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안해역 안전관리 체계 발전방안 연구: 연안안전 담당자 설문조사 중심으로

        하신영,박상원,박한선 한국해양경찰학회 2020 한국해양경찰학회보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afety management system in coastal can prevent falls and isolation that occur mainly in coastal such as mudflats, mud rocks, breakwater, and docks due to the recent diversification of people's leisure activities. In order to prevent accidents occurring off the coast, the Korea Coast Guard enacted the Act on the Prevention of Coastal Accidents and the Regulations on Safety Management of Coastal Accidents in 2014. A survey was conducted on Korea Coast Guard, 9 government ministries, and 11 local government officials in charge of safety management in the sea area for a fact-finding survey in order to listen to the difficulties of working-level officials in establishing a basic plan for prevention of coastal accidents and improving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under the Act on the Prevention of Coastal Accidents. In particular, the research suggests improvements to the redesign of the coastal safety management organization, secure a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new technologies, upgrade the evaluation index of dangerous coastal areas, spread of safety culture, expand education, and capacity as improvement measures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safety management in coasta based on the site. 본 연구는 최근 국민 여가활동이 다양해짐에 따라 연안해역의 활동이 빈번해지고있고 갯벌·갯바위·방파제·선착장 등 연안해역에서 주로 발생하는 추락·고립 등을 예방할 수 있는 연안해역 안전관리 체계 발전방안 도출하기 위한 연구이다. 해양경찰은 연안에서 발생하는 사고를 예방하고자 2014년 「연안사고 예방에 관한 법률」과 「 연안사고 안전관리규정」을 제정하였다. 연안사고 예방에 관한 법률」에 의한 5년 단위의 법정계획인 연안사고 예방 기본계획의 수립과 안전관리 체계의 개선을 위한 현장 실무자들의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안전관리의 실제적인 효과를 창출하기 위하여실태조사를 위해 해역 안전관리 주체인 해양경찰, 9개 정부 부처, 11개 광역시·도 지자체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연안해역 안전관리 조직의 재설계, 신기술을 활용한 안전관리 시스템의 확보, 연안해역 위험구역평가지표의 고도화, 안전문화 확산 및 교육확대와 역량 강화 방안을 포함한 연안해역 안전관리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을 도출하였다. 제2차 연안사고 예방 기본계획에는 현장 실무자가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대책이 수립되어 연안해역에서의 사망사고를 줄이고 안전한 연안레저활동을 확보하기 위해 집중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 KCI등재

        국외사례를 기반으로 한 선체부착생물 국내 관리방안 연구

        하신영,박한선 한국항해항만학회 2020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44 No.3

        Harmful aquatic organisms introduced by ship movement cause marine ecosystem disturbances and are in the form of ballastwater and biofouling. Harmful marine life from ballastwater has been considerably reduced because mandatory treatment on all vessels is required to install onboard vessels. However, there remains risk of migration because biofouling is recommended to countries for management through the IMO guidelines. In particular, biofouling management has recently attracted attention for achieving IMO GHG reduction targets because it contributes to energy efficiency, as well as there are reasons for marine ecosystem protection. In recent years, increasing international consensus on the need for biofouling management is likely to lead to enforcement regulations. Thus, this study suggests the management method of hull attachment organisms in Korea, focusing on the cases of foreign countries that have regulated hull attachment organisms. 선박의 이동으로 유입된 유해해양생물은 해양생태계교란을 유발하고 있으며 주로 선박평형수와 선체부착생물의 형태로 유입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선박평형수의 이동으로 인한 유해해양생물은 모든 선박에 의무적으로 처리설비를 선박에 설치하도록 강제화되었기 때문에 상당히 감소되었다. 그러나 선체부착생물의 경우 현재 IMO 가이드라인을 통해 각국에 관리를 권고하는 수준이기 때문에 비 강제화로 여전히 이동 위험이 존재한다. 특히 선체부착생물은 해양생태계 교란 문제도 있지만 에너지효율 저감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IMO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최근 주목받고 있다. 선체부착생물에 대한 관리의 필요성에 대해 국제적 공감대가 증가되고 있기 때문에 강제화 규제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체부착생물 규제를 이미 시행하고 있는 국가의 사례를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선체부착생물의 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 복합미생물제제가 우점화 된 슬러지를 이용한 퇴비 내 세균군집의 Pyrosequencing 분석

        하신영,송지경,김인수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5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5 No.-

        본 연구에서는 퇴비화실험 재료인 복합유용미생물 슬러지와 일반슬러지의 미생물 군집 비교를 통해 복합유용미생물 슬러지에 대한 미생물학적 특성을 밝히고 일반슬러지 퇴비와 비교하여 복합유용미생물 우점 슬러지를 퇴비화 하였을 때 발현되는 미생물의 성상을 비교하여 복합유용미생물 우점 슬러지 퇴비가 토양에 시용 되었을 때 토양에 미치는 영향을 간접적으로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현재 시판되고 있는 광합성균을 이용한 돈분 퇴비와 같은 공정으로 본 실험에서 사용한 복합유용미생물을 우점 시킨 돈분퇴비를 제조하여 시판퇴비와의 비교는 물론 퇴비 제조 방법에 따른 복합유용미생물 군집의 차이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Pyrosequencing을 통해 연구에서 사용된 복합유용미생물 우점 슬러지의 bacteria 군집 문(Phylum)의 수준에서 분석한 결과 Proteobacteria(41.30%), Gemmatimonadetes(14.12%)로 우점 되어 있었다. Proteobacteria는 하폐수 처리공정에서 유기물 농도가 높은 환경에서 주로 발견되며, 광합성세균은 이산화탄소 및 황화수소를 흡수 이용하며, 오염 및 악취의 방지 효과를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Gemmatimonadetes는 활성화된 우수처리장에서 발견되는 호기성균으로 일반슬러지에서는 0.3%정도 발견되었으나 복합유용미생물 우점 슬러지에서는 14.12%로 복합유용미생물 우점 활성슬러지 공정이 활성도가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복합유용미생물 우점 슬러지 퇴비와 일반 슬러지 퇴비의 다양성분석을 한 결과 퇴비화 숙성이 진행되면서 미생물이 단순화 되고 퇴비화에 주로 발현되는 미생물인 Bacteroidetes, Proteobacteria, Firmicutes등의 우점도가 높아지는 타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 특히 복합유용미생물에서 4.17% 우점 되어 있는 Actinobacteria는 고정된 질소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고 퇴비가 숙성이 진행되면서 온도가 뜨거워질 때 활성도가 높아지는데 복합유용미생물 슬러지 퇴비가 일반슬러지 퇴비보다 부숙 온도가 높고, 높은 온도 유지기간도 길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BCL의 bacteria 군집을 종(species) 수준 분석하기 위해 시판퇴비인 PMP와 BMP와 비교한 결과 PMP와 BMP에서는 기타 (<1%)가 각각 49%, 48% 였지만 BCL퇴비는 기타 (<1%) 15%로 BCL퇴비가 다른 시판 퇴비보다 종 다양성은 떨어졌지만 시판 퇴비보다 퇴비 내 미생물이 우점 되어 공생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결혼이민자를 위한 방언 한국어 교재의 구성

        하신영 한국방언학회 2016 방언학 Vol.0 No.2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way of constructing Korean dialect textbooks for marriage immigrants in the view of pronunciation teaching. Having decided that it is much useful and practical to organize a dialect textbook combined with standard Korean, I discussed in two parts related to the pronunciation teaching. In the alphabet teaching part, even if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phonemic system of the standard language and dialects, the textbook should use the Hangul alphabet used in standard language. In the pronunciation teaching part, phonological rules that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alect pronunciation, should be given explicitly and treated in addition to the pronunciation rules of standard Korean contrasting parts. 본고에서는 결혼이민자를 위한 방언 한국어 교재를 구성함에 있어서 발음 교육의 관점에서 방언 교재의 구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방언 교육만을 위한 교재를 만드는 것보다 기존의 표준 한국어 교재에 방언 부분을 덧붙여 교재를 만드는 것이 현실적이고 유용할 것이라는 판단 아래 논의를 진행하였다. 방언 교재의 한글 자모 교육 부분에서는 표준어와 방언의 음소 체계에 차이가 있다 하더라도 표준어에 사용되는 한글 자모를 사용하여 교육해야 한다. 또한 방언의 특징을 드러내 주는 음운 규칙은 발음 교육 부분에서 명시적으로 제시하되 대조되는 표준어의 발음 규칙 부분에 덧붙여 설명하는 것으로 처리하였다.

      • 복합미생물제제가 우점화 된 슬러지를 이용한 퇴비 내 세균군집의 Pyrosequencing 분석

        하신영,송지경,김인수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5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학술대회 Vol.2015 No.11

        본 연구에서는 퇴비화실험 재료인 복합유용미생물 슬러지와 일반슬러지의 미생물 군집 비교를 통해 복합유용미생물 슬러지에 대한 미생물학적 특성을 밝히고 일반슬러지 퇴비와 비교하여 복합유용미생물 우점 슬러지를 퇴비화 하였을 때 발현되는 미생물의 성상을 비교하여 복합유용미생물 우점 슬러지 퇴비가 토양에 시용 되었을 때 토양에 미치는 영향을 간접적으로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현재 시판되고 있는 광합성균을 이용한 돈분퇴비와 같은 공정으로 본 실험에서 사용한 복합유용미생물을 우점 시킨 돈분퇴비를 제조하여 시판퇴비와의 비교는 물론 퇴비 제조 방법에 따른 복합유용미생물 군집의 차이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Pyrosequencing을 통해 연구에서 사용된 복합유용미생물 우점 슬러지의 bacteria 군집 문(Phylum)의 수준에서 분석한 결과 Proteobacteria(41.30%), Gemmatimonadetes(14.12%)로 우점 되어 있었다. Proteobacteria는 하폐수 처리공정에서 유기물 농도가 높은 환경에서 주로 발견되며, 광합성세균은 이산화탄소 및 황화수소를 흡수 이용하며, 오염 및 악취의 방지 효과를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Gemmatimonadetes는 활성화된 우수처리장에서 발견되는 호기성균으로 일반슬러지에서는 0.3%정도 발견되었으나 복합유용미생물 우점 슬러지에서는 14.12%로 복합유용미생물 우점 활성슬러지 공정이 활성도가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복합유용미생물 우점 슬러지 퇴비와 일반 슬러지 퇴비의 다양성분석을 한 결과 퇴비화 숙성이 진행되면서 미생물이 단순화 되고 퇴비화에 주로 발현되는 미생물인 Bacteroidetes, Proteobacteria, Firmicutes등의 우점도가 높아지는 타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 특히 복합유용미생물에서 4.17% 우점 되어 있는 Actinobacteria는 고정된 질소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고 퇴비가 숙성이 진행되면서 온도가 뜨거워질 때 활성도가 높아지는데 복합유용미생물 슬러지 퇴비가 일반슬러지 퇴비보다 부숙 온도가 높고, 높은 온도 유지기간도 길었기 때문으로 보인다.본 연구에서 개발한 BCL의 bacteria 군집을 종(species) 수준 분석하기 위해 시판퇴비인 PMP와 BMP와 비교한 결과 PMP와 BMP에서는 기타 (<1%)가 각각 49%, 48% 였지만 BCL퇴비는 기타 (<1%) 15%로 BCL퇴비가 다른 시판 퇴비보다 종 다양성은 떨어졌지만 시판퇴비보다 퇴비 내 미생물이 우점 되어 공생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구명조끼 착용 제도화에 관한 국민의식 연구 : 연안해역 활동을 중심으로

        하신영,김보영,국승기 한국해양경찰학회 2021 한국해양경찰학회보 Vol.11 No.1

        본 연구에서는 구명조끼 착용 제도화에 관한 국민의식을 연구하기 위한 이론연구 를 바탕으로 대국민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설문조사는 유관기관, 관련 학회, 관 련 단체,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885부의 응답 건수를 받았으며, 변수는 연안해역의 이용실태, 관련 제도에 대한 이해도, 구명조끼 필요성에 대한 인식, 구명조끼 착용 법제화에 대한 의견 총 4가지로 구성되어있다. 응답자 중 과반수 이상이 사고가 나지 않을 것이라고 믿어 구명조끼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로 바닷가를 이용하고 있었으며, 관련 제도에 대한 이해도가 높을수록 구명 조끼 착용 법제화에 대한 동의정도도 높게 나타났다. 응답자들은 구명조끼가 안전을 위해 필요하다고 인지하고 있었으며, 구명조끼 착용이 필요한 장소는 방파제(테트라 포드 포함), 활동은 수영과 낚시 시 구명조끼 착용이 제도화 되어야 한다고 응답했다. 연안사고 발생원인은 부주의에 의한 사고가 가장 많은 것으로 보아 사고의 경각 심을 일깨워줄 수단이 필요하며, 현재 낚시배·레저보트 승선자가 구명조끼를 의무적 으로 착용해야 하는 것처럼 향후 방파제에서의 낚시, 해수욕장에서의 수영 등 단계 적으로 구명조끼 착용 의무화 범위를 늘려가는 방안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In this study, a public survey was conducted based on a theoretical study to study public awareness about the legislation of wearing life jackets. This survey obtained 885 responses from related organizations, academic societies, organizations, and from the general public. The variables consist of four categories: the actual condition of coastal use,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related systems, the perception of the need for a life jacket, and the opinion on the legalization of the life jacket.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were using the beach without wearing life Jackets, believing that there would be no accidents, and higher the understanding of the related system, the higher the agreement on legislation to wear life jacket. Respondents were aware that life jackets were necessary for safety, and in their opinion, places it was mostly needed was breakwater (including Tetrapod), and said that wearing life jacket should be legislated for swimming and fishing. The cause of the highest nimber of coastal accidents was carelessness, so it is necessary to have a mean to alert people about accidents, and just as fishing boats and leisure boats are required to wear life Jacke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lan to gradually increase the scope of wearing life Jacket in activities such as fishing and swimming in the future.

      • 다각화 수준, 계열사 자원보유수준이 운영적 / 전략적 의사결정 사안의 분권화에 미치는 영향

        하신영,권구혁,김희천(토론자) 한국전략경영학회 2005 한국전략경영학회 학술대회발표논문집 Vol.- No.-

        본 논문은 다각화된 기업의 분권화 수준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정보처리관점(information processing perspective)과 자원의존관점(resource dependence perspective)이 부분적인 설명력만을 지니고 있음을 지적하고 이 두 가지 관점이 서로 배타적이라기보다는 상호 보완적으로 분권화 수준을 설명할 수 있음을 보이고자 한다.<br/> 기존의 연구들을 살펴보면 그 대부분이 분권화 대상이 되는 의사결정 사안의 성격은 고려하지 않고 전체적인 분권화 수준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하였기 때문에 여러 관점들 간의 통합이 힘든 측면이 있었다. 하지만 분권화 대상이 되는 의사결정 사안의 성격에 따라 분권화 수준이 결정되는 과정이 달라진다면 의사결정 사안의 성격에 따라 분권화 수준을 구분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기업에서 발생하는 의사결정 사안들을 그 성격에 따라 운영적 사안과 전략적 사안 두가지 유형으로 구분한 후, 각 계열사의 특정 경쟁 전략 하에서 그룹 전체의 다각화 수준과 계열사의 자원보유수준이 각 사안의 분권화 수준에 미치는 영향력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br/> 가설 검증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br/> 첫째, 분권화 수준 결정에 대한 정보처리관점에서 보면 분권화를 해주는 주체인 그룹 본부가 직접 정보처리에 대한 필요성을 느낄 때에만 정보처리량의 증가가 분권화 수준의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정보처리관점은 그룹 본부의 정보처리 필요성에 의해서 그룹 본부가 자발적으로 계열사에게 분권화를 해주는 상황에 대해서는 설명이 가능하지만 그룹 본부의 의지나 필요성에 반해서 분권화가 이루어지는 상황에 대해서는 설명이 힘들다는 한계점을 가진다.<br/> 둘째, 분권화 수준 결정에 대한 자원의존관점은 그룹 본부와 계열사의 관계가 갈등적인 상황에 한정해서 설명력을 가진다. 즉, 분권화 수준에 대한 그룹 본부와 계열사의 관계가 갈등적인 상황에서 분권화를 부여받는 입장인 계열사가 원하는 수준의 분권화를 얻어내기 위해서는 그룹 본부에 대해 발휘할 수 있는 교섭력을 갖추어야 하는데, 이때 계열사가 보유한 자원은 그룹 본부에 대한 계열사의 교섭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반면, 그룹 본부와 계열사 간 관계가 갈등적이지 않은 상황에서는 계열사가 그룹 본부에 대하여 굳이 교섭력을 발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계열사가 보유한 자원은 분권화 수준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br/> 본 논문은 의사결정 사안의 성격과 경쟁 전략에 따라서 분권화 수준에 대한 그룹 본부와 계열사 간 관계가 달라지고 이에 따라 분권화 수준이 결정되는 과정도 다르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기존의 연구에서는 독립적으로 사용되었던 정보처리관점과 자원의존관점이 서로 배타적이지 않은 형태로 통합될 수 있음을 보이고자 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는지 알다/모르다’ 관련 한국어 교육용 표현 문형의 설정에 대한 제안

        하신영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9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20 No.1

        In this paper, I tried to confirm that Korean grammar for foreigners should be presented not as individual morphemes but as expressive sentence patterns. The meaning and form of the expressive sentence pattern should be analyzed as much as possible from the viewpoint of the students. Only then can the educational sentence pattern items be determined. In order to confirm this, I examined the expressive sentence patterns related to ‘alda/moreuda’(to know/not to know) in the dictionaries and the textbooks, and draw out 9 expressive sentence patterns to teach.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basic sentence pattern type that is closest to the basic meaning of ending or noun was distinguished from the extended type. 본고에서는 ‘알다/모르다’와 관련된 표현 문형을 비교검토하여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에서 문법이란 개별 형태소의 의미 기능이 아니라 표현 문형으로 제시되어야 함을 보이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알다/모르다’ 동사는 어미 ‘-는지’, ‘-을지’, 의존명사 ‘줄’과 함께 사용된다. 한국어 교육학적인 관점에서 이러한 사용양상은 어미나 의존명사의 쓰임새적 특징으로 기술할 것이 아니라 표현 문형으로 접근하여야 한다. 2장에서는 사전류와 한국어 교재에서 다루고 있는 관련 표현 문형을 검토하여 9 항목의 학습자용 표현 문형 목록을 확정하고 3장에서는 표현 문형으로 한국어 문법 교육에 접근하면 어떤 의의를 찾을 수 있는지 밝혔다.

      • KCI등재

        복합미생물제제를 이용한 RCM공법의 선박오수 처리장치 적용에 관한 연구

        하신영,김인수 한국항해항만학회 2014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8 No.5

        본 연구에서는 유입수의 변동이 심하고 전문가가 부재한 환경인 선박에서 발생하는 오수의 효과적인 처리를 위하여 RCM공법을 선박오수처리장치에 적용하는 실험실 규모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질소·인의 고도처리 효율과 선박이라는 특수환경과의 접목성을 검토한 결과 RCM공정에 유효미생물을 주입하는 방법은 선박환경에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RCM공정은 활성슬러지 공정에서 배출되는 슬러지는 배출시키지 않고 슬러지액화분해조(SDC)에서 재분해하여 순환함으로써, 최근 해양투기가 금지됨으로 인해 문제가 되고 있는 슬러지의 발생량을 최소한으로 하여 친환경적인 수처리가 가능하다. 복합미생물제제 주입 후 미생물 관찰결과 고도처리에 유리한 미생물종의 출현을 확인하였으며 이들의 상호기작으로 질소·인의 처리에 도움을 주어 처리효율이 높은것이라 판단된다. 유기물 제거효율 실험결과 BOD5, CODcr T-N, T-P의 처리효율이 각각 96, 97, 78, 81.68 %로 나타나 Membrane이나 Filter없이도 강화되어가는 해양오염기준을 충족시킬 수 있는 공정으로 판단된다. Lab scale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study biological wastewater treatment technology developed for shipboard. RCM process using BM(Beneficial Microorganisms) was investigated for practical application on shipboard sewage treatment. RCM process is an environmental friendly treatment system, with minimum production of sludge. In the test, BOD5, CODcr, T-N and T-P were reduced a 96%, 97%, 78% and 81.68% respectively. From the result it was suggested that RCM process with BM might be a suitable process for shipboard sewage treatment, maintenance of useful microorganisms and creating special environment as the SDC tank is circulating in the non-biodegradable organics sludge generated during the wastewater treatment, thus reducing the amount of sludge generated. Therefore, the RCM process does not require additional equipment to strengthen it to meet the marine pollution standards.

      • 항만 폐기물 관리시스템 확보방안 연구

        하신영,승기 한국항해항만학회 2020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0 No.춘계

        국제해사기구(IMO)의 협약 제·개정에 따른 규정 강화에도 불구하고 협약 당사국의 불성실한 의무 이행으로 선박의 전손 및 해양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에 IMO는 2005년부터 자발적 회원국감사제도를 시범 운영하였으며 2016년 1월부터 감사제도를 강제화하였다. IMO는 2016년부터 총 174개 회원국을 7년 주기로 감사하기 위해 매년 25개국씩 회원국감사(IMSAS)를 실시하고 있다. IMSAS는 IMO 협약이행코드(Ⅲ CODE)를 중심으로 주요 협약에 따라 공통사항, 기국, 연안국, 항만국 총 4개 분야로 구분하여 협약이행 실태를 감사하는 제도이다. 이중 항만국의 이행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폐기물 수용시설의 운영, 항만국 통제 시행, 연료 공급업체의 등록관리 등을 확인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항만국 의무이행 요건 중 폐기물 수용시설의 설치 및 운영에 대한 해외 선진 사례를 조사하고 국내 선박배출 폐기물 처리실태를 파악하였으며 항만 폐기물 관리시스템 확보를 위해 국내 법제도 개선과 항만 폐기물 수용시설 확보, 폐기물 처리 지침 등이 수립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