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택지표를 이용한 미국의 경기침체 예측

        한규숙,형남원,권태구 통계청 2020 통계연구 Vol.25 No.1

        Term spread have performed excellently in predicting recession, and based on these experiences, concerns over the recession have widened with the term spread reversal in 2019. However, controversy continues over the predictive power of term spread. In this study, we reviewed the importance of term spread differentials in economic downturns and examined whether there are alternative indicators focusing on housing indicators that are economically highly relevant. In order to compare the predictive power, we performed out of sample prediction using a Probit model using data from 1965 to 1980.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the housing index is shown to perform excellently in the short-term, and when combined with the term spread, show improved long-term forecasting power. In addition, term spread differentials are useful for predicting when the economy is entering a recession, and housing indicators can confirm whether the recession period persists. In this way, the use of housing indicators and term spread differentials is expected to be useful for improving the accuracy of forecasts and double-checking the arguments when establishing the overall economic direction or economic downturn. 장단기금리차는 경기침체에 대한 높은 예측력을 보여 왔으며,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2019년에 장단기금리 역전현상이 나타나자 경기침체 우려가 심화되는 한편, 장단기금리차의 예측력에 대한 논쟁도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침체의 예측에 장단기금리차의 유효성을 다시 확인하고, 경기와 관련성이 높은 주택지표가 대안적인 지표가 될 수 있는지 검토했다. 예측력의 비교를 위해, 1965~1980년 기간 자료에 대해 프로빗 모형을 이용하여 표본 외 예측을 수행했다. 실증분석 결과, 침체 예측에 있어 주택지표는 단기적으로 양호한 예측력을 보이며, 장단기금리차와 결합될 경우 장기적 예측력이 개선되는 결과도 보였다. 또한 장단기금리차와 주택지표를 통해 침체 진입시점을 확인할 수 있으며, 침체의 지속 여부는 주택지표를 통해 예측 가능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를 통해, 전반적인 경기 방향성 또는 침체 관련 전망 수립 시, 주택지표와 장단기금리차를 적절히 활용할 경우 예측의 정확성을 높이고, 논거를 재점검하기에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통화론적 접근방법에 근거한 외환위기 전후 원/달러 환율결정에 대한 비교분석

        한규숙,오유진,Han, Kyue-Sook,Oh, Yu-Jin 한국통계학회 2010 응용통계연구 Vol.23 No.1

        Korea experienced a financial crisis in 1997. Since then Korea economy has undergone severe change such as exchange rate regime from the market average exchange rate system to the free floating exchange rate system in 1997, and the currency rate fluctuation has been widening. We empirically analyze the determination of the Won/Dollar exchange rate based on the monetary approach. We employ Lucas (1982), Bilson (1978) and Frankel (1979) models and consider some mixed models. We make use of monthly data of money supply, income, interest rate, capital balance, terms of trade, and the yen/dollar exchange rate over the period 1990-2009. We compare the empirical results of cointegration tests and the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VECM) from the two regimes, the pre and post korean financial crisis. The won/dollar exchange rate has long-run relationship with the variables in the monetarist models in the two regimes. For the post crisis regime, the Bilson model is the best and the long run variables also affect the short run dynamics of the won/dollar exchange rate. 1990년 시장평균환율제도에서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자유변동환율제도까지 환율제도의 변경과 더불어 자본시장 자율화로 인하여 환율의 변동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와 같은 환율 변동성의 증대는 우리나라와 같은 소규모 개방경제와 수출중심의 경제기반 하에서 주요관심사가 아닐 수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자유변동환율제도를 설명하기 위해 이론적으로 고안된 통화론적 접근방법을 적용하여 우리나라의 대미 환율 결정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들 모형에 근거하여 설명변수로는 통화량과 소득, 이지율, 자본수지, 엔화환율, 교역조건 등을 선택하였다. 또한 분석기간을 1990년부터 2009 년으로 하여 외환위기 전 후 균형관계의 차이를 비교분석할수 있도록 하였다. 공적분 검정과 벡터오차수정모형을 통한 실증분석 결과, 우리나라에서도 통화적 접근방법은 자유변동환율제도 기간인 외환위기 이후기간에 더 설명력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환위기 이후기간에는 통화량, 소득, 단기이자율로 구성된 가격신축적 Bilson 모형이 가장 우세하였으며, 환율과 장기적 관계에 았는 변수들이 환율의 단기변동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 KCI등재

        최저임금이 사업체의 구인에 미치는 영향 : 실증분석

        한규숙(Kyuesook Han),권태구(Taegoo Kwon),김민창(Minchang Kim) 한국자료분석학회 202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2 No.2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recent minimum wage hike on employment demand. Empirical analysis is carried out with applying an industry-level data for the period between 2009 and 2019. As independent variables, minimum wage increase, industry-specific effects, labor productivity fluctuations, and GDP fluctuations were considered. The empirical results indicate that minimum wage increase significantly reduces the employment demand for small establishments with less than 30 employees. In particular, the negative effects of minimum wage are greater for small establishments with fewer than 10 employers. For establishments with an employment scale of 10 to 29, the negative employment effect is observed for the minimum wage increase in 2018-19. However, due to the limit in available data, the impact of the change in the minimum wage on the labor demand of small businesses with less than five employees cannot be explained. And it also fails to take into account recent employment replacement by technology development. These findings closely reflect recent efforts such as job security funds by government agencies after recent minimum wage hike. 본 연구는 최저임금의 변화가 사업체의 노동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실증분석에는 2009~2019년 기간에 걸친 고용노동부의 사업체노동력조사와 고용형태별근로실태조사 자료가 활용되었고, 추정에는 통상적인 패널분석 모형을 적용했다. 산업별 고정효과와 노동생산성 변동, 경기변동 요인을 통제하여 최저임금 변동의 한계효과를 관찰하고자 했다. 분석결과, 최저임금의 인상은 30인 미만 소규모 사업체의 구인규모를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러한 최저임금의 부정적 고용효과는 10인 미만 영세업체에 대해 더 컸다. 10~29인 규모 사업체의 경우, 추세를 이탈한 최저임금 인상이 이뤄진 2018~2019년의 최저임금 인상에 대해 부정적인 고용효과가 관찰되었다. 다만, 본 연구의 실증분석은 자료상의 한계로 최저임금의 변화가 5인 미만 소규모 사업체의 노동수요에 미친 영향은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실증분석 모형은 최근 발생한 고용 대체적 기술변화도 고려하지 못했다. 최저임금이 사업체의 구인수요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는 최근 큰 폭의 최저임금인상 이후 정부가 시행한 일자리 안정자금 지원에 대한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

      • KCI등재

        동태요인 모형을 이용한 미국 주택투자 예측

        한규숙(Kyuesook Han),형남원(Namwon Hyung) 한국주택학회 2019 주택연구 Vol.27 No.4

        세계경제에 미치는 파급력을 고려할 때 미국 경기에 영향을 주는 지표를 선제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미국 주택시장은 금융위기 이전에 뚜렷한 경기선행성을 보였으며, 금융 위기를 촉발한 원인임을 고려할 때 주택시장의 방향성을 사전에 인지하면 경기 흐름 예측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주택 경기를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지표로는 GDP 구성요소 중 주택투자가 대표적이나 GDP 통계는 분기로 발표되어 발표시차가 길고, 수치의 추가 조정 가능성 등으로 적시성이나 정확성 측면에서 한계가 존재한다. 본 연구는 GDP 주택투자 예측의 적시성과 정확성을 보완하기 위해 동태요인모형을 사용하였다. 1985년 1월~2019년 5월의 기간에 대해 66개의 월별 거시경제지표를 이용하여 다른 모형 과의 예측력을 비교한 결과 동태요인 모형의 우수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추정된 주성분계 수의 변화추이를 살펴본 결과, 금융위기 이후 주택투자의 경기선행성 약화 원인은 공급측 요인에 기인한 것으로 추론된다. Considering the impact the US economy has on the global economy, recognizing and actively responding to key indicators affecting the US economy is always beneficial. The US housing market led the economic activity befor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of 2008. As evidenced by the cause of the GFC, the change in the housing market has a large impact on the real economy. Hence, forecasting the direction the housing market is expected to take will greatly help understand the economic trends. Residential investment in GDP is an index typically used to comprehensively figure out the housing market, but GDP is limited in terms of timeliness and accuracy due to the long time lag following the quarterly announcement and the possibility of adjusting the announced figures. In this study, we set up a dynamic factor model using 66 monthly macroeconomic indicators for January 1985 to May 2019 to supplement the timeliness and accuracy of residential investment forecasts. In order to verify the forecast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e dynamic factor model is compared to the time series model and we also look at the in-sample and out-of-sample predic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dynamic factor model performed excellently. Also, changes in the principal component coefficients estimated in the model suggest supply side factors as cause of the weakening of the housing investment as a leading index after the GFC.

      • 하방위험을 이용한 위험자산의 최적배분

        형남원,한규숙 한국재무학회 2007 한국재무학회 학술대회 Vol.2007 No.04

        손실기피(limited down side risk) 선호를 가진 투자자의 경우 통상 적으로 사용하는 위험도의 척도인 분산 혹은 표준편차 대신에 하방 위험성 에 더 관심을 가지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평균-VaR 모형이 평균-분산 모 형보다 더 적합한 모형일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두 모형을 이용하여 최적 자산배분 문제를 실증분석하고 그 결과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수익률의 분포 에 정규분포 가정이 아닌 두터운 꼬리(fat tail) 분포 가정을 도입하여 극단 적인 위험을 고려한 최적자산배분 문제를 분석을 하였다. 각 이론이나 가정 들의 강건성(robustness)을 살펴보기 위하여 역사적 분포를 이용한 분석을 비교 기준으로 하였다. 경험적 혹은 역사적 분포를 이용한 분석을 통해서, 극단적인 위험을 고려하는 손실기피적인 선호체계에서의 최적화 행위는 정규분포의 가정이나 평균-분산 모형이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일상적인 수준을 능가 하는 극단적인 손실 위험성을 고려하기에 적합한 모형은 수익률의 두터운 꼬리를 반영하는 분포 가정에 기초한 평균-VaR 모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