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결혼 이주 여성의 자아존중감 강화를 위한 <내 복에 산다>형 설화의 문학치료적 의미 ―베트남 설화집 '영남척괴열전' 소재 <일야택전>과 <서과전>을 중심으로―

        하은하 한국구비문학회 2011 口碑文學硏究 Vol.0 No.3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way of communicating in multi cultural society through folklore. Especially, for mutual understanding with Vietnamese in Korea, Vietnamese folklore which is similar to Korean folklore is studied in this paper. Vietnamese folklore A pond made in one night(一夜澤傳) is similar to Korean folklore Muwangseolhwa(武王說話) which is one of <My Own Fortune> type folklore. The common feature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folklore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a daughter from each folklore confronted with her father, and left the father’s world. Then both daughters got married, and established their own world. However, while the daughter from Muwangseolhwa(武王說話) made peace with her father later, the daughter from A pond made in one night failed to make peace with her father. The father from A pond made in one night had a doubt that his daughter would rise in rebellion against to him. Another Vietnamese folklore Fruit from the west is similar to Korean folklore Sam-gong Bon Pu-ri which is also one of My Own Fortune type folklore. A subject from Fruit from the west and a daughter from Sam-gong Bon Pu-ri got kicked out by a king and a father. The reason both characters were expelled is that they said they lived well because of their own fortune. Their statement made both the king and the father upset. However, the subject and the daughter came out well after they were thrown out. Some roles and background are different between these two folklores, however the main conflict and the way of dealing with the problem are the same.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both Korean and Vietnamese shares My Own Fortune type folklore. From a literary therapeutic view, communication is the connection between different epic. In a multi cultural society, having the same epic can help to have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different culture. Using My Own Fortune type folklore, the way of communication between Korean and Vietnamese can be examined. 본 논문의 목표는 결혼 이주 여성들의 자아존중감 강화를 위해 <내 복에 산다>형 설화가 갖는 문학치료적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결혼 이주 여성과 <내 복에 산다>형 설화는 자기 삶의 본질은 자기에게 있다는 확신을 지닌 딸이 가난한 남편을 만나 스스로 자기 삶을 주관해 가는데 결국에는 그 딸이 이룩한 세계가 부모에게 인정을 받고 부모를 구원하는 것에 이르게 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내용은 결혼과 이주를 자발적으로 선택했음에도 불구하고 여러 가지 이유들 때문에 그것을 비자발적인 것으로 담론화하다가 정착에 실패하고 마는 결혼 이주 여성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예상하였다. 특히 결혼 이주 여성 가운데 가장 많은 숫자를 차지하는 베트남 여성들의 자아존중감 강화를 위해 베트남 최초의 설화집인 『영남척괴열전』에 실린 <일야택전>, <서과전>과 한국의 <내 복에 산다>형 설화의 관련 양상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야택전>은 <내 복에 산다>형 가운데서 <무왕설화>와 가까운 거리에 있었다. <일야택전>과 <무왕설화>의 공통점은 아버지의 눈 밖에 난 딸이 나라를 세우는 위업을 이룬다는 것이었다. <일야택전>에서 선용공주는 가난한 저동자와 제멋대로 결혼했다가 아버지 웅왕의 눈 밖에 나게 되지만 저동자와 힘을 합쳐 나라를 세우게 된다. 이것은 <무왕설화>에서 선화공주가 서동과 몰래 사랑에 빠졌다는 소문 때문에 아버지 진평왕에게 쫓겨나게 되고 나중에는 서동과 혼인하여 백제의 왕비가 되는 과정과 동궤를 이루고 있었다. <일야택전>과 <무왕설화>의 차이는 성공한 딸과 아버지의 관계 회복의 문제였다. <일야택전>의 선용공주는 끝까지 아버지와 화해하지 못했다. 웅왕은 딸이 나라를 세운 것이 반역을 일으킨 것이라 의심해서 군대를 보냈다. 그 때문에 선용공주와 저동자가 세운 성곽은 하늘로 올라가 버리고 그 땅은 하룻밤 만에 못이 되고 만다. 반면 <무왕설화>에서 선화공주는 진평왕에게 금을 보내 아버지의 분노를 풀어내었다. 아버지는 서동을 존경하게 되었고 서동과 선화공주가 백제의 무왕과 왕비가 될 수 있도록 지원했다. 둘째, <서과전>은 <내 복에 산다>형 가운데 <삼공본풀이>와 유사했다. <서과전>과 <삼공본풀이>의 공통점은 삶의 본질은 부모의 은혜에 있기 보다는 자신에게 있다고 내세우 것에 있었다. <서과전>에서는 신하 매안섬이 왕의 은혜 대신 자신의 전생 복을 내세우다가 쫓겨났지만 무인도에서 부자가 되었다. 이것은 <삼공본풀이>에서 가믄장애기가 누구 덕에 사느냐는 아버지의 물음에 내 복에 산다고 답했다가 쫓겨나지만 숯구이 총각을 만나 부자가 되는 것과 같다. <서과전>과 <삼공본풀이>의 차이는 쫓겨난 이가 쫓아낸 이를 구원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서과전>의 매안섬은 부자가 된 이후에 왕을 염려하거나 왕을 그리워하지 않는다. 왕이 그의 잘못은 인정하고 매안섬의 지위를 회복시켜 준다. 반면 <삼공본풀이>에서 가믄장애기는 부자가 된 이후에는 부모를 염려하고 결국 거지잔치를 열어서 자신을 쫓아낸 부모를 구원했다. 한국과 베트남의 <내 복에 산다>형 설화의 비교를 통해 공통점과 차이점을 정리한 결과 <무왕설화>와 <삼공본풀이>을 통하여 <일야택전>과 <서과전>을 보완하게 되면 결혼 이주 여성에 대한 베트남과 한국 사회의 부정적인 시각 때문에 위축된 자아를 존중하고 강화시켜 나갈 수 ...

      • KCI등재

        『동야휘집』의 구비설화 수용 양상과 그 의미

        하은하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20 고전문학과 교육 Vol.44 No.-

        This paper aims to reveal the correlation between 『Dongyawijip』 and Folktales. The existing assessment of 『Dongyawijip』 was checked through this study. It has often been thought in previous studies that 『Dongyawijip』 transforms a story to emphasize the Neo-Confucian ideology. The study also broadened the scope of comparison. In previous Yadam studies, it was mainly compared only between the literature materials. However, the study revealed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between Folk tales, and Yadam. The preface to 『Dongyawijip』 states that the Folk tales was collected and written in sentences. In this paper, we were able to obtain data to objectively examine the prejudice against 『Dongyawijip』 by clarifying the aspect of accepting Folk tales in 『Dongyawijip』. For comparison, the Folk tales was based on the materials contained in the 『The Comprehensive Collection of Korean oral Literature』.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are 260 stories in 『Dongyawijip』. Among them, there are about 50 types of stories found in both the story recorded in the literature and Folk tales. Also, there are about 18 tales that are handed down only by Folk tales. The aspects of accepting folk tales were analyzed in <a noble servant and a poor master>, <a poor merchant who has become rich>, and <The cunning aide and the foolish leader> In conclusion, it could not be said that the hierarchical identity of the author defines the author's story identity. Mr. Lee won-myung, author of 『Dongyawijip』, evaluated the behavior of a servant who hid his identity and became a noble master as wise and praised his success. Mr. Lee was affirming the desires and actions of a person who disturbed social status. Mr. Lee also affirms the individual's desire to pursue his own happiness and interests beyond his own social constraints in <a poor merchant who has become rich>. But in <The cunning aide and the foolish leader>, Lee Won-myung was accommodating but transforming the Folktales. Because his intention was to underestimate the attitudes of both the leader and the aide. In summary,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acceptance of Folktales in 『Dongyawijip』, Lee Won-myung experienced a world where the human desire of rising status or pursuing personal happiness and profit was satisfied while collecting and reconstructing Folk tales. He also proposed new ethics such as 'investment for loyality(市義)' to reconcile conflicts that could arise when everyone satisfies their desires. The three works of 『Dongyawijip』 showed the appropriateness of 'investment for loyality'. 이 논문의 목표는 『동야휘집』 소재 이야기와 구비설화의 비교를 통해 동야휘집에서 구비설화를 수용하고 있는 양상과 그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비교를 위해 『한국구비문학대계』에 전승되고 있는 구비설화 자료를 활용하였는데, 특히 오늘날 2편 이상의 각편이 전승되고 있는 작품을 비교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동야휘집』 소재 260개 이야기 중 18세기 문헌 설화집과 『한국구비문학대계』에서 동시에 전승되고 있는 이야기 유형은 약 50여 편이었다. 이 이야기들은 『동야휘집』의 13개 부(部) 중 10개의 부에 실려 있었다. 또 『한국구비문학대계』에서만 전승을 확인할 수 있는 이야기는 약 18여 편으로, 이들은 『동야휘집』의 13개 부(部) 가운데 성행부(性行部), 인사부(人事部), 부녀부(婦女部)에 다수 포진되어 있었다. 『동야휘집』에서 구비설화를 수용하는 양상은 전대 문헌 자료를 수용하는 것과 비슷했다. 『동야휘집』 소재 이야기 중 <구복자치보은정>, <채삼전수기기화>, <농우쉬활서편재> 세 작품을 중심으로 구비 설화 수용의 구체적인 양상과 그 의미에 관해 분석해 보았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편찬자의 계층적 정체성(노론 벌열, 경화 세족)이 편찬자가 구성한 서사의 정체성을 규정하고 있다고 단정할 수는 없었다. <구복자치보은정>에서는 구비설화 <백정 당숙 어사 조카>의 내용 대부분을 수용하되 세부적인 면에서 약간의 변형을 꾀했다. 그러나 노비가 자신의 신분을 감추고 성(姓)을 바꾸어 종에서 관직을 지닌 양반이 되기까지 사연에 대해 칭찬하는 입장을 취함으로써 구비설화의 지향을 유지하고 있었다. 이런 수용 양상은 이원명이 신분사회의 위기와 같은 사회 변화에 <백정 당숙 어사 조카>와 동일한 입장을 지니고 있음을 짐작하게 했다. <채삼전수기기화>에는 <아기장수> 설화와 ‘돈 잘 쓰기’의 화소를 통해 사람의 그릇을 키우는 내용의 구비설화 유형을 결합시켜 수용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동야휘집』의 서사 세계에서는 개인의 행복과 이익을 추구하는 인간적인 욕망을 인정하되, 개인의 욕망 충족을 넘어 다수가 이익을 나눌 수 있는 방법을 탐색하려 했음을 알 수 있었다. <농우쉬활서편재>에서는 <가죽 부대 속 도둑과 이완 대장> 설화와 <꾀쟁이 하인의 간계>의 일부 화소를 결합시켜 수용하는 양상을 보였다. 특히 이와 같은 결합을 통해 구비설화 <가죽 부대 속 도둑과 이완대장>에서 지향하던 바를 <농우쉬활서편재>에서는 크게 수정하고 있었다. 이것은 텍스트 내에서는 어리석은 관장을 조롱하고 교활한 아전을 폄하하는 모습으로 드러났다. 이상과 같은 『동야휘집』의 구비설화 수용 양상을 고려해 볼 때, 이원명은 신분 상승 및 개인의 행복과 이익 추구라는 인간적인 욕망의 대두를 이해하는 한편 이를 적절하게 충족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시의(市義)와 같은 새로운 윤리를 제안하고 이것의 구체적인 모습을 구비설화를 수용한 작품에서 보여 준 것이라 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팬데믹 기간 학교 밖 성인 대상 문학교육 사례와 그 의의

        하은하 한국문학교육학회 2023 문학교육학 Vol.- No.80

        이 논문은 팬데믹 기간 학교 밖 성인 학습자의 문학 경험에 대한 실증 연구를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국가평생교육 통계 자료와 서울시 평생학습관에서 개설한 문학 프로그램을 토대로 팬데믹 기간 성인 대상 문학 경험의 현황을 살폈다. 다음으로 연구자가 대학과 연계하여 진행한 성인 대상 문학교실 사례를 보고하고, 평생교육의 관점에서 그 활동이 갖는 의의를 밝혔다. 2020년에서 2022년까지 전국 평생학습관에서 개설한 프로그램 중 문학 프로그램이 차지하는 비중은 평균 1%에 불과했지만, 서울시 평생학습관으로 그 범위를 제한하면 수치는 12∼13%까지 상승했다. 서울시 평생학습관에서 개설한 문학 프로그램은 한국 문학에서 세계 문학까지 지역과 장르, 매체가 모두 다양하고 풍부했다. 그러나 수업 방식은 여전히 전문가가 결핍된 학습자에게 문학지식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성인 학습자들이 인생의 경험에서 얻게 된 지식을 인정하고, 교수자와 상호 협력하며 스스로 학습의 주체로 참여하는 수업은 적었다. 한편, 연구자는 성인 학습자들이 문학을 생활화할 수 있는 수업의 한 모델로 2021년부터 2023년 1학기에 걸쳐 실행한 사례 세 가지를 보고했다. 대학생 학습자와 해외 동포 성인이 함께한 자서전 쓰기 그리고 지역 사회 성인들과 우리 고전 낭독극 만들기, 설화를 활용하여 ‘관계 지속을 위한 마음 근력 키우기’ 문학 프로그램이 그것이다. 세 가지 성인 대상 문학 활동은 문학을 매개로 학습자의 자기 이해를 심화하고, 고전 온 작품 읽기와 낭독극 만들기를 통해 다른 고전 작품에 대한 관심을 이끌어 냈으며, 교수자와 학습자가 상호 협력하며 자신과 세상에 대한 경험을 재규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 의의를 가질 수 있었다. This thesis aims to conduct an empirical study on the literary experiences of adult learners out of school during the pandemic. In order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adult literature experiences during the pandemic, statistical data on national lifelong education and a literature program opened at the Seoul Lifelong Learning Center were used. In addition, the researcher reported cases of literature activities for adults conducted in association with universities and revealed their significance. From 2020 to 2022, literature programs accounted for an average of only 1% of programs opened at lifelong learning centers nationwide, but the figure rose to 12-13% when the scope was limited to Seoul lifelong learning centers. Literature programs opened at the Seoul Lifelong Learning Center were diverse and rich in regions, genres, and media, from Korean literature to world literature. However, the teaching method is still a method of delivering literary knowledge to learners who lack experts, and there were few classes in which adult learners acknowledge the knowledge gained from life experiences, cooperate with instructors, and participate as subjects of learning on their own. Meanwhile, in the first semester of 2021 to 2023, the researcher will write an autobiography, create a reading of our classics, and use folk tales with college student learners, overseas Korean adults, and adults in the local community to create a literature program called ‘Developing Mind Strength for Persistence in Relationships’. proceeded online. The three literature activities for adults deepen learners’ self-understanding through literature as a medium, draw interest in other classic works through reading classic works and making reading plays, and teach and learners mutually cooperate to learn about themselves and the world. It could have a positive meaning in that it could redefine the experience.

      • KCI등재

        구비서사에 나타난 속이야기의 놀이적 특성과 그 효과

        하은하,Ha. Eun-ha 한국고전연구학회 2015 한국고전연구 Vol.0 No.31

        이 논문의 목표는 이야기가 사람의 삶에 미치는 효과를 작품 내에서 살피는 것이다. 이를 위해 ‘속이야기’가 나타나는 구비서사를 대상으로 이야기판이 갖는 놀이적 특성을 분석하고, 속이야기 전후의 참여자들의 삶의 변화와 그 의미에 대해 살폈다. 놀이는 본질적으로 재미를 수반하는 것이지만 유희성만 강조되면 말초적이고 순간적인 쾌락으로 그 효용이 축소되고 만다. 이에 본고에서는 놀이가 현실 경험과 맺는 관계에 대해 주목하였다. 그리하여 놀이란 현실의 문제를 처리해 나가는 과정의 하나이며 삶의 변화란 그런 와중에 생겨나게 되는 효과임을 밝혔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속이야기 삽입을 통해 이야기판을 구성하는 구비서사의 양상은 크게 즉흥적인 것과 계획적인 것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었다. 한담으로 대표되는 즉흥적인 이야기판에서는 일상의 경험으로부터 벗어나 기분전환을 하거나, 무료한 시간을 보내려 하기 때문에 유흥의 분위기가 흘러넘치고 이야기의 내용도 일정한 규칙이 없이 느슨하게 이어졌다. 반면 계획적인 이야기판에서는 즉흥적인 이야기판의 변덕스러움을 이야기 규칙이 강제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 규칙은 비생산적이며 일시적인 것이지만 통상적인 규범을 거부하고 그 효과가 놀이 이후에도 지속될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는 속이야기가 참여자들의 삶에 기여한 바에 대해 살폈는데 <노처녀들의 원님놀이>에서 원님 놀이는 노처녀들의 현실 속 좌절에 대해 가공의 만족감을, <봄날에 개구리 두 마리가 없다는 글귀>에서는 선비의 고통스러운 경험을 해석 가능한 사건으로 바꾸어 위안을, <소가 된 상좌와 오백나한 이야기로 정조 지킨 부인>에서는 남자에게 욕망의 지연의 필요성에 대한 깨달음을, 부인에게는 현실에 대한 통제력을, 오백 명의 도적들에게는 부처와 같은 삶으로의 변화를, 임금에게는 새로운 질서의 창조에 대한 단서를 제공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하여 이야기 놀이의 가장 긍정적인 효용은 현실의 질서를 대체하고 싶은 소망을 투영하고 새로운 놀이 규칙에 따라 놀아봄으로써 그 효과를 간접적으로 경험한 결과, 실제 세상의 질서를 바꾸게 되는 것임을 밝혔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at it brings any change at the people to tell or listen a story. For the purpose, I take Oral Narratives having a different additional story in it as a target. Text of story in story shows the process of talking to us. and Changes after the story are showed. In this paper, ‘motivation to the story’ and ‘join the game’ are seen to be associated with each other. There are two kinds of improvisation and planning in motivations to the story. Improvisation is associated with deviation from daily life, refection and killing time. The improvised story goes something similar to connecting them to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the planned story controlls capriciousness by a rule of story. A typical story is a story about a bet. There are rules to win a bet, in the story. Despite the rule, the play is interesting because of the surprising progress. Rules of play is allowed to continue after the end of the play. Finally, the utility of the story is as follows. First, the story provides satisfaction. Satisfaction will endure the frustration of human experience in real life. Second, the story changes a painful experience to interpret state. Third, the rules of the game to deny the everyday norm is that the new order can change the world.

      • KCI등재후보

        알코올 의존 남성의 설화 반응 사례 연구

        하은하 한국문학치료학회 2011 문학치료연구 Vol.18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specific character of chronic drinker's epic of self through folklore. In addition, the relevance between the epic of self and the alcohol dependence of the male chronic drinker is estimated. First of all, the male chronic drinker appreciated those following folklore: <Bridge and Mother>, <Whip and Virgin>, <Fox Jewel>, <Bathing with Beautiful Woman>, <Tears of Husband' Soul>, <A Centipede Woman>, and <A Daughter-in-law Becomes a Mother-in-law>. After analyzing his response to folklore, some characteristics were found. The male chronic drinker's epic of self is closed to <Bathing with Beautiful Woman>. His epic of self has a tendency to focus on mental love, and avoid to physical love. This tendency had been found in the response to other folklore repeatedly. In a word, His epic of self aims for very noble and pure love. However, his epic of self doesn't consider other's lack of understanding and doubts about his love at all. This kind of epic of self makes a gap between the ideal and the real. As a result, he lives in dependence on alcohol. 이 논문의 목적은 알코올 의존 남성(이하 김철수, 가명)의 설화 반응 분석을 통해 그의 자기서사가 지닌 특성을 밝히는 것에 있다. 아울러 이 남성의 자기서사와 알코올 의존과의 관련도 예상해 보았다. 이를 위하여 <효불효 다리>, <역적 누명과 회초리>,<여우 구슬>, <여인과 목욕하고 금부처가 된 남자>, <고부곡어황천>, <지네각시>, <장모가 된 며느리>의 일곱 종류의 설화를 서사분석형 자기서사 진단도구의 형태로 제공하고 이에 대한 설화 반응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김철수가 처음부터 끝까지 설화 본래 흐름을 따라간 경우는 <여인과 목욕하고 금부처가 된 남자> 한 편이었다. <효불효 다리>와 <장모가 된 며느리>의 경우에는 결론에 해당하는 한 단락은 본 설화의 흐름과는 다른 선택을 하였다. <역적 누명과 회초리>, <고부곡어황천>, <지네각시>는 세 단락 가운데 두 단락을 본래 설화의 흐름과는 관련이 없는 방향으로 선택하였다. 마지막으로 <여우구슬>은 선택할 수 있는 세 단락 모두를 본래 설화 흐름에 무관심한 방향으로 선택하였다. 김철수의 자기서 사 특히 남녀서사는 <여인과 목욕하고 금부처가 된 남자>와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고 <여우 구슬>과는 가장 멀리 떨어져 있다고 하겠다. 그런데 김철수의 자기서사와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여인과 목욕하고 금부처가 된 남자>,에 대한 반응을 면밀하게 검토하면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육체적 사랑과 정신적 사랑을 나누고 육체적인 사랑은 외면하는 대신 정신적 교감을 특별히 강조하였다. 이런 특징은 나머지 여섯 편의 설화에서도 반복적으로 발견되었다. 김철수의 자기서사가 지닌 특징을 한 마디로 요약하면 지고지순한 사랑을 지향하는 것이다. 그런데 김철수의 자기서사는 더할 나위 없이 높고 순수한 것을 추구하면서 인연에만 의존하며 주변의 몰이해나 의심 따위는 전혀 고려하지 않는다. 이러한 김철수의 자기서사는 현실에서는 실현 불가능한 것으로 이상과 현실의 사이의 거리를 점점 멀어지게 하여 괴리감을 높이고 그 결과 김철수는 그것을 알코올에 의존하는 방법으로 감당하고 있다고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