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무원 인식조사를 통한 정부업무평가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허만형(許萬亨)(Mann Heung Hur),라휘문(羅輝紋)(Hui Mun RA),차용진(車溶振)(Yong Jin Cha) 경인행정학회 2010 한국정책연구 Vol.1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government performance appraisal system and the problems caused by implementing the system, and to suggest the improvement alternatives of the system.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this study comprehensively and microscopically tried to examine the government performance appraisal system and to review the individual assessment systems of the government performance appraisal system such as self-assessment, reassessment, special assessment, performance management and local government assessment. This study also conducted the survey on the group of officers experienced the evaluation systems in the 48 central governmental agencies. The results of analyses indicated that the self-assessment system has strengthened the evaluation capacities of the central governmental agencies, and the integrated evaluation system and the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have improved the service quality, effectiveness and accountability of government. Otherwis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ystems have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s on the easing the burden for the evaluation, and also have significantly low effects on the efficiency of the government adminstration.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improvement alternatives of the systems. 본 연구의 목적은 정부업무평가제도의 성과를 분석하고 시행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검토하여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정부업무평가제도에 대한 종합적인 접근 및 미시적 접근을 시도하였고 특히 정부업무평가제도의 틀에서 운영되고 있는 개별평가제도로서의 자체평가 및 재평가, 특정평가, 성과관리, 지방자치단체평가, 그리고 공공기관평가에 대한 분석을 위해 전체 48개 중앙행정기관의 평가담당자 및 평가경험이 있는 공무원 집단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전체적으로 자체평가제도의 도입의 성과는 중앙행정기관의 평가 역량강화에 기여하였고 통합평가제도 및 성과관리제도 또한 정부업무의 품질향상, 효과성, 책임성 향상에 기여하였다. 반면 평가에 대한 업무부담 완화 측면에서 부정적인 문제점이 지적되었고 국정운영의 능률성향상 등에 기여도가 낮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향후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금제도 개혁의 국가간 횡단면적 비교분석 -“보편적” 제도 유형 탐색-

        허만형 ( Mann Hyung Hur ) 한국정책학회 2011 韓國政策學會報 Vol.20 No.1

        연금개혁이 세계 각국의 정책문제로 자리 잡기 시작했다. 저출산·고령화 현상이 한 국가만의 문제가 아니라 세계 각국이 공동으로 가지고 있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이 논문에서는 194개국의 연금개혁을 제도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대륙간 횡단면적 비교분석을 실시하여 각국이 공통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연금개혁 이론의 줄기를 탐색하였다. 각국의 연금개혁 관련 기초자료는 국제사회보장연합회(International Social Security Association)에서 수집한 후 각국의 영문 웹사이트 자료 및 기타 문헌자료를 활용하여 보완하였다. 분석결과 대륙간 연금개혁의 모습은 달랐지만 보편적 제도유형으로 발전가능성이 있는 사항들은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연금개혁에서 책임분산 이념이 보편적으로 적용되고 있었다. 전통적으로는 국가가 연금의 최종책임자였지만 중층구조(multi pillar system)가 연금개혁의 모형으로 활용되면서 사용자뿐만 아니라 근로자 스스로도 연금에 대한 책임의 한 축을 담당하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현실적으로는 중층구조에서 “중층”의 수에 관한 공식은 없었고 2층 구조, 3층 구조, 그리고 4층 구조가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셋째, 중층구조의 2층과 3층의 가입방식에 관한 공식도 없었다. 이론적으로는 2층이 강제가입, 그리고 3층이 임의가입으로 인식되고 있지만 현실은 2층에서 임의가입이 더 많았고, 3층에서 강제가입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Pension reforms have become a critical policy issue across the world. This study analyzes world 194 countries` directions of pension reforms in an institutional point of view, conducts an inter-continental comparative analysis, and explores a set of commonalities that can be used in the development of a pension reform theory. Data for analysis were collected from the International Social Security Association (ISSA) data basis. Individual countries` websites and their pension profiles listed in various literatures also were used to confirm and revise the data collected from ISSA. The specifications of pension reforms in the inter-continental perspectives were varied, but some institutional commonalities being used for the development of a pension reform theory also could be identified. First, the thought of a shared responsibility was in common in pension reforms. Traditionally, the primary responsibility of pension programs belonged to the states, but the responsibility tends to be shared with states, employers, and employees themselves, by being utilized a multi pillar pension system as a model of pension reforms Second, the number of pillar was not very important issue in the transform of a single pillar to a multi pillar pension system. Various combinations of two pillars, three pillars, and four pillars were found in individual countries` pension reforms. Third, the participation formulas such as mandatory or voluntary were not that important issue in the establishment of the second pillar and the third pillar. The second pillar is usually considered as a form of mandatory participation, and the third as a form of voluntary participation, but in reality, many second pillars have been implemented in a voluntary form, and many third pillar in a mandatory form.

      • KCI등재

        공적연금 불평등 연구 - 국민연금과 특수직연금의 비교분석 -

        허만형 ( Mann Hyung Hur ) 한국정책학회 2017 韓國政策學會報 Vol.26 No.4

        공적연금은 노년층의 소득불평등을 완화하는 정책도구로 알려졌지만 불평등을 심화시킬 수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민연금연구원에서 수집하여 공개하는 국민연금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국민연금과 특수직연금의 급여수준에서 존재하는 차이가 단순한 차이인지 불평등이라고 할 정도로 심각한 차이가 존재하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두 연금 사이에는 심각한 불평등 현상이 나타났다. 문제의 근원은 특수직연금이 우월하기 때문이 아니라, 국민연금이 열등하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이었다. 특수직연금과 비교하면 국민연금은 급여수준이 지나치게 낮아 노후보장에 기여하는 바가 매우 낮았다. 국민연금 수급자 그룹의 평균 급여는 27만원에 불과했지만, 특수직연금 수급자의 평균은 170만원 수준이었다. 국민연금은 최저수준의 노후생활비를 충족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니었지만 특수직연금은 연금만으로 노후생활보장이 가능한 수준이었다. 국민연금 수급자는 근로활동을 해야 할 만큼의 보충적 수입이 필요한 사람이 과반이 넘는 반면에 특수직연금 수급자의 경우에는 그 비중이 4분의1도 되지 않았다. Public pensions, known as the great equalizer among older adults in their later life, may contribute to inequality to the extent that a particular population group is more likely to receive pensions than are other groups. This study explores the pension inequality between national pension recipients and public employee pension recipients including government employees, teachers and veterans by using data from the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conducted biennially since 2005. The analysis supported that there exists serious pension inequality between the two groups. The benefit levels of national pension recipients were too low to cover minimum livelihood expenses in their later life. However, the levels of public employee pension recipients were adequate enough to cover the expenses. An average monthly benefits of national pension recipients was ₩270,000, whereas that of public employee pension recipients was ₩1,700,000. Approximately 55.0 percent of national pension recipients had to work to make up their livelihood costs after their retirements. However, the rate of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among public employee pension recipients was less than 25.0 percent.

      • KCI등재

        기획논문 : 사회적 약자와 지방행정 ; 지방자치단체의 사회적 약자 지원 프로그램

        허만형 ( Mann Hyung Hur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1 地方行政硏究 Vol.25 No.4

        본 연구는 기초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사회적 약자 관련 조례제정 현황을 지역별로 비교분석하고, 조례에 근거한 이 프로그램들이 사회적 약자의 사회적 배제 완화에 기여할 수 있는지에 대한 내용분석도 함께 실시하였다. 사회적 약자란 장애인, 아동청소년, 여성, 노인, 그리고 기타 그룹이며, 기타 그룹에는 다문화가정, 탈북주민, 비정규직, 제대군인, 성적소수자, 병력자를 의미한다. 분석 결과 사회적 약자 프로그램도 관심수준이 높은 대상 과 그렇지 않은 대상이 있었다. 도입 수준을 보면 재향군인 예우 및 지원 프로그램을 제외 하고 기초자치단체의 도입비율이 매우 낮았다. 다문화가정 지원의 경우 전국 기초자치단 체의 도입비율이 50%선에 근접한 상태이지만 나머지 프로그램은 그 비율이 20% 내외 수준이었다. 그러나 성적소수자 및 병력자 지원 프로그램은 전무한 상황이었다. 장애인 프로그램은 사회적 배제 완화와 연결되는 프로그램이 대부분이어서 사회적 약자 프로그램으로 서의 적합성이 높았다. 그러나 여성이나 아동의 경우 폭력방지 프로그램을 제외하면 의미 있는 프로그램이 없었다. 노인 지원 프로그램의 경우 효도수당처럼 대가족에 대한 지원은 있지만 조손가정의 사회적 배제완화 같은 프로그램은 취약한 수준이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Local governments` program availability for vulnerable population based on their ordinance legislation information. In addition, this study conducted a simple content analysis whether or not these program included specifications alleviating social exclusion. In this study, social vulnerable population referred to the handicapped, women, children, the elderly, and other groups including nternational marriage couples, North Korean defectors, non-regular workers, veterans, homophiles and suffers from AIDS and a Hansen`s bacillus. Veteran`s program was the most frequently chosen program. Out of 228 Local governments, some 50 percent have adopted the programs for international marriage couples, but those for North Korean defectors was around 20 percent. However, none adopted programs for homophiles and suffers from AIDS and a Hansen`s bacillus. The most various programs have been developed for the handicapped, and most of these program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alleviation of social exclusion. Some 20 percent of Local governments adopted a violence prevention program for women and children, but this program was the only one for them. Cash allowances for the elderly`s longevity were available in about 25 percent of the local governments, however they were not related to the alleviation of their exclusion.

      • KCI등재

        후기실증주의 정책분석 방법론

        허만형(Mann Hyung Hur)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08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1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s whether or not post-positivist methodologies could be practically employed in conducting research on policy analysis. To accomplish the purpose, 1) types of policy analysis were identified in a view of the components of scienceness such as experimentation vs. non-experimentation, and objectivity vs. subjectivity, 2) each individual type of policy analysis was reviewed if the type fits with methodologies of scientific philosophies including positivism and post-positivism, and finally 3) “best fit” methodologies with research on policy analysis were examined. This study concluded that in a view of their methodologies, both positivism and post-positivism are not two extremes oriented toward opposite ends, but they are positioned on the same continuum so that can make a form of interaction. Both also are not contradictory and dichotomous entities, but compatible and complementary ones. Therefore, multiple methodologies are encouraged to be employed to enhance both scienceness and usefulness of knowledge of policy analysis.

      • KCI등재

        지방정부의 재정자립도와 사회복지예산의 관계 연구: 지방정부 유형별 비교분석

        허만형 ( Mann Hyun Hur ),김은경 ( Eungyung Kim )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2018 국가정책연구 Vol.32 No.1

        본 연구에서는 재정자립도와 사회복지예산의 관계를 시·군·구 유형별로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중앙정부의 정권변동이 지방정부의 재정자립도와 복지예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함께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는 통계청의 e-지방지표에 포함되어 있는 시·군·구의 재정자립도와 복지예산 비율로서 본 연구에서는 2004년부터 2016년까지의 자료를 정권별로 통합하여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시·군·구 단위 지방정부의 재정자립도와 사회복지지출 비중의 관계는 한 마디로 단순화시켜 설명하기 어려웠지만 몇 가지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도시형 지방정부로서 구 단위의 경우 재정자립도와 사회복지지출 비중은 부의 관계가 나타났으며, 이 현상은 노무현 정부에서 가장 뚜렷했다. 그러나 재정자립도가 일정 수준이 넘으면 두 변수의 관계가 부의 관계에서 정의 관계로 바뀌는 현상이 나타났다. 둘째, 시·군 단위 지방정부의 경우도 재정자립도가 일정수준 이하이면 두 변수는 정의 관계였다가 그 수준을 넘어서면 부의 관계로 전환되는 성향이 있었다. 예외가 있었다면 박근혜 정부의 시 단위 지방정부로서 두 변수의 관계는 정의 관계였다. 셋째, 재정자립도와 사회복지지출 비중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분석 모형으로서 삼차함수 모형의 적합도가 가장 높았다. 삼차함수는 독립변수가 일정 수준을 벗어나면 정의 관계가 부의 관계로 바뀔 수 있고, 부의 관계가 정의 관계로 바뀔 수 있는 성향이 있음을 의미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governments’ financial autonomy and Social welfare expenditures in a comparative view between three types of local governments including Si, Gun, and Gu by using longitudinal data from 2004 through 2016 from e-local indicators in the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s. Major analytic methods for this study were curve linear regression models. No consistent relationships were not exhibited between the two variables in the three types of local governments. For Gu,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was mostly negative until the rates of financial autonomy reached at 75~80 percent. For Si and Gun, the relationship was positive, but turned to negative when the rates of financial autonomy reached beyond 45~50 percent. Out of various curve linear regression model, the cubic model was the best fit one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governments’ financial autonomy and welfare expenditures.

      • KCI등재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의 인구 고령화와 고령친화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전국 226개 시・군・구를 중심으로

        허만형(Hur, Mann Hyung),황윤원(Hwang, Yunwon) 한국지방정부학회 2016 지방정부연구 Vol.20 No.2

        본 연구에서는 경로분석을 활용하여 전국 226개 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인구 고령화와 지역사회의 고령친화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자료는 통계청에서 관리하는 지역통계와 e-지방지표에서 수집하였는데 기초자치단체의 고령친화도는 노인여가복지시설, 방문목욕, 방문간호, 방문요양과 같은 재가서비스, 단기보호기관, 장기요양기관, 노인공동생활가정과 같은 시설, 그리고 문화시설, 의료기관병상수, 공원조성면적과 같은 변수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군 단위 지방자치단체는 이미 고령 사회를 넘어 초고령 사회, 혹은 초초고령사회에 접어들었고 구단위는 고령화 사회의 단계에 머물고 있었다. 경로분석 결과 인구 고령화는 노인여가복지시설, 문화시설, 그리고 의료기관병상수 같은 세대친화적 변수와는 정의 관계에 있었지만, 노인재가서비스, 단기보호, 장기요양기관 등 노인친화적 변수와는 부의 관계에 있었다. 인구 고령화는 복지예산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복지예산은 세대친화 변수보다는 방문간호나 그룹홈 서비스와 같은 노인친화 변수와는 정의 관계가 나타났다.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population aging and age-friendliness in 226 local governments in Korea, by using a path analysis as its major research method. Data was collected from the database managed under the section of regional statistics and e-regional indicators in the Statistics Korea. Local governments’ age friendliness was measured on the basis of 10 variables including one elderly leisure facility, three home care facilities, three elderly care facilities, one cultural facility, bed hospitals, and parks. Local governments’ demographic aging differed significantly in terms of geographic characteristics. Rural areas, referred to as Gun, has already turned into the super-aged society. However, the aged society has been yet to come in urban areas, or Gu. This study showed that population aging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ge friendly variables such as elderly leisure facility, cultural facility, and bed hospitals characterized as cross-generation friendliness. However, population aging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variables including elder friendliness variables such as home care facilities and elderly care facilities. The population aging affect the welfare budget variable. However, the welfare budget did not necessarily influence on all age friendliness variable. The welfare budget showed a positive association with a couple of elder friendliness variables such as home nursing services and group home care services for older pers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