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적자보고의 가치관련성

        최수미(Choi Sumi) 충남대학교 회계연구소 2006 회계논집 Vol.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적자보고의 가치평가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기간은 1993년부터 1997년까지이다. 연구대상 표본은 이 기간 동안 상장기업으로 12월결산법인이며 비금융업종에 종사하는 기업이다. 적자보고기업의 가치평가에 대해서는 우선 이익의 주가설명력을 흑자보고기업과 비교하였다. 흑자보고기업과 비교하여 이익의 주가설명력이 현저히 낮고 설명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하여 순자산을 추가한 올슨(Ohlson)모형을 이용하여 회귀분석한 결과 순자산의 주가설명력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적자보고기업의 특성인 부실가능성이 높고 성장성이 낮은 경우와 부실가능성이 낮고 성장성이 높은 경우를 이익과 순자산의 가치설명력에 대해서도 검증한 결과 부실가능성이 높고 성장성이 낮은 경우 순자산의 주가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성장성이 높은 경우는 회계정보이외의 다른 정보를 이용하여 가치평가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연속적 자보고한 경우와 1회적자보고한 경우 순자산, 이익의 가치평가모형을 적용하면 두 집단 모두 순자산의 주가설명력은 높게 나타났고 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적자보고기업에 대해 회계정보를 이용한 가치평가를 위해서는 순자산에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며 적자보고기업 중 부실가능성이 높고 성장성이 낮은 경우 특히 순자산의 주가설명력이 높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 전기오류수정손익 공시방법의 정보효과

        최수미(Choi Sumi),이다솜(Lee Dasom) 한국회계정보학회 2013 한국회계정보학회 학술대회발표집 Vol.2013 No.1

        본 연구는 경영자가 전기오류수정손익의 공시방법에 따라 자본시장의 반응은 어떠한지를 검토하였으며, 전기오류수정손익 공시에 재무분석가는 이익예측치를 어떤 방향으로 수정하는지 밝히는 데에 있다. 기업회계기준서 제 1호 개정 후인 2002년부터 2010년까지의 추출된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기오류수정손익을 당기손익에 공시할 때에는 전기오류수정순이익과 전기오류수정순 손실간에 차이가 크지 않았지만, 전기오류수정순손실일 경우에는 전기오류수정순이익일 경우보다 재무제표 재작성의 방법으로 보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상대적으로 전기오류수정순손실일 경우에 당기손익에 반영이 되지 않은 재무제표 재작성의 방법으로 보고되는 임의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중요성 판단기준에 대한 영향을 배제한 채 전기오류수정손익을 이용하여 이익조정을 시도했다고 보기는 어려울 것이다. 하지만, 전기오류수정손익규모가 크면, 재무제표를 재작성하는 방법을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본시장에서 전기오류수정손익의 보고방식이 재무제표 재작성일 때에 비기대이익이 양(+)임에도 불구하고 부정적인 반응을 나타낸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재무분석가가 기업의 이익예측시에 전기오류수정손익이 재무제표 재작성의 방법으로 공시가 되면 재무분석가는 당기손익에 반영되는 기업에 비해 이익예측치를 부정적인 방향으로 수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오류수정손익을 공시하여 재무제표의 신뢰성이 하락한데에 대해 재작성방법으로 공시하는 경우, 주식투자자들의 기대도 부정적일 뿐만 아니라, 재무분석가 또한 이익예측치를 낮게 수정한 것을 알 수 있다. 전기오류수정의 재무제표 재작성에 대해 현저하게 비관적으로 해석된다고 할 수 있다. Processing standard on Korea s Prior Period Error Correction has been through the enactment and amendment several times, and according to KAS No. 1 enforced from 30th March 2001, the item on prior period adjustment needs to be reported as the gain/loss on prior period error corrections among the non-operating profit and loss in the current term statement of profit and loss, and in case of a fundamental error, the unappropriated retained earnings brought forward from the previous term need to be changed and financial statement should be restated. From the time of the enactment of this standard, since an arbitrary interpretation in connection with the importance could be possible, there has been a controversy which was likely to cause the adjustment of profit. In this study, first, in conjunction with the arbitrariness of reporting method on the gain/loss on prior period error corrections, it was examined how the difference of reporting method was depending on the gain/loss on prior period error corrections. Second, by analyzing the reaction of capital markets at the reporting time according to public announcement of the gain/loss on prior period error corrections, it was investigated whether the reaction of stock price was more negative in case of restatement of comparative financial statements, compared to the reported current term gain and loss. In addition, it was examined empirically financial analysts earnings forecasts revision came out differently according to reporting method of the gain/loss on prior period error corrections. According to the outcome of empirical analysis, when reporting the current gain and loss, there was no big difference between net profit on prior period error corrections and net loss on prior period error corrections, but in the case of net loss on prior period error corrections, it showed higher frequency of reporting by using the restatement of the financial statements, without reporting the current term gain and loss. In case of the restatement of the financial statements, showed more negative reaction in the capital market than the current term gain and loss. Finally, when the financial analyst predicts the company s earnings, if the gain/loss on prior period error corrections was announced as the restatement of the financial statements, it showed that the financial analyst changed the earnings forecast revision to the more negative direction than the company with current gain and loss.

      • KCI등재

        고등학생의 지각된 부모진로지지와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성별에 따른 모형검증 -

        최수미 ( Choi Sumi ),이동혁 ( Lee Donghyuk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문화연구 Vol.23 No.5

        본 연구는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진로지지가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가정한 후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성별에 따른 세변인들 간의 관계모형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인문계 고등학교 2개교 1학년에 재학중인 학생 536명을 대상으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지각된 부모 진로지지가 청소년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세 변인들 간의 구조적 경로모형이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학생은 부모진로지지와 학업성취 간 직접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부모진로지지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완전매개모형이 지지되었다. 반면, 남학생은 부모진로지지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는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지만, 학업성취에 대한 직접 및 간접효과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는 향후 청소년 진로발달에 대한 중재적 노력을 위한 시사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hypothesized and investigated that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al career support as a social environmental variable and academic achiev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Furthermore, this study intended to investigated that there would be the gender difference in the structural model explaining these three variables, perceived parental career support,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total of 536 high school students was included for the data analysis, and the data was composed of 288 of female and 248 of male. The result showed that first,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mediated perceived parental career support and academic achievement. Second, there was the gender difference in the structural model on the relationships among three variables. In other words, where as perfect mediation effect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for female students were shown between perceived parental career support and academic achievement, there was the only direct influence of perceived parental career support 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f male students, and no direct effect of academic achievement and indirect effect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n academic achievement. Finally, the future implications for interventive efforts of career development of adolescents were suggested at the end of the paper.

      • 회계투명성측정과 회계투명성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최수미(Choi Sumi) 충남대학교 회계연구소 2005 회계논집 Vol.6 No.2

        본 연구에서는 회계투명성 측정지표를 개발하여 유용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기업의 회계투명성을 다양한 재무비율을 바탕으로 측정하고 이러한 회계투명성 점수가 기업가치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검증하였다. 회계 투명성 점수를 구성하는 재무비율로는 발생액비율, 매출액순이익률,현금흐름비율, 부채비율, 매출채권변화, 매출총이익변화, 자산의 질이다. 회계투명성 점수는 구성 재무비율들 각각에 대해 전년도 자료와 비교하여 개선되면 1, 그렇지 않으면 0인 결과와 산업평균과 비교하여 투명성이 높은 경우 1, 투명성이 낮은 경우 0인 결과를 합산하여 총점을 계산하는데 모든 항목에서 기준점수보다 회계투명성이 높은 경우 14점이 된다. 국내 상장기업의 회계 투명성 점수를 1995년부터 2002년까지 측정한 결과 1998년부터 회계 투명성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회계투명성 점수가 기업가치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검증결과 회계투명성 점수가 높을수록 기업가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회계투명성이 기업가치를 향상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발달장애 자녀 어머니의 모성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최수미(Sumi Choi),김성길(Seonggil Kim) 한국성인교육학회 2021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24 No.4

        이 연구는 자문화기술지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모성 이데올로기 규범 안에서 발달장애자녀를 양육하면서 경험하게 되는 어머니의 개별적 모성 경험에 대하여 성찰해 나가는 과정을 담아냈다. 연구결과는 첫째, 발달장애어머니로서 나는 자녀의 질병과 장애를 자신의 탓으로 돌리며 죄책감을 느낀다. 어머니는 자녀의 질병으로 인하여 원인 제공의 비난을 받기도 하고 이상적인 좋은 어머니 역할 사이에서 갈등한다. 둘째, 개선되기 어려운 자녀의 장애로 인하여 어머니 역할을 잘 해내지 못한다 는 비난은 더욱 강화된다. 장애극복 신화는 어머니 역할을 잘 해내지 못한다는 죄책감을 가중시키며, 끝없는 돌봄과 함께 비난은 지속된다. 셋째, 이상적인 어머니 역할을 내려놓고 완벽할 수 없는 자신을 성찰한다. 자녀와 심리적 분리를 통해 어머니 자신의 자아를 실현하고 자녀와 함께 행복해질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한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발달장애어머니의 독특한 모성 경험에 대한 인식 재고(再考)와 실질적인 양육지원 대책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tried to contain the process of reflecting on the individual maternal experiences going through while rais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ithin the norms of maternal ideology using the self-cultural descriptive research method.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First, a mother of a child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eels guilty for her child s illness and disability while blaming herself. A mother is often criticized for giving the cause to her child s illness, and struggles with the idealized role of a good mother. Second, the accusation of the lack of mother s roles is further strengthened due to the child s disability that is difficult to improve. The myth of overcoming disability aggravates the guilt of the lack of mother s roles, and the criticism continues along with endless care. Lastly, a mother reflects on herself, who cannot be perfect, letting go of the role of the ideal mother. The mother seeks ways to realize the self and become happy with their children through psychological separation from her children. It is supposed to be possibl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raise awareness about the unique maternal experience of moth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o emphasize the need to provide practical childcare support.

      • KCI등재

        일반교사가 지각하는 교육사각지대 학습자 특성의 구성개념 탐색

        최수미(Sumi Choi),유인화(Inwha Yoo),김동일(Dongil Kim),박애실(Aeshil Park) 한국교육심리학회 2018 敎育心理硏究 Vol.32 No.3

        본 연구는 학교 현장의 일반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육사각지대에서 다양한 학습 및 교육적 지원이 필요한 학습자를 보다 종합적으로 설명하고 선별해낼 수 있도록 교육사각지대 학습자들을 설명하는 보편적인 다차원적 구성개념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대구, 충청지역에서 담임교사 경험이 있는 현재 교직에 재직 중인 교사 156명을 대상으로 주관식으로 구성된 반구조화된 개방형 면접질문지를 활용하여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현장의 일반교사들의 교육사각지대 학습자의 특징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얻기 위해서 수정된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육사각지대 학습자 특성에 관한 구성개념이 학습 및 인지적 차원, 정서행동적 차원, 환경적 차원, 관계적 차원, 일상생활적 차원의 총 5개 영역과 16개 범주로 구성된 다차원적 구성요소로 이루어져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5개 영역 중 낮은 학습 및 인지적 차원의 응답비율이 가장 높았고 일상생활적 차원의 응답률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 나아가, 학습 및 인지적 차원에 이어 정서 행동적 차원이 두 번째로 응답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16개 하위 요인들 중 대인관계 소통 및 기술부족과 가족 구조 및 기능이 영역 내 응답비율 및 전체 응답비율이 가장 높은 범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constructs of the characteristics of at-risk learners with diverse educational needs in the blind spots of educa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m comprehensively and detect them early in schools. Participants were 156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who filled out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consisting of open questions about their implicit knowledge of the characteristics of at-risk learners in the blind spots of education.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using a modified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ive domains and 16 categories were derived as the main constructs of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in the blind spots of education. Second, the most listed of the five domains was the “domain of low learning and cognition,” whereas the least listed domain was the “everyday life domain.” Finally, deficiencies of interpersonal skills and interactive communications and categories related to family structure and functions frequently appeared among the 16 categories.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and potentials for follow-up studies were further discussed.

      • KCI등재

        교육사각지대학습자 선별을 위한 교사용 평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최수미(Sumi Choi),김동일(Dongil Kim),이준원(Junwon Lee),신지연(Jiyoun Shin),유인화(Inhwa Yoo),조아영(Ahyoung Cho) 한국교육심리학회 2019 敎育心理硏究 Vol.33 No.2

        본 연구는 학교 현장의 일반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육사각지대에서 다양한 학습 및 교육적 지원이 필요한 학습자를 조기에 발견하고 선별해낼 수 있는 다차원적인 진단도구를 개발을 위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사각지대 학습자 선별을 위한 교사용 평정 도구의 구인화 모형 설정 후 예비문항 추출과 내용 및 안면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추출된 문항의 타당도 검사를 위한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1차 예비검사의 타당화 과정을 거쳐 완성된 교육사각지대 학습자 선별을 위한 교사용 평정 예비 도구는 학습 및 인지영역(5요인, 25문항), 정서 및 행동영역(4요인, 17문항), 환경적 영역(3요인, 14문항), 관계적 영역(2요인, 6문항), 일상생활영역(2요인, 8문항)으로 5개 구성영역을 포함하였고, 총 7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1차 예비 검사의 타당화 검증을 위한 본 조사는 총 978부의 자료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본 검사의 신뢰도는 구성 영역별 Cronbach’s a 계수 .845 ~ .924로 나타났고 전체 신뢰도 계수는 .953으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검사의 타당도 검증을 위한 확인적 요인분석결과 교육사각지대 학습자 선별을 위한 교사용 평정 도구의 구조모형의 적합도가 타당하였고, 공인타당도 역시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 및 본 연구의 의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ultidimensional diagnostic scale for early detection and screening of learners who need various learning and educational support in the blind spot. To do this, we set up an assessment model for a teachers’ evaluation scale for at-risk learners in the blind spot, extracted preliminary items, verified their contents and facial validity, and then conducted a survey for the validity of the extracted items. We finally administered the questionnaire to teachers to run a validity test on the extracted items. We finally administered the questionnaire to teachers to run a validity test on the extracted items. The preliminary scales for the assessment of the teachers who completed the validation of the first preliminary test were the learning and cognitive domain (5 factors, 25 items), the emotion and behavior domain (4 factors, 17 items), the environmental domain (3 factors, 14 items), the relation domain (2 factors, 6 items), the daily life domain (2 factors, 8 items), and the total of 70 items. A total of 978 responses were used for the validation of the first preliminary test. The reliability of this test was Cronbach’s a coefficient of 845 ~ .924 for each constituent area, and the overall reliability coefficient was .953.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r verifying the validity of this test, the fit of the structural model of the at-risk learner in blind spot of education for teacher’s scale was valid that validity was also validated.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study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대학생의 자기대상경험과 자기애 간의 관계

        최서현(Seohyun Choi),최수미(Sumi Choi) 한국교육심리학회 2017 敎育心理硏究 Vol.31 No.2

        자기애가 개인의 병리적인 특성으로 보고되었던 과거와는 달리, 최근 자기애 연구들은 자기애가 개인의 성격적인 특성이며 자기애 안의 적응적인 면과 부적응적인 면이 공존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기심리학에서 설명하고 있는 자기애 형성에 중요한 자기대상경험이 공감지각과 수치심을 매개로 하여 어떻게 적응적인 건강한 자기애 혹은 부적응적인 방어적 자기애가 나타나는지의 과정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경상지역의 565명의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을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SPSS 18.0과 AMOS 20.0을 활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자기대상경험과 건강한 자기애간의 관계는 공감지각이 부분 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대학생의 건강한 자기애를 위해서는 자기 존재를 인식하는데 중요한 자기대상의 존재와 공감적인 환경 그리고 스스로 그 환경을 지지적으로 지각하는 것이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대학생의 자기대상경험과 방어적 자기애 간의 관계는 수치심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족한 자기대상경험은 수치심이 내면화됨으로써 자신의 존재 자체에 대한 부적절감이 결국 대학생의 부적응적인 방어적 자기애를 형성하게 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empathy perception and sham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selfobject experience and narcissism(healthy narcissism and defensive narcissism) based on Kohut’s self psychology. The total of 565 university students was included for the data analysis, and the data were composed of 226 of male and 339 of female. For data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employed and all analyses were completed by using SPSS 18.0 and AMOS 20.0.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ings; First, the mediating effect of empathy perception between selfobject experience and healthy narcissism was analyzed. As a result, effect of selfobject experience and healthy narcissism was partially mediated by empathy perception.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shame between selfobject experience and defensive narcissism was analyzed. As a result, effect of selfobject experience and defensive narcissism was perfectly mediated by shame. These results showed that university students basically need to have selfobject experiences much for narcissism. Furthermore it shows empathy perception is an important construct for the healthy narcissism and shame is much for the defensive narcissism. Based on that, implication and potential for follow-up study were further discussed.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교육사각지대학습자의 잠재유형별 학교적응력과 성격강점 탐색

        유인화(Inwha Yoo),최수미(Sumi Choi),김창현(Changhyeon Gim),장예원(Yewon Jang),안소현(Sohyun An) 한국교육심리학회 2021 敎育心理硏究 Vol.35 No.4

        본 연구는 교육사각지대학습자의 잠재계층 특성과 그에 따른 학교적응행동, 성격강점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사각지대학습자 선별을 위한 교사용 평정척도, 학교적응행동 평정척도, 유아성격강점척도를 사용하여 전국 초등학교 교사 대상 설문조사 실시 후 463부를 회수하였다. 조사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교육사각지대학습자의 특성에 대한 잠재계층 분류를 진행하고 그에 따른 학교적응행동과 성격강점의 차이를 밝혔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 교육사각지대학습자의 잠재계층은 ‘학습 영역 상위 집단’, ‘정서 및 행동 영역 상위 집단’, ‘전반적 하위 집단’의 3개 집단으로 구분되었으며, 학교적응행동에서 ‘학습 영역 상위 집단’과 ‘정서 및 행동 영역상위 집단’이 모든 하위 요인 별로 ‘전반적 하위 집단’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다. 성격강점에서는 ‘학습 영역 상위 집단’의 경우 성격강점의 하위 요인 중 리더십_학구열, 리더십_통찰, 지성_호기심, 지성_창의성에서 높은 수준을 보였고 ‘정서 및 행동 영역 상위 집단’의 경우 리더십_진실성, 리더십_용서, 지성_개방성, 지성_자기조절, 대인관계_활력, 대인관계_협동심, 대인관계_사랑, 대인관계_친절, 대인관계_사회지능에서 높은 수준을 보였다. 끝으로 ‘전반적 하위 집단’의 경우 리더십_지도력, 낙관성_유머에서 ‘정서 및 행동 영역 상위 집단’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사각지대학습자의 특성이 반영된 지원의 방향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며,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In this study, we confirmed the characteristics of latent groups of at-risk learners in educational blind spots and identified disparities in School Adjustment and Character Strengths across latent groups. Accordingly, 463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fter a survey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cale for at-risk learners in the blind spots of education, school adjustment rating scale, and early childhood character strength scal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latent class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al blind spot learners was divided into three groups: “ Higher in Learning Area Group” “Higher in Emotional and Behavioral Areas Group,” and “Overall High-Risk Group.” In school adjustment, the “Higher in Learning Area Group” and the “Higher in Emotional and Behavioral Areas Group” outperformed the “Overall High-Risk Group” for all sub-factors. In terms of character strength, the “Higher in Learning Area Group” showed high levels of leadership_love of learning, leadership_perspective, intellectual_curiosity, and intellectual_creativity. The “Higher in Emotional and Behavioral Areas Group” demonstrated high levels of leadership_integrity, leadership_forgiveness, intellectual_open-mindedness, intellectual_self-regulation, inter-personal_vitality, inter-personal_teamwork, inter-personal_love, inter-personal_kindness, and inter-personal_social intelligence. Finally, the “Overall High-Risk Group” had a higher level of leadership_leadership and optimistic_humor than that of the “Higher in Emotional and Behavioral Areas Group.”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this study presented fundamental data for the direction of support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in the educational blind spot and discusse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 KCI등재

        교육사각지대학습자 선별을 위한 교사평정척도 측정동등성 및 잠재평균분석: 단위학교 별 비교

        유인화(Inhwa Yoo),최수미(Sumi Choi),김동일(Dongil Kim),선우미현(Mihyun Sunwoo),조아영(Ahyoung Cho) 한국교육심리학회 2020 敎育心理硏究 Vol.34 No.1

        본 연구에서는 교육사각지대학습자를 학교 현장에서 선별하기 위해 ‘교육사각지대 학습자 선별을 위한 교사평정척도’를 사용했을 때, 척도를 구성하는 요인들을 교사들이 단위 학교별로 동등하게 인식하고 있는지, 만약 차이가 있다면 어떠한 영역에서 차이가 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교사 1,103명을 대상으로 재직 중에 지도하였던 교육사각지대학습자를 떠올린 후 그들의 특성에 대하여 평가하도록 하고 단위학교별로 분리하여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초등 453명, 중등 238명, 고등 287명의 교사가 평가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네 개의 차원 중 관계적 차원을 제외하고 모두 측정동등성이 지지되었고, 측정동등성이 위배된 관계적영역은 정렬법을 이용하여 부분측정동등성을 확보한 후 잠재평균을 비교하였다. 초등학교 교사들은 교육사각지대학습자의 특성으로 학습과 인지적인 면을 높게 인식한 반면 고등학교 급에서는 정서․행동적 차원을 높게 인식하여 학습에 있어 어려움을 겪지만 학습자의 단위학교 급에 따라 나타나는 특성이 다르게 인식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정렬법을 통해 관계적 영역의 요인평균을 비교한 결과 차별문항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여 학습자의 발달적 특징을 반영하여 단위학교 급 별 관계적 영역의 문항의 재조정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끝으로 본 연구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발달적 특징을 반영하여 선별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척도의 활용과 연구에 있어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we confirmed that the Teacher’s Scale used for At-Risk Learners In Blind Spots of Education showed an equivalent factor structure according to school levels. This scale is a multidimensional diagnostic scale for early detection and screening of learners who need various learning and educational support. We checked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latent means for at-risk learners in blind spots of education as per the Teacher’s Scale across school levels. The participants were 1,103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who work all over the country, based on data from Statistics Korea. Teachers were encouraged to think about the at-risk learners in blind spots of education they taught in class and were asked to evaluate learner clinical characteristics. Overall, 978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analysis of measurement invariance and latent mean differences(453 elementary, 238 middle, and 287 high school teacher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easurement invariance was supported in all 3 domains except for the relational domain. Therefore, latent means of the learning and cognitive domain, the emotion and behavior domain, and the daily life and environmental domain could be compared, while, latent means of the relational domain were compared using the alignment method. Second, we confirmed that the characteristics that are difficult to learn are perceiv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learner’s development. Third, the latent means of the relational domain were compared with factor means through the alignment method, resulting in different modes of functioning being identified. This implies that the learner has the ability to differentiate between the relational domain of the unit school level and the need for re-adjustment of the questions for adolescent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