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영어 읽기평가용 CAT 스마트 앱 개발

        최홍규 ( Hong Gyu Choi ),김정렬 ( Jeong Ryeol Kim )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2013 멀티미디어 언어교육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mputer Adaptive Testing (CAT) smart app in elementary English reading education for extensive reading that gives students their readability index by means of a test before elementary school students began their reading. Compared with the web based Korean elementary English readability index (KEERI), software developed by Kim and Moon (2012), the CAT smart app tends to be a pre-test. And it is based on smart devices and CAT. Based on 700 readability index evaluation questions, the CAT smart app has been developed to measure students’ readability index. The core engine used in the CAT smart app was implemented in PHP, Java SDK and Android SDK. After analysis of a survey conducted by expert group, the need for CAT was recognized. So the CAT system on the web was developed, too. After the development of the CAT smart app,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students’ evaluated readability index and English reading ability performance assessment,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It showed that the students who had a high readability index got high scores in their English reading ability performance assessment and the higher the students’ score, the higher the correlation was.

      • KCI등재
      • KCI등재

        CAT 활용 초등영어 읽기 진단평가 스마트 앱 개발

        최홍규(Choi Hong Gyu),김정렬(Kim Jeong Ryeol)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2014 초등영어교육 Vol.2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mputer Adaptive Testing(CAT) smart app for extensive Elementary English reading diagnostic testing, which will give students their reading ability index before they start reading. The CAT smart app for Elementary English reading diagnostic testing consists of four parts: the presentation of login procedure, the presentation of four topics, the presentation of the reading ability index evaluation questions and the presentation of the reading ability index and story book. The test utilizes smart devices and CAT. Based on 700 reading ability index evaluation questions, the CAT smart app has been developed to determine a student's reading ability index. The core engine used in the CAT smart app was developed using PHP, Java SDK and Android SDK. After the analysis of a survey conducted on students and an expert group, the need for the modification of CAT smart app was recognized. The questions in the CAT system were modified as well. After the development of the CAT smart app,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between the students' evaluated reading ability index and their English reading ability performance assessment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 KCI등재

        유튜브 아동보호 가이드라인의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가이드라인 및 소셜 빅데이터 이슈를 중심으로

        최홍규 ( Hong Gyu Choi ),고범석 ( Beom Seog Ko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21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7 No.2

        본 연구는 전 세계적으로 유아·어린이 등 아동층을 대상으로 하는 유튜브 동영상 콘텐츠 확산이 늘어나면서 발생하는 문제 해결 방법을 고안하고자, 콘텐츠 제작 지침과 방향을 담은 가이드라인의 필요성에 초점을 맞췄다. 즉, 현시점에서 아동보호를 위해 유튜브 크리에이터가 숙지하여야 할 ‘유튜브 크리에이팅 가이드라인’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이러한 가이드라인이 개발될 경우 담겨야 할 핵심적 내용과 가이드라인에 지속해서 담겨야 할 이슈들을 탐색하여 이를 통해 유튜브에서 아동보호를 위한 방법을 모색해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동영상 관련 미디어 기업들이 공개한 가이드라인의 내용 중 ‘아동’, ‘유아’, ‘어린이’, ‘청소년’ 등과 관련한 내용을 분석했다. 다음으로 소셜미디어 및 언론뉴스에서 나타난 아동 대상 유튜브 채널에 대한 부정적 이슈를 도출했다. 또한, 이렇게 분석된 내용을 토대로 하여 유튜브 크리에이팅 가이드라인의 내용으로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을 도출했다. 결과적으로 유튜브 크리에이팅 가이드라인에 제안해볼 만한 내용을 ‘아동에 대한 관점 및 콘텐츠 제공의 기준’, ‘아동 대상 콘텐츠의 요건’, ‘제작현장의 아동 출연자 보호 관련 내용’, ‘아동 개인정보보호 관련 요건’ 등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유튜브 크리에이팅 가이드라인에 포함할 주제어나 추가적으로 고려할 내용 및 이슈들을 도출할 수 있었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need for guidelines on content production as a way to prevent content problems that occur at the same time as the use of YouTube video content for children. So, we examined the core contents that creators should follow to protect children on YouTube. Specifically, we tried to find a way to protect children on YouTube by deriving content that should be continuously included in the guidelines. First of all, we analyzed the contents of guidelines released by domestic and foreign video content media companies. Next, we explored negative issues about children's YouTube channels through social media and news. Based on this analysis, we derived components that could be included in the YouTube creating guidelines. As a result, if YouTube creating guidelines were developed, four parts could be proposed: Perspectives on children and criteria for content delivery, The requirements for children's content, The protection of child performers at the production site and The requirements for children's privacy.

      • 방송콘텐츠 영향력 도출을 위한 빅데이터 분석체계에 관한 연구

        최홍규(Hong-Gyu Choi),박구만(Goo-Man Park),최성진(Seong-Jhin Choi),김성태(Sung-Tae Kim)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4 한국방송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4 No.11

        본 논문은 방송콘텐츠 영향력 도출을 위해 고려되어야 할 요소들에 대해 다뤄보았다. 기존에 방송콘텐츠의 영향력을 나타내는 측정지표로 시청률과 청취율 같은 설문조사 방식의 조사자의 개입을 통한 방식이 활용되었다면, 최근 소셜미디어를 통해 수많은 정보가 교환되는 환경에서는 새로운 측정방식의 제안이 가능할 것으로 보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셜미디어상 대용량의 텍스트 데이터인 이른바 ‘소셜텍스트 빅데이터’를 활용해 방송콘텐츠의 영향력을 분석하는 방식을 제안하였다. 또한 이러한 빅데이터 분석을 위해 일반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과 이 과정에서 유의하여야 사항들에 대해 다뤄보았다.

      • KCI등재

        강변여과에서 여과거리에 따른 페놀, 1,4-다이옥산 그리고 다이아지논의 거동에 관한 실험연구

        최홍규(Hong Gyu Choi),정일화(Il Hwa Jeong),정관수(Kwan Sue Jung),이영득(Young Deuk Lee),김승현(Seung Hyun Kim) 大韓環境工學會 2013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5 No.6

        복류수와 천변여과지 그리고 점차 여과거리가 짧아지고 있는 우리나라의 강변/하상여과 등이 가지는 미량오염물에 대한 저항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5 m 길이의 모래칼럼을 이용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우리나라 하상의 토양은 유기물 함량이 상당하여 염소이온의 토양표면 흡착이 비교적 활발함 알 수 있었다. 페놀은 칼럼의 여과수에서 검출되지 않았고, 1,4-다이옥산과 다이아지논은 하상토양과 흡착반응을 일으키면서 이동하며, 2.5 m의 이동과정에서 1,4-다이옥산의 첨두농도는 유입농도의 약 40%로 그 농도가 감소하였고, 다이아지논의 첨두농도는 약 60%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규모 설비에서는 여과거리가 5 m 보다 더 길기 때문에 첨두농도의 감소효과는 상당히 클 것으로 기대되었다. An experiment using a 5 m-long sand column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resisting capability against micro-pollutants of the infiltration gallery, multi-purpose filtration pond and riverbank/bed filtration, of which the filtration distance is becoming increasingly shorter in Korea. Results suggested that the Korean riverbed sand contained significant amount of organics, resulting in a relatively vigorous adsorption of chloride ion on the sand surfac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while phenol was not detected in the column filtrate, both 1,4-dioxane and diazinon were exposed to adsorption by the sand as they moved through the column, decreasing their peak concentrations during the movement. It can be expected that the peak concentrations will diminish significantly in the practical scale due to its longer travel distance.

      • KCI등재

        코로나19 상황에서 지역사회 먹을거리 이슈에 관한 탐색적 연구: 지역별 이슈를 통한 소셜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최홍규(Hong-Gyu Choi)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8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지역사회 먹을거리 관련 이슈를 살펴보았으며, 온라인 공간에서 생산된 소셜 빅데이터의 내용을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우선, 코로나19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시행된 후 지역별 홈페이지와 온라인 커뮤니티인 카페에서 확산한 먹을거리 관련 이슈를 분석했다. 다음으로는 언론 뉴스, SNS, 포털 등에서 확산하는 먹을거리 관련 이슈의 내용을 살펴봤다. 그 결과 서울과 경기 등 수도권에 비해 여타 지역 홈페이지에 먹을거리 관련 게시물이 더 많았지만, 온라인 커뮤니티의 경우에는 서울과 경기 지역에 등록된 온라인 커뮤니티에 먹을거리 관련 이슈가 더 많았다. 지역별 온라인 커뮤니티의 먹을거리 관련 키워드는 지역사회 경제와 관련한 내용을 주로 포함하고 있었다. 언론 기사, SNS, 검색포털 이슈에는 지역사회 먹을거리 관련 정책, 정보, 상품 등의 소비과정에서 논의될 수 있는 내용이 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지역사회 단위로 특화한 정보 공유체계는 발견되지 않고, 온라인 커뮤니티가 현실적인 먹을거리 정보를 제공하는 데 기여할 수 있으며, 소셜미디어를 통해 지역별 먹을거리 정책의 성과검증이 가능할 것이라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This study focused on analyzing the contents of social big data produced in the online space, dealing with issues related to food in the community in the context of COVID-19. First, this study analyzed food-related issues that spread through regional websites and online community(cafes) after social distancing was implemented due to COVID-19. Next,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s of food-related issues that spread through media news, SNS, and portals. As a result, there were more food-related posts on the homepages of other regions compared to the metropolitan areas such as Seoul and Gyeonggi, but in the case of online communities, there were more food-related issues in online communities registered in Seoul and Gyeonggi regions. Food-related keywords in regional online communities mainly contained content related to the local economy. In the media articles, SNS, and search portal issues, content that can be discussed in the consumption process of local community food-related policies, information, and products mainly appear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re is no specialized information sharing system for each community, that online communities can contribute to providing food information applicable to reality, and that it is possible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regional food policies through social media.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