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비서사에 나타난 속이야기의 놀이적 특성과 그 효과

        하은하,Ha. Eun-ha 한국고전연구학회 2015 한국고전연구 Vol.0 No.31

        이 논문의 목표는 이야기가 사람의 삶에 미치는 효과를 작품 내에서 살피는 것이다. 이를 위해 ‘속이야기’가 나타나는 구비서사를 대상으로 이야기판이 갖는 놀이적 특성을 분석하고, 속이야기 전후의 참여자들의 삶의 변화와 그 의미에 대해 살폈다. 놀이는 본질적으로 재미를 수반하는 것이지만 유희성만 강조되면 말초적이고 순간적인 쾌락으로 그 효용이 축소되고 만다. 이에 본고에서는 놀이가 현실 경험과 맺는 관계에 대해 주목하였다. 그리하여 놀이란 현실의 문제를 처리해 나가는 과정의 하나이며 삶의 변화란 그런 와중에 생겨나게 되는 효과임을 밝혔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속이야기 삽입을 통해 이야기판을 구성하는 구비서사의 양상은 크게 즉흥적인 것과 계획적인 것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었다. 한담으로 대표되는 즉흥적인 이야기판에서는 일상의 경험으로부터 벗어나 기분전환을 하거나, 무료한 시간을 보내려 하기 때문에 유흥의 분위기가 흘러넘치고 이야기의 내용도 일정한 규칙이 없이 느슨하게 이어졌다. 반면 계획적인 이야기판에서는 즉흥적인 이야기판의 변덕스러움을 이야기 규칙이 강제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 규칙은 비생산적이며 일시적인 것이지만 통상적인 규범을 거부하고 그 효과가 놀이 이후에도 지속될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는 속이야기가 참여자들의 삶에 기여한 바에 대해 살폈는데 <노처녀들의 원님놀이>에서 원님 놀이는 노처녀들의 현실 속 좌절에 대해 가공의 만족감을, <봄날에 개구리 두 마리가 없다는 글귀>에서는 선비의 고통스러운 경험을 해석 가능한 사건으로 바꾸어 위안을, <소가 된 상좌와 오백나한 이야기로 정조 지킨 부인>에서는 남자에게 욕망의 지연의 필요성에 대한 깨달음을, 부인에게는 현실에 대한 통제력을, 오백 명의 도적들에게는 부처와 같은 삶으로의 변화를, 임금에게는 새로운 질서의 창조에 대한 단서를 제공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하여 이야기 놀이의 가장 긍정적인 효용은 현실의 질서를 대체하고 싶은 소망을 투영하고 새로운 놀이 규칙에 따라 놀아봄으로써 그 효과를 간접적으로 경험한 결과, 실제 세상의 질서를 바꾸게 되는 것임을 밝혔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at it brings any change at the people to tell or listen a story. For the purpose, I take Oral Narratives having a different additional story in it as a target. Text of story in story shows the process of talking to us. and Changes after the story are showed. In this paper, ‘motivation to the story’ and ‘join the game’ are seen to be associated with each other. There are two kinds of improvisation and planning in motivations to the story. Improvisation is associated with deviation from daily life, refection and killing time. The improvised story goes something similar to connecting them to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the planned story controlls capriciousness by a rule of story. A typical story is a story about a bet. There are rules to win a bet, in the story. Despite the rule, the play is interesting because of the surprising progress. Rules of play is allowed to continue after the end of the play. Finally, the utility of the story is as follows. First, the story provides satisfaction. Satisfaction will endure the frustration of human experience in real life. Second, the story changes a painful experience to interpret state. Third, the rules of the game to deny the everyday norm is that the new order can change the world.

      • KCI등재

        아랑설화에서 드라마 <아랑사또전>에 이르는 신원 대리자의 특징과 그 의미

        하은하 ( Ha Eun-ha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4 고전문학과 교육 Vol.28 No.-

        이 논문에서는 기존의 아랑설화 연구에서 주요 관심의 대상이 아니었던 신원 대리자를 주목함으로써, 아랑설화 속 신원의 의미를 새롭게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문헌과 구비로 전승되는 아랑설화를 검토한 결과 각 편들 간에 편차가 크고 아랑만큼 변화가 큰 인물이 신원 대리자이라는 점에 착목해서 그들의 특징과 의미를 면밀히 고찰한 것이다. 논의를 위해 본고에서는 『청국야담』, 『고금소총』, 『동야휘집』, 『금계필담』, 『일사유사』, 『반만년간 죠선긔담』의 문헌 소재 아랑설화와 『한국구비문학대계』, 『한국구전설화(임석재전집)』에 수록된 구비 전승 아랑설화, 그리고 드라마 <아랑사또전>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문헌자료를 검토한 결과 신원 대리자는 첫째, 원귀의 호소를 들을 수 있는 자와, 원귀의 문제를 처리하는 자 둘로 나누어진 경우가 많았다. 둘째, 원귀의 호소를 들을 수 있는 자들은 대개 그들이 지닌 능력과 겉모습 사이에 큰 괴리가 있었다. 예로 몰락한 양반이거나, 실력은 있지만 세상에 널리 알려지지 않은 인물이었다. 셋째, 능력과 현실적 지위 사이의 불일치가 여성이 신원 대리자의 모습으로 형상화된 경우도 있었다. 문헌 소재 아랑설화에서 확인할 수 있었던 위 세 가지 특징은 구비설화에서는 신원 대리자들의 지위가 미천할 뿐 아니라 가정과 세상으로부터 천덕꾸러기 취급을 받는 인물로 형상화되고 있었다. 이들은 밀양의 원으로 자원하게 되는 계기는 제각기 다르지만 처해있는 현실적 조건에서 벗어나기 위해 주체적인 결정을 통해 밀양 원님을 선택한 다는 점에서는 일치했다. 이런 특징은 드라마 <아랑사또전>의 신원 대리자인 사또 은오에게 반복되고 있었다. 문헌설화, 구비설화, 드라마 속의 신원 대리자들의 특징을 요약하면, 신분이나 사회적 처우 면에서나 감추어진 사건의 희생자인 아랑만큼이나 소외받고 인정받지 못한 이들이었다. 따라서 아랑이 신원 대리자를 찾아간 것 또는 신원 대리자가 아랑과 대화를 나눈 것이란 바로 소외되고 억압된 존재들 간의 만남과 연대로 볼 수 있었다. 아랑은 가장 가까운 존재인 부모에게 자신의 신원을 부탁하지 않았다. 그것은 부모도 그녀의 정절을 의심했으며 소문이 두려워 감추는 일에 급급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아랑의 신원을 단순히 정절 이데올로기의 회복이라거나 공적인 애도의 과정으로 볼 수만은 없었다. 아랑과 신원 대리자의 소통이란 우선, 같은 문제를 안고 있는 소외된 존재들의 연대라 볼 수 있다. 이것은 권력의 문제를 고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둘째는 침묵으로 동조하는 있는 가족과 이웃에 대한 원망의 표출이다. 셋째는 죽음의 진실을 밝힌 신원 대리자의 과거 급제를 계기로 새로운 판짜기를 시도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백일장의 시제(詩題)로 아랑의 해원을 상기시키는 것은 새판이 지속되기 위해서 잊지 말아야 할 기억을 각인시켜 나가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e grudge-informer who was not concernd in existing research of ‘A-rang tale’. This paper has suggest new meaning of ‘A-rang tale’ through the grudge-informer. In the paper, objects of study are ‘A-rang tale’ and < A-rang satojeon: drama >. Firstly, characteristics of grudge-informer are compared. The grudge-informer is showed in bibliographic data and a story that has been passed on orally. Next, the characteristics are repeated sato in < A-rang satojeon: drama >. In Narrative Literature, the characteristics of grudge-informer is as follows; One person can hear story of ghost, the other person can solve problem. One person has high ability but low status. One person is mainly woman, poor yangban and unfamous man. In Oral Folktales, the characteristics of grudge-informer is similar to bibliographic data. < A-rang satojeon: drama > has the same characteristics. They are all alienated from the reality, so want to change the reality. The talk between ghost and grudge-informer is meeting with oppressed people. It is also solidarity. Target is denouncement of problem of power. Target is denouncement of problem of power. Secondly, expression of resentment to family and neighbor who are turned to silence. Thirdly, new making board is attempted with pass the state examination of grudge-informer. Fanally, ‘A-rang tale’ was the state examination.

      • KCI등재

        가린-미하일로프스키의 『조선설화』에 나타난 ‘수달 전설’의 결합 양상과 청에 대한 인식

        하은하 ( Ha Eun-ha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8 고전문학과 교육 Vol.37 No.-

        이 논문은 19세기 말 가린-미하일로프스키에 의해 채록된 『조선설화』 속 수달 전설의 특징과 그 의미를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조선설화』에 수록된 64편의 설화들은 1898년 두만강과 압록강 유역에서 채록된 것으로 이른 시기 한반도 북부 지역에서 전승되던 설화의 일면을 보여주지만 1980년대 후반에 이르러서야 우리에게 소개되었다. 이후 선행 연구를 통해 『조선설화』의 대체적인 성격과 연행 과정에 대한 정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개별 작품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는 아직 미흡하다. 이에 본고에서 조선과 만주의 기원을 다루는 설화 <수달에 관한 전설>을 중심으로 그 이야기의 형식적 특징을 살폈고, 나아가 이야기 속에 형상화된 누루하치 가문과 이성계 가문의 대결 양상에 개입하고 있는 서술시각의 의미에 대해 논의해 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달에 관한 전설>의 형식적인 특징은 ‘야래자 유형’과 <물 속 미륵 귀에 건 아버지 유골>, 눈 빛 강한 이인, 정충신 일화처럼 개별적으로 존재하는 설화 유형이나 화소를 재구성하여 새로운 혼합형 설화로 만들어냈음을 밝혔다. 각각의 서사 논리를 지닌 기존의 설화들을 재배치하면서 <수달에 관한 전설>에는 여러 변형들이 생겨났다. 그러나 다양한 종류의 변형을 가로지르는 일관된 논리는 누루하치 가문과 이성계 가문 간의 비교와 대결을 뚜렷하게 만들기 위해 개별 설화를 활용하려 했다는 점이다. 그 결과 청나라의 기원이 되는 누루하치 가문의 신성성은 확대되고 구성원들의 인품도 높여졌다. 반면 조선의 기원이 되는 이성계 가문은 누루하치 가문에 비교해서 비범성이 떨어지고 능력도 떨어졌다. 그런데 이것은 청나라에 대한 선망에서 비롯한 것은 아니었다. 오히려 청나라와 조선의 혈통은 관련이 있다는 생각에 기반하고 있었다. 19세기 말 한반도 북부에서 채록된 설화에 담긴 인식은 청나라에 대한 재조명인 바, 청은 조선의 또 다른 혈통이기 때문에 청나라가 천하를 통일했던 경험을 조선 또한 공유해야 한다는 것임을 확인했다. 그것은 후일 금나라의 역사를 민족사의 관점에서 포섭하고 만주와 조선을 단군대황조의 후예이며 한 겨레로 보는 대동(大東)사관과 닮아 있는 것이기도 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meaning of < Otter Legend > of "Nikolai Garin - Mikhailovsky’s 『the Joseon tale』. < Otter Legend > talks about the origins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Qing Dynasty. In this paper, we revealed the features of the form of "Otter Legend". And analyzed the confrontation between Nurhachi’s family and Yi Seong-gye’s family shown in the story. The result is as follows. < Otter Legend > is complex tale. The start of < Otter Legend > is ‘the typr of Yaraeja’. Next is the story of Myoung-Dang. Myoung-Dang is deep in the water. < Otter Legend > also has anecdotes of Jeong, Chung-shin. < Otter Legend > rearranged at least three stories or more. < Otter Legend > transformed each type of stories, communing the different patterns of stories with different logic. The basic logic of the transformation was to maximize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NuruhachI and Yi Seong-gye clans, the origins of Manchuria and the Chosun Dynasty. As a result, the sacredness of Nurhachi's Family, the origin of the Qing Dynasty, was expanded. On the other hand, Yi Seong-gye s Family was less extraordinary than Nurhachi's Family. Also, the ability of the person is also inferior. This is not the yearning for the Qing Dynasty. This is because the Qing Dynasty and the Joseon have the same pedigree. < Otter Legend > shows that the Qing Dynasty's experiences should be shared since the Qing Dynasty was born of another clan of Joseon. This is a new perception of Qing Dynasty. This is similar to the interpretation that dragged the Qing Dynasty's history into the Joseon's ethnographic historical point of view.

      • KCI등재

        베트남의 <빈랑전>과 한국의 <등나무가 된 자매>에 나타난 형제애와 부부애의 갈등양상과 그 의미

        하은하 ( Ha Eun-ha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8 문학치료연구 Vol.48 No.-

        이 논문의 목적은 베트남 설화 <빈랑전(檳榔傳)>의 전반적인 내용을 살피고, 이 작품을 한국의 설화 <등나무가 된 자매>와 비교 검토하는 것이다. <빈랑전>과 <등나무가 된 자매>는 주요 갈등과, 내용이 서로 유사하다. <빈랑전>은 문헌과 구비로 두루 전승될 뿐 아니라 현재 베트남의 결혼 풍습으로 이어지고 있다. <빈랑전>이 지속적으로 향유되고 있는 것과는 다르게 <등나무가 된 자매>는 각편의 숫자도 적고 내용도 비교적 풍부하지 못하다. 이에 <빈랑전>과의 상호참조를 통해 <등나무가 된 자매>를 깊이 있게 이해하는 데 얼마간 도움이 될 것을 기대하였다. 두 설화는 형제 간 애정을 둘러싼 갈등과 죽음, 식물로의 재생, 지극한 부부애와 같은 것들이 공통적이다. 또 식물로 변신하는 이유가 애정 문제와 깊은 관련을 맺음으로써 연리지 유형과도 친연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런데 <빈랑전>의 경우에는, 부부의 애정을 방해하는 존재가 동생으로 설정되어 기존의 연리지 유형과 차이가 생겨났다. 동생 랑은 결과적으로는 부부의 애정에 장애가 되었지만 그것이 랑의 의도나 처신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었다. 그 결과 <빈랑전>에서는 부부의 지속을 위협하는 문제를 외부적 폭압 대신 내면의 의심과 질투로 초점화할 수 있었다. 또한 남편이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고 동생에 대한 우애를 회복함으로써 부부의 사랑이 영원이 지속될 수 있음을 드러내었다. 한편, 베트남에서 결혼 예물로 빈랑을 준비하여 씹는 풍습을 제도화한 것은 다른 인간관계를 경계하거나 배제하는 것은 도리어 부부 관계 역시 각박하게 운영될 수 있다는 것을 환기시켜 추체험하려는 의도가 담겨 있는 것이라 해석하였다. 아울러 <빈랑전>과 <등나무가 된 자매>를 비교한 결과, <등나무가 된 자매>의 기본형은 자매와 자매가 사랑했던 남자 세 사람이 모두 죽은 뒤에 나무로 변하고 그 나무는 다른 부부의 애정을 도와줄 수 있는 효능을 가지게 되었다는 속신을 포함한 각편이라 추론했다. 또 <등나무가 된 자매>의 내용이 빈약하고 모호하게 된 이유를 아황여영 이야기의 영향 때문으로 추정했다. <등나무가 된 자매>는 <빈랑전>에서와 마찬가지로 질투나 의심과 같은 내면적 갈등이 부부 관계의 지속을 방해하는 장애가 될 수 있다는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 문제를 아황여영의 이야기와 같은 방식으로 해결하였다. 그 결과 질투는 여성이 다스려야 할 몫으로 돌려졌다. 애정을 선택하는 것은 남자의 일로, 훌륭한 아내는 남편의 인간관계를 질투하지 않는 것으로 형상화 되었다. 이런 생각이 작용한 결과 <등나무가 된 자매>에서 자매는 양보를 통해 질투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막았다. 그리고 총각이 팽나무가 되는 화소 역시 관심의 영역에서 점차로 사라지게 되었다고 추정하였다. 하지만 세 사람이 사후에 나무가 되어 얽히고설켜서 영원히 함께 살게 되었다는 것은 남자가 두 자매와 동시에 혼인한 것의 다른 표현이라 볼 수 있다. 이 때문에 이들 세 사람이 변신한 나무는 다른 부부의 애정을 도와줄 수 있는 효능을 지니게 된 것으로 추론하였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entire contents of the Vietnamese tale < Trau, Cau (檳榔傳) > and compare this work to the Korean tale < Wisteria Sister >. The legend of < Trau, Cau > is an old one; some of the beliefs and practices presented in the tale have become part of Vietnamese tradition and are transmitted both orally and through literature. The marriage custom derived from < Trau, Cau > is still practiced today in Vietnam. The fact that old tales are continuously enjoyed in various forms tells us that the problem reflected in this story is universal and an everyday occurrence. The similarity of content in < Trau, Cau > and < Wisteria Sister > is as follows. First, brothers get into a conflict after they get married. Second, There is a side transformed into a plant after death. Third, there is an emphasis on couples’ love. However, these two stories are also related to the Chinese ‘Lianlizhi(連理枝)’ type of story in that love is the reason for transforming the characters into plants. In this paper, the following points were clarified in comparison with < Trau, Cau >, < Wisteria Sister >, and the ‘Lianlizhi(連理枝)’ type of story. In < Trau, Cau >, the brother is younger. This is different from the usual ‘Lianlizhi’ type of story. These changes have focused on issues that threaten the continuation of a couple, focusing on inner doubts and jealousy instead of external violence. In < Trau, Cau > the husband repented his mistake and rebuilt his friendship with his brother. As a result, his affection for his wife continued forever. In conclusion < Trau, Cau > shows that if we exclude other kinds of relationships, our marriage can not be abundant. Additionally, in this paper, I interpreted that chewing Trau in a Vietnamese marriage would be an attempt at experiencing the meaning of this story. To conclude, by comparing the Korean tale < Wisteria Sister > to < Trau, Cau >, we see brotherly love changing to a love between sisters. In < Wisteria Sister >, the sisters loved the same man simultaneously. The sisters and the man all transformed into trees after they died. In this story, the wisteria flower is said to have the power to improve the affection of romantic couples. Additionally, the story of < Wisteria Sister > is not rich in terms of the storyline, since the problem of jealousy is solved in the same way as IbiGosa(二妃故事) ; dealing with jealousy is the fate women. A good wife is not jealous of her husband’s relationships, but rather, loves her husband. Since this sort of idea worked, in < Wisteria Sister >, the sisters give up their lovers for each other. However, after they die, they become trees and live together. This is another expression of a man marrying two sisters at the same time. That is why trees associated with the death of three people have the ability to help other couples love each other.

      • KCI등재후보

        영화 <페인티드 베일>에 나타난 외도 후 부부관계의 문제와 그 회복 과정

        하은하 ( Ha Eun-ha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0 문학치료연구 Vol.17 No.-

        이 논문에서는 영화 <페인티드 베일>이 원작 <인생의 베일>과 다른 결론을 선택한 것은 두 서사가 주목한 바가 달랐기 때문이며, 행복한 결말은 위기를 맞은 부부관계가 회복될 수 있는 실마리가 았기 때문에 생겨난 결과임을 밝히는 것을 목표로 했다. 그리하여 먼저 영화 <페인티드 베일>과 소설 <인생의 베일>의 줄거리를 요약하면서 차이점을 밝히고 각각의 서사가 주목하고자 한 것이 무엇인지를 말했다. 영화 <페인티드 베일>과 소설 <인생의 베일>은 동일한 배경 속에서 같은 주인공들이 유사한 사건을 경험하고 있다. 그런데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존재했다. 첫째, 이야기의 출발과 끝이 달랐다. 둘째, 이야기를 주도적으로 전개해 가는 시선이 달랐다. <인생의 베일>에서는 여자 주인공 키티의 시선이 주도적으로 이야기를 전개시켜 나갔다. 그러나 <인생의 베일>에서는 키티의 시선 못지않게 남자 주인공 월터의 시선이 장면을 이끌어 가는 중요한 매개로 작용하고 있었다. 그 결과 <인생의 베일>에서는 반 페이지 분량으로 간단하게 언급하고 만 남편의 수로 건설이 영화에서는 매우 구체적이고 비중 있게 다루어지고 있었다. 셋째, 두 작품에서 중국인들과 주인공 서양인들 간의 관계 맺기 양상이 달랐다. <인생의 베일>에서는 그들 간의 갈등은 나타나지 않았던 반면 <페인티드 베일>에서는 중국인의 반서양인 감정은 주인공 부부의 갈등과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전자가 후자의 변화를 인도하거나 혹은 후자의 결과를 전자가 입증해 보이기도 했다. 넷째, 키티의 외도에 대한 해석도 달랐다. <인생의 베일>에서는 외모에서 찾을 수 있는 매력을 강조하고 있었다면 <페인티드 베일>에서는 내면에 대한 이해에 주목했다. 다섯째, 결말이 달랐다. <인생의 베일>에서 부부는 끝까지 서로를 용서하지 못했고 아내는 남편이 죽은 뒤 애인과 다시 성적인 관계를 맺으면서 인간의 의지를 넘어서 존재하는 욕정 및 인간의 나약한 의지를 보여주었다. 그런데 <페인티드 베일>에서는 죽음조차 문제가 되지 않는 부부관계를 회복했다. 이 때 애인의 존재는 더 이상 남편의 자리를 해치지 못한다. 요컨대 원작 <인생의 베일>에서는 아버지와 남편은 경멸하고 애인에게는 배반당한 키티라는 여인이 허영심, 열정, 욕망 때문에 나약할 수밖에 없는 인간에 대해 인정하고 이해해 가는 과정을 펼쳐 보인 반면 영화 <페인티드 베일>에서는 아내의 외도로 위기에 빠진 부부가 그들의 관계를 회복해 가는 것으로 그 문제를 초점화 한 것이라 하겠다. 다음으로는 영화 <페인티드 베일>에서 소설에 없는 내용을 첨가하거나 간략한 내용을 구체화한 것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그것은 요약하면 부부 관계 회복에 대한 추적이라고 할 수 있었다. 첫째, 남편 월터에 관련된 것으로는 피아노 연주와 관련된 장면이었다. 그것은 월터가 부부관계의 지속은 자신의 진심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깨달아 가는 과정이었다. 그는 상대가 소망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알아채고 그것을 실현시키려는 노력이 자신의 진심보다도 더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된 것이다. 둘째, 키티와 관련된 내용으로는 찰리와 경극을 관람하는 장면이었다. 영화 <페인티드 베일>에서는 그 장면을 통해 키티의 외도가 이유 있는 행동임을 먼저 보여주었다. 그런 뒤 그녀의 사랑을 고통에 빠지게 했다. 왜냐하면 영화 <페인티드 베일>에서는 키티의 외도를 도덕적인 잘못이기보다는 실수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그녀의 시련은 통찰력 부족 때문에 상대의 진정성을 가늠하지 못했던 것에서 비롯되었다. 그 사실을 인정하게 된 이후로 그녀는 남편에 대한 오해를 풀고 남편을 새롭게 이해하며 사랑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결국 영화 <페인티드 베일>은 외도라는 사건을 상대의 소망이 극적으로 표현된 계기로 받아들임으로써 부부관계를 회복한 서사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hat a film < The painted veil, (John Curran) > pays attention to recovery of husband and wife relationship than original novel < The painted veil, (William Somerset Maugham) >. In this pap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original novel and the film and the meaning of he difference is presented. The difference is as follows First, the film is started in couple story to enter a Chinese country village that cholera is violent, and is ended to wife`s story that she trusts and depends her son like as her late husband. But, such departure and conclusion are distance with the original novel. Second, a story is progressed on wife`s point of view in the original novel. But in the film, husband`s point of view is heavily considered. Third, Asian differs with Westerner in terms of forming relationship. In the original novel, It is processed by background degree to form relation with Asian in the original novel, But, in the film, the discord of Westerner and Chinese is involved closely with discord and recovery of conjugal relations. Fourth, Husband and wife does not forgive each other finally in the original novel, In the film , death did not disturb recovery of husband and wife relationship In the original novel, a center of history is daughter that she leaves to find a man to protect oneself more perfectly than father, and that she returns after her failed and reconciles with father. But, in the film, a center of history is shifted to husband and wife that they are been confronted with crisis to wife`s debauchery, and that they are understood each other through recovery of relationship. So, in the film , new matter is added and more embodies. An addition matter related to husband is a series scene of wife`s piano performance. The scene means a process that realize that husband is not perfect by own true heart to maintain conjugal relations. An addition matter related to wife is a scene of watching Gyeonggeuk with a lover, Chalie. The scene means that wife`s affair is mistake not fault, and she is short of insight. Finally, in the film , an affair is opportunity to show the other`s wish dramatically. and a understanding of that is narration which it shows recovery process of husband and wife relationship

      • KCI등재

        <꾀쟁이 하인> 설화의 변형을 통해 본 트릭스터의 순기능과 역기능

        하은하 ( Ha Eun-ha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5 문학치료연구 Vol.34 No.-

        이 논문에서는 <꾀쟁이 하인> 속 트릭스터의 순기능과 역기능에 관해 논의했다. <꾀쟁이 하인>에게는 많은 긍정적인 측면이 있지만 쉽게 통용될 수 없는 악행도 있다. 본고에서는 한 발 물러나 생각하면 닮고 싶지 않은 꾀쟁이 하인의 음험하고 부정적인 행동방식이 지닌 문제점과 그 역기능에 대해 살폈다. 이를 위해 <꾀쟁이 하인> 설화의 대체적인 결론과는 다른 입장을 취하는 각 편들과 <어복손전>의 결론을 주목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꾀쟁이 하인은 주로 언어유희를 활용하는 재치로 식욕을 충족시켰다. 이와 같은 트릭스터의 행동을, 어린 아이의 입장에 있는 이가 신분의 역학 관계에서 비교도 되지 않는 어른의 위치에 있는 주인에게 압도당하지 않는 것으로 본다면 그것은 자신이 처한 현실에 도전하고, 그 현실을 즐겁게 감당해내는 추동력이 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하인의 속임수는 왜소한 자아에게 현실을 감당할 용기와 위로, 위엄을 잃지 않고 정신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순기능으로 작용할 수 있다. 둘째, 꾀쟁이 하인의 속임수가 상전이 아닌 불특정 다수의 힘없는 존재들로 확대되면 차차 그 기능은 변질된다. 그것은 다른 사람들보다 자신이 더강하다는 사실을 입증하기 위한 수단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하인의 속임수가 교활해질수록 하인은 처음에 자신을 두렵게 했던 주인의 권력을 닮아간다. 그로 인해 꾀쟁이 하인은 점차 타인에게 공포의 대상이 되어 가며 동시에 독자들에게는 저항감을 불러일으키는 인물이 된다. 셋째, 꾀쟁이 하인은 주인 일가족을 몰살시키고 주인 딸을 차지하는 서사의 흐름을 보인다. 그런데 <꾀쟁이 하인>의 각 편들 중에는 이와 같은 계획이 실패로 끝나는 경우가 있다. 이런 각 편들에서는 하인이 딸을 얻어 잘살았다는 결론이 딸의 입장을 배제시킨 것임을 보여준다. 이들 각 편에서 주인의 딸은 자결, 응징 등 직간접적인 방법으로 하인의 아내가 되기를 거부한다. 이것은 하인의 술책이 위로와 위엄을 잃고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한 도구로 남용될 때에는 타인과의 관계 맺기에 방해가 된다고 경고하고 있다. 요약하면 자기긍정에 기반 한 꾀쟁이 하인의 술책은 왜소한 자아에게 어떤 어려움도 극복할 수 있다는 희망과 위로를 주는 순기능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그러나 식욕에서, 성욕, 권력에 이르기까지 속임수로 모든 것을 얻을 수 있다는 신념을 갖게 되면 위태롭다. 특히 그것이 사람의 마음, 감정, 관계조차 기만술로 포획할 수 있다는 과대망상에 이르면 그 폐해는 커질 수밖에 없다. 이렇게 되면 꾀쟁이 하인이 기지를 동원하여 얻은 것들은 잠시 소유할 수는 있을 뿐 함께 누리고 지속해서 즐길 수 없다. The target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proper function and the dysfunction in tale < lead swinger servant >. < lead swinger servant > is typical trickster figures tale in Korea. In relationship status, master is adult, lead swinger servant is children. Lead swinger servant quiz his master of trickery. Lead swinger servant is a self-positive. The proper function is in his trick. It should be able to see as trivial a huge reality. It will give courage and hope. But He also lie helpless people. This is a trick of dysfunction with lead swinger servant. He tries to prove that he is stronger than them. Finally, he married to the daughter of the owner by trick methods. The conclusion differs slightly for each version because < lead swinger servant > is oral folktale. In particular, each version does not like any part that lead swinger servant is married the daughter of the owner of trickery to kill all of the host family. In this version, the daughter who lost her parents committed suicide or kill lead swinger servant. In this version, it is understood to deceive the owner and married to the daughter resistance. It is a cunning trick. So, do not agree that the servant married to master`s daughter. Servant believes that he can get all that he want to cheat. Lead swinger servant does not know that the human mind and emotions cannot be obtained by deception. If lead swinger servant does not know, the servant and his master are alike.

      • 영화 <미스 리틀 선샤인>에 나타난 가족 해체의 위기 극복

        하은하(Ha, Eun-ha) 서사와문학치료연구소 2009 영화와문학치료 Vol.2 No.-

        이 논문에서는 당사자의 자괴감뿐 아니라 가족의 해체로까지 이어지는 “사회적으로 무능한 아버지들을 치료할 수 있는 서사는 어떤 모습인가?” 하는 문제로부터 출발하였다. 이에 인생 낙오자의 모습을 띈 할아버지, 아버지, 어머니, 삼촌이 두 아이들을 건강하게 보듬어 나가는 서사인 <미스 리틀 선샤인>을 주목하였다. <미스 리틀 선샤인>에는 마약을 하다 양로원에서 쫓겨난 할아버지와, ‘성공을 위한 구 단계 이론’을 개발하여 조만간 성공을 자신했지만 파산에 이른 아버지와, 이혼 전력에 인스턴트 음식으로만 가족의 식사를 준비하는 어머니와, 자살에 실패한 지식인 삼촌이 등장한다. 또 다른 중요한 인물로는 배가 볼록 튀어나온 몸매로 미인 대회에서 일등을 꿈꾸는 일곱 살 여자 아이와 색맹인 줄도 모르고 파일럿이 되겠다며 침묵을 선언한 열다섯 아들이 있다. 이 중요 등장인물들은 크게 어른과 아이로 구분되는데 어른이든 아이이든 무능력하거나, 허황되거나, 부적합한 면을 가지고 있다. 그리하여 매우 위태로워 보이는 이 구성원들이 가족을 이루고 살아갈 수 있는 길이 어디에서 열리고 있는 지를 살폈는데 특별히 아버지를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첫째, 아버지 리차드는 아이들에게 시도 때도 없이 승자가 될 것을 요구 했다. 승자가 될 수 있는 방법을 입버릇처럼 말하며, 패자의 징표는 경계했다. 이런 아버지의 모습은 매우 고집스럽고 원칙적으로 보일 수도 있다. 하지만, 아버지의 법칙은 올리브와 드웨인에게 자기 목표를 설정하고, 집념을 가지고 추구해 나갈 수 있는 자극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그러니까 이 아버지는 자신의 일에 전력을 쏟고 있을 뿐 아니라 아이들을 성장시킬 수 있는 나름의 기준을 제공하는 책임감 있는 아버지라 하겠다. 둘째, 아버지는 올리브가 미인 대회에서 일등을 하겠다는 소망을 아주 소중하게 생각했다. 아버지는 그것이 비현실적이거나 비논리적이라고 해서 하찮게 여기지 않았다. 아이들이 스스로 찾아낸 목표이며, 확신을 가지고 추진하고 있을진대 아버지는 그것의 내용에 상관없이 일관성 있게 지지를 한 것이다. 셋째, 아버지의 지지는 자신의 일이 실패해서, 거의 파산에 이르게 되었을 때에도 그치지 않았다. 아버지는 한 순간도 올리브의 미인 대회 참가 포기를 생각한 적이 없었다. 이것은 진정으로 아이들의 입장에서 생각하지 않으면 해내기 어려운 일인데 그것은 좌절이 아이들에게 남길 상처에 대한 엄청난 배려로부터 비롯된 것이다. 넷째, 아버지는 올리브가 무대 위에서 강제로 끌어내려질 상황이 되자 무대에 직접 뛰어 올라가 방해를 막고 자식과 함께 춤을 추었다. 그러니까 아버지는 궁극적으로는 자녀를 독립시켜야 하겠지만, 필요할 때는 언제든 보호하는 책무를 다하고 있는 부모인 셈이다. 사실, 돌이켜 보면 아버지가 이런 힘을 발휘할 수 있었던 것은 마약과 섹스에 중독된 할아버지 때문이었다. 할아버지는 실패한 아버지에게 이루기 위해 시도하는 아버지의 배짱이 자랑스럽다고 위로했었다. 그러니까 아버지는 할아버지가 돌아가시자 할아버지의 가르침을 몸소 실천에 옮긴 것이라 하겠다. 또, 삼촌은 자신이 경험한 심리적 좌절감으로 드웨인의 상황을 이해했고, 드웨인 역시 자신이 접한 좌절감을 올리브에게만은 막아주고 싶어했다. 결과적으로 올리브의 가족은 올리브를 보호하고, 성장시키고, 최종적으로 독립시키려는 부모가 자녀를 양육하는 마음으로 세상 사람들의 무시에도 굴하지 않는 가족으로 거듭나게 된 것이라 하겠다. This paper did to find epic to treat incompetent fathers economically. and this paper analized <Little Miss Sunshine>. Because there is methods that father which go bankrupt in <Little Miss Sunshine> can guide children healthfully. In <Little Miss Sunshine>,father went bankrupt, and mother got divorce, and grandfather was addicted to drugs, nevertheless The crisis of family dissolution was overcome. Father was the key to solve the problem of family dissolution. First, Father gave children a principle. Father"s principle helped to looking for an goal for the children and to pursue goal with the tenacity. Second, Father thought wish of children seriously. father always supported that wish of children irrational, and unreal. Third, Father thought in situation of children when own circumstance is bad. because Father worried wounding big wound if children miscarry. Fourth, Father considered seriously that protect children. Thought that parents are important thing which protect children when need although father is the important matter thing which children become independent. Finally, In <Little Miss Sunshine> family overcome The crisis of dissolution. because The family have parents"s mind that protect, grew, independent.

      • <콩쥐팥쥐> 설화에 나타난 부부 갈등 양상과 그문학치료적 의미 - 동아시아 신데렐라 유형과의 비교를 통해 -

        하은하(Eun ha Ha) 서울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논총 Vol.28 No.-

        이 논문에서는 설화 <콩쥐팥쥐> 가운데 결혼한 이후에도 콩쥐에게 가혹한 고난이 가해지는 후일담이 덧붙은 유형을 논의의 대상으로 삼았다. 그리고 이런 유형이 설화에서 소설 장르로의 이행 중에 생겨난 개작의 결과라 보지 않았다. 이것은 그림형제나 페로의 신데렐라 유형과는 다른 문제의식을 담고 있는 동아시아 계통의 신데렐라 유형으로, 부부 갈등을 해결하면서 진정한 부부로 거듭나는 과정이 담긴 이야기임을 증명하였다. 이를 위해 베트남의 <떰까>과 태국의 <문절망둑>을 <콩쥐팥쥐>와 비교하였다. 다음으로는 이들 동아시아 <콩쥐팥쥐> 이야기에 나타난 신부의 고난이 무엇을 말하는지 그 의미를 문학치료학의 부부서사 개념을 활용하여 해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콩쥐팥쥐>와 베트남의 <떰깜>, 태국의 <문절망둑> 세 작품은 모두 전철 딸이 계모에게 박대를 당하고, 훌륭한 남자를 만나서 결혼하게 되는 것으로 끝나지 않는다. 이들 작품에서 전처 딸은 이복자매에게 살해당하고 아내의 자리를 빼앗긴다. 그런 뒤 몇 번의 죽음과 환생의 과정을 거쳐 비로소 제 자리를 회복해 나간다. 이런 서사의 전개가 비슷하다. 둘째, 세 작품 간에는 무시할 수 없는 차이점도 있다. <떰깜>의 경우, 계모의 박대보다는 멋진 남자의 아내 자리를 두고서 여자들이 서로 다투는 각축전이 상대적으로 더 강조된다. 또 태국의 <문절망둑>에서는 전처 딸의 억울함이나 이복자매의 간악함을 강조되기 보다는 전생 또는 업보라는 서사적 장치를 동원하여 이복자매의 악행과 전처 자식의 고난을 이해하는 특정이 있었다. 셋째 결혼한 이후에 신부가 뒤바뀌었다가 겨우 아내의 자리를 회복해가는 과정이란 콩쥐 부부 사이에 문제가 발생하였다가 해결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또 콩쥐의 거듭된 죽음은 남편의 소망이 무엇인지 깨달아 가는 과정이며 다른 한편으로는 그들 부부 관계를 건강하게 하기 위해 보듬어야 할 제 삼자의 시기와 질투를 이해하는 것과도 관련된다. This paper aims to compare folk tales of the three countries. These are Korea's <Kongjwi Patjwi>, Vietnam's <Tteom and Kkam> and Thailand's <Acanthogobius flavimanus>. Korea's <Kongjwi Patjwi>, Vietnam's <Tteom and Kkam> and Thailand's <Acanthogobius flavimanus> are belong to types of Cinderella But, Korea's <Kongjwi Patjwi>, Vietnam's <Tteom and Kkam> and Thailand's <Acanthogobius flavimanus> are different to the Grimm Brothers' s Cinderella. The three works have different endings with Grimm Brothers's Cinderella. In Cinderella, daughter was badly treated by her stepmother. But She was married to a wonderful man. But Korea's <Kongjwi Patjwi>, Vietnam's <Tteom and Kkam> and Thailand's <Acanthogobius flavimanus> are not so. In three works, half sisters was jealous of half sister's marriage. Eventually, real bride who is half sister, was killed by half sister. Half sister became wife of a wonderful man. Naturally, in three works, real bride met her husband again. However, A few horrible deaths happened to real bride. Then real bride barely recovered her's position. The three works have different things. But same things are Real bride's sufferings. This paper ignored different things and referred to common point in three works. In that way, it read such as the followings. First, it was trouble between husband and wife that real bride was changed. Second, it was related to husband's desire that wife's position was recovered.

      • KCI등재

        현대사회의 쟁점과 문학교육 : 알코올의존 환자의 심리적 특성과 자기서사와의 상관성

        하은하 ( Eun Ha Ha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3 문학교육학 Vol.41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verify that Literature can serve as a practical role in treating the problem of alcohol dependence. In Literary therapy, the epic of self is known to cause disease.In Psychoanalysi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harsh Superego is known to cause alcohol dependence. In this paper, it is discussed that any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is related to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lcohol dependence Patient In analysis case, alcohol dependence patient P is typical patient having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lcohol dependence. In three types of diagnostic epic, P composed the following the epic of self. In , P composed the story of father who believe that children who can doubt his parent`s term can survive family. In , P composed the story of daughter who resent parents her`s whole life because she was expelled by father. In , P composed the story of man who split up with a woman owing to teacher, and entered into mountains. The three story is the result of reflecting the epic of self. The parents shown on the epic of self of P don`t meet the needs of children, and don`t listen to children, and interfere with the children`s love. The children shown on the epic of self of P refuse, resent and doubt parents. In this way,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lcohol dependence Patient appear equally in the epic of self of P.

      • KCI등재

        반사회성 성격장애와 관련된 분노서사와 분노조절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하은하 ( Ha Eun-ha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4 문학치료연구 Vol.30 No.-

        이 논문에서는 이른 나이에 시작되어 평생토록 지속되면서 그 피해의 정도는 사회 전반으로 점차로 확대되는 반사회성 성격장애와 관련된 분노서사의 탐색 및 분노조절 프로그램 개발을 목표로 삼았다. 반사회성 성격장애의 특징적인 분노 표출 양식인 충동성과 공격성은 학교폭력, 불특정 다수를 향한 증오 범죄와 밀접하게 관련을 맺고 있지만 심리학과 상담학에서는 그 치료적 개입 가능성이 매우 희박하다고 보고 사회적 기술을 훈련시키는 것에 만족하는 실정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그들의 폭력적 행동이 인간관계에 대한 제한된 레퍼토리가 문제가 된다는 인지치료학자들의 반사회성 성격장애자들의 내면에 제한된 서사와 그에 대한 고착으로 새롭게 이해하고서, 반사회성 성격장애와 관련된 분노를 서사로 탐색해 내는 한편 이와 같은 분노서사들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다른 반응 양상을 보여주고 있는 서사 들을 찾아서 분노조절을 위한 서사지도를 구상해 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반사회성 성격장애와 관련된 분노서사로는 <아버지 목 베고 시집간 최영 장군의 딸>과, <오뉘 힘내기와 동생 걱정한 누이>였다. 다음으로 <아버지 목 베고 시집간 최영 장군의 딸>과 관련된 분노는 <시집 안 보내는 아버지 깨우친 딸>, <내 복에 산다>서사를 통해 통제되고 조절 가능하다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오뉘 힘내기와 동생 걱정한 누이>와 관련되는 분노는 <얌전한 척하고 시어머니 때린 며느리>, <귀신 섬기지 않은 손 병사 어머니>, <홍길동전> 서사를 통해 통제되고 조절 가능하다고 보았다. 본 논문에서는, 반사회성 성격장애와 관련된 분노서사 두 작품을 제시한 뒤에 그 작품들과 유사한 문제를 담고 있지만 다른 해석을 통해 분노를 조절하는 서사들과도 비교하였다. 이것은 애초에 이 논문이 목표로 한 것처럼 근본적인 치료가 매우 어려운 것으로 알려진 반j사회성 성격장애를 서사를 통하여 그 심층부터 변화시켜 보려 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직은 서사의 논리만을 활용한 추론에 불과하다는 한계가 있다. 임상현장에서 사용을 위한 방법론 연구 및 그 치료적 효용에 대한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earch anger epic related to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and to develop program of literary therapy for anger management. In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characteristics to express anger are impulsivity and aggression. People having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can not repress or control his anger. The people attack targets and violate rules when experience anger. < daughter of General Choe Yeong who cuts off the general`s head and married > and < sibling competition and sister who worried her younger brother > are in Anger epic related to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Next, anger related to < daughter of General Choe Yeong who cuts off the general`s head and married > can be controlled and regulated in two epics. The two epics are < daughter realizing her father to preclude her marriage > and < My Own Fortune >. Finally, anger related to < sibling competition and sister who worried her younger brother > can be controlled and regulated in three epics. The three epics are < daughter-in-law being pretend so prudish who bites mother-in-law >, < Son Byeongsa who can not serve ghost > and < Hong Kildong Jeon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