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형할인마트의 진입행태와 경쟁구조에 관한 실증분석

        성낙일 ( Nakil Sung ),권태구 ( Taegoo Kwon ) 한국산업조직학회 2016 産業組織硏究 Vol.24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형마트의 진입행태를 분석함으로써 대형마트 시장의 경쟁상황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00~2011년 기간 중 전국232개 시/군/구 패널자료에 고정효과 로짓모형(fixed effects logit model)을 적용함으로써 대형마트 매장의 진입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진입후보지역에 대형마트 매장이 이미 존재하거나 대형마트 매장 수가 많을수록 우리나라 대형마트 업체들의 매장 개설확률은 감소했다. 무엇보다 우리나라 대형마트들은 자사 매장이 소재한 지역에 신규 매장을 개설할 확률이 낮았고 경쟁업체 매장이 소재한 지역에 매장을 개설할 확률이 높았다. 다시 말해, 대형마트들은 자기시장을 잠식하기보다는 경쟁적 소매시장에 진입하는 전략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우리나라 소매유통시장의 집중화에도 불구하고 소매유통시장의 경쟁상황이 악화된 것은 아닐 수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entry pattern of large discount stores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status of competition in Korea`s regional retail markets. Empirical analysis is carried out with a panel data of 232 regions (cities- counties-boroughs) for the 2000-2011 period. Hausman`s specification tests are always in favor of fixed effects logit model. The empirical result indicates that the presence of existing large discount stores tended to discourage a large distribution firm from opening a new store. The more large discount stores in a region, the less likely large distribution firms were to open a new store. Additionally, large distribution firms were less likely to open a new store in the region which had their existing stores, and were more likely to open a new store in the region which had their competitors` stores. In other words, large distribution firms attempted to enter in competitive markets instead of cannibalizing their own markets. This finding implies that the status of competition in regional retail markets may not be dismal despite their seemingly concentrated market structure.

      • KCI등재

        최저임금이 사업체의 구인에 미치는 영향 : 실증분석

        한규숙(Kyuesook Han),권태구(Taegoo Kwon),김민창(Minchang Kim) 한국자료분석학회 202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2 No.2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recent minimum wage hike on employment demand. Empirical analysis is carried out with applying an industry-level data for the period between 2009 and 2019. As independent variables, minimum wage increase, industry-specific effects, labor productivity fluctuations, and GDP fluctuations were considered. The empirical results indicate that minimum wage increase significantly reduces the employment demand for small establishments with less than 30 employees. In particular, the negative effects of minimum wage are greater for small establishments with fewer than 10 employers. For establishments with an employment scale of 10 to 29, the negative employment effect is observed for the minimum wage increase in 2018-19. However, due to the limit in available data, the impact of the change in the minimum wage on the labor demand of small businesses with less than five employees cannot be explained. And it also fails to take into account recent employment replacement by technology development. These findings closely reflect recent efforts such as job security funds by government agencies after recent minimum wage hike. 본 연구는 최저임금의 변화가 사업체의 노동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실증분석에는 2009~2019년 기간에 걸친 고용노동부의 사업체노동력조사와 고용형태별근로실태조사 자료가 활용되었고, 추정에는 통상적인 패널분석 모형을 적용했다. 산업별 고정효과와 노동생산성 변동, 경기변동 요인을 통제하여 최저임금 변동의 한계효과를 관찰하고자 했다. 분석결과, 최저임금의 인상은 30인 미만 소규모 사업체의 구인규모를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러한 최저임금의 부정적 고용효과는 10인 미만 영세업체에 대해 더 컸다. 10~29인 규모 사업체의 경우, 추세를 이탈한 최저임금 인상이 이뤄진 2018~2019년의 최저임금 인상에 대해 부정적인 고용효과가 관찰되었다. 다만, 본 연구의 실증분석은 자료상의 한계로 최저임금의 변화가 5인 미만 소규모 사업체의 노동수요에 미친 영향은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실증분석 모형은 최근 발생한 고용 대체적 기술변화도 고려하지 못했다. 최저임금이 사업체의 구인수요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는 최근 큰 폭의 최저임금인상 이후 정부가 시행한 일자리 안정자금 지원에 대한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

      • KCI등재

        비정규직의 일자리 이동성 분석

        유경준(Gyeongjoon Yoo),권태구(Taegoo Kwon) 한국자료분석학회 2023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5 No.2

        본 연구는 비정규직 임금근로자의 경제활동상태 변동, 그중에서도 정규직으로의 근로형태 전환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실증분석에는 2006~21년, 총 16개년에 걸친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패널자료를 활용했다. 이행행렬을 통한 분석 결과, 지난 15년간 임금근로자와 비임금근로자 간 이동 그리고 임금근로자 중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이동은 크게 감소하여 고용형태의 분절화가 심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율은 ’06-’07년 18.9%에서 ’20-’21년 기간 10.1%로 크게 감소했다. 한편,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은 근속에 의한 전환보다 이직에 의한 전환 비중이 더 높았고 근속에 의한 정규직 전환은 더 크게 감소했다. 근로형태별로는 비기간제 한시근로자, 파견근로자의 하락폭이 컸고, 남성, 30대 미만 청년층, 대졸 이상 고학력자의 정규직 전환율이 높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기존 선행연구들의 결과에 대체로 부합하는 결과이다. 다만, 본 연구는 정규직 전환 감소의 원인이 무엇인지에 관한 설명을 제시하지는 못하고 있다. 실증분석 결과와 임금근로자 중 비정규직 비중이 추세적 증가한다는 점을 함께 고려하면, 분절화의 원인에 대한 정교한 분석이 추가로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s in the economic activity status of non-regular workers, especially the transition to regular employment. Empirical analysis is carried out with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data between 2006 and 2021.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rough the transition matrix, the conversion between wage and non-wage workers and the conversion between regular and non-regular workers among wage workers has decreased significantly over the past 15 years. In particular, the conversion ratio of non-regular workers to regular workers declined significantly from 18.9% in 2006-07 to 10.1% in 2020-21. The conversion of non-regular workers to regular workers has a higher proportion by turnover than by tenure, and the conversion to regular workers by tenure has decreased significantly. And the decline in the conversion ratio to regular workers is greater for non-fixed term contract workers and temporary agency workers. These results are generally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However, this study does not provide an explanation of the reason for the decrease in the conversion to regular workers. Considering the empirical results and the trend of the proportion of non-regular workers among wage workers, additional studies of the cause of segmentation is needed.

      • KCI등재

        자영업가구의 채무불이행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윤병우(Byungwoo Yoon),권태구(Taegoo Kwon) 한국자료분석학회 202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2 No.1

        본 연구는 자영업 가구의 채무불이행에 미치는 가구특성을 2017∼18년에 걸친 가계금융·복지조사 자료를 활용해 분석했다. 추정에는 이항종속변수 모형이 활용되었으며 전체 자료와 자영업가구에 한정한 분석도 시행하여 자영자가구와 비자영자가구 간에 종사상지위 선택의 이질성을 관찰하고자 했다. 채무불이행을 설명하기 위한 요인으로, 신용활동 특성과 함께 인구·사회학적 특성, 고용·소득·주거특성 등을 고려했다. 추정 결과, 부채/자산 비율, 신용대출 및 제2금융권 대출 등 신용활동 특성 외에 고용·소득·주거, 인구·사회학적 가구특성 등도 채무불이행 위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산 대비 부채 비율이 높을수록, 신용 및 비은행권 대출 비중이 높을수록 채무불이행 확률이 높았다. 40~50대 가구주는 청년 또는 노년 가구주보다 채무불이행 확률이 높았고 고학력자, 아파트 및 자가 소유자의 위험이 유의하게 낮았다. 종사상지위와 관련하여 소득이 안정적인 임금근로자 가구의 채무불이행 위험이 자영업가구 또는 미취업가구보다 낮았다. 자영업가구만을 대상으로 추정한 결과, 산업별로 상이한 위험확률을 보이고 있다. 또한, 전체 자료를 활용한 추정치와 대체로 유사했고, 자영업자가구의 이질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사업자 대출이 상대적으로 차입제약과 비용이 낮은 점, 그리고 자영자 대출의 이중성 등을 고려할 때 과다채무 또는 채무불이행 문제의 관리를 위해 신용활동 특성과 함께 인구·주거 및 기타 사회학적 특성을 정책조정의 고려대상으로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determinants of self-employed households default probability. Empirical analysis is carried out with applying a household level micro-data for the period between 2017 and 2018. With a binary dependent variable, a logistic regression is estimated to find the factors driving households default.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households demographic, employment, income, and housing characteristics were considered. As the results of estimations, debt-to-asset ratios, credit loans and non-bank loans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probability of default. And demographic household characteristics such as employment, income, housing also show significant effects on default. Wage workers has a lower risk of default than self-employed and unemployed workers. In addition, estimates for self-employed people show different risk probabilities for different industries. In addition, the heterogeneity of self-employed households regarding the choice of occupation status has not been confirmed. Considering the recent increase in government support for SMEs, the results provide empirical evidence on the view that government agencies may need to have a policy effort that takes account of non-financial factors like socio-demographic and housing characteristics as well as only financial factors.

      • KCI등재

        임금근로자의 고용보험 사각지대와 미가입 특성 분석

        채수복(Subok Chae),권태구(Taegoo Kwon) 한국자료분석학회 2024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6 No.1

        본 연구는 임금근로자의 고용보험 미가입 특성을 분석하고자 시도했다. 구체적으로 고용보험사각지대의 동태적 추이를 분석하고, 적용대상자의 미가입 원인으로 사업장 속성과 인적속성 외에 근로자의 일자리 특성의 설명력을 규명하고자 시도했다. 실증분석에는 2011~2022년 기간에 대한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자료가 활용되었고, 추정에는 선형확률모형을 적용했다. 지난 11년간 고용보험 가입률은 지속적으로 상승했지만, 종사자 5인 미만 소규모 사업장, 저임금근로자 등의 미가입 비중은 여전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미가입을 결정하는 요인을 추정한 결과, 사업장 규모와 임금 격차는 미가입을 유의미하게 설명하지만, 무엇보다 종사상 지위의 설명력이 크게 높았다. 즉, 고용보험 미가입이 영세사업장에서 관찰되지만, 사업장 규모보다 종사상 지위, 인사노무관리규정의 적용여부와 같은 사업체 내 근로자의 특성과 더욱 긴밀하게 연관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보조금 지급 외에도 근로자의 인사관리규정의 적용 여부와 미적용 원인을 고찰하는 것도 실질적 사각지대 해소의 방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다만 본 연구의 실증분석은 높은 상관관계의 서술일 뿐 엄밀한 인과관계를 규명한 것은 아니라는 한계를 지닌다.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uninsured characteristics and blind spots of employment insurnce. Specifically, it analyzed the dynamic trends of the blind spot, and attempted to clarify the explanatory power of job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place and the individual as the cause of uninsured. Empirical analysis is carried out with Supplementary surveys of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by Employment Type microdata between 2011 and 2022. Empirical results indicate that the employment insurance blind spot has been steadily decreasing in the past 11 years, but the size of blind spots in small businesses with less than 5 employees and low-wage workers is still large. As the result of the regression through the linear probability model, the scale of the workplace and the wage gap significantly explain non-coverage, but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occupational status is much higher. In other words, it is more closely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workers within the business, such as occupational status and the application of personnel management regulations, rather than the scale of the workpla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efforts to resolve actual blind spots can be a means of alleviating actual blind spots in addition to providing subsidies, by considering the existence of personnel regulations and the reasons for the uninsured. However, these findings have the limitation that it is only a description of high correlation, not a causal relation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