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운에 의한 성과와 경영자 보상

        황주희,유하경,진석호 한국회계학회 2025 회계학연구 Vol.50 No.3

        본 연구는 경영자가 통제할 수 없는 운에 의한 요소가 경영자 보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다. 일반적으로 경영자의 보상은 경영성과에 연동되어 있는데, 기업의 경영성과는 경영자의 역량뿐만 아니라 시장 환경의 변동과 같은 통제 불가능한 요소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이에 본 연구는 기업의 성과를 운에 의한 요소와 경영자의 능력 요소로 구분하고, 두 성과 요소와 경영자 보상의 변동금 액 사이의 관련성을 분석한다. 경영자의 개별보수가 공시되기 시작한 2013년 이후부터 2022년까지 최고경영자의 보상액 변동과 기업 성과와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운에 의한 성과 요소와 경영자 보상은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즉, 경영자의 능력이 포함된 통제 가능한 성과 요소뿐만 아니라 시장 및 산업 환경의 영향으로 변동된 성과에서도 경영자 보상은 양(+)의 방향으로 변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 성과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뿐만 아니라, 부정적 영향을 미칠 때에도 대칭적으로 경영자 보상은 증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러한 현상은 소유경영자보다 전문경영자인 경우 더욱 뚜렷한 관련성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운에 의한 요소와 경영자 보상 수준 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합리적인 경영자 보상 체계 마련에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uncontrollable luck factors on executive compensation. Executive compensation is closely tied to firm performance, which is influenced not only by managerial ability but also by uncontrollable luck factors such as market fluctuations and industry trends. To capture the effects of luck and skill factors more precisely, this study separates firm performance into luck-based and skill-based components and analyzes their respective relationships with changes in executive compensation. Using data on CEO compensation disclosures from 2013 to 2022 for publicly listed firms, we fin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attributed to luck and executive compensation. In other words, executive pay increases not only due to skill factors like managerial ability but also in response to firm performance i mprovements driven by external market and industry influences. Furthermore, this relationship holds symmetrically, meaning that compensation decreases when luck factors negatively affect firm performance, rather than being asymmetrically protected against downturns. This effect is especially pronounced for professional CEOs compared to owner CEOs, suggesting differences in governance structures and monitoring. Various robustness checks, including alternative performance specifications and empirical approaches, confirm the validity and consistency of the results. These findings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designing transparent and fair executive compensation systems, ensuring that pay structures align with both performance and corporate governance objectives.

      • KCI등재

        장애인의 정보 활용 격차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황주희 한국정보화진흥원 2019 정보화정책 Vol.26 No.3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between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utilize the Internet and those who do not. The study also found out through an interaction term analysis if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ir life satisfaction and digital utilization by gender, age, education level, employment status, household income, as well as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disability type and degree. While the existing studies have been mainly focused on the digital divide between the non-disabled and the disabled, this study attempts to further apply the advanced concept of digital divide - digital utilization divide - within the group of people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shows that the digital utilization by people with disabilities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ir quality of life, and that life satisfaction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use the Internet is affected by their education level, residence, and disability degree. Consequently, these findings indicate implications that suggest an expanded form of digital divide polic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rough broadening perspectives on policies for closing such divide. 본 연구는 인터넷을 활용하는 장애인과 그렇지 않은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알아보고, 장애인의 정보 활용 유무와 같은 격차에 있어 성별, 연령과 같은 개인별 특성이 삶의 만족도에 차이를 나타나는지를 교차항(interaction term)분석을 통해서 추가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는 기존에 주로 연구되었던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디지털 격차 및 정보 활용 형태의 차이를 알아보는 것에서 더 나아가 장애인 그룹 내에서의 정보 활용 격차라고 하는 발전된 형태의 디지털격차의 개념을 적용해 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결과, 장애인의 정보 활용 여부는 이들의 삶의 질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터넷을 사용·활용하는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는 이들의 교육수준, 사는 지역, 장애 정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현재 진행 중인 장애인 대상 디지털 격차해소 정책에 대한 시각을 넓혀 보다 확장된 형태의 디지털 격차해소 정책의 방향을 제시하는 정책적 함의를 포함하고 있다.

      • 장애인의 일상생활 지원 현황 및 정책과제

        황주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 보건복지포럼 Vol.226 No.-

        장애인의 일상생활 지원 현황을 살펴보면, 32.2%가 일상생활 수행에 있어 타인의 도움을 조금이라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된 돌봄제공자는 배우자 37.7%, 부모 20.1%, 자녀 16.7%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애인의 41%가 다른 사람에 의한 도움정도가 충분하지 않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장애인의 기능 정도는 「장애인활동지원제도」 수급대상자 선정을 위하여 사용되고 있으며, 이 같은 인정조사 항목은 (1) 일상생활수행능력(ADL), (2) 수단적 일상생활수행능력(IADL), 그리고 (3) 장애 특정항목인 (a) 장애특성 항목과 (b) 사회환경 고려 항목으로 구성된다. 본고에서는 현 활동지원제도 도입 초기에 논의되었던 활동지원제도의 방향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현재 장애인의 일상생활 지원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장애인활동지원제도」 인정조사의 주요 항목별 기능 정도를 살펴보아 현행 제도의 발전을 위한 몇 가지 함의를 도출하였다.

      • 중증장애인의 일상생활 (24시간) 현황 및 과제

        황주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보건복지포럼 Vol.217 No.-

        중증장애인의 자립생활 지원과 가족수발자의 부양부담 경감을 목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는 2007년 시범사업을 시작으로 2011년 「장애인활동지원법」의 개정으로 이어져 장애인의 삶의 질 확대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제도시행 이후 현행 활동지원서비스 이용자 및 미이용 중증장애인에 대한 객관적 분석을 통한 제도의 발전방안은 고민되지 않은 실정이어서, 중증장애인의 일상생활(24시간) 행태 및 욕구파악을 통한 현행 활동지원제도의 발전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 KCI등재

        전기오류의 수정: M메디 사례를 중심으로

        황주희,최선화,남기만 한국회계학회 2020 회계저널 Vol.29 No.2

        최근 금융감독원은 제약·바이오 산업의 개발비 회계처리에 대한 테마감리를 시행하고, 연구개발비의 자산화 시점에 대한 구체적인 감독지침을 제정하며 제약·바이오 업계의회계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금융감독원이 개발비 회계처리에 대한전기오류를 자발적으로 수정하는 회사에 대해서는 별도 조치하지 않겠다고 발표한 후, 실제로 많은 기업들이 개발비 회계처리에 대한 오류를 수정하였다. 본 사례에서는 줄기세포치료제 개발과 제대혈 보관 서비스를 주요 사업으로 하는 M메디의 사례를 바탕으로 기업이 과거 오류를 수정하여 재무제표를 재작성할 때의 회계처리와 이와 관련된 공시의 내용을 살펴본다. 구체적으로, M메디는 2017년 재무제표에 대하여 총 네 가지 버전의 재무제표를 순차적으로 공시하였는데, 이는 개발비 회계처리의 수정뿐만 아니라 투자부동산 재평가 등 여러 가지 회계정책의 변경을 추가로 반영하여 재무제표를 재작성하여 공시하였기때문이다. 본 사례는 연구개발비 관련 회계기준과 전기오류수정에 관한 회계기준과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기업이 전기오류를 수정하는 상황에서 재무제표 정보이용자에게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지 검토해 본다. 또한 전기오류의 수정이 재무제표의 유용성에 미치는영향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본다.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FSS) in Korea, after conducting inspections on the accounting treatment of research and development (R&D) expenses in pharmaceutical and biotech firms, released specific guidelines about the capitalization of R&D costs. The FSS also announced that it would not impose penalties if firms voluntarily correct errors in R&D accounting and restate their financial statements. As a result, several firms in pharmaceutical and biotech industries restated their financial statements. This case introduces a restatement of M-Medi Corp., which develops stem cell-based drugs and runs cord blood bank businesses. It released four different versions of financial statements for year 2017 as it corrected errors in R&D accounting and also changed accounting policies on lands and investment properties. This case raises a question of whether the information about correction of prior period errors is property provided to information users. This case also identifies relevant issues about accounting on R&D expenditures and the correction of prior period errors, and reviews related studies on these issues. Overall, this case provides insights into the effect of prior period error corrections on the usefulness of financial information.

      • KCI등재

        The Effect of Transient Tachypnea Newborn Care Simulation Learning on Nursing Student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and Self- confidence

        황주희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3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 Vol.1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simulation-based practice education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and self-confidence. Using the method of one-group pretest-posttest experimental research, this study selected total 70 nursing students (3rd year) as research subjects. The final research subjects were total 63 students excluding seven people with insufficient responses. From March to April 2023, total eight sessions of simulation practice education (4 hours per session) were conducted once a week. In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and self-confidence were measured. Using the SPSS Window Version 25.0,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and self-confidence were analyzed through th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paired t-test.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t=-10.61, p<.001),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t=-3.06, p=.003), and self-confidence (t=-15.97, p<.001)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orrelations of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and self-confidence after the simulation practice education, the learning satisfaction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immersion (r= .647, p<.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verified the improvement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and self-confidence of nursing students after the simulation-based practice education. Thus, it would be necessary to develop the educational contents for various subjects, and also to expansively apply the simulation practice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