계도하여 여론을 형성하는 구실을 한다. 신문에 쓰인 언어는 불특정 다수의 수많은 독자에게 국어 습득과 학습, 가치 체계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 것이 사실이다. 이 연구는 신문의 언어 오류 양상에서 ‘형태에 관한 것’으로 ‘어미, 접미사, 준말’, ‘띄어쓰기 규정 준수 여부’로 ‘조사, 의존 명사,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 및 열거하는 말’, ‘문장 부호의 오용 여부’로는 ‘마침표, 쉼표’ 등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우리말 관련 신문 언어들이 더욱 짜임새 있는 형식을 통해 올바르고 정확한 내용이 전달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study of the daily newspaper in the language error patterns were examined. As a result, 'On the form', 'Compliance with spacing word', 'The misuse of punctuation marks' and there was an error in very different ways. Which relates to the form 'endings, suffixes, abbreviation' compliance with word spaces 'postposition, bound nouns, and to enumerate a unit of Horse', or include the misuse of punctuation marks 'periods, commas' and the error Was found. Language newspaper articles is a very important role. However, it is unfortunate that many errors seem. Therefore, in order to eliminate errors in newspaper language newspaper in the language of the people involved in making a mistake should be pointed out. And this should be a fundamental analysis. Also, write correctly, and an aggressive public relations should reflect on that. Analysis for various newspaper language are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