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대학신입생의 첫 학기 전환 유형과 통시적 변화 분석

        홍송,임성택 한국교육학회 2018 敎育學硏究 Vol.56 No.1

        이 연구는 중등교육에서 고등교육으로의 전환기를 맞이한 신입생들의 전환 경험을 통시적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대학신입생의 첫 학기 전환 과정의 특징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대학입학 전 예비대학 생 시기부터 입학 후 1학기 말까지 전환 경험의 종단적 자료를 수집하여 Strauss와 Corbin(2001), Glaser 와 Strauss(2011)가 제시한 근거이론적 접근에 따라 대학입학 후 첫 학기 중요 시기별 전환 경험의 변화 양상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신입생들의 전환 유형은 전환 동기, 전략, 실천 요소의 조합에 따라 ‘모방동조형’, ‘분주활동형’, ‘은둔정보형’, ‘냉담형’, ‘시행착오형’, ‘균형성취형’, ‘의도적유보형’, ‘마음만굴뚝형’의 8가지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각 유형이 세 시기별로 어떠한 변 동 양상을 나타내는지 분석한 결과, ‘유형일관형’, ‘유형변화무쌍형’, ‘대학입학 후 유형일관형’, ‘유형유지 후 변동형’, ‘유형회귀형’의 5가지 유형 변화가 나타났다. 요컨대, 대학신입생들의 첫 학기 전환 경험은 동기, 전략, 실천의 강도에 따라 역동적이어서 대다수 연구 참여자들의 전환 유형이 한 가지로 고정되어 있지 않고 대학생활적응의 필요에 따라 변화한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대학신입생의 첫 학기 전환 경험에 대한 다면적 이해를 바탕으로 대학신입생의 첫 학기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전환적 관점의 이해가 갖는 의의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types and changing patterns of the first semester transitions from secondary to college education that reflects the transition experiences of the first-year college students over various areas of university life.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by Strauss and Corbin(2001), Glaser and Strauss(2011) was used in this investigation. The first semester transitions consist of three transition time-points of the admission and entrance to university, the mid-term examination, and the end of the term. The changing patterns of the transition experiences throughout the whole process of the first semester were explored. The transition types were determined by the levels of transitional motivation, strategies, and practice. The changing patterns of those transition types were explored over three transition periods. The changing pattern types consist of consistency , all-the-time change , first-half change and second-half consistency , first-half consistency and second-half change’, ‘regression’. These findings imply that the first semester transition experiences were dynamic depending on the intensity of the motivation, strategies, and practice, and that most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transition types were not fixed as one but changed with the needs of adaptation to college life.

      • 싱가포르 노인주거정책: 현황과 비판적 논의

        홍송이(Hong, Song lee) 한림대학교 고령사회연구소 2013 한림고령사회연구 Vol.1 No.1

        Housing is a basic need to maintain independent living, human dignity, and quality of life in old age. This implies the significance of housing policies specialized for older adults. As an aging society, Singapore has initiated a variety of housing options for older adults and their families. Indeed, public housing in Singapore is tailored to meet different needs of heterogeneous older adults. Therefore I critically review housing policies and programs specialized for older adults in Singapore. Three main housing strategies are conceptualized. First, housing policies for mutual family support include (1) Multi-generation priority scheme, (2) Rent and purchase scheme, (3) Married child priority scheme, (4) Higher-tier family CPF housing grant, (5) Higher-tier singles CPF housing grant, (6) Higher income ceiling for extended family, and (7) Aging-in-place priority scheme. Second, monetization options for retirement income comprise (1) Studio apartment scheme, (2) Lease buy back scheme, (3) Subletting flat/room, (4) Downsizing, and (5) Silver housing bonus. Third, programs for elder-friendly physical environment encompass (1) Barrier-free accessibility program, (2) Lift upgrading program, (3) Project LIFE, and (4) Selective enbloc redevelopment scheme. This paper presents the systematic groundwork for critical analysis on housing policies. Based on the analytical findings, I discuss specific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advanced for senior housing policies and programs. 안정된 주택 및 주거는 노년기에 인간으로서의 삶의 질을 유지시키고 독립된 삶을 영위할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요인이 다. 이에 한 나라의 주거정책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으며, 이러한 정책운영이 노인들의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2000년에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였을 뿐만 아니라 공공주택정책을 사회통합의 수단으로 주거복지정책을 발전시켜온 싱가포르를 대상으로, 최근 강화된 노인주거복지 정책 및 프로그램들이 특화된 노인 대상에게 어떠한 정책적 특수성을 반영하고 있는지를 분석한다. 노인을 위한 싱가포르 주거정책은 3가지로 구 분할 수 있다. 첫째, 가족 협력을 통한 독거노인가구를 최소화하기 위한 전략적 선택으로써의 주거정책이다. 이 정책은 자 식들이 부모와 같이 거주할 경우 공공주택의 추첨확률을 높여주는 정책, 부모의 집과 가까운 거리의 집을 자식이 살 경우 그에 따른 자금 및 추첨확률을 높여 주는 정책, 확대가족의 확산을 위한 정책, aging-in-place를 실현하기 위한 노인 자신들 의 지역사회에서 거주권을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책 등을 포함한다. 둘째, 퇴직 후 노후소득이 감소하면서 나 타나는 문제점을 고려하여 주택을 노후소득보장과 연계시키는 정책들이다. 싱가포르 노인들이 선호하는 큰 규모의 집에서 규모를 줄여 다운사이징을 장려하는 정책, 역모기지 정책, 스튜디오 아파트로 이주하여 주택 매매 후 차익을 노후 소득보장 에 연결시키는 정책들이 있다. 셋째, 노인의 거주 및 이동과 관련하여 주거환경을 개선하여 노인의 주거와 관련된 삶의 질 을 향상시키려는 정책들이 있다. Universal design을 적용한 노인의 주거 개선사업, 오래된 공공주택의 엘리베이터를 설치 및 개보수하는 사업, 주택 재개발 사업 등이 발전되어 왔다. 본 논문은 이러한 정책 및 프로그램들의 핵심내용을 분석하고, 싱가포르의 사례 분석결과를 통해 노인 주거복지 향상을 위한 사회정책적 함의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

        종교생활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불교를 중심으로

        홍송이(Hong Song Hee),김학주(Kim Hak Ju) 韓國佛敎硏究院 2015 불교연구 Vol.42 No.-

        The study examined the contribution of religious life to older adults' life satisfaction in Singapore called as a religious society. Using disproportionate stratified sampling, 498 Buddhists aged 55 and above were sampled for this study. The English structured surveys were translated into Chinese, Malay, and Tamil to include all races in Singapore. The religious life was measured with intrinsic and extrinsic variables such as the importance of religion, attendance of religious services, the frequency of pray and chanting Buddhist sutra, the frequency of meditation, volunteer participation, and family's religious participation and intensity. Multiple indicators of life satisfaction were analysed via Latent Profile Analysis. Based on the associations among the nine indicators of life satisfaction, three groups were classified: high life satisfaction(38.96%), middle life satisfaction(53.21%), and low life satisfaction(7.83%) groups.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identified the positive impact of religion on older adults' life satisfaction pattern. Specifically, the importance of religion, attendance of religious services, volunteer participation, and family's religious participation and intensity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likelihoods of being classified into higher life satisfaction groups. These study findings corroborate the significance of religious life among Buddhist older adults in Singapore and suggest an empirical evidence for incorporating religious contents into gerontological practice. 본 연구는 종교사회라 일컫는 싱가포르에서 종교생활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문헌 분석을 통하여 세 가지 주요 관점을 발전시켰다. 첫째, 특정 종교의 사회문화적 이해를 바탕으로 한 다양한 내재적 · 외재적 종교 생활 변수들을 측정하고, 둘째, 종교생활의 외연적 이해의 폭을 넓히기 위하여 가족종교 변수들을 추가하였으며, 셋째, 노년기 삶의 만족도의 다차원성 및 그 잠재적 구조를 분석하기 위한 발전된 통계 방법을 선택하였다. 주요 연구대상은 싱가포르 55세 이상의 불교신자들 498명으로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다차원적인 삶의 만족도 지표들 사이의 구조적 특성을 유형화하기 위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한 후 다항로지스틱분석을 이용하여 종교생활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9개의 삶의 만족도 지표를 이용하여 3개의 집단이 분류되었다: 상위(38.96%), 중위(53.21%), 그리고 하위집단(7.83%). 개인차원의 변수로는 삶에 대한 종교의 중요성이 높을수록, 그리고 절이나 사원의 방문과 같은 종교활동 참여, 종교기관에서 행하는 봉사활동의 참여 등 외재적 종교 실천 정도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은 집단에 속할 확률이 증가했지만, 참선 또는 기도나 경독과 같은 내재적 종교 실천은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하지 않았다. 가족종교 활동의 참여 정도와 실제 시간은 모두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논문은 종교가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연관성이 있음을 검증함으로써 종교의 역할을 노인복지 분야에 활용하여, 불교와 융합된 노인복지 프로그램의 개발 필요성을 지지하는 실증적 증거를 제시했으며, 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회가치 실현과 가족중심의 종교생활을 지향하는 실천적 종교로의 방향을 제언한다.

      • KCI등재

        노인의 학대에 대한 인식이 학대대응태도에 미치는 영향

        홍송,심혜인 한국치안행정학회 2021 한국치안행정논집 Vol.18 No.3

        노인학대는 지난 10년 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COVID 19 이후 펜데믹 상황에서 노인학대가 전년 대비 19.4% 증가하였기에, 이는 초고령화 사회를 앞둔 현 사회의 심각한 문제라 볼 수 있다. 노인 학대는 신고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공적자원을 중심으로 신고의무자와 관련된 제도를 강화 하였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하여 노인인권교육을 법제화하여 노인학대에 대한 인식을 향상시키는 정책 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전략은 상대적으로 학대피해대상자인 노인에 대한 학대와 관련된 인식을 직 접적으로 지원하는데 한계가 있다. 반면 아동학대의 경우에는 신고의무자뿐만 아니라, 아동 및 부모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관련 대상자를 중심으로 학대예방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현 노인학대 신고제의 제한 점에 주목하여, 이 연구에서는 노인들에 의한 노인학대 인식이 학대대응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 로 검증하였다. 2018년 중앙노인보호기관에서 실시한 「노인인권실태조사」2차 데이터 자료를 활용하여, 일상활동이 가능한 노인복지관과 노인일자리지원기관 등의 노인여가복지설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만 65세 이상의 노인 총 3,189명이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SPSS 25.0ver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노인학 대에 대한 인식수준의 신뢰도분석과 주요변수들의 기술통계분석, 빈도분석, 교차분석, t-test, ANOVA,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분석 결과 노인학대 인식은 여성이 남성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고 등의 다양한 대응태도를 보인 집단의 노인학대 인식이 가장 높았으며, 무대응 집단의 노인학대 인식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노인학대를 직·간접적으로 경험했음에도 무대 응한 집단과 비교하여, 노인학대인식이 높을수록 신고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대응을 적극적으로 행 동하는 태도를 볼 수 있었다. 또한 노인학대 지식수준도 노인학대 직·간접 경험에서 무대응 집단보다 신고 또는 다른 대응행동을 한 보다 적극적인 대응태도를 취하는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현 노인학대 신고제도 이상으로 노인 당사자들이 직접적으로 학대를 인식하 고 대응할 수 있도록 개선하기 위한 적극적인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Elder abuse has consistently increased over the past 10 years. Since the COVID-19, elder abuse has increased 19.4% year-on-year, which can be seen as a serious problem in Korea. As a main strategy of adult protection service, the compulsory reporting system by legal reporters of elder abuse like all service providers in elder care-related areas has been strengthened. Recently, another effort has been made to improve service providers’ awareness of elder abuse by legislating their compulsory education on older adults’ human rights. However, such efforts have ignored older adults, themselves who are victims of abuse. Older adults and their families do not have any chance to be educated in the prevention of elder abuse and violation of human rights. Therefore, we sought to examine the effect of older adults’ awarenessn of elder abuse on their response to such abuse. The National Survey on Older Adults’ Human Rights conducted by the Central Elderly Protection Agency(EPS) in 2018 were utilized. A total of 3,189 senior citizens aged 65 or older who are using community welfare agencies such as senior citizen welfare centers and senior citizens' work support institutions were analysed. In addition, higher levels of awareness on elder abuse were more likely to act in various forms of responses to elder abuse. In addition, the level of knowledge of elder abus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s of elder abuse, showing an active response to reporting to EPS/police or other forms of response to elder abuse rather than non-response to elder abus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ore advanced interventions need to be developed for strengthening older adults’ capacity to improve their awareness of abuse and human rights in community service settings.

      • KCI등재

        교정프로그램 참여가 재복역에 미치는 영향 : 노인수형자 유형을 중심으로

        홍송,조윤오,심혜인 한국치안행정학회 2018 한국치안행정논집 Vol.15 No.2

        일반적으로 노인수형자는 젊은 수형자보다 교도소 구금 생활에 더 큰 어려움을 느낀다. 본 연구는 교정시설에 구금되어 있는 우리나라 노인수형자의 특징을 살펴보고, 교정프로그램 참여 실태 및 관련 요인을 실증적으로 조사하는데 목적이 있다. 2011년 5월에 교정본부의 협조로 보라미시스템 내에서 획득한 수용자 3,431명을 대상으로 노인수형자 유형을 분류, 초범 노인수형자 2,392명, 만성 노인수형자 21명, 장기 노인수형자 37명, 만성화 우려 노인수형자가 981명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교정프로그램은 교과/직업교육, 의료서비스, 교도작업, 외부 교화상담 네 가지를 포함하였다. 분석 결과, 2006년부터-2011년 사이에 재복역률은 노인수형자의 약 32%가 1회 이상의 재범 발생률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의하여 노인수형자의 재범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의료서비스, 교도작업 장려금, 기초생활보장 여부, 범죄유형, 구금기간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노인수형자가 갖고 있는 특성을 정확히 이해하고, 사회적응력을 높일 수 있는 교정프로그램을 탐구함으로써 증가하는 노인수형자에 대한 재범관리 및 사회복귀 정책을 보다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고, 교정 당국이 감내해야 할 부담과 교정비용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e study attempted to classify older prison inmates’ typology and to examine the impact of correction programs on their reincarceration within five years after release from the prison in Korea. Utilizing the integrated correctional program data from the Department of Offender Correctional Service, called as “Borami System” of Korean Ministry of Justice, we classified older inmates by four groups and described their characteristics: first-time offenders(n=2,392), chronic offenders(n= 21), aging long-term offenders(n=37), and high risk habitual offenders(n=981). We also found that older inmates’ reincarceration rate(32%)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e average of entire Borami data. Furthermore, hierarchial logistic regressions on older inmates’ reincarceration analyzed that medical service, prison work, public assistance beneficiary, type of crime, and duration of incarcera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which might affect the odds of reincarceration. These study results could contribute to reduce social burden on older inmate care by providing useful clues for planning correctional programs specialized for aging in prison

      • KCI등재

        요양보호사에 의한 노인의 신체억제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홍송이(Song Iee Hong),박서영(Seo Young Park) 한국노년학회 2023 한국노년학 Vol.43 No.3

        2008년 장기요양보험제도가 실시된 이래로 요양보호사는 한국 노인 돌봄의 핵심 인력으로 성장해왔으나, 요양보호사에 의한 시설학대의 가파른 증가 속도는 초고령 사회의 돌봄 위기를 초래할 만큼 요양보호사의 역량과 자질이 위태롭다는 것을 말해준다. 특히 요양보호사의 직무 중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인지기능이 크게 저하된 노인들에게 사용되는 신체억제는 학대와의 경계가 매우 불분명하여 지속적인 인권침해 논란이 되어왔다. 이에 본 논문은 2017년 3,000여개의 재가노인복지시설 및 재가장기요양기관으로부터 수집된 2차 자료를 활용하여 3,859명의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그들의 신체억제 행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신체억제 인식, 신체억제 목격경험, 노인인권 침해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요양보호사의 10.7%가 노인 대상자에게 신체억제를 수행한 적이 있었으며, 둘째, 요양보호사들이 해서는 안된다고 생각하는 행위의 빈도, 그들이 다른 요양보호사에 의해서 행해지는 신체억제행위의 목격빈도, 그리고 직접적으로 그들이 수행하는 신체억제 행위 사이에 개연성이 있었다. 셋째, 신체억제에 대해 부정적 인식을 갖고 있을수록 신체억제 행동이 줄어들었고, 넷째, 다른 요양보호사들의 신체억제 행위를 목격한 경험이 있는 요양보호사가 신체억제를 선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끝으로, 노인의 성격 때문에 인권침해가 발생한다고 응답한 요양보호사들이 신체억제 경험을 더 많이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요양보호사의 신체억제 인식 및 인권의식이 낮거나 낮을 경향이 높은 요양원 환경에서 신체억제가 더 많이 발생한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신체억제를 근절 또는 최소화하기 위해서 요양보호사 개인 수준의 인식 개선에서 나아가 조직문화, 다시 말해 돌봄이라는 것이 인권에 기반한 케어문화 속에서 이루어져야 함을 교육할 필요가 있다. Since the National Long-Term Care Insurance of 2008, licensed caregivers for older adults have dramatically increased in Korea. In contrast to such trends, their care capacity has been socially concerned about violation against human rights such as elder abuse including physical restraints. The distinction between physical restraints and physical abuse is ambiguous at care settings which has brought in hot debate on the violation of human rights.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extent to which caregivers’awareness of physical restraints and reasons of elder abuse and their witness of physical restraints are associated with their physical restraints on older adults. We used the secondary data collected from 3,859 licensed caregivers working at about 3,000 day care centers across the nation in 2017. First, we found that 10.7% of caregivers performed restrictive interventions. Second, the awareness of physical restraints, witness of others’physical restraints, and their own physical restraints are related to each other. Lastly, logistic regressions confirmed that caregivers’poor awareness of physical restraints, more witness of physical restraints by other caregivers, and higher perception of victim’s personality problems mainly causing elder abuse were more likely to increase their use of physical restrain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are environment insensitive to human rights might lead to elder abuse by over-utilizing physical restraints. Also, it is fundamental to develop professional care culture of licensed caregivers towards person-centered care.

      • KCI우수등재

        불교 사회복지 연구 동향에 관한 분석 : 1990~2016년에 게재된 국내외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홍송 불교학연구회 2017 불교학연구 Vol.51 No.-

        이 연구는 불교 사회복지의 정체성 형성과 발전을 위해 불교 사회복지가 초점화해야 할 연구 방향과 과제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외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중 국내 논문 12편, 국외 논문 10편 총 22편을 대상으로 연구문제, 적용된 불교사상 및 실천원리, 연구대상, 연구 방법, 사회복지실천 개입방법의 5가지 분석틀을 가지고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국내 연구는 다양한 불교사상과 실천원리를 불교 경전에 기반 하여 그 근거를 제시한 논문이 대부분이었고, 국외 연구는 이것을 경험적으로 규명해낸 기존 연구 결과를 이론적 배경으로 활용한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 방법에 있어 국내 연구는 문헌 연구(9편)가 대부분이었고, 국외 연구는 경험적 차원에서 입증하고자 하는 실증적 연구(8편)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개입방법에 있어서는 국내외 연구 모두 다양한 사회복지 대상자와 분야에 대한 개입 방안을 제시하고 있지만, 국내 연구는 이것을 경험적 결과로 제시하지는 못하였다. 그리고 국외 연구도 실증적 방법을 통해 연구 결과들을 제시하고 있지만, 이러한 결과들이 아직까지 학문적으로 충분히 축적되지는 않은 상황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그동안 사회복지 실천 영역에서 종교 중립 원칙에 따라 그동안 배제되어온 불교의 방대한 사상과 실천원리가 다양한 현대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유효한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불교 명상 이외의 불교 사상과 실천원리를 활용한 다양한 연구 주제에 대한 시도를 확대하고 사회복지 증거기반 실천을 실행할 수 있는 질적・양적 연구가 경험적으로 강화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directions in advancing interdisciplinary studies on Buddhism and social work by critically reviewing 10 international and 12 Korean studies found via keyword search of “Buddhism/Buddhist” and “Social Work/ Welfare.” We performed the content analysis using the five analytic frameworks; the target problem, the Buddhist thought and practice, the target populations, research methods, and social work interventions. This review found out distinctive differences between domestic and overseas studies. Specifically, we found more conceptual studies in Korea, which attempted to understand how the Buddhist thought and practice could be applied in social work areas as an intervention. In contrast, overseas studies were more likely to empirically examine whether the Buddhist thought and practice function as a method of intervention with substantial samples. Although both Korean and international studies included diverse problems in the areas of social work, they could not explain systematic and concrete intervention processes and methods. Most of international studies performed empirical studies, but their evidence is still deficient.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Buddhist thought and practice such as meditation could be one of alternative social work interventions in light of diverse empirical and theoretical trials. Based on these findings, we suggest that interdisciplinary studies on Buddhism and social work should be more encouraged in an empirical manner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ways in order to guide evidence-based practice in Korean social work practice.

      • KCI등재

        자기결정성 동기 이론을 적용한 학부모의 자녀 학교교육 참여동기 탐색

        홍송 한국학부모학회 2016 학부모연구 Vol.3 No.1

        본 논문은 학부모의 자녀 학교교육 참여과정을 이해하고자 학부모 학교교육 참여동기를 분석하려는 노력에서 시도되었다. 연구를 위해 학부모 학교교육 참여모형에서 학부모 동기가 차지하는 역할이 무엇인지 검토해보고 기존의 교육심리학 분야의 동기 개념과 자기결정성 동기 이론을 적용하여 학 부모의 학교교육 참여동기를 분석하였다. 학부모들이 처음에는 외적 동기에 의해 촉발되어 학교교육 에 참여하게 되었다 할지라도 자기결정성이 강해질수록 사회적 가치로부터 부여받은 학부모로서의 역할을 내면화하게 되므로, 점차 내적 동기에 의한 능동적인 참여로 변화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자발적이고 지속적인 학교교육 참여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부모들의 자기결정성을 높여주어, 사 회적 이목이나 주변 학부모 집단을 의식한 일시적 판단이 아닌, 합리적이고 주체적인 판단 및 의사 결정에 의한 참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덧붙여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동기는 학 부모 자기자신을 지향한 학부모 자기지향 동기와 자녀를 지향한 학부모 자녀지향 동기로 구분되어 탐구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동기에 대한 연구는 학부모 자신과 교육 관계자들에게 학부모에 대한 폭넓은 이해의 기회와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할 것이며, 학부모의 심리 및 행동과 관련된 변인을 분석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대학신입생의 대학생으로의 전환 경험: 근거이론적 접근

        홍송,임성택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8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types of the first semester transitions from secondary to college education of the first-year college students in post-adolescences over various areas of university life.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by Strauss and Corbin(2001) was used in this qualitative investigation. In order to collect qualitative data,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32 interviewees including 12 male students and 20 female students, who were entering university. 165 concepts, 37 subcategories, and 10 categories were extracted by open and axial coding. 12 attributes and 27 dimensions were found across the categories. As a result of axial coding, 'successful college student standards' category was derived as a causal conditions and 'awareness of difference between high school and college environment' as a context conditions. The central phenomena was 'motivation to transition', and the intervening conditions were 'characteristics of department', 'support of professor and seniority', and 'satisfaction of college life'. Interactional strategies were 'collecting the information for transition', 'imitating transition', and 'establishing personal transition strategies'. Finally, 'coping with a different university life' was derived as a consequences category. The core category derived from selective coding was named as ‘new challenges with strange roles’. Six types of transition were determined by the combinations of the levels of motivation of transi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partment, and significant others’ supports: ‘passive and individualistic transition’, ‘active and individualistic transition’, ‘active and collective transition’, ‘conforming transition’, ‘partial transition’, ‘drifting’. Thes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taking a transitional perspective in understanding of early college experiences is necessary to help college students adapt successfully to college world. 이 연구는 후기 청소년기에 해당하는 대학신입생들이 입학 후 약 2개월 간 겪게 되는 전환 경험을 이해하고자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것이다. 면담을 통해 수집된 연구참여자들의 전환 경험을 개방코딩한 결과, 165개의 개념과 37개의 하위범주, 10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축코딩 결과, 원인 조건으로 ‘성공적인 대학생 기준’ 범주가 도출되었고, 맥락적 조건으로 ‘고등학교와 대학환경의 차이 인식’ 범주가 나타났다. 중심 현상은 ‘전환 동기 형성’이었고 개입 조건으로는 ‘학과의 특성’과 ‘교수, 선배의 지원’, ‘대학생활에 대한 만족’이 나타났다. 상호작용 전략은 ‘전환 정보 수집’, ‘전환 모방’, ‘개인적 전환 전략 수립’이었고, 최종적인 결과 범주로는 ‘달라진 대학생활에 대처’가 도출되었다. 선택코딩에서 도출된 핵심 범주는 ‘낯설지만 받아들인 세계, 새로운 도전’으로 요약되었다. 10개의 범주에 걸쳐 발견된 12개의 속성과 27개 차원을 면담 원 자료와 비교분석한 결과, 대학신입생들의 전환 경험은 주로 성공적인 대학생 기준, 학과의 특성, 주변의 지원에 영향을 받고 있었고 6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이에 근거하여 대학신입생의 대학생으로의 전환 경험을 ‘나홀로 소극 전환형’, ‘나홀로 적극 전환형’, ‘더불어 적극 전환형’, ‘더불어 적당히 동조형’, ‘선별적 전환형’, ‘표류형’의 6가지로 분류하였다. 연구 결과에 기반하여 대학신입생의 첫 학기 대학생활을 이해함에 있어 전환적 관점이 갖는 의의와 대학생활적응 연구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