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사각지대학습자 선별을 위한 교사평정척도 측정동등성 및 잠재평균분석: 단위학교 별 비교

        유인화(Inhwa Yoo),최수미(Sumi Choi),김동일(Dongil Kim),선우미현(Mihyun Sunwoo),조아영(Ahyoung Cho) 한국교육심리학회 2020 敎育心理硏究 Vol.34 No.1

        본 연구에서는 교육사각지대학습자를 학교 현장에서 선별하기 위해 ‘교육사각지대 학습자 선별을 위한 교사평정척도’를 사용했을 때, 척도를 구성하는 요인들을 교사들이 단위 학교별로 동등하게 인식하고 있는지, 만약 차이가 있다면 어떠한 영역에서 차이가 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교사 1,103명을 대상으로 재직 중에 지도하였던 교육사각지대학습자를 떠올린 후 그들의 특성에 대하여 평가하도록 하고 단위학교별로 분리하여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초등 453명, 중등 238명, 고등 287명의 교사가 평가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네 개의 차원 중 관계적 차원을 제외하고 모두 측정동등성이 지지되었고, 측정동등성이 위배된 관계적영역은 정렬법을 이용하여 부분측정동등성을 확보한 후 잠재평균을 비교하였다. 초등학교 교사들은 교육사각지대학습자의 특성으로 학습과 인지적인 면을 높게 인식한 반면 고등학교 급에서는 정서․행동적 차원을 높게 인식하여 학습에 있어 어려움을 겪지만 학습자의 단위학교 급에 따라 나타나는 특성이 다르게 인식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정렬법을 통해 관계적 영역의 요인평균을 비교한 결과 차별문항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여 학습자의 발달적 특징을 반영하여 단위학교 급 별 관계적 영역의 문항의 재조정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끝으로 본 연구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발달적 특징을 반영하여 선별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척도의 활용과 연구에 있어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we confirmed that the Teacher’s Scale used for At-Risk Learners In Blind Spots of Education showed an equivalent factor structure according to school levels. This scale is a multidimensional diagnostic scale for early detection and screening of learners who need various learning and educational support. We checked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latent means for at-risk learners in blind spots of education as per the Teacher’s Scale across school levels. The participants were 1,103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who work all over the country, based on data from Statistics Korea. Teachers were encouraged to think about the at-risk learners in blind spots of education they taught in class and were asked to evaluate learner clinical characteristics. Overall, 978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analysis of measurement invariance and latent mean differences(453 elementary, 238 middle, and 287 high school teacher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easurement invariance was supported in all 3 domains except for the relational domain. Therefore, latent means of the learning and cognitive domain, the emotion and behavior domain, and the daily life and environmental domain could be compared, while, latent means of the relational domain were compared using the alignment method. Second, we confirmed that the characteristics that are difficult to learn are perceiv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learner’s development. Third, the latent means of the relational domain were compared with factor means through the alignment method, resulting in different modes of functioning being identified. This implies that the learner has the ability to differentiate between the relational domain of the unit school level and the need for re-adjustment of the questions for adolescent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 KCI등재

        교육사각지대학습자 선별을 위한 교사용 평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최수미(Sumi Choi),김동일(Dongil Kim),이준원(Junwon Lee),신지연(Jiyoun Shin),유인화(Inhwa Yoo),조아영(Ahyoung Cho) 한국교육심리학회 2019 敎育心理硏究 Vol.33 No.2

        본 연구는 학교 현장의 일반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육사각지대에서 다양한 학습 및 교육적 지원이 필요한 학습자를 조기에 발견하고 선별해낼 수 있는 다차원적인 진단도구를 개발을 위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사각지대 학습자 선별을 위한 교사용 평정 도구의 구인화 모형 설정 후 예비문항 추출과 내용 및 안면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추출된 문항의 타당도 검사를 위한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1차 예비검사의 타당화 과정을 거쳐 완성된 교육사각지대 학습자 선별을 위한 교사용 평정 예비 도구는 학습 및 인지영역(5요인, 25문항), 정서 및 행동영역(4요인, 17문항), 환경적 영역(3요인, 14문항), 관계적 영역(2요인, 6문항), 일상생활영역(2요인, 8문항)으로 5개 구성영역을 포함하였고, 총 7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1차 예비 검사의 타당화 검증을 위한 본 조사는 총 978부의 자료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본 검사의 신뢰도는 구성 영역별 Cronbach’s a 계수 .845 ~ .924로 나타났고 전체 신뢰도 계수는 .953으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검사의 타당도 검증을 위한 확인적 요인분석결과 교육사각지대 학습자 선별을 위한 교사용 평정 도구의 구조모형의 적합도가 타당하였고, 공인타당도 역시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 및 본 연구의 의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ultidimensional diagnostic scale for early detection and screening of learners who need various learning and educational support in the blind spot. To do this, we set up an assessment model for a teachers’ evaluation scale for at-risk learners in the blind spot, extracted preliminary items, verified their contents and facial validity, and then conducted a survey for the validity of the extracted items. We finally administered the questionnaire to teachers to run a validity test on the extracted items. We finally administered the questionnaire to teachers to run a validity test on the extracted items. The preliminary scales for the assessment of the teachers who completed the validation of the first preliminary test were the learning and cognitive domain (5 factors, 25 items), the emotion and behavior domain (4 factors, 17 items), the environmental domain (3 factors, 14 items), the relation domain (2 factors, 6 items), the daily life domain (2 factors, 8 items), and the total of 70 items. A total of 978 responses were used for the validation of the first preliminary test. The reliability of this test was Cronbach’s a coefficient of 845 ~ .924 for each constituent area, and the overall reliability coefficient was .953.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r verifying the validity of this test, the fit of the structural model of the at-risk learner in blind spot of education for teacher’s scale was valid that validity was also validated.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study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