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EDI 모듈의 성능 향상을 위해 개질된 Poly(Styrene Ethylene Butadiene Styrene)계 음이온 교환막 제조 및 특성평가
고태호,임광섭,정지혜,남상용 한국공업화학회 2018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8 No.0
현재 Electrodeionization(EDI) 공정은 이온교환수지가 양이온 교환 막과 음이온 교환 막 사이에 채워진 형태로 제조되는 전기투석법과 이온교환수지법이 혼합된 공정이다. 이온교환용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온교환입자가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모듈 사이즈가 커지는 단점이 있다. 추가로, 이러한 모듈은 이온교환물질의 높은 성능이 요구된다. 때문에 모듈 사이즈를 소형화가 필수적이고, 이온교환용량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높은 이온교환소재의 이온교환용량 값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모듈보다 더 높은 이온교환용량 성능을 갖기 위하여 기존 상용 음이온교환막보다 이온교환능력이 더 높은 poly(styrene-ethylene butadiene-styrene)계 고분자를 chloromethylation과 amination통해 고분자를 개질시켰다. 또한 개질된 SEBS계 고분자를 이용하여 음이온교환막을 제조하고 다양한 특성평가를 진행하였다.
유사크기 단백질 분리를 위한 Poly Sulfone계 분리막의 제조 및 제타전위 측정
고태호,손태양,남상용 한국공업화학회 2018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8 No.0
현재 사용되고 있는 단백질 분리 공정에서 가장 큰 문제점은 공정의 시간이 길고 고비용이라는 단점을 갖고 있다. 때문에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membrane을 이용한 공정들이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단백질 분리 공정에서도 단백질 크기와 막 표면의 전하 차를 이용한 분리 공정이 관심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유사크기 단백질 분리를 위해 개질된 Poly Sulfone을 통해 solution을 제조하여 membrane을 제조하였다. 본 solution을 얇게 casting하여 Distilled Water을 이용한 상전이법을 통하여 membrane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membrane은 FT-IR, H-NMR을 이용하여 structure를 확인하였다. 또한, membrane의 특성평가를 진행하고, pH에 따른 전위차를 측정하여 표면의 Zeta Potential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