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상청 기후예측시스템(GloSea6) - Part 2: 기후모의 평균 오차 특성 분석

        현유경,이조한,신범철,최유나,김지영,이상민,지희숙,부경온,임소민,김혜리,류영,박연희,박형식,추성호,승훤,황승언 한국기상학회 2022 대기 Vol.32 No.2

        In this paper, the performance improvement for the new KMA’s Climate Prediction System (GloSea6), which has been built and tested in 2021, is presented by assessing the bias distribution of basic variables from 24 years of GloSea6 hindcasts. Along with the upgrade from GloSea5 to GloSea6, the performance of GloSea6 can be regarded as notable in many respects: improvements in (i) negative bias of geopotential height over the tropical and mid-latitude troposphere and over polar stratosphere in boreal summer; (ii) cold bias of tropospheric temperature; (iii) underestimation of mid-latitude jets; (iv) dry bias in the lower troposphere; (v) cold tongue bias in the equatorial SST and the warm bias of Southern Ocean, suggesting the potential of improvements to the major climate variability in GloSea6. The warm surface temperature in the northern hemisphere continent in summer is eliminated by using CDF-matched soil-moisture initials. However, the cold bias in high latitude snow-covered area in winter still needs to be improved in the future. The intensification of the westerly winds of the summer Asian monsoon and the weakening of the northwest Pacific high, which are considered to be major errors in the GloSea system, had not been significantly improved. However, both the use of increased number of ensembles and the initial conditions at the closest initial dates reveals possibility to improve these biases. It is also noted that the effect of ensemble expansion mainly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annual variability over high latitudes and polar region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현 기후예측시스템에서의 기온과 강수 계절 확률 예측 신뢰도 평가

        현유경,박진경,이조한,임소민,허솔잎,함현준,이상민,지희숙,김윤재 한국기상학회 2020 대기 Vol.30 No.2

        Seasonal forecast is growing in demand, as it provides valuable information for decision making and potential to reduce impact on weather events. This study examines how operational climate prediction systems can be reliable, producing the probability forecast in seasonal scale. A reliability diagram was used, which is a tool for the reliability by comparing probabilities with the corresponding observed frequency. It is proposed for a method grading scales of 1- 5 based on the reliability diagram to quantify the reliability. Probabilities are derived from ensemble members using hindcast data. The analysis is focused on skill for 2 m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from climate prediction systems in KMA, UKMO, and ECMWF, NCEP and JMA. Five categorizations are found depending on variables, seasons and regions. The probability forecast for 2 m temperature can be relied on while that for precipitation is reliable only in few regions. The probabilistic skill in KMA and UKMO is comparable with ECMWF, and the reliabilities tend to increase as the ensemble size and hindcast period increasing.

      • KCI등재

        기상청 기후예측시스템(GloSea)의 앙상블 확대를 통해 살펴본 신호대잡음의 역설적 특징(Signal-to-Noise Paradox)과 예측 스킬의 한계

        현유경,박연희,이조한,지희숙,부경온 한국기상학회 2024 대기 Vol.34 No.1

        This paper aims to provide a detailed introduction to the concept of the Ratio of Predictable Component (RPC) and the Signal-to-Noise Paradox. Then, we derive insights from them by exploring the paradoxical features by conducting a seasonal and regional analysis through ensemble expansion in KMA’s climate prediction system (GloSea). We also provide an explanation of the ensemble generation method, with a specific focus on stochastic physics. Through this study, we can provide the predictability limits of our forecasting system, and find way to enhance it. On a global scale, RPC reaches a value of 1 when the ensemble is expanded to a maximum of 56 members, underlining the significance of ensemble expansion in the climate prediction system. The feature indicating RPC paradoxically exceeding 1 becomes particularly evident in the winter North Atlantic and the summer North Pacific. In the Siberian Continent, predictability is notably low, persisting even as the ensemble size increases. This region, characterized by a low RPC, is considered challenging for making reliable predictions, highlighting the need for further improvement in the model and initialization processes related to land processes. In contrast, the tropical ocean demonstrates robust predictability while maintaining an RPC of 1. Through this study, we have brought to attention the limitations of potential predictability within the climate prediction system, emphasizing the necessity of leveraging predictable signals with high RPC values. We also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continuous efforts aimed at improving models and initializations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 KCI등재후보

        1922년 영친왕비 친영(親迎)시 수식구(首飾具)의 제작기법 연구

        현유경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10 조형디자인연구 Vol.13 No.4

        영친왕비 대수의 수식구는 1922년 영친왕일가가 조선을 방문하여 친영의 예를 올릴 때 영친왕비가 착용한 것으로 현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소장, 관리하고 있다. 이것은 조선왕조의 왕실예법을 이어온 최후의 수식구로 각종 문헌 기록을 뒷받침하는 소중한 유물이다. 또한 예술성과 조형성이 뛰어나며 다종다양한 종별과 재료와 기법을 보여주고 있어 현대 장신구로 활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가능성을 갖고 있다. 이러한 수식구를 현대 장신구에 활용하기 위해서 영친왕비의 1922년 친영 시에 착용한 대수(大首)의 수식구를 분석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영친왕과 영친왕비의 혼례와 친영에 대해 알아보고 대수머리에 사용된 수식구의 종별을 분류하였다. 그리고 종별에 따라 기법을 중심으로 재료와 문양, 색채 등의 조형성을 분석하였다. 수식구는 은, 옥, 진주, 비취모, 청파리, 홍파리, 산호, 파란, 밀납 등의 재료로 조각기법과 투각기법을 이용해서 형태와 문양을 만들었고, 알물림(setting), 점취법(點翠法), 스탬핑(stamping), 선조세공(filigree), 감기, 파란 등의 기법을 이용하여 장식하였다. 이 기법들 중 비취모를 붙인 점취법은 장신구에 사용되는 재료가 다양해진 현대에서 얼마든지 활용할 수 있는 기법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최고의 미적 가치와 예술성을 지닌 왕실 장신구의 우수성을 재확인하고 전통적인 기법을 현대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아울러 이러한 전통적인 기법이 현대의 다양한 재료와 조화시킨 장신구의 개발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 KCI등재

        1922년 친영(親迎)시 영친왕비 수식구(首節具)의 제작기법 연구

        현유경(Hyun, You-kyung)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0 조형디자인연구 Vol.13 No.4

        영친왕비 대수의 수식구는 1922년 영친왕일가가 조선을 방문하여 친영의 예를 올릴 때 영친왕비가 착용한 것으로 현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소장, 관리하고 있다. 이것은 조선왕조의 왕실예법을 이어온 최후의 수식구로 각종 문헌 기록을 뒷받침하는 소중한 유물이다. 또한 예술성과 조형성이 뛰어나며 다종다양한 종별과 재료와 기법을 보여주고 있어 현대 장신구로 활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가능성을 갖고 있다. 이러한 수식구를 현대 장신구에 활용하기 위해서 영친왕비의 1922년 친영 시에 착용한 대수(大首)의 수식구를 분석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영친왕과 영친왕비의 혼례와 친영에 대해 알아보고 대수머리에 사용된 수식구의 종별을 분류하였다. 그리고 종별에 따라 기법을 중심으로 재료와 문양, 색채 등의 조형성을 분석하였다. 수식구는 은, 옥, 진주, 비취모, 청파리, 홍파리, 산호, 파란, 밀납 등의 재료로 조각기법과 투각기법을 이용해서 형태와 문양을 만들었고, 알물림(setting), 점취법(点翠去), 스탬핑(stamping), 선조세공(filigree), 감기, 파란 등의 기법을 이용하여 장식하였다. 이 기법들 중 비취모를 붙인 점취법은 장신구에 사용되는 재료가 다양해진 현대에서 얼마든지 활용할 수 있는 기법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최고의 미적 가치와 예술성을 지닌 왕실 장신구의 우수성을 재확인하고 전통적인 기법을 현대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아울러 이러한 전통적인 기법이 현대의 다양한 재료와 조화시킨 장신구의 개발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The Youngchin queen’s Daesu which is currently in the management of the National Palace Museum as an artifact was used to show the family welcoming manners in 1922 when the youngchin family visited chosun. This valuable artifact can support the various documentary records as it is the final result of the royal ceremonial phases of the Chosun Dynasty. The art and the modeling is excellent, and it has a variety of assortments, materials, and techniques which shows us the possibility to be used in modern jewelry. They analyzed and studied the Daesu which was wore at the welcoming event in 1922 by the youngchin queen, in order to take advantage of this artifact to develop modern accessories rather than just simply reproducing or imitating the form. For this purpose, learn about the wedding of king youngchin and queen youngchin and ChinYoung(親迎) prior to classify the species of hair ornament. An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scheme based on material and pattern, color and molding were analyzed. The materials used in the artifact are jade, pearls, bichwimo, cheongpari, hongpari, coral, blue, wax, and so on. Shapes and patterns were made by Carving techniques and tugak techniques, and decorated by using techniques such as setting, jeomchwibeop(点翠去), stamping. filigree, gamgi, and paran. Idea of this technique, entitled jeomchwibeop with. jade jewelry attached can be utilized in modern times in the varied materials techniques. Through this study, with the highest aesthetic values and artistic excellence of the royal ornaments to reaffirm the traditional method has been modernized to take advantage of the opportunity to. I hope this study can be an opportunity for us to use the traditional methods in modern ways. and also help us in reaffirming the highest aesthetic values and artistic excellence of royal ornaments. In addition. I look forward to the development of ornaments with a variety of modern materials and traditional techniques in harmon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