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물의 변신과 정체성 문제를 중심으로 한 아동문학교육 연구

        홍인영(Hong, In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3

        목적 이 논문은 아동문학에 나타난 변신 모티프에 대해 정체성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인물의 변신과 정체성 문제를 통한 동화 읽기 교육을 모색한다. 방법 연구 대상으로 정체성을 탐색하기에 적합한 동화를 선택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인물 변신 모티프에 주목하였다. 동화는 아동의 성장과정에서 일어나는 정체성 문제를 세밀하게 다루고 있으며, 그것을 드러내는 장치로 변신을 효과적으로 활용한다는 점에서 교육제재로 적합하다. 연구방법은 Marcia의 정체성 이론을 토대로 했으며, 정체성 상태의 네 가지 분류인 성취, 유예, 상실, 혼미를 기준으로 각 작품의 인물 변신에서 드러나는 정체성을 파악하였다. 결과 송미경의 「귀여웠던 로라는」, 「나를 데리러 온 고양이 부부」, 「어른 동생」을 대상으로 인물의 변신 양상 및 정체성 단계를 분석한 결과 ‘변신의 확장을 통한 정체성 ‘상실’의 탈출’, ‘변신 주도와 정체성 ‘성취’로의 노력’, ‘연기(演技, acting)된 변신으로 드러나는 정체성 ‘유예’’를 확인하였다. 결론 이를 바탕으로 한 동화 읽기의 방향으로는 ‘정체성 인식의 필요성 자각: 변신하는 인물의 심리에 주목하여 읽기’와 ‘정체성 ‘성취’의 조건 확인: 능동적 변신에 영향을 끼친 요소를 파악하며 읽기’, 그리고 ‘다중 정체성의 이해: 변신을 지향하는 인간의 본성을 이해하며 읽기’를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ransformational motifs in children s literature focusing on identity and to seek educational contents of reading fairy tales through the transformation of characters and identity issues. Methods Fairy tales suitable for exploring identity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subject, and among them, character transformation motifs were focused on. Fairy tales are suitable as educational materials in that they deal with the identity issues that occur in the process of children s growth in detail and effectively use transformation as a device to reveal them. The research methods were based on Marcia s identity theory, and the identity revealed in the character transformation of each work was identified based on the four classifications of identity status: achievement, moratorium, foreclosure, and diffusion.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ransformation patterns and identity stages of characters in Song Mikyung s 「Cute Laura」, 「The Cat Couple Who Came to Pick Me Up」, and 「Adult Brother」, ‘Escape from ‘foreclosure’ of identity through the expansion of transformation’, ‘Leading transformation and efforts to ‘achievement’’ and ‘Identity ‘moratorium’ revealed through the pretending transformation’ were confirmed. Conclusions Based on this, the direction of reading fairy tales is ‘awareness of the necessity of identity recognition: reading with attention to the psychology of the character who is transforming’, ‘confirming the condition of identity ‘achievement’: reading with consider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d active transformation’, and ‘Understanding multiple identities: reading with understanding the nature of human beings toward transformation’ was proposed.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음악잡지 인터뷰의 서사적 특성 연구

        홍인영(In-Young Hong) 한국문화교육학회 2017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2 No.1

        이 논문은 클래식 음악 잡지에 실린 인터뷰의 서사적 특성을 분석하여 인터뷰 서사가 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서양고전음악 수용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밝히고자 했다. 인터뷰 서사는 개인을 재현하는 데 효과적으로 고안된 양식으로 음악가를 대상으로 하는 인터뷰는 음악가의 성장 배경에서부터 음악교육 및 수련의 과정, 사사받은 스승과의 관계, 음악가로서의 정체성, 한국에서 서양고전음악 전공자로서 살아가는 것의 의미 등을 다루며 음악가 개인을 재현한다. 음악가의 서사는 독자(청중)와 음악을 매개하며 인간성이 부여된 존재로서의 특질은 음악을 감상하는 활동에 구체성을 부여한다. 클래식 음악 잡지에 수록된 인물 인터뷰 기사의 서사적 특성을 스토리와 담론의 차원에서 분석한 결과 독자가 음악 잡지 인터뷰 서사를 통해 클래식 음악을 둘러싼 사회·문화적 인식을 확인하는 한편 고급문화로만 여겨지던 서양고전음악 문화를 간접적으로 경험하고 클래식 음악에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다는 점에서 문화예술교육의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roles of interview narrative in acceptance of occidental classical music as culture and arts Education by analyzing narrative features of interview published on the musical magazine. The interview narrative is a form designed to represent the individual effectively so it represents personality of musician through describing the growth background, the education and training course, relationship with teacher, the identity as occidental classical musician in Korea. The narrative of musician mediates relationship between the reader(audience) and the music and adds concreteness on the activity to listen to classical music. This study analyzed narrative features of personal interview published on the musical magazine in dimensions of ‘story and discourse’ and discovered several features. The reader is able to identify the socio-cultural recognition surrounding occidental classical music and experience indirectly the classical music culture considered as high culture and approach familiar the music through the interview narrative in musical magazine.

      • KCI등재

        문학창작교육을 위한 소설 이어쓰기 사례 분석 - 황순원의 「소나기」이어쓰기 텍스트를 중심으로 -

        홍인영 ( Hong In-young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21 어문론총 Vol.88 No.-

        이 논문은 문학창작교육의 방법으로 소설 이어쓰기를 제안하기 위한 시론(試論)으로서 황순원의 「소나기」에 대한 이어쓰기 텍스트를 분석하여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디지털 미디어의 발달로 콘텐츠 생산이 손쉬워진 시대에 사람들은 창작이라는 보다 적극적인 방식으로 문학을 향유하게 되었다. 창작 방법의 하나인 이어쓰기는 원작에 변형을 가한다는 점에서 일종의 각색이자 재구성으로 볼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독자의 텍스트 이해도와 상상력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교육적 활용도가 높다. 창작교육 연구사 및 작품 재구성 논의를 바탕으로 이어쓰기 텍스트인 『소년, 소녀를 만나다』를 분석한 결과 ‘정서의 직접적 연장’, ‘새로운 인물의 개입’, ‘시간의 확장’이라는 양상을 확인하였다. 이 양상들은 원작을 기준으로 하여 어떤 변형을 가했는가, 혹은 얼마만큼의 정서적·시간적 거리를 지니는가에 대한 응답이다. 이를 토대로 제시한 문학창작교육의 방향은 첫째, 원작의 이해를 심화시키는 이어쓰기를 지향한다, 둘째, 이어쓰기 전과 후에 원작 및 이어쓰기 텍스트의 해석에 대한 독자 간의 소통을 수행한다, 셋째, 탈경계적인 이어쓰기 방법을 구상한다,이다. 후속 연구에서는 전문작가의 창작 사례가 중등문학교육에 유의미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구체적인 교육 내용을 설계하는 방향으로 논의를 이어갈 것이다. This thesis aims to identify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analyzing Hwang Sun-won’s “Sonagi” as a theory to suggest writing sequels of novels as a method of creative writing education. In the current age, where content production has become easy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people prefer literature by using a more active way called creation. Writing Sequels, one such creative method, can be studied as a form of adaptation and reconstruction in that it transforms original work. This method also allows for the check of the reader’s text comprehension and imagination; hence, it has significant educational use. Based on prior research on creative education and the discussions on reconstruction of works, an analysis of the sequel text, “Boy and Girl Meets” determined aspects such as “direct extension of emotion”, “intervention of new characters”, and “extension of time”. These aspects note the responses about changes from the original work, and their emotional and temporal distances. Based on this study, the following directions are identified for creative writing education: First, it aims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the original work; Second, it creates a dialogue about the readers’ interpretations of the original work before and after the sequel. Moreover, it offers a method for cross-boundary writing sequels. The follow-up study will continue to discuss designing specific educational contents so that the creative works of professional writers can be meaningfully linked to secondary literary education.

      • KCI등재

        문학교육 제재로서 박완서 소설의 수록 양상 고찰

        홍인영(Hong In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4

        이 논문은 박완서의 여러 소설 작품에 주목하여 작품이 교과서의 학습 제재로 쓰일 때 교육적 구체화 양상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 대상은 현행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에 해당하는 2015 개정 교육과정 및 2012 개정 교육과정 시기의 『국어』와 『문학』 교과서이다. 자료의 탐색을 통해 귀납적으로 도출한 범주는 수사학적 접근, 사회·문화적 맥락의 고려, 텍스트의 자기화, 심미적 삶에 대한 고찰이 다. 분석 결과 박완서의 작품은 사회·문화적 맥락의 고려와 관련된 학습내용을 다룰때 가장 많이 쓰이고 있었다. 박완서 소설의 분단소설적·세태소설적 특징은 문학교 육에서 주목하는 문학과 사회의 관계, 공동체 문화, 자아를 둘러싼 세계와의 소통 등을 학습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15 개정 교육과정기에서 두드러진 특징으로 텍스트의 자기화를 들 수 있다. 박완서의 소설은 자전적 체험을 바탕으로 하여 각 연령대별 성장담을 충실하게 재현하고 있으며 타자와의 관계에 대한 성찰이 내밀하게 드러나 청소년기 학습자가 문학작품을 경유하여 자신의 삶을 돌아보고 연관성을 탐구하기에 적절하다. 그에 비해 수사학적 접근과 관련하여 박완서 작품이 교육 제재로 선정된 경우는 그 횟수가 2012 개정 교육과정기에 비해 줄어들었으며, 심미적 삶에 대한 고찰의 영역 또한 2015 개정 교육과정기 교과서에서는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고찰을 바탕으로 박완서 작품을 문학교육의 제재로 삼을 때 고려할 점으로 첫째, 사회적 맥락의 고려 차원에서 박완서의 작품을 다룰 때 보다 풍부한 곁텍 스트를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고, 둘째, 텍스트의 자기화와 관련하여 박완서 소설이 다룬 다양한 주제로 폭을 넓혀 노년과 죽음을 다룬 소설 등도 교육 제재로 삼을 수있음을 논의하였다. This paper focuses on various novels of Park Wanseo and aims at examining the aspect of educational materialization when the works are used as learning materials of textbooks. The subjects of analysis ar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extbook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he 2012 revised curriculum of the current high school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e categories derived from the research of data are ‘rhetorical approach’, ‘consideration of social and cultural context’, ‘personalization of text’, and ‘contemplation of aesthetic life’. As a result of analysis, Park’s work was most often used when dealing with learning contents related to consideration of social and cultural context. The characteristics deal with division narrative and manners narrative of Park Wanseo’s novels were found to be suitable for learning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society, community culture, and communication with the world around self. And the prominent feature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s ‘personalization of text’. Park Wanseo’s novels faithfully represent the growth stories of each age based on the autobiographical experience, and her novels reveal introspection about the relationship with the other, so that adolescent learners can look back on their lives through literary works.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times that Park Wanseo’s work was selected as an educational material in relation to the ‘rhetorical approach’ was reduced compared to the revised curriculum period of 2012, and the area of ‘contemplation of aesthetic life’ was also not seen in textbook of 2015 revised curriculum. Based on the above analysis, the following points should be considered when making Park Wanseo’s works as a material for literary education. First, it is better to use more abundant paratexts when dealing with the works of Park in the ‘consideration of social and cultural context’. Second, regarding the ‘personalization of text’, it can be broadened to various subjects covered by Park’s novels, for example, novels dealing with old age and death can be used as educational material.

      • KCI등재

        소설 문체 교육의 구현 양상 검토

        홍인영(Hong, In-young) 우리말글학회 2016 우리말 글 Vol.71 No.-

        이 연구는 소설 문체 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지향점을 도출하기 위해 소설 문체론에 대한 논의를 살피고 교육과정과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소설의 문체를 다루는 양상을 분석하였다. 교과서에서 문체를 다루는 내용이 수록된 단원은 대체로 ‘문학의 수용과 생산’에 집중되어 있으며 단원 분류에 따른 학습 목표는 해당 영역의 교육과정 성취기준인 ‘작품은 내용과 형식이 긴밀하게 연관되어 이루어짐을 이해하고 감상하며 창작한다.’를 반영하였다. 단원 개관에서는 학습자의 눈높이에 맞추어 문학의 내용과 형식을 용액과 그릇 등에 비유했는데, 이분법적 사고를 지양한다는 서술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와 같은 비유로 인해 내용과 형식을 분리해서 인식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5종의 교과서에서 문체교육의 제재로 다루는 작품은 채만식의 「태평천하」, 박태원의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이문구의 「유자소전」, 손창섭의 「비오는 날」, 박민규의 「그렇습니까? 기린입니다」이다. 문체 교육의 핵심이 되는 학습활동 분석에서는 질문에 직접적으로 문체적 특성을 명시하거나 주제와의 일관성을 강조하는 점, 포괄적인 질문 등을 지적하고 보완 방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다른 작품과 함께 읽기를 유도하는 학습활동의 의미에 대해서도 논하였다. 소설 문체 교육의 지향점으로는 단계적 발문 제시 및 문체 개념의 명확화, 독자의 정서적 반응 중심의 문체 파악, 상호텍스트적 읽기를 통한 문체 이해를 제안하였다. This article aims at grasping the current state of education of the style of novel and groping for the direction. So this article reviewed some theoretical premises of stylistics and analyzed the aspects treating style of novel in curriculum and highschool literature textbook. The unit title of textbooks treating style of novel is generally ‘the reception and the production of literature’, the learning goal reflects the achievement standards - ‘Understand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ntent and the form in work and appreciating and creating the work’. The overview of unit use the simile like ‘the liquid and the bowl’ explaining ‘the content and the form’ for the viewpoint of learners. But it is apprehended that this form of description could lead to the dichotomous perception about content and form although there are the indicating of textbook’s stance sublating the dichotomous perception. The novels as material of the style education in textbooks are Chae Mansik’s Taepyungchunha, Park Taewon’s One Day of a Novelist, Mr. Gubo, Lee Moongu’s YuJ asojeon, Son Changsub’s Rainy Day, Park Mingyu’s Is that so? Giraffe. By analyzing learning activity, this paper pointed out some problems- specifying directly the stylistic traits on the question, emphasizing the consistency between the style and the theme, and not detailed question- and suggested the directions of supplementation, discussed the meaning of learning activity guiding intertextual reading. It is recommended to educate of style of novel through considering that- phased suggestion of the question, clarification of the style’s concept, consideration of learner’s affective reaction and intertextual reading.

      • KCI등재

        소설 속 프레카리아트 인물 읽기

        홍인영(Inyoung H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2

        목적 이 논문의 목적은 조해진의 「하나의 숨」(2019)에 등장하는 불안정 노동에 종사하는 인물에 주목하여, 인물이 겪는 프레카리아트로서의 특성을 분석하고, 소설을 읽은 대학생 독자의 반응을 바탕으로 프레카리아트 인물이 등장하는 소설 읽기의 교육적 함의를 도출하는 것이다. 방법 「하나의 숨」에 등장하는 프레카리아트 인물에 대해 프레카리아트를 ‘형성 중인 계급’으로 보는 정치⋅사회학적 관점과 인간 존재라면 누구나 취약성을 가질 수밖에 없다고 보는 실존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새로운 계급으로서 프레카리아트가 놓인 현실과 상황의 묘사, 프레카리아트로서 타인과 상호작용을 하는 과정에서 겪는 불안과 소외, 그리고 실존적 취약성이 드러난 부분으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독자 반응의 분석은 소설 분석의 이론적 토대인 프레카리아트 이론을 기반으로 하되 비평텍스트를 반복적으로 독해한 후 귀납적으로 발견되는 특징을 반영하여 이루어졌다. 결과 소설은 프레카리아트가 등장하는 사회 현실을 묘사하고 있으며 노동의 불안정성이 야기하는 불안과 소외의 감정, 그리고 정치⋅사회적 차원의 취약성을 넘어서 인간의 실존적인 약함을 그린다. 이에 대해 독자는 인물의 계급적 상황을 사회적인 문제로 강하게 인식하고 그에 대해 비판적인 의식을 갖고 있으면서, 동시에 소설의 인물이 주는 핍진성으로 인해 불안과 공포를 공진(共振)하면서 현상황을 개선해야겠다는 윤리의식을 느끼고, 계급을 넘어서 인간 본연의 취약성에 대한 공감과 연민을 나타냈다. 결론 프레카리아트 인물을 중심으로 소설 읽기를 수행하면서 독자는 인물의 사회적 맥락에 대한 심화된 이해를 가질 수 있고, 공동체 구성원으로서의 책무감을 인식하며, 보편적인 공감을 획득할 수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racter as a precariat, focusing on the unstable labor character in Cho Hae-jin's “Hana's Breath” (2019), and to derive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reading a fiction based on the response of a college student reader. Methods The framework of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 as a precariat in “Hana's Breath” is two perspectives, one is a political and sociological perspective that sees precariat as a ‘a-class-in-the-making’, and the other is an existential perspective that all human beings have no choice but to have precariousness, that is, vulnerability. The category of analyzing the characters in the fiction is, first, the description of the reality and situation in which precariat is placed as a new class, second, anxiety and alienation in the process of interacting with others as precariat, and third, existential vulnerability. The analysis of the reader's response was based on the precariat theory, and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found inductively after repeatedly reading the critical essay. Results The fiction describes the social reality in which precariat appears, describes the feelings of anxiety and alienation caused by labor instability, and depicts human existential weakness beyond precarity at the political and social level. In response, the reader strongly recognized the class situation of the character as a social problem and expressed a critical consciousness about it. In addition, the reader felt an ethical consciousness to improve the current situation while sympathizing with anxiety and fear due to the persecution of the characters in the story, and expressed compassion for the inherent vulnerability of humans. Conclusions While reading fiction centering on the precariat characters, the reader can have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s social context, recognize the responsibility as a community member, and acquire universal empathy.

      • KCI우수등재

        타자 이해를 중심으로 한 동화 읽기 연구 : 『마당을 나온 암탉』에 대한 전문독자의 비평텍스트를 중심으로

        홍인영(Hong, In-Young) 인문콘텐츠학회 2020 인문콘텐츠 Vol.0 No.56

        『마당을 나온 암탉』은 출간된 이후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은 콘텐츠이다.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동화이지만 성인이 읽기에도 충분히 감동받을 만한 요소가 많으며 문학적 성과의 측면에서도 호평을 받았는데, 이 연구에서는 그 가치를 인간 보편이 추구하는 타자 이해와 사랑의 덕목에서 찾는다. 이 연구는 동화 읽기에서 드러나는 타자 이해의 양상을 확인하여 작품이 지닌 의미가 독자에게 어떻게 해석되고 소통되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전문독자의 비평텍스트로서 실제 독자의 반응을 살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연구방법으로 가다머의 타자 이해 이론을 검토하였으며 논의의 범주는 ‘지평융합의 실패에 대한 인식’, ‘반성적 상호 대화를 통한 정체성 실현에의 주목’, ‘이해를 넘어선 책임 윤리의 가능성 발견’으로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 지평융합의 실패와 관련하여 잎싹과 초록머리에 대한 배제와 차별이 발생한 것에 주목하는 독자, 그리고 이러한 타자 이해의 부재를 동시대 다문화 현실에서의 문제로 확장한 독자를 살펴보았다. 반성적 상호 대화를 통한 정체성 실현에 주목하는 해석에서는 초록머리를 지키려는 잎싹의 모성과 자기 새끼를 지키려는 족제비의 모성이 맞물리는 장면에서 잎싹의 자기 이해 실현을 발견한 경우, 초록머리와 잎싹의 상호 대화에 초점을 두고 초록머리를 통해 하늘을 날고 싶은 욕구를 인식하는 잎싹에 대해 의미화한 경우를 확인했다. 이해를 넘어선 책임 윤리의 가능성을 발견한 비평텍스트로는 작품의 결말에서 잎싹이 선택한 죽음에 대한 해석, 그리고 그에 앞서 등장한 나그네의 희생을 레비나스의 초월성으로 바라본 사례를 다루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통해 타자 이해의 문제를 심화 및 확장할 수 있는 또 다른 작품을 모색하거나, 독자층을 다변화하여 타자 이해의 수용 및 해석 양상을 살필 것을 기약한다. “The Hen Who Dreamed She Could Fly” has been loved by many people since its publication. Although this work is a fairy tale targeting children, there are many elements that adults can be impressed with enough to read, and it has been well received in terms of literary achievements. In this study, its value is found in the virtues of understanding others and love pursued by human universal. This study aims to uncover how the meaning of the work is interpreted and communicated to the reader by confirming the aspect of understanding others revealed in reading children’s story. The subject of study is the critique by professional reader, which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s the actual reader’s response. The research method was based on Gadamer’s theory of understanding others, and the scope of the discussion was set to recognize the failure of the fusion of horizon, pay attention to the realization of identity through reflective dialogue, and discover the possibility of responsible ethics beyond understanding.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readers noticed the exclusion and discrimination of ‘Ipssak’ and ‘Green hair’ in connection with the failure of the fusion of horizon, and the reader’s expansion of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others into problems in contemporary multicultural phenomena. In the interpretation that focuses on the realization of identity through reflective dialogue, the discovery of self-understanding of ‘Ipssak’ is found in the scene where the maternity of her to protect ‘Green hair’ and the maternity of the ‘weasel’ to protect her young are found interconnect, and the signifying aspects about ‘Ipssak’ who recognizes the desire to fly in the sky through ‘Green hair’ are found focusing interactive dialogue between ‘Green hair’ and ‘Ipssak’. The critique that discovered the possibility of responsible ethics beyond understanding included the interpretation of the death chosen by ‘Ipssak’ at the end of the work, and the case of the sacrifice of ‘stranger’ in view of Levinas’s transcendenc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future research will discuss other works that can deal more with the issues of understanding others, and analyze the acceptance and interpretation of others’ understanding through diversifying the reader.

      • KCI우수등재

        차이의 인정을 중심으로 한 「엇박자 D」 읽기와 소설교육적 지향

        홍인영(Hong, In-young) 국어국문학회 2020 국어국문학 Vol.0 No.190

        이 논문은 김중혁의 「엇박자 D」를 타자 이해의 관점에서 읽음으로써 작중인물들이 서로의 차이를 인정하고 관계 맺는 양상을 탐구하며, 이를 바탕으로 차이의 인정을 중심으로 하는 소설교육의 지향점을 제안한다. 논의를 위해 상호주관주의의 관점에서 타자에 대한 인정을 논의한 악셀 호네트의 인정이론을 참고하였다. 호네트의 인정이론이 다른 타자 이론과 다른 점은 첫째, 윤리적 행위 주체가 보편타당한 원칙에 기초해 자신을 반성하는 것이 아니라 타자의 시각을 통해 자기 자신을 반성하는 탈중심화된 주체이며, 둘째, 타자는 주체에게 적극적으로 반응함으로써 주체의 자기의식 형성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능동적 주체라는 점이다. 분석 결과 「엇박자 D」에 나타난 차이의 인정 양상은 ‘‘엇박자 D’에 대한 인정 거부’, ‘인정받지 못하는 또 다른 존재 ‘나’’를 통해 드러난 동일성의 폭력, 그리고 ‘‘엇박자 D’의 정체성 드러내기’, ‘‘엇박자 D’에 대한 인정 및 느슨한 연대의 가능성’을 통한 상호주관적 인정에의 도달로 나타났다. 그리고 소설 분석과 더불어 예비교사들의 학습활동 구성 양상을 바탕으로 도출한 소설교육적 지향점은 첫째, 차이 관련 주제어의 설정 시 선악의 이분법에 매몰되지 않고 주체와 타자의 역동적 관계를 고려할 것, 둘째, 인물의 차별 극복 의지에 주목할 때 극복을 둘러싼 대응 방식 전체를 세심하게 이해할 것, 셋째, 시점 바꾸어 쓰기 활동 시 학습자가 소설의 총체적 이해를 고려하여 타자 이해와 시점 변화와의 관련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교사의 피드백이 구체적일 것, 이상이다. 학습독자는 이 소설을 통해 자기실현에 작용하는 상호관계의 영향 및 타자와 공유하는 인정 방식에 대해 고찰할 수 있으며, 소설교육은 작품의 이와 같은 의미를 강조하고 차이의 인정에 대한 학습자의 관점의 폭을 심화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This paper explores the aspect of characters recognizing each other’s differences and establishing relations with each other by reading Kim Joong-hyuk’s “Off-beat D” from the perspective of comprehension the other, and based on this, suggests the direction of novel education centered on recognition of differences. For this discussion, reference was made to A. Honneth’s theory of recognition which discussed the recognition of the other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subjectivity. What makes A. Honneth’s theory of recognition different is that first, ethical conductor is not self-reflection based on universal principles, but is decentered subject who reflect on himself through the perspective of the other, and secondly, the other is active subject who has a decisive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selfconsciousness of the subject by actively responding to them. The analysis shows that the patterns of recognition of differences are that first, the violence by identity came out through ‘denial of recognition about ‘Off-beat D’’, ‘another unrecognized being, ‘I’’, and secondly, the attainment of an intersubjective recognition through ‘revealing the identity of ‘Off-beat D’’, ‘recognition of ‘Off-beat D’ and the possibility of loose solidarity’. In addition to the analysis of the novel, the following are the novel educational directivity derived based on the pattern of composition of learning activities by pre-service teachers. First, when setting of the keyword related to difference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ther without being buried in the dichotomy of good and evil; second, it is necessary to carefully understand the whole response surrounding the overcoming when paying attention to the character’s willingness to overcome discrimination; and third, when performing a changing viewpoints activity, it is good to have specific feedback from the teacher so that the learner can recognize the relationship between understanding of other and view change by considering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novel. This novel allows learners to explore the effects of interrelationships and the way they share recognition with other working on self-realization. The novel education should be structured in a way that can emphasize the meaning of the work and deepen the learner s perspective on recognition of differences.

      • KCI등재

        한국어 교육에서 이야기의 활용 연구 - 『초등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 교재의 ‘이야기 읽기’ 차시를 중심으로

        홍인영(Hong, inyoung) 중앙어문학회 2020 語文論集 Vol.81 No.-

        이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에서 『초등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 교재의 이야기 활용 양상을 살핌으로써 이야기 제재의 한국어 교육적 의미를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이야기 활용의 교육적 의의를 검토하고, 한국어 교육과정의 이야기 관련 내용을 성취기준, 언어재료, 교수·학습방법 및 유의사항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교재의 분석은 세 가지로 나누어서 학습목표 및 학습내용, 담화 유형, 학습활동의 범주를 기준으로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학습목표 및 내용의 진술 방법은 이야기를 주된 대상으로 하는 교육상황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단원의 학습목표와 해당 단원의 ‘이야기 읽기’ 차시 간의 연관성은 대체로 높은 편이나 모든 단원에서의 이야기 활용 방침은 자칫 도식적인 교재 구성으로 인해 교육적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조정이 필요하다. 두 번째 범주인 담화 유형에서는 동화, 경험서사, 만화, 기타 유형의 텍스트가 수록된 것을 확인하였고,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친근감을 통해 한국어 학습으로 이끈다는 점에서는 바람직하나 이야기의 주제가 일방향적인 교훈 일변도로 되어 있는 것은 지양하고 동시대 학습자의 다양한 가치관과 정서를 고려하는 텍스트 선정으로 나아가야 함을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습활동 범주에서는 대분류 기준 10개 및 소분류 기준 15개를 선정하여 각각의 빈도를 확인하고 각 학습활동의 적합성을 검토하였다. 교재의 학습활동 실행에서는 무엇보다 개별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 진단과 그에 따른 교사의 지원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 연구는 『표준 한국어』 교재 분석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현재시점에서 이야기 제재에 대한 논의가 부족함을 지적하고 이를 보완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니며, 범위를 넓혀 학습 한국어 교육에서 교과별로 이야기를 활용하는 양상의 분석, 한국어 교육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야기 활용 교육의 효용성을 검토하는 실행 연구 등을 후속 과제로 남겨둔다.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significance of story as educational material in Korean education by examining how the textbook 『Standard Korea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us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this end,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using story in language learning was first reviewed, and the story-related contents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were examined based on achievement standards, language material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other considerations. The textbook analysis was then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and was conducted based on the following: learning objectives, learning contents, discourse type, and category of learning activiti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method comprising a statement of the learning objective and the contents is suitable for an educational context that is primarily focused on the use of story. In addition, there was generally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rning objective and the story that were read in each unit; however, the rules according to which the stories were used across all units may require adjustment, as they may reduce educational efficiency owing to their constrained composition. In the second category, the discourse type, it was confirmed that fairy tales, experiential narratives, cartoons, and other types of text were included. Stories in this category are desirable, as they induce learners’ interest and lead to learning Korean through familiarity. However, it is advisable to avoid using a story that focuses on specific morals and texts should instead be selected that consider the various values and emotions of contemporary learners. Finally, in the category of learning activities, 10 of the large classification criteria and 15 of the small classification criteria were selected to validate their frequency and review the suitability of each learning activity. Above all, it is important to diagnose the Korean proficiency of individual learners and provide support for teachers accordingly.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highlights the lack of discussion on the use of story as educational material and thus fills the existing gap in the literature by actively conducting a study through which the textbook『Standard Korea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analyzed. In the future, I will expand on the scope of this study to analyze specific aspects related to the use of stor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broken down by subject, and will also conduct action research studies to review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that use story to teach the Korean language.

      • KCI등재

        소설의 수사적 읽기 교육 연구를 위한 시론(試論)

        홍인영 ( Hong In-young ) 한민족어문학회 2018 韓民族語文學 Vol.0 No.80

        이 연구에서는 소설 읽기가 지닌 수사적 측면에 주목하여 관련 이론을 살피고 소설의 수사적 읽기 교육 방법을 모색한다. 소설에 대한 수사학적 접근은 소설 텍스트를 담화의 질서로 보고 독서 행위의 소통적 구도에 주목하여 학습독자가 적극적인 참여자로서 문학작품을 수용하는 것을 지향한다. 학습자는 소설의 수사적 읽기를 수행하면서 저자의 의도가 담긴 텍스트의 구조와 화자의 언술 방식에 대한 탐색을 통해 주관적·정서적 반응을 일으키고 언어 자질을 중심으로 자신의 소설 해석에 구체적이고 타당한 근거를 확보할 수 있다. 소설의 수사적 읽기는 첫째, 소설을 작가의 치밀한 전략에 의해 설계된 구조물로 보고 독자가 비평적 관점을 취하며 미적·정서적·윤리적 판단 과정을 거쳐 텍스트의 의도를 고려하며 해석하는 수사적 형식 탐구이자 둘째, 언어 예술인 소설 텍스트가 지닌 다원성에 기반하여 개방된 해석을 지향하는 독서 행위의 수사학적 태도를 의미한다. 소설의 수사적 읽기의 이론적 근거로 수사학과 해석학, 해체론을 살폈으며 소설교육의 근간을 이루는 서사학에서의 수사학 논의와 현행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서의 수사학적 접근 양상을 탐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제안한 소설의 수사적 읽기의 방법은 ‘텍스트의 특성 및 의도 탐구로서의 수사 읽기’, ‘텍스트와의 경쟁에 기반한 수사적 읽기’, ‘불가능한 독서를 시도하는 해체적 읽기’의 세 가지이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rhetorical aspects of novels. The purpose is to examine related theories and explore rhetorical reading education methods used with novels. The rhetorical approach to novel reading focuses on the communication structure of the act of reading by considering the novel text as the basis of the discourse and aims for the reader to accept the literary works as an active participant. The learner makes a subjective and emotional response upon researching the text containing the author's intention and the narrative method. The reader then establishes a concrete and valid basis for his or her interpretation, focusing on language qualities, while performing a rhetorical reading of the novel. This is a dialogue with the subjects participa ting in the narrative communication situation. In this process, the reader can cultivate a critical attitude towards the written material by practicing using value judgments on persuasive texts. The rhetorical reading of a novel first requires an inquiry as to the rhetorical type, which regards the novel as a structure designed by the author's detailed strategy. The reader takes a critical point of view and considers the intention of the text through an aesthetic, emotional and ethical judgment process. Second, it is a rhetorical attitude of reading activity that aims open interpretation based on pluralism of novel text as art of language. This study investigated rhetoric, hermeneutics, and disintegration as the theoretical basis and explored the rhetorical approach of narratology which constitutes the basis of novel education. Based on this, there are three edu cation methods of rhetorical reading of the novel: ‘reading the rhetoric as a character of the text and exploring the intention of the text’, ‘rhetorical reading based on competition with text’, and ‘deconstructive reading beyond the unread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