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물의 변신과 정체성 문제를 중심으로 한 아동문학교육 연구

        홍인영(Hong, In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3

        목적 이 논문은 아동문학에 나타난 변신 모티프에 대해 정체성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인물의 변신과 정체성 문제를 통한 동화 읽기 교육을 모색한다. 방법 연구 대상으로 정체성을 탐색하기에 적합한 동화를 선택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인물 변신 모티프에 주목하였다. 동화는 아동의 성장과정에서 일어나는 정체성 문제를 세밀하게 다루고 있으며, 그것을 드러내는 장치로 변신을 효과적으로 활용한다는 점에서 교육제재로 적합하다. 연구방법은 Marcia의 정체성 이론을 토대로 했으며, 정체성 상태의 네 가지 분류인 성취, 유예, 상실, 혼미를 기준으로 각 작품의 인물 변신에서 드러나는 정체성을 파악하였다. 결과 송미경의 「귀여웠던 로라는」, 「나를 데리러 온 고양이 부부」, 「어른 동생」을 대상으로 인물의 변신 양상 및 정체성 단계를 분석한 결과 ‘변신의 확장을 통한 정체성 ‘상실’의 탈출’, ‘변신 주도와 정체성 ‘성취’로의 노력’, ‘연기(演技, acting)된 변신으로 드러나는 정체성 ‘유예’’를 확인하였다. 결론 이를 바탕으로 한 동화 읽기의 방향으로는 ‘정체성 인식의 필요성 자각: 변신하는 인물의 심리에 주목하여 읽기’와 ‘정체성 ‘성취’의 조건 확인: 능동적 변신에 영향을 끼친 요소를 파악하며 읽기’, 그리고 ‘다중 정체성의 이해: 변신을 지향하는 인간의 본성을 이해하며 읽기’를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ransformational motifs in children s literature focusing on identity and to seek educational contents of reading fairy tales through the transformation of characters and identity issues. Methods Fairy tales suitable for exploring identity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subject, and among them, character transformation motifs were focused on. Fairy tales are suitable as educational materials in that they deal with the identity issues that occur in the process of children s growth in detail and effectively use transformation as a device to reveal them. The research methods were based on Marcia s identity theory, and the identity revealed in the character transformation of each work was identified based on the four classifications of identity status: achievement, moratorium, foreclosure, and diffusion.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ransformation patterns and identity stages of characters in Song Mikyung s 「Cute Laura」, 「The Cat Couple Who Came to Pick Me Up」, and 「Adult Brother」, ‘Escape from ‘foreclosure’ of identity through the expansion of transformation’, ‘Leading transformation and efforts to ‘achievement’’ and ‘Identity ‘moratorium’ revealed through the pretending transformation’ were confirmed. Conclusions Based on this, the direction of reading fairy tales is ‘awareness of the necessity of identity recognition: reading with attention to the psychology of the character who is transforming’, ‘confirming the condition of identity ‘achievement’: reading with consider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d active transformation’, and ‘Understanding multiple identities: reading with understanding the nature of human beings toward transformation’ was proposed.

      • KCI등재

        한국어 교육에서 이야기의 활용 연구 - 『초등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 교재의 ‘이야기 읽기’ 차시를 중심으로

        홍인영(Hong, inyoung) 중앙어문학회 2020 語文論集 Vol.81 No.-

        이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에서 『초등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 교재의 이야기 활용 양상을 살핌으로써 이야기 제재의 한국어 교육적 의미를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이야기 활용의 교육적 의의를 검토하고, 한국어 교육과정의 이야기 관련 내용을 성취기준, 언어재료, 교수·학습방법 및 유의사항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교재의 분석은 세 가지로 나누어서 학습목표 및 학습내용, 담화 유형, 학습활동의 범주를 기준으로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학습목표 및 내용의 진술 방법은 이야기를 주된 대상으로 하는 교육상황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단원의 학습목표와 해당 단원의 ‘이야기 읽기’ 차시 간의 연관성은 대체로 높은 편이나 모든 단원에서의 이야기 활용 방침은 자칫 도식적인 교재 구성으로 인해 교육적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조정이 필요하다. 두 번째 범주인 담화 유형에서는 동화, 경험서사, 만화, 기타 유형의 텍스트가 수록된 것을 확인하였고,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친근감을 통해 한국어 학습으로 이끈다는 점에서는 바람직하나 이야기의 주제가 일방향적인 교훈 일변도로 되어 있는 것은 지양하고 동시대 학습자의 다양한 가치관과 정서를 고려하는 텍스트 선정으로 나아가야 함을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습활동 범주에서는 대분류 기준 10개 및 소분류 기준 15개를 선정하여 각각의 빈도를 확인하고 각 학습활동의 적합성을 검토하였다. 교재의 학습활동 실행에서는 무엇보다 개별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 진단과 그에 따른 교사의 지원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 연구는 『표준 한국어』 교재 분석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현재시점에서 이야기 제재에 대한 논의가 부족함을 지적하고 이를 보완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니며, 범위를 넓혀 학습 한국어 교육에서 교과별로 이야기를 활용하는 양상의 분석, 한국어 교육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야기 활용 교육의 효용성을 검토하는 실행 연구 등을 후속 과제로 남겨둔다.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significance of story as educational material in Korean education by examining how the textbook 『Standard Korea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us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this end,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using story in language learning was first reviewed, and the story-related contents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were examined based on achievement standards, language material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other considerations. The textbook analysis was then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and was conducted based on the following: learning objectives, learning contents, discourse type, and category of learning activiti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method comprising a statement of the learning objective and the contents is suitable for an educational context that is primarily focused on the use of story. In addition, there was generally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rning objective and the story that were read in each unit; however, the rules according to which the stories were used across all units may require adjustment, as they may reduce educational efficiency owing to their constrained composition. In the second category, the discourse type, it was confirmed that fairy tales, experiential narratives, cartoons, and other types of text were included. Stories in this category are desirable, as they induce learners’ interest and lead to learning Korean through familiarity. However, it is advisable to avoid using a story that focuses on specific morals and texts should instead be selected that consider the various values and emotions of contemporary learners. Finally, in the category of learning activities, 10 of the large classification criteria and 15 of the small classification criteria were selected to validate their frequency and review the suitability of each learning activity. Above all, it is important to diagnose the Korean proficiency of individual learners and provide support for teachers accordingly.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highlights the lack of discussion on the use of story as educational material and thus fills the existing gap in the literature by actively conducting a study through which the textbook『Standard Korea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analyzed. In the future, I will expand on the scope of this study to analyze specific aspects related to the use of stor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broken down by subject, and will also conduct action research studies to review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that use story to teach the Korean language.

      • KCI등재

        2인칭 소설의 수사적 읽기 연구: 임철우,「동행」을 중심으로

        홍인영(Hong, In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

        이 연구는 서사를 의사소통 행위로 보고 화자의 서술과 그것이 대상으로 하는 수화자(narratee)에 주목하여 2인칭을 초점 대상으로 하는 소설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에서 살피는 ‘2인칭 소설’은 주요인물이 ‘너/당신’으로 불리면서 서사의 대상이 되는 소설로 서술자가 ‘너’에 대한 이야기를 직·간접적으로 ‘너’에게 말하는 형식을 띤다. 독자는 드러난 수화자의 존재를 인식하고 소설을 읽는 과정을 소통행위 에의 참여로 받아들여 수사적 읽기를 실천할 수 있다. 본고에서 다루는 임철우의 「동행」은 정치적인 이유로 지명수배자가 된 친구와 그의 고향까지 함께하는 동행 기를 다룬 작품이다. 소설에서 2인칭 ‘너’의 적극적인 활용은 ‘나’와의 관계를 역동적 으로 형상화하면서 역사적 기억의 소환과 그에 따른 트라우마, 그리고 죄의식의 문제와 맞물려 주제 구현에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너’를 초점 대상으로 삼는 2인칭 서술을 통해 ‘나’의 죄의식을 고백하는 형식을 취함으로써 독자로 하여금 윤리적 책임 의식을 고민하고 성찰의 계기를 마련하게 한다. 과거의 기억과 현재의 시간이 교차 되고 공존하는 구조, ‘너’의 등장과 떠남으로 인한 만남과 헤어짐의 서사 또한 화자와 청자가 드러나는 2인칭 소설의 소통구도와 결합하여 독자의 소설 읽기에 흥미를 더한다. This paper considers narrative as communication activity and focuses on narration of narrators and being of narratee and trie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econd person narrative. The second person narrative is a novel whose main character is called you and is subject of the narrative so it has a form in which a narrator directly or indirectly talks to ‘you’ about a story of ‘you’. The reader of novel recognizes the presence of the revealed narratee and accepts the process of reading the novel as participation in communication activities, and can practice rhetorical reading. Lim Chul-woo s text Accompanying is a novel that deals with a friend who became a wanted person for political reasons and a companion to his hometown. In the novel, the active use of the second person you dynamically shapes the relationship with me and it works effectively to expression of theme in conjunction with the recall of historical memory, the trauma caused by it, and the problem of guilty conscience. This novel takes the form of confessing the guilty consciousness of I through a second person narrative that focuses on you . Therefore, the reader can think about the ethical responsibility consciousness and prepare the moment of reflection. The structure in which past memory and present time are crossed and coexist, the narration of meeting and departure due to the appearance and departure of you is combined with the communication structure of the second person narrative in which the narrator and the narratee are revealed, thereby adding interest to the reader s reading.

      • KCI등재

        문학교육 제재로서 박완서 소설의 수록 양상 고찰

        홍인영(Hong In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4

        이 논문은 박완서의 여러 소설 작품에 주목하여 작품이 교과서의 학습 제재로 쓰일 때 교육적 구체화 양상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 대상은 현행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에 해당하는 2015 개정 교육과정 및 2012 개정 교육과정 시기의 『국어』와 『문학』 교과서이다. 자료의 탐색을 통해 귀납적으로 도출한 범주는 수사학적 접근, 사회·문화적 맥락의 고려, 텍스트의 자기화, 심미적 삶에 대한 고찰이 다. 분석 결과 박완서의 작품은 사회·문화적 맥락의 고려와 관련된 학습내용을 다룰때 가장 많이 쓰이고 있었다. 박완서 소설의 분단소설적·세태소설적 특징은 문학교 육에서 주목하는 문학과 사회의 관계, 공동체 문화, 자아를 둘러싼 세계와의 소통 등을 학습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15 개정 교육과정기에서 두드러진 특징으로 텍스트의 자기화를 들 수 있다. 박완서의 소설은 자전적 체험을 바탕으로 하여 각 연령대별 성장담을 충실하게 재현하고 있으며 타자와의 관계에 대한 성찰이 내밀하게 드러나 청소년기 학습자가 문학작품을 경유하여 자신의 삶을 돌아보고 연관성을 탐구하기에 적절하다. 그에 비해 수사학적 접근과 관련하여 박완서 작품이 교육 제재로 선정된 경우는 그 횟수가 2012 개정 교육과정기에 비해 줄어들었으며, 심미적 삶에 대한 고찰의 영역 또한 2015 개정 교육과정기 교과서에서는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고찰을 바탕으로 박완서 작품을 문학교육의 제재로 삼을 때 고려할 점으로 첫째, 사회적 맥락의 고려 차원에서 박완서의 작품을 다룰 때 보다 풍부한 곁텍 스트를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고, 둘째, 텍스트의 자기화와 관련하여 박완서 소설이 다룬 다양한 주제로 폭을 넓혀 노년과 죽음을 다룬 소설 등도 교육 제재로 삼을 수있음을 논의하였다. This paper focuses on various novels of Park Wanseo and aims at examining the aspect of educational materialization when the works are used as learning materials of textbooks. The subjects of analysis ar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extbook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he 2012 revised curriculum of the current high school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e categories derived from the research of data are ‘rhetorical approach’, ‘consideration of social and cultural context’, ‘personalization of text’, and ‘contemplation of aesthetic life’. As a result of analysis, Park’s work was most often used when dealing with learning contents related to consideration of social and cultural context. The characteristics deal with division narrative and manners narrative of Park Wanseo’s novels were found to be suitable for learning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society, community culture, and communication with the world around self. And the prominent feature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s ‘personalization of text’. Park Wanseo’s novels faithfully represent the growth stories of each age based on the autobiographical experience, and her novels reveal introspection about the relationship with the other, so that adolescent learners can look back on their lives through literary works.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times that Park Wanseo’s work was selected as an educational material in relation to the ‘rhetorical approach’ was reduced compared to the revised curriculum period of 2012, and the area of ‘contemplation of aesthetic life’ was also not seen in textbook of 2015 revised curriculum. Based on the above analysis, the following points should be considered when making Park Wanseo’s works as a material for literary education. First, it is better to use more abundant paratexts when dealing with the works of Park in the ‘consideration of social and cultural context’. Second, regarding the ‘personalization of text’, it can be broadened to various subjects covered by Park’s novels, for example, novels dealing with old age and death can be used as educational material.

      • KCI등재

        소설 속 프레카리아트 인물 읽기

        홍인영(Inyoung H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2

        목적 이 논문의 목적은 조해진의 「하나의 숨」(2019)에 등장하는 불안정 노동에 종사하는 인물에 주목하여, 인물이 겪는 프레카리아트로서의 특성을 분석하고, 소설을 읽은 대학생 독자의 반응을 바탕으로 프레카리아트 인물이 등장하는 소설 읽기의 교육적 함의를 도출하는 것이다. 방법 「하나의 숨」에 등장하는 프레카리아트 인물에 대해 프레카리아트를 ‘형성 중인 계급’으로 보는 정치⋅사회학적 관점과 인간 존재라면 누구나 취약성을 가질 수밖에 없다고 보는 실존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새로운 계급으로서 프레카리아트가 놓인 현실과 상황의 묘사, 프레카리아트로서 타인과 상호작용을 하는 과정에서 겪는 불안과 소외, 그리고 실존적 취약성이 드러난 부분으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독자 반응의 분석은 소설 분석의 이론적 토대인 프레카리아트 이론을 기반으로 하되 비평텍스트를 반복적으로 독해한 후 귀납적으로 발견되는 특징을 반영하여 이루어졌다. 결과 소설은 프레카리아트가 등장하는 사회 현실을 묘사하고 있으며 노동의 불안정성이 야기하는 불안과 소외의 감정, 그리고 정치⋅사회적 차원의 취약성을 넘어서 인간의 실존적인 약함을 그린다. 이에 대해 독자는 인물의 계급적 상황을 사회적인 문제로 강하게 인식하고 그에 대해 비판적인 의식을 갖고 있으면서, 동시에 소설의 인물이 주는 핍진성으로 인해 불안과 공포를 공진(共振)하면서 현상황을 개선해야겠다는 윤리의식을 느끼고, 계급을 넘어서 인간 본연의 취약성에 대한 공감과 연민을 나타냈다. 결론 프레카리아트 인물을 중심으로 소설 읽기를 수행하면서 독자는 인물의 사회적 맥락에 대한 심화된 이해를 가질 수 있고, 공동체 구성원으로서의 책무감을 인식하며, 보편적인 공감을 획득할 수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racter as a precariat, focusing on the unstable labor character in Cho Hae-jin's “Hana's Breath” (2019), and to derive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reading a fiction based on the response of a college student reader. Methods The framework of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 as a precariat in “Hana's Breath” is two perspectives, one is a political and sociological perspective that sees precariat as a ‘a-class-in-the-making’, and the other is an existential perspective that all human beings have no choice but to have precariousness, that is, vulnerability. The category of analyzing the characters in the fiction is, first, the description of the reality and situation in which precariat is placed as a new class, second, anxiety and alienation in the process of interacting with others as precariat, and third, existential vulnerability. The analysis of the reader's response was based on the precariat theory, and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found inductively after repeatedly reading the critical essay. Results The fiction describes the social reality in which precariat appears, describes the feelings of anxiety and alienation caused by labor instability, and depicts human existential weakness beyond precarity at the political and social level. In response, the reader strongly recognized the class situation of the character as a social problem and expressed a critical consciousness about it. In addition, the reader felt an ethical consciousness to improve the current situation while sympathizing with anxiety and fear due to the persecution of the characters in the story, and expressed compassion for the inherent vulnerability of humans. Conclusions While reading fiction centering on the precariat characters, the reader can have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s social context, recognize the responsibility as a community member, and acquire universal empathy.

      • KCI등재

        학술지“환경교육”논문 분석을 통한 학교 환경교육 연구 동향 고찰

        황세영(Seyoung Hwang),서은정(Eunjeong Seo),이리나(Rina Lee),홍인영(Inyoung Hong) 한국환경교육학회 2012 環境 敎育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research trends in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We analyzed 383 research papers that specifically focused on the school context which were 66% of the total number (N=577) published in this journal between 1990~2011. We defined the characteristics of review and developed a review method by examining previous review studies in this area. The review framework for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was devised in terms of seven research areas: 1) Theories and objectives of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2) Environmental awareness, attitude and behavior, 3) Current issues in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school context, 4) Instructions and programs, 5) National Curriculum, 6)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s, and 7) Teacher professionalism. In this paper, we present dominant features within each category with focus on the overall trends of research methods and themes. Finally, we discuss research issues emerging out of the empirical analysis for considering the value of research for enhancing the quality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scho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