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인기 장애인의 형제자매가 인식하는형제관계 및 그 의미

        최복천,김유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8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1 No.2

        Purpose: The present study aimed to describe the sibling relationship perceived by adult siblings growing up with a brother or sister with disabilities and to explore its meanings in their lives. Metho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elicit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10 adult siblings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transcribed texts. Results: The data analysis of siblings’ experiences yielded 3 clusters and 7 sub-clusters: (1) special but not different siblings, (2) thickening siblinghood through small things, (3) my career and sibling with disability, (4) my new family and sibling with disability, (5) supporting sibling with disability, (6) meeting with other siblings, (7) changing social attitudes. Conclusion: Implications for support services and research were discussed. A better understanding of adult siblings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seems to provide essential information to the development of support services and policies.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장애인과 함께 성장한 성인 비장애 형제자매가 인식하는 그들 사이의 형제관계를 살펴보고, 그 관계가 그들의 현재 삶과 미래계획에 어떤 의미를 부여하는지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비장애 형제자매 10명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면담을 활용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심층면담을 통해 얻은 자료들은 해석현상학적 분석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결과 3개의 주요 범주와 7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1) 특별하지만 다르지 않은 형제, (2) 소소함으로 두터워지는 형제애, (3) 나의 일과 장애형제 (4) 새로운 가족과 장애형제 (5) 장애형제에 대한 지원, (6) 다른 비장애 형제자매와의 교류 (7) 사회인식 개선. 결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성인 비장애 형제자매를 지원하기 위한 시사점이 제시되었으며, 이와 함께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본 연구를 통한 성인 비장애 형제자매의 삶과 경험에 대한 심도 깊은 이해는 앞으로 그들을 위한 지원서비스 및 정책을 수립하는데 있어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중도장애인의 차별인식이 장애수용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최복천,이은실 한국보건복지학회 2023 보건과 복지 Vol.2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discrimination and acceptance towards the acquired disabled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 esteem. We analyzed by apply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1,552 people with acquired disability who aged 20 and above who responded to the second wave of the Disability and Life Dynamics Panel. First, it showed that the higher the discrimination experience, the lower the level of disability acceptanc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discrimination experience, the lower the self esteem. Third, it was found that self esteem has partial mediating effect of discrimination experience on disability acceptance. If discrimination is highly recognized, self esteem decreases, which means that it can appear as a low level of disability acceptance. This study established a basis to support the psychological adaptation of the disabled by confirm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discrimination experience of the disabled and the disability acceptance. Based on the results, political and practical tasks for promoting disability acceptance and reducing discrimination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중도장애인의 차별인식과 장애수용의 관계를 살펴보고,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장애인삶 패널조사 2차조사에 응답한 20세 이상 성인 중도장애인 1,552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중도장애인의 차별인식이 높을수록 장애수용 수준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도장애인의 차별인식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존중감은 차별인식이 장애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별경험이 높아지면, 자아존중감이 낮아지고 이는 낮은 장애수용으로 나타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중도장애인의 차별인식과 장애수용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여 장애인의 심리적 적응을 지원하기 위한 근거를 마련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수용 증진과 차별감소를 위한 정책적, 실천적 과제를 논의하였다.

      • 발달장애인 통합적 복지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정책 방안

        최복천,변용찬,황주희,김미옥,박희찬,심석순,오다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6 No.-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는 그동안 장애인의 권리 보장과 사회 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다양한 법률과 제도들을 마련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우리 사회에는 여전히 장애인에 대한 차별이 존재하고 있다. 특히 발달장애인은 자기 의사표현의 제한으로 인하여 스스로의 권리 주장이 어려울 뿐 아니라 논리적으로 사고하거나 판단할 능력이 결여되어 있다는 부정적인 시각으로 보호의 대상으로만 간주되어 왔고, 신체장애인 중심으로 발전해 온 국내 장애인 복지제도 내에서 발달장애인에 대한 지원은 정책적인 우선 과제에서 밀려나 있었다. 이에 2014년에 제정된 「발달장애인의 권리보장 및 복지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발달장애인에 대한 포괄적인 복지 서비스 제공은 국가의 책무성이 되었으나 법의 본래 취지와 목적이 올바르게 구현되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많다. 특히 발달장애인을 위한 복지지원 체계를 마련하고자 하는 현 시점에서 단순 보호와 지원을 넘어서서 정상화이념이 정책적으로 어떻게 구현될 수 있는지, 그리고 기존의 제도와 서비스들이 발달장애인의 실질적인 삶의 질 향상에 적절하게 부응하고 있는지에 대한 면밀한 진단과 논의를 확대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인기 발달장애인의 일상적인 삶의 주요 영역이라고 할 수 있는 직업, 평생교육, 건강 의료, 주거, 가족 등의 주요 정책적 영역을 상정하고 이와 관련된 국내 현황, 지원 욕구, 해외 사례 등을 다각적으로 검토하여 향후 구현되어야 할 정책 방향과 내용들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2. 주요 연구 결과 가. 직업 지원 장애인의 직업재활 서비스와 관련하여 여러 부처에서 각 사업들을 실시하고 있으나 직업재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이 부족한 상황에서 서비스의 대상과 내용이 중복되고 비효율적인 서비스 제공 체계 등 직업재활시설에 한계가 있으며,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직업관련 정책이 부재하다. 발달장애인 생활 실태 및 욕구 조사에서 발달장애인의 직업과 관련하여 발달장애인의 자립생활과 사회 통합을 중심으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장애의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일자리가 개발되어야 한다고 조사되었다. 나. 평생교육 지원 평생교육과 관련하여 법적 내용이 마련되어 있으나 이를 뒷받침하는 후속 방안이나 예산이 마련되지 못하고 전담 부처가 명확하게 정해지지 않아 책임지고 실시하는 기관이 없는 상황이다. 또한 발달장애인의 평생교육을 위한 세부 영역이나 프로그램에 대한 발달장애인의 요구 또한 일부에 제한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다. 평생교육과 관련한 조사에서는 현재까지 평생교육을 이용해 본 경험이 있는 발달장애인은 대부분 장애?觀뮐側喚?특수학교 부설 평생교육기관을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생활의 역량을 강화시키는 프로그램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평생교육을 진행하는 인력으로는 발달장애인의 특성을 잘 이해할 수 있는 특수교사나 사회복지사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 건강 지원 발달장애인의 경우 의사소통의 어려움 등으로 일반 의료기관 이용이 어려운 실정이나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국내의 건강 증진 프로그램은 미흡하고, 비만율이 높고 운동에 대한 접근이 어려운 발달장애인을 위한 프로그램이나 적절한 지원 체계가 미흡한 실정이다. 발달장애인의 건강과 관련한 실태조사에서는 여전히 의사소통의 어려움으로 인해 병원을 찾지 못하는 발달장애인이 있으며 건강과 관련한 제도 중에서는 정기적인 건강검진 지원을 가장 희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라. 주거 지원 발달장애인의 주거 지원은 자립과 탈시설화를 목표로 실행되지만 정책이 명확하지 않고, 거주 시설 외에는 발달장애인들이 이용할 수 있는 주거 형태가 매우 빈약한 상태이다. 또한 발달장애인의 정확한 주거 실태파악을 위한 자료가 부족하여 심층적인 분석을 위한 조사가 요구된다. 발달장애인 생활 실태 및 욕구 조사에서 주거 지원과 관련해서는 발달장애인의 자립생활을 위해 분리된 공동체 주택을 가장 선호하며, 주거 지원시 장애인 당사자의 안전과 행복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 가족 지원 발달장애인의 돌봄과 관련하여 장애 특성을 고려하여 단순한 돌봄 제공이 아닌 돌봄 및 활동 지원 서비스의 다양화가 요구된다. 많은 발달장애인의 부모들은 발달장애인의 장래 문제에 대한 불안과 부담감이 가중되고 있지만 평생계획과 관련한 지원은 미미하고 국내 복지관 등을 중심으로 아동 및 청소년의 비장애 형제자매에 대한 지원 프로그램도 산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가족 지원과 관련한 조사에서는 평일보다는 주말에 발달장애인을 돌보는 시간이 많았으며, 발달장애인의 미래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래 계획을 수립해야 하지만 지역 지원이 부족하고 관련 정보를 습득하는 데 한계가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 결과 확인되었다. 3. 결론 및 시사점 본 연구에서는 발달장애인 복지 지원 체계 마련을 위해 직업, 평생교육, 건강, 주거, 가족 지원 등의 정책적 영역을 상정하고 이에 대한 지원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각 영역별로 추진되어야 할 주요 정책적 과제들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이러한 발달장애인에 대한 지원 정책을 강구하기 위해서는 발달장애인의 다양한 욕구에 부합될 수 있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대다수의 발달장애인은 성인기 이후에도 가족 구성원에 의한 지속적인 돌봄과 보호를 필요로 하므로 가족 전체적인 관점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생애사적 국면에서 주요한 전환 단계에서 단절 없는 지원이 이루어져야 하며, 다양한 영역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들이 상호 연계되어 제공되어야 한다. 그리고 발달장애인에 대한 특화된 서비스의 제공과 더불어 지역사회의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는 방안이 동시에 강구되어야 한다. In Korea, there has been various laws and systems to enhance rights and social participation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However,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re constantly discriminated by the society. In particula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ve experienced disadvantages in social welfare policy.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suggest policy directions develop support systems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ithin the essential life areas, such as employment, life-long education, health, housing, and family. This study consists of four main parts. First, literature related to employment, life-long education, health, housing, and family were reviewed. In addition, various Korean laws and systems, as well as several advanced countries` systems were examined. Second, a survey was administered on present conditions and service needs; and the collected data was statistically analyzed. The data was utilized as a source of preliminary information to develop political suggestions. Thir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parents, professional re- searchers, and agency staffs. They generated a wide range of perspectives and needs based on their own experiences. The qualitative data provided valuable information to develop practical implications enhancing welfare system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Finally, political suggestions were discussed to support employment, life-long education, health, housing, and family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n conclusion, it is the society`s obligations to provide integrated and specialized services within welfare programs in order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to be included in the society.

      • KCI등재

        중증 뇌병변장애인 가족의 긴급돌봄시설 요구와 지원에 관한 연구

        최복천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22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5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중증 뇌병변장애인가족이 경험하는 긴급돌봄의 현황 및 지원욕구를 심층적으로 파악하고, 이에 대한 지원방안을 탐색하는데 주요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양적연구와 질적연구를 통합하는 혼합연구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양적연구는 서울에 거주하는 중증 뇌병변장애 가족 총 290명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고, 질적연구는 중증 뇌병변장애 부모 및 현장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초점집단인터뷰를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첫째, 중증 뇌병변장애인 가족은 보호자의 입원 등과 같은 긴급한 상황에서 돌봄 공백을 경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공적 지원이 미흡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증 뇌병변장애인의 특성을 고려한 전문적인 긴급돌봄시설 및 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긴급돌봄시설은 중증 뇌병변장애인의 특별한 욕구를 반영하여 전문적인 돌봄서비스와 건강관리 및 의료적 지원이 통합적으로 제공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넷째, 참여자들은 긴급돌봄지원이 돌봄 위기 대처 및 일시적 휴식지원을 통한 가정기반의 삶을 지속하는데 목적이 있으므로, 돌봄시설 운영에 있어 불필요한 시설화가 이루어지지 않을 것을 강조하였다. 결론: 이와 같은 결과에 바탕을 두고, 중증 뇌병변장애인을 위한 긴급돌봄 지원방안과 주요 실천적 과제를 제시하였다.

      • 장애아동 의료 및 재활치료서비스 지원체계에 대한 비판적 고찰

        최복천 한국장애아동인권학회 2013 장애아동인권연구 Vol.4 No.1

        본 논문은 장애아동의 발달적 측면에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조기발견 및 조기개입, 재활치료,의료지원 관련 현황 및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정책적 방안을 모색하는 것에 주요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 검토, 관련 법령 및 정책에 대한 주요 현황을 고찰하였고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아동의 조기발견과 조기 개입은 장애예방 및 이후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최소화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함에도 불구하고 관련사업의 홍보 부족, 선별 및 진단도구의 미비 등으로 활성화되고 있지 못하다. 따라서 장애아동의 조기발견과 조기개입을 위해서는 정기적인 영유아건강검진 사업의 확장, 조기발견과 조기개입의 중요성에 대한 부모교육 활성화, 적절한 진단도구의 개발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장애아동의 재활치료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일관되지 못한 법적, 제도적 지침은 재활치료의 제공을 제한시키고 있다. 따라서 재활치료에 대한 명확한 개념을 규정할 필요가 있으며, 이와 함께 재활치료의 지원 기준 및 방법의 재고찰, 전문 인력의 자격기준 강화 등을 통해 장애아동에게 양질의 재활치료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장애아동은 장애뿐 아니라 다양한 건강상의 문제를 지니고 있는 경우가 많아 의료적 지원이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부담이 가족에게로 전가되고 있다. 이에 의료비 지원강화 및 의료보장의 확대가 요구되며, 특히 구강보건과 관련한 지원체계가 절실히 필요하다.

      • KCI등재

        장애아동 부모가 인식하는 활동지원서비스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질적 연구

        최복천,김유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6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9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personal assistance service perceived by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o explore their needs for service improvement. Method: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ree focus groups of 12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Results: Three themes were emerged: (1) Blind spot of the service, (2) Dissatisfaction with personal assistants, (3) Specialized service to children. Conclusion: Practic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to improve the service in order to address the need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parents. 연구목적: 본 연구는 활동지원서비스를 이용하는 장애아동 부모가 경험한 서비스의 문제점이나 한계점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그들의 개선욕구를 심층적으로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장애아동 부모 12명으로 구성된 3개의 초점집단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담을 활용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면담을 통해 얻은 자료들은 해석현상학적분석 방법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주요 주제가 도출되었다: (1) 서비스 제공의 사각지대, (2) 서비스 제공 인력에 대한 불만, (3) 아동에게 특화된 서비스에 대한 욕구.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아동과 부모에게 적절한 활동지원서비스 제공을 위해 필요한 정책적, 실천적 방안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 KCI등재

        시각장애인의 재난 인식 및 지원 욕구에 관한 연구

        최복천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2022 Crisisonomy Vol.18 No.12

        This study aimed to explore in depth the perceptions and special needs of blind people regarding disaster response through their lived experiences.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using in-depth interviews with four groups of social workers or organization practitioners, who were visually impaired and had disaster-related experiences. The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matic analysis, through which the following five main themes were derived: (1) disaster perception and meaning from the perspective of blind people; (2) characteristics and difficulties that the blind face in disaster response; (3) the necessity of and considerations in developing a disaster response manual; (4) the expansion of disaster response education and training; and (5) social support needs such as accessible disaster informat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practical suggestions for establishing a disaster response system for the blind a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esent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providing essential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support services and policies for the blind.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 당사자의 경험을 통하여 그들이 인지하는 재난의 의미와 재난 대응 관련 어려움과 욕구를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시각장애인이면서 재난 관련 경험을 직·간접적으로 가지고 있는 사회복지사 및 관련 단체 실무자로 구성된 3개 그룹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활용한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집단면담을 통해 얻은 자료들은 주제분석방법을 통해 분석되었으며,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5가지 주요 주제가 도출되었다: (1) 시각장애인의 관점에서 바라본 재난 인식 및 의미, (2) 재난 대응 관련 시각장애인의 특성과 어려움, (3) 시각장애인을 위한 재난 대응 매뉴얼 개발 필요성및 고려 사항, (4) 시각장애인의 특성을 반영한 재난대응 교육 및 훈련 확대, (5) 재난 정보 접근성 등을포함한 사회적 지원 욕구.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각장애인의 특성과 욕구에 조응하는 현실적인 재난대응체계 마련을 위한 실천적 시사점이 논의되었으며,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이 함께 제시하였다. 본연구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재난관리 및 지원 정책 수립에 있어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여성장애인이 겪는 임신·출산·양육 어려움에 대한 질적 연구

        최복천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1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4 No.4

        This paper describes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s of disabled women,especially focusing on the difficulties and social barriers they encounter during pregnancy and in childbirth. It also investigates various problems associated with mothering and motherhood. Six focus groups were held for disabled women according to type of disability and developmental stage of their children. The participant were 23 mothers with disabilities. Based upon the result of qualitative data analysis, this paper suggests that disabled women should be encouraged to access specialized information and counselling, disability-friendly health care services and integrative social support system in order to mitigate the difficulties they experience. It also recommends various social, educational services should be implemented and expanded to meet the needs of disabled mothers. 본 연구는 여성장애인의 모성경험과 임신, 출산, 양육 과정에서 경험하게 되는 어려움과 문제점을 심층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실효성 있는 지원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참여자의 장애유형과 자녀의 연령을 고려하여 구성된 6개 집단을 대상으로 집단면담을 활용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총 23명의 여성장애인이 참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생애사적 특성을 고려하여 4가지 측면(임신·출산경험, 영유아, 아동기, 청소년기 양육경험)에서 분석되었으며, 각 단계에서 여성장애인이 경험하는 어려움의 구체적인 내용과 의미를 살펴보았다. 질적 분석된 결과를 중심으로 전문적인 정보 및 상담지원체계, 장애여성 친화적인 의료 환경 조성, 자녀의 성장발달 단계에 조응하는 다양한 양육지원방안, 전문사례관리시스템 구축 등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