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교육사각지대학습자의 잠재유형별 학교적응력과 성격강점 탐색

        유인화(Inwha Yoo),최수미(Sumi Choi),김창현(Changhyeon Gim),장예원(Yewon Jang),안소현(Sohyun An) 한국교육심리학회 2021 敎育心理硏究 Vol.35 No.4

        본 연구는 교육사각지대학습자의 잠재계층 특성과 그에 따른 학교적응행동, 성격강점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사각지대학습자 선별을 위한 교사용 평정척도, 학교적응행동 평정척도, 유아성격강점척도를 사용하여 전국 초등학교 교사 대상 설문조사 실시 후 463부를 회수하였다. 조사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교육사각지대학습자의 특성에 대한 잠재계층 분류를 진행하고 그에 따른 학교적응행동과 성격강점의 차이를 밝혔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 교육사각지대학습자의 잠재계층은 ‘학습 영역 상위 집단’, ‘정서 및 행동 영역 상위 집단’, ‘전반적 하위 집단’의 3개 집단으로 구분되었으며, 학교적응행동에서 ‘학습 영역 상위 집단’과 ‘정서 및 행동 영역상위 집단’이 모든 하위 요인 별로 ‘전반적 하위 집단’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다. 성격강점에서는 ‘학습 영역 상위 집단’의 경우 성격강점의 하위 요인 중 리더십_학구열, 리더십_통찰, 지성_호기심, 지성_창의성에서 높은 수준을 보였고 ‘정서 및 행동 영역 상위 집단’의 경우 리더십_진실성, 리더십_용서, 지성_개방성, 지성_자기조절, 대인관계_활력, 대인관계_협동심, 대인관계_사랑, 대인관계_친절, 대인관계_사회지능에서 높은 수준을 보였다. 끝으로 ‘전반적 하위 집단’의 경우 리더십_지도력, 낙관성_유머에서 ‘정서 및 행동 영역 상위 집단’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사각지대학습자의 특성이 반영된 지원의 방향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며,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In this study, we confirmed the characteristics of latent groups of at-risk learners in educational blind spots and identified disparities in School Adjustment and Character Strengths across latent groups. Accordingly, 463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fter a survey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cale for at-risk learners in the blind spots of education, school adjustment rating scale, and early childhood character strength scal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latent class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al blind spot learners was divided into three groups: “ Higher in Learning Area Group” “Higher in Emotional and Behavioral Areas Group,” and “Overall High-Risk Group.” In school adjustment, the “Higher in Learning Area Group” and the “Higher in Emotional and Behavioral Areas Group” outperformed the “Overall High-Risk Group” for all sub-factors. In terms of character strength, the “Higher in Learning Area Group” showed high levels of leadership_love of learning, leadership_perspective, intellectual_curiosity, and intellectual_creativity. The “Higher in Emotional and Behavioral Areas Group” demonstrated high levels of leadership_integrity, leadership_forgiveness, intellectual_open-mindedness, intellectual_self-regulation, inter-personal_vitality, inter-personal_teamwork, inter-personal_love, inter-personal_kindness, and inter-personal_social intelligence. Finally, the “Overall High-Risk Group” had a higher level of leadership_leadership and optimistic_humor than that of the “Higher in Emotional and Behavioral Areas Group.”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this study presented fundamental data for the direction of support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in the educational blind spot and discusse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 KCI등재

        일반교사가 지각하는 교육사각지대 학습자 특성의 구성개념 탐색

        최수미(Sumi Choi),유인화(Inwha Yoo),김동일(Dongil Kim),박애실(Aeshil Park) 한국교육심리학회 2018 敎育心理硏究 Vol.32 No.3

        본 연구는 학교 현장의 일반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육사각지대에서 다양한 학습 및 교육적 지원이 필요한 학습자를 보다 종합적으로 설명하고 선별해낼 수 있도록 교육사각지대 학습자들을 설명하는 보편적인 다차원적 구성개념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대구, 충청지역에서 담임교사 경험이 있는 현재 교직에 재직 중인 교사 156명을 대상으로 주관식으로 구성된 반구조화된 개방형 면접질문지를 활용하여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현장의 일반교사들의 교육사각지대 학습자의 특징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얻기 위해서 수정된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육사각지대 학습자 특성에 관한 구성개념이 학습 및 인지적 차원, 정서행동적 차원, 환경적 차원, 관계적 차원, 일상생활적 차원의 총 5개 영역과 16개 범주로 구성된 다차원적 구성요소로 이루어져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5개 영역 중 낮은 학습 및 인지적 차원의 응답비율이 가장 높았고 일상생활적 차원의 응답률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 나아가, 학습 및 인지적 차원에 이어 정서 행동적 차원이 두 번째로 응답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16개 하위 요인들 중 대인관계 소통 및 기술부족과 가족 구조 및 기능이 영역 내 응답비율 및 전체 응답비율이 가장 높은 범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constructs of the characteristics of at-risk learners with diverse educational needs in the blind spots of educa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m comprehensively and detect them early in schools. Participants were 156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who filled out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consisting of open questions about their implicit knowledge of the characteristics of at-risk learners in the blind spots of education.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using a modified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ive domains and 16 categories were derived as the main constructs of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in the blind spots of education. Second, the most listed of the five domains was the “domain of low learning and cognition,” whereas the least listed domain was the “everyday life domain.” Finally, deficiencies of interpersonal skills and interactive communications and categories related to family structure and functions frequently appeared among the 16 categories.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and potentials for follow-up studies were further discussed.

      • KCI등재

        교육사각지대 학습자 선별을 위한 단위학교 별 교사용 평정척도 개발 및 타당화

        선우미현(Mihyun Sunwoo),유인화(Inwha Yoo),조아영(Ahyoung Cho),이유라(Youla Lee),최수미(Sumi Choi) 한국학습장애학회 2020 학습장애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초⋅중⋅고등학교 교육사각지대 학습자의 다각적인 지원을 위해 현직 교사들의 경험과 인식을 바탕으로 단위학교 별 교사용 평정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또한 개발된 도구를 통하여 학습자들의 측정학적 특성 및 요구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구인화 모형 설정 후 예비 문항을 추출 한 뒤 추출된 문항들에 대한 내용 및 안면타당도 검증을 하였고, 최종 선별된 문항들에 대하여 전국의 초⋅중⋅고등학교 현직 교사를 대상으로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온⋅오프라인을 통해 총 1,103명의 현장 교사에게 배포하였고 총 982부를 회수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공인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의 평정척도는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에 있어 적합한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척도가 현장에서 학습자를 선별할 때에 활용 가능한 척도라는 것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velop Teacher’s Scale for each unit school based on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incumbent teachers in order to provide multilateral support for at-Risk Learner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t also sought to identify the measurabl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at-Risk Learners in the blind spot by extracting preliminary items, verified their contents and facial validity, and then conducted a survey for the validity of the extracted items.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a total of 1,103 field teachers via online, offline and a total of 982 copies were retrieved. The factor analysis and concurrent validity were performed after the data collection. In result, the evaluation scale in this study showed a suitable result in the reliability and feasibility verification. Finally, the meaning,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