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논문 : 자연휴양림 방문동기가 관광지 속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부산 /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주현식,여호근 대한관광경영학회 2000 觀光硏究 Vol.15 No.2

        To identify the type of recreational forest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sitors (especially their motivation), questionnaire surveys were carried out in 8 randomly selected areas during the period of May. 8 to May. I S of 2000. These area the provide the basic knowledge for more efficient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recreational forests. The factors involved in the motivation of the recreational forests visits were analysis and 2 factors emerged. One being escape from daily routine to look the change, the second being experience the natural environment. The attributes for tourism sites were measured using 7 selection behavio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tivation of recreation forest visit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ffected by the tourism site attributes. LISREL 8.14 was utilized for the above analysis which revealed that a structural relationship exited between the two.

      • KCI등재

        현실을 연행하기: 리얼리티 TV <정글의 법칙>의리얼리티 효과

        주현식 대중서사학회 2013 대중서사연구 Vol.- No.30

        본 논의의 목적은 리얼리티 프로그램인 <정글의 법칙>의 리얼리티 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조작 논란이 불거진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정글의 법칙>은 리얼리티 프로그램에 접근하는 데 있어 시사하는 바가 큰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겠다. 특히나 본고에서 논의하려는 리얼리티 효과는 프랑스의 기호학자 롤랑 바르트가 정의한 상세하고도 긴 묘사가 제공하는 사실주의적 동기보다는 좀 더 넓은 의미를 지칭한다. 이 글에서 다루는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리얼리티 효과란 리얼함의 환각을 구성하고 재현하는 텔레비전의 장치들이 수용자에게 발생시키는 몰입의 시청 경험이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정글의 법칙>에서 리얼한 환각을 주기 위해 어떠한 재현의 구조와 시청각적 스타일이 활용되고 있는가? 그리고 그와 연관되어 드러난 다른 사람의 실제 삶에 대해 다양한 층위에서 접근하고 있는 시청자의 보기 행위는 어떤 리얼함의 감각을 지니는가? 등의 질문들이 본 논문에서 논의하려는 핵심적 실체다. 다종다양한 리얼리즘의 스펙트럼이 존재하지만 본고는 시청자의 시공간에로의 몰입, 등장인물에로의 몰입과 관련된 환각주의의 모델을 따라 리얼함의 감각을 리얼리티 프로그램 <정글의 법칙 : 아프리카 편>에서 섬세하게 재구해 볼 것이다. <정글의 법칙> 같은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리얼함의 잣대는 현전의 아우라, 믿을만한 자율적인 독립적 리얼리티를 얼마만큼 화면 속에 창조할 수 있는가에 달렸다. 하여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리얼함의 환각주의적 모델은 관객과 배우의 관습적 약속에 의해 실제 무대 위 시공간과 인물을 드라마 속 시공간과 인물로 믿어버리는 연극적 환각과 너무나도 닮아 있다. 이 논문에서 리얼리티 텔레비전 <정글의 법칙 : 아프리카 편>의 재현적 현실을 연행되는(performing) 현실로서 전제하고 그것의 오락적, 다큐적 기능에 관한 논의를 전개한 것은 이러한 이유에서다. 결과적으로 <정글의 법칙 : 아프리카 편>의 리얼리티 효과를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본고의 논의는 리얼리티 TV 속 연행되는 현실에 관한 논의의 하나의 사례로서 리얼리티 텔레비전 연구에 기여할 것이라 본다. 더 나아가 허구적 텔레비전 드라마에 초점을 맞추어왔던 영상 문학 연구 경향에도 텔레비전 문화 연구에 대한 학문적 자극을 제공할 것이라는 점에서 본고는 의의를 가질 것이다.

      • KCI등재

        김우진 희곡에 나타난 야생의 퍼포먼스와 거주의 상상력

        주현식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1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52 No.-

        This article's aim is to study the world of Kim Woo Jin's plays from the point of ecological view, by examining how to perform the wildness in Kim Woo Jin's plays, considering how to touch ecological questions, i.e. "Where are we?" off through the influence of such as a performance. In other words, through the performing wildnes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process which non-human nature is figured, and based such a study,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way that the imagination of man's dwelling in natural environment is represented according to multiple relationships between humane zone as here and wild zone as there. As a result, using ecological wildness and dwelling as critical concepts, this article aims to identify cultural - political aspects of Kim Woo Jin's play, to discuss its ethical significance. This article has an important meaning in that it extends the earlier studies' ranges concentrating biographical criticism about Kim Woo Jin's individual career or his family history, and comparative literary criticism about Kim Woo Jin's accept of The Expressionism. By extension, this article has an another significant meaning in greening of Korean drama's canons. Consequentially, this paper has implications for studying a literary, theatrical works within the framework shifting from the authoritative position of human-centered world view to relational position of more bigger biological community's world view.

      • KCI등재

        메타버스에서의 퍼포먼스 – 2020년대 해외공연을 중심으로 –

        주현식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22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17

        This study examines the metaverse from the point of view of performance studies and, based on this, tries to look at the performance aesthetics of the metaverse by targeting overseas metaverse performances. First of all, in the first part of the main body, metaverse users, metaverse space, and time are approached from the perspective of performance research. The second part examines the performance aesthetics of overseas performances on the metaverse based on this. The British National Theater Company's Draw Me Close: A Memoir (2020), Avatar Artist LaTurbo Avedon's Your Progress Will Be Saved: Artist Tour with LaTurbo Avedon (2020), and ULTRAWORLD (2021) by Susanne Kennedy, were considered. The metaverse technology is currently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and the metaverse performance is also evolving, so this discussion has an essay on metaverse performance. The performance aesthetics in the metaverse are as follows. First, the appearance of an avatar as 'I am not me' and an actor who is a metahuman or digital twin, changes the way we do, see, and experience performance. The fragmented self of indeterminacy and duality, that is, a new aspect of an actor in which human-flesh and non-human-machine are mixed produces an experience in which the audience can confirm their alterity. Second, the avatar's virtual body interacts with the user's real body. The avatar's body-image is essentially placed in a relationship with the user's actual body. The avatar's virtual body cannot be regarded as a fully digitized, de-embodied body. Rather, it becomes an intermediary between the computer screen and the actual body of the user. The moment of interac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body of the avatar, which is traversed by my body, functions 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occurrence of transformational events through the performance in the metaverse. Third, the performance space on the metaverse implies a ‘heterotopia’ character. It produces a space that exists in reality but does not exist in reality. It is a world within the world, but it is a place without a place, and it is also a world outside the world. The space is psychedelic, ambiguous, instantaneous, personal, and context-dependent. Fourth, the performance of the metaverse calls for a time of absence rather than presence. The metaverse performance embodies the absence of a performance, not a presence. Absence is not an emptiness or lack, but an emotional resonance, an extension, and an expectation of presence. If the aesthetics of avant-garde performance in the 20th century was based on the aesthetics of presence, the aesthetics of metaverse performance in the 21st century would be based on the aesthetics of absence. It is necessary to interpret the performance aesthetic from a long-term perspective beyond the temporary interest sparked by the pandemic crisis concerning the performance on the metaverse. The discussion in this paper will have significance as a starting point. 이 연구는 연행 연구(performance studies)의 관점에서 메타버스를 검토하고, 이에 기반해 해외의 메타버스 공연 사례를 대상으로 메타버스에서의 퍼포먼스 미학을 조망해 보려 한다. 우선 본론 첫 번째 부분에서는 메타버스 이용자, 메타버스 공간 및 시간을 연행 연구의 시각으로 접근한다. 본론 두 번째 부분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메타버스 상에서 펼쳐지는 해외 공연들의 퍼포먼스 미학을 규명한다. 대상은 영국 국립극단의 Draw Me Close: A Memoir(2020), 아바타 아티스트 아베던(LaTurbo Avedon)의 Your Progress Will Be Saved: Artist Tour with LaTurbo Avedon(2020), 그리고 한국에서도 초청되었던 독일 폴크스뷔네의 연출가 케네디(Susanne Kennedy)의 ULTRAWORLD(2021)다. 메타버스 기술이 현재 발전 과정 중에 있고, 메타버스 공연 또한 진화하고 있는 중이어서 본 논의는 시론적 성격을 지닌다. 메타버스에서의 퍼포먼스 미학을 예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내가 아닌 것도 아닌 나’로서의 아바타, 더 나아가 메타휴먼 혹은 디지털 트윈인 연기자의 등장에 의해 공연이 생산되고 수용되며 경험되는 양상이 변화된다. 비결정성과 이중성의 분열된 자아, 즉 인간-살과 비인간-기계가 혼합된 새로운 양상의 연기자를 통해 관객은 자신의 타자성(alterity)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아바타의 가상적 몸이 이용자의 실제적 몸과 상호행위함에 따라 아바타의 몸-이미지는 본질적으로 이용자의 실제적 몸과의 관계성 속에 놓이게 된다. 아바타의 가상적 몸은 완벽히 디지털화된 탈체현의 몸이라고 볼 수 없다. 그보다 컴퓨터 스크린과 이용자의 실제적 몸 사이의 중재자가 된다. 이용자와 아바타의 상호행위의 순간 실제 나의 몸에 의해 횡단되는 아바타의 몸은 메타버스에서의 퍼포먼스에 의해 변형의 사건이 발발하는 데에 중요 요소로 기능한다. 셋째, 메타버스 상의 퍼포먼스 공간은 ‘헤테로토피아’적 성격을 함축하고 있다. 현실에 있지만 현실에는 없는 공간을 생산한다. 세계 안의 세계이지만, 장소 없는 장소이고, 세계 밖 세계이기도 하다. 그 공간은 환각적이고, 모호하며, 순간적이고, 개인적, 맥락의존적이다. 넷째, 메타버스의 퍼포먼스는 현존이 아닌 부재의 시간을 부른다. 메타버스 공연은 현존의 공연이 아니라 부재의 공연을 형상화한다. 부재는 공허함, 결여가 아니라 정서적 공명이고, 확장이며, 현존에 대한 기대감을 낳는다. 20세기 아방가르드 퍼포먼스의 미학이 현존의 미학에 기초하였다면 21세기 메타버스 퍼포먼스의 미학은 부재의 미학에 기반할 것이다. 메타버스에서의 공연과 관련해 팬데믹 위기로 촉발된 일시적 관심을 넘어서 장기적인 안목에서 공연미학을 해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고의 논의는 그 시발점으로서 유의미성을 가지리라 본다.

      • KCI등재

        음식 다큐멘터리 TV의 연행성-<한국인의 밥상>을 중심으로

        주현식 대중서사학회 2014 대중서사연구 Vol.20 No.3

        본 논의의 목적은 <한국인의 밥상>을 대상으로 해서 음식 다큐멘터리 TV의 형식과 그것이 제공하는 수용 경험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영상 에스노그라피적 관점에서 그것의 대중문화 실천으로서의 의의를 헤아려 보는 데 있다. 본고의 연구는 미디어화된 대중문화로서 음식 문화가 갖는 리얼리티 구성의 효과, 연행성(performativity)의 고찰을 궁극적인 목표로 한다. 다시 말해서 ‘한국적 맛’→‘한국적 맛의 미디어화’→‘한국적 맛의 미디어화를 수용하는 시청자의 리얼리티 구성 과정’이 본론에서는 고찰될 것이다. 대중적 삶의 가장 공통적인 분모로서 음식이 갖는 의의를 해명하는 일에 텔레비전 요리 프로그램들의 문화적 의미에 대한 규명은 일정 정도 기여하는 바가 있으리라 생각된다. 더불어 현재 팽창하고 있는 텔레비전 쿠킹 쇼에 대한 한 접근법을 본고는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론 첫 번째 부분에서는 푸드멘터리로서 <한국인의 밥상>의 네 가지 다큐멘터리 양식을 분석한다. 해설적, 관찰자적, 반성적, 시적 양식 등이 그것들이다. <한국인의 밥상>이 푸드멘터리로서 강조하고 있는 것은 한국적 음식과 관련한 경험주의적 리얼리즘의 투명성이라는 점을 본론 첫 번째 부분에서는 고찰한다. 푸드멘터리의 특수성을 바탕으로 본론 두 번째 부분에서는 시청자의 수용 경험이 분석된다. 푸드멘터리의 특성 상 한식과 관련된 현실 세계의 역사적, 사회적 진실에 관한 논증 학습은 시청자의 수용 행위에서도 주요한 활동이다. 그럼에도 한식 만들기 및 먹기가 환기하는 상상적 몸의 경계 해체, 재구성 과정을 통해, 다른 존재가 되기를 원하는 시청자의 주관적 반응과 상상력이 프로그램에서는 자극되고 있다. 본론 세 번째 부분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진 것은 특히 “먹고 싶은 것”으로 한국적 음식을 인지적으로 조작하며 그것을 시청자와의 상호행위의 소통적 사건으로 구성하는 데에 감정과 기억의 내밀한 부분이 중요한 유인가(incentive)로 작용한다는 사실이다. ‘낯선 것’에서 ‘먹는 것’으로 먹는 것에서 ‘먹고 싶은 것’으로 한국적 음식과 관련된 지각 경험의 범주를 새롭게 조작하는 작업에서 밥상을 차리던 한국 할머니, 어머니들의 전통적 손맛에 대한 감정적 기억의 체험이야말로 시청자가 TV 화면을 밥상으로 상상하게 되는 핵심적 동기를 제공한다. 그러나 <한국인의 밥상>에 이미지화되는 전근대적 밥상의 모습 또한 전통적 라이프스타일을 인스턴트식 상품으로 내놓는 문화경제의 사이클에서 예외일 수 없다는 점을 본 논의에서는 지적하려 한다. 한국적 음식과 관련된 실제 있는 그대로의 사람들의 감정과 기억을 시청자들이 보고 느끼고 이해한다는 것 자체가 문화적 리얼리티를 구성하는 수사학적 전략의 산물일 수 있는 까닭에서다. 미디어를 경유한 먹기, 보기, 소비, 생산의 복합적 네트워크 속에서 감정, 감각, 기억과 같은 차원에 의하여 자기 효능감을 발생시키거나 타인과의 구별 짓기를 형성하는 식으로 중층적으로 매개되고 있는 것은 주체-대상, 자아-타자의 관계에 대한 욕망 자체다. 현재 텔레비전의 공익성과 상업성이 새롭게 재편성되고, 드라마와 다큐멘터리, 예능의 경계가 혼성화되는 상황 속에서 텔레비전 쿠킹 프로그램의 대중성을 주목해야 할 까닭도 이러한 점에서 연원한다. 대중문화는 비유컨대 음식처럼 친밀한 것들에 관한, 감각적, 감정적, 기 ...

      • KCI등재

        한류가 국가 및 관광이미지, 방문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중국을 중심으로

        주현식,이기종,박송애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2007 고객만족경영연구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what factors affect Hanliu cognition, image of Korea, image of tourism by examining relationships between components of country image and tourism image of Korea. A survey was conducted with 400 foreigners staying in China, suing purposive sampling. To elicit elements constituting country image, then,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were conducted, and this procedure produced five components of country image, globalization, modernization, social stability and tourism attraction, tourism value. Structural equational model was us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five components of country image and tourism image of Korea. The results showed that globalization and modernization, tourism attraction, tourism valu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attitude and visiting intention of Korea whereas social stability were not. 본 연구에서는 한류에 대한 인식과 한국의 국가이미지, 관광이미지를 구성하는 요소를 이끌어 내고, 이러한 국가이미지, 관광이미지 구성요소가 한국에 대한 태도,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의 국가이미지와 관광이미지 형성에 결정적으로 작용하는 국가 및 관광이미지 요소가 무엇인지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중국인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한국의 국가이미지, 관광이미지를 구성하는 5개 세계화, 현대화, 사회안정성, 관광지 매력, 한국관광의 가치 구성 요소들이 한국에 대한 태도,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방정식모델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세계화, 현대화, 관광지 매력, 관광의 가치 등은 한국에 대한 태도와 방문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한국에 대한 태도는 방문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유치진의 「한강은 흐른다」에 나타난 영화적 기법 연구 - 상호매체적 연행 연구를 위한 시론

        주현식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3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60 No.-

        As Yu ChiJin's last play, The Han River runs was written in 1958, after he took a view of the American theater, a Broadway musical, and Hollywood at the invitation of the Rockefeller Foundation in 1956. He said this work was composed not so much by a classic dramatugry that emphasized the unites of place, time, action as cinematic theater dramaturgy that narrativized dramatic scenes. Therefore, although The Han River runs was not a film script, we can not only appreciate it as a play. If this text used fade-in, fade-out and lighting for the stage to appear like a cinematic audiovisual screen, we must take note of its cinematic nature. As a result, in order to reasonably understand this issue related with the modified forms, it is important to notice that different perspectives are required above dramatic reading. This paper begins a discussion from this premise. The theater is tridimensional art, but the cinema is two dimensional art. In other words, sensuously present physicality of actors is a theatrical character, but camera-projected images of screen is a cinematic character. The theater stage processes its time-space as static, fixed, continual one because of actor's body, but the cinematic screen treats its time-space as dynamic, fluid, and discontinual one because of camera's operation. The theater can occasionally create the ecastic state of community because actors' bodies and audiences' bodies are co-present, but the cinema can produce solely a lonely individual because audiences look exclusively images that cinema director disjoins, connects, and edits under his specific intentions. If we think these differences between the theater and the cinema, the cinematic techniques of The Han River are valuable materials in studying Yu ChiJin's world of art works or modern theater history. So, this paper's aim is to examine how The Han River's textuality produce the illusion of an cinematic image, what it suggests, when reminding or imitating the cinematic structure and form. 1958년에 창작된 유치진의 실질적인 마지막 희곡, 「한강은 흐른다」는 1956년록펠러 재단의 초청을 받아 미국 연극계와 브로드웨이 뮤직컬, 할리우드 영화계를시찰하고 난 후 집필되었다. 종래의 구심적인 삼일치식 고전극 형태의 작법을 지양하고 각 장면을 풀어 헤친 원심적 구성의 키노드라마로서 이 작품을 창작하였다고유치진은 술회하고 있다. 때문에 실제 시나리오는 아닐지라도 희곡 작품으로만 간주될 수만은 없는 해석적 잉여가 이 작품에는 남아 있다고 생각된다. 조명과 음악,F.I와 F.O 등의 장치를 활용해서라도 연극무대를 영화 이미지처럼 보이게 하고 마치영화처럼 작동하게 하려 한 그의 극작술의 의도는 충분히 주목할 만한 것이지 않을까? 변형된 형식에 내재된 문제의식을 온당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희곡적 독법이외의 논의가 아울러 요청되어야 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본고는 시작한다. 연극은 3차원의 예술이며, 영화는 2차원의 예술이다. 즉 연극의 주요 속성은 감각적으로 현전하는 배우의 신체성에서 찾을 수 있으며, 영화의 주요 속성은 카메라가 투사하는 현실 이미지의 평면적 스크린에서 찾을 수 있다. 연극적 무대는 배우가 자리한 시공간을 정적으로, 고정적, 연속적으로 다루게 된다. 반면 영화적 스크린은 카메라의 편집에 따라 그 같은 신체적 제약에서 벗어나서 시공간을 역동적, 유동적, 불연속적으로 다루게 된다. 연극 공간에서는 배우의 몸과 관객의 몸이공현전하므로 배우와 관객의 대면에 따라 공동체적 황홀경의 순간이 곧잘 만들어지기도 한다. 그러나 영화 스크린을 목도하는 어둠 속 객석의 관객은 영화감독의의도 하에 편집되고, 조합된 장면 이미지를 추수해야만 하는 고독한 개인으로 종종 비유되곤 한다. 두 예술 사이의 이러한 차이점을 고려했을 때 근대 사실주의희곡의 개척자인 유치진이 그의 최종 희곡 텍스트에서 영화적 기법을 도입하려한것은 유치진 연구나 희곡사 연구에서 주목해야 할 변별적 대목이라 말할 수 있겠다. 하여 “원심법적 수법”의 사용이라는 유치진의 언급이 지적하듯이 영화적 구조나 형태를 환기하거나 모방함으로써, 「한강은 흐른다」의 텍스트적 구성이 영화적 실천에 대한 환각을 어떻게 낳고 있으며, 그것이 시사하는 바가 또한 무엇인가같은 상호매체적 연행(intermedial performance)과 관련된 문제를 본고는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