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공간정보 오픈플랫폼 설계를 위한 2D Web Mapping Open API 비교 연구

        최원근,김민수,장인성,장윤섭,Choi, Won Geun,Kim, Min Soo,Jang, In Sung,Chang, Yoon-Seop 대한공간정보학회 2014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2 No.5

        Google 지도는 AJAX(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 기술을 이용하여 Web-GIS의 반응 속도를 크게 변화시켰다. 또한 Google은 Open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인 Google Maps API를 공개하여 기존의 SDK(Software Development Kit)와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가 주도하던 지도 시장에 Open API라는 패러다임의 변화를 가져왔다. 이후, 많은 정부와 기업과 오픈소스 진영에서 비슷한 방식의 Open API를 내놓았으며 Web-GIS 시장을 키워왔다. 또한 HTML5 표준에 대한 최신 웹브라우저의 적극적인 표준 구현으로 인해 웹지도는 단순한 웹페이지가 아닌 하나의 웹어플리케이션으로 진화하여 속도와 성능향상을 이루었다. 하지만 많은 공간정보 2D Open API들이 나왔지만 국내의 API에 대한 현실적인 비교분석은 잘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먼저 공간정보 2D Open API를 이루고 있는 구성요소들을 살펴보고, 각각의 API들이 어떠한 기능들을 얼마만큼 지원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각 API 별로 기능적인 특징과 서비스적인 특징들을 살펴보고 비교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끝으로, 공간정보 2D Open API의 서비스 사례들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Google Maps have changed the response time of Web-GIS using AJAX technologies. In addition, Google released the Open API named Google Maps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nd it lead to the big paradigm on the Open API, where the SDK(Software Development Kit) and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 had ruled at the related map market. In short, the Open API has been paradigm-shifting for the web mapping. After this, government, many companies and open source foundations have guided Web-GIS market's growth through releasing the relevant Open APIs. So many comparative analysis on web-mapping API carried out by many researches. However there were no researches that can be applied to our current domestic environments. This paper investigates components of web-mapping API. Then we compare how many components supported and enumerate features for each of those APIs. Finally this paper presents direction of future development of Web Mapping API.

      • KCI등재

        비호-개발 연계(Asylum-Development Nexus)의 기원과 포괄적 파트너십: UNRRA로부터 난민 글로벌 컴팩트까지

        최원근 ( Won Geun Choi ) 한국사회역사학회 2021 담론 201 Vol.24 No.3

        21세기 들어 발생한 시리아와 로힝야 난민위기는 국제난민레짐의 취약성과 한계를 극적으로 드러냈다. 시리아 난민위기는 국제난민레짐의 발상지인 유럽 주요 국가들조차도 국익 앞에 난민보호의 책임분담을 외면하는 민낯을 드러냈으며, 로힝야 난민위기는 국제난민레짐의 공백지인 아시아의 절망적 현실을 극적으로 보여주었다. 그러나 국제난민레짐은 이러한 도전에 신속하게 대응하여 난민 글로벌 컴팩트(Global Compact on Refugees) 체제로 진화하며 비호-개발 연계를 통해 난민보호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다. 그렇다면 최근 나타나고 있는 난민보호와 개발 사이의 결합, 즉 비호-개발 연계(asylum-development nexus)는 어떤 역사적·국제정치적 맥락 속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진화해 왔을까? 특히 최근 주목받고 있는 난민 글로벌 컴팩트는 이론 및 실천적으로 어떤 의미와 한계를 가지고 있는 것일까? 이 연구는 난민보호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주목받고 있는 비호-개발 연계를 국제사회의 난민보호의 변화 과정에 대한 비교를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즉, 제2차 세계대전 종전을 전후해 탄생한 유엔구호재건기구(UNRRA)와 탈냉전기 이후 나타난 비호-개발 연계의 사례들을 통해 21세기 난민 글로벌 컴팩트 체제의 의미와 특징을 살펴볼 것이다. 이 연구는 난민 글로벌 컴팩트 체제가 다양한 행위자들의 참여와 난민보호의 총체성에 입각한 접근을 중심으로 형성된 포괄적 파트너십이라는 측면에서 기존의 시도들과 차별화되고 있음을 강조한다. The global refugee crisis in the twenty-first century dramatically exposed the vulnerabilities of the current international refugee regime. European states, where the current international refugee protection originated, ignored the global burden-sharing to protect their national interests, while refugees in Asia experienced the complete absence of the international refugee protection in the region. However, the international refugee regime finally adopted its alternative refugee protection framework, the Global Compact on Refugees, based on the asylum-development nexus. Then, in what historical and political contexts explain the latest evolution of the asylum-development nexus? In particular, what are the meanings and limitations of the Global Compact on Refugees in comparison with previous attempts since the end of the Second World War? This study explains the nature of the current asylum-development nexus in comparison with the United Nations Relief and Reconstruction Agency (UNRRA) in the end of World War II and the regional programs for the asylum-development nexus in the post-Cold War era. This research argues that the Global Compact on Refugees has unique characteristics in its comprehensive partnership, including the variety of participation from non-state sector and the holistic approaches of refugee protection.

      • KCI우수등재

        아시아의 난민보호와 시민사회의 대응

        최원근(Choi Won Geun) 한국국제정치학회 2021 國際政治論叢 Vol.61 No.1

        아시아는 국제난민레짐의 형식적 제도화와 실제적 적용에 있어 공백지로 평가된다. 대부분의 아시아 국가들은 국제난민법의 공식적인 비준을 거부하고 난민의 수용을 국가 간의 협상의 대상으로 다루어 왔다. 난민협약을 비준한 소수의 국가들도 난민보호를 국가의 정당성을 인정받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 난민위기들과 대응의 경험에도 불구하고 아시아에서 난민보호의 제도화와 실제적 이행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는 원인과 양상은 무엇일까? 그리고 이러한 난민보호의 간극을 극복하기 위한 시민사회의 대응은 어떻게 나타나고 있을까?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시작하여 아시아 지역에서 국제난민레짐의 부재가 난민보호에 대한 무관심을 의미하지 않으며,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제도화가 이루어진 국가들과 그렇지 못한 국가들에 대해 서로 다른 접근방식을 통해 난민보호의 실질적 이행을 달성하고 있음을 강조한다. 즉, 형식적이나마 제도화를 받아들인 국가에서는 시민사회가 취약한 제도화의 수준을 정치적 기회로 활용하여 실질적 이행을 강조하고, 반대로 제도화를 거부한 국가들에서는 국제레짐의 복잡성을 활용하여 난민보호를 증진시킬 수 있는 보충적 보호를 추구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아시아 시민사회가 난민보호를 “비호를 구할 권리”라는 한계를 넘어 “비호를 누릴 권리”로 확장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Refugees in Asia have been suffering from insufficient refugee protection in the region. It is common in Asia that most states are not committed to the international refugee regime by rejecting either the institutionalization or the implementation of the international refugee laws. Most of the Southeast Asian states reject the formal ratification of the 1951 Refugee Convention, while East Asian states hesitate to implement refugee protection despite the formal ratification. In this regard, this research begins with two questions: what makes failures of international refugee protection in the Asian context? How does Asian civil society enhance refugee protection despite the non-compliance of state parties? This research argues that Asian civil society tries to reframe refugee protection by utilizing the paradox of the empty promise and the international regime complexity. As a result, Asian civil society has been contesting the current refugee protection in which is based upon the principle of the “right to seek asylum” by emphasizing the “right to enjoy asylum.”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국제난민레짐과 유럽중심주의의 의미: 동아시아적 관점에 대한 소고

        최원근 ( Won Geun Choi )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정치연구소 2020 글로벌정치연구 Vol.13 No.2

        아시아는 매우 소수의 국가만이 1951년 난민협약과 1967년 의정서를 비준하여 국제난민법의 제도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대표적인 지역으로 지적되어 왔다. 이런 상황에서 아시아적 거부(Asian rejection) 담론은 국제난민레짐에 내재되어 있는 유럽중심주의가 아시아 국가들이 국제난민법의 비준을 거부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설명한다. 그러나 이런 설명은 동남아시아의 역사적 경험을 바탕으로 형성되어 동아시아적 맥락을 포함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그렇다면 동아시아 국가들은 국제난민레짐의 유럽중심주의에 어떻게 대응하고 있을까? 이 연구는 기존의 아시아적 거부 담론의 한계를 지적하고 동아시아적 맥락에 대한 분석을 시도한다. 국제난민법에 대한 성공적인 제도화를 이룬 중국, 일본, 한국의 사례는 아시아 국가들이 단순하게 국제난민레짐 자체를 거부한 것이 아니며 유럽중심주의에 대해 편승, 회피 및 수정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국제난민레짐에 대한 아시아 국가들의 다양한 대응방식에 대한 이해는 앞으로 아시아 지역 국가들이 지역 단위에서 난민보호에 대한 보편적 컨센서스를 모색하는 기초가 될 것이다. The absence of the international refugee regime in Asia has been dominantly studied with the issue of Asian rejection. According to the Asian rejection analysis, Asian states acknowledged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 embedded in the Eurocentric character of the current international refugee regime, which enforced overwhelming burdens to the countries of origins and its neighboring states while the Western countries avoid global burden-sharing. However, previous studies explain the Southeast Asian contexts but do not explain other parts of the continent, especially the successful institutionalization of the international refugee laws in East Asia. Then, what are responses of East Asian states to Eurocentrism in the international refugee regime?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different responses to Eurocentrism by East Asian states, especially China, Japan, and South Korea. This research argues that they have taken different paths in practical implementation process, such as bandwagoning, evasion, or revisioning, beyond their successful formal institutionalization.

      • KCI등재

        폐열회수시설이 설비된 생활폐기물 소각자원화시설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시 오차분석 (2009~2013)

        최원근 ( Won Geun Choi ),서란숙 ( Ran Sug Seo ),박승철 ( Seung Chul Park ) 한국환경과학회 2016 한국환경과학회지 Vol.25 No.2

        This study aims to analyze region-specific trends in changing greenhouse gas emissions in incineration plants of local government where waste heat generated during incineration are reused for the recent five years (2009 to 2013). The greenhouse gas generated from the incineration plants is largely CO2 with a small amount of CH4 and N2O. Most of the incineration plants operated by local government produce steam with waste heat generated from incineration to produce electricity or reuse it for hot water/heating and resident convenience. And steam in some industrial complexes is supplied to companies who require it for obtaining resources for local government or incineration plants. All incineration plants, research targets of this study, are using LNG or diesel fuel as auxiliary fuel for incinerating wastes and some of the facilities are using LFG(Landfill Gas). The calculation of greenhouse gas generated during waste incineration was according to the Local Government``s Greenhouse Emissions Calculation Guideline. As a result of calculation, the total amount of greenhouse gas released from all incineration plants for five years was about 3,174,000 tCO2eq. To look at it by year, the biggest amount was about 877,000 tCO2eq in 2013. To look at it by region, Gyeonggido showed the biggest amount (about 163,000 tCO2eq annually) and the greenhouse gas emissions per capita was the highest in Ulsan Metropolitan City(about 154 kCO2eq annually). As a result of greenhouse gas emissions calculation, some incineration plants showed more emissions by heat recovery than by incineration, which rather reduced the total amount of greenhouse gas emissions. For more accurate calcula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s in the future, input data management system needs to be improved.

      • MMT와 MPEG2-TS 융합형 Hybrid 3D 방송 플랫폼 개발

        강동진(Dong-jin Kang),김다영(Da-young Kim),최원근(Won-geun Choi),김규헌(Kyu-heon Kim)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5 한국방송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5 No.7

        현 3D 실험방송은 좌 영상과 우 영상의 듀얼 스트림을 전송하는 서비스 호환 3D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은 지상파를 이용해 전송되므로 제한된 대역폭에 따른 화질의 저하가 불가피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상기 두 영상을 각각 기존의 지상파와 IP망으로 전송하여 화질의 열화 없이 안정적인 화질을 제공할 수 있는 MMT와 MPEG2-TS 융합형 Hybrid 3D 방송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시스템은 기존의 지상파를 통해 주영상을 MMT의 GFD mode를 이용하여 보조영상을 전송하여 두 영상의 동기화를 통해 고화질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을 구성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MPEG2-TS와 MMT의 GFD mode의 파일 구성을 각각 분석하고, 실험결과를 통해 제안한 MMT와 MPEG2-TS 융합형 Hybrid 3D 방송 시스템을 검증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