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Oleanolic Acid Promotes Neuronal Differentiation and Histone Deacetylase 5 Phosphorylation in Rat Hippocampal Neurons

        조혜령,왕성은,김용석,이창호,손현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2017 Molecules and cells Vol.40 No.7

        Oleanolic acid (OA) has neurotrophic effects on neurons, although its use as a neurological drug requires further research.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OA and OA derivatives on the neuronal differentiation of rat hippocampal neural progenitor cells. In addition, we investigated whether the class II histone deacetylase (HDAC) 5 mediates the gene expression induced by OA. We found that OA and OA derivatives induced the formation of neurite spines and the expression of synapse-related molecules. OA and OA derivatives stimulated HDAC5 phosphorylation, and concurrently the nuclear export of HDCA5 and the expression of HDAC5 target genes, indicating that OA and OA derivatives induce neural differentiation and synapse formation via a pathway that involves HDAC5 phosphorylation.

      • KCI등재

        Mono o ‐nitrobenzyl dihydrofluorescein as a photoactivatable ROS sensor for oxidative stress in live cells

        조혜령,김서진,Zheng Yingyu,석현,남상언,문승원,강철훈,김태우 대한화학회 2023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ol.44 No.12

        The confocal interpretation of organelle‐selective fluorogenic chemosensors can be ambiguous because of inconsistency between the sensor localization and reaction site. To overcome this limitation, we implemented the photoactivation strategy which refers to light‐controlled probe activation within cells at the desired time. In this study, we synthesized a photoactivatable dihydrofluorescein probe ( 1 ) and its cell‐permeable derivative ( 3 , acetoxymethyl ester of 1 ). We confirmed their reactivity to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photoactivation in both solution and cells. The photoactivation of probe 3 facilitated temporal control between probe treatment and the occurrence of fluorogenic events. We conducted organelle colocalization studies and cellular ROS imaging, clearly showing that the probe primarily localized to early/late endosomes and reacted with intracellular ROS at these endosome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effectiveness of the photoactivation strategy for fluorogenic ROS probes in mitigating ambiguities associated with conventional fluorogenic ROS sensing approaches. The confocal interpretation of organelle-selective fluorogenic chemosensors can be ambiguous because of inconsistency between the sensor localization and reaction site. To overcome this limitation, we implemented the photoactivation strategy which refers to light-controlled probe activation within cells at the desired time. In this study, we synthesized a photoactivatable dihydrofluorescein probe (1) and its cell-permeable derivative (3, acetoxymethyl ester of 1). We confirmed their reactivity to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photoactivation in both solution and cells. The photoactivation of probe 3 facilitated temporal control between probe treatment and the occurrence of fluorogenic events. We conducted organelle colocalization studies and cellular ROS imaging, clearly showing that the probe primarily localized to early/late endosomes and reacted with intracellular ROS at these endosome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effectiveness of the photoactivation strategy for fluorogenic ROS probes in mitigating ambiguities associated with conventional fluorogenic ROS sensing approaches.

      • 고등학교 사회과교과서 경제영역에 나타난 성역할의 변화

        조혜령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이화교육논총 Vol.1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investigate how much fixed idea of gender role related division of labor between male and female or gender-bias is included or improved in the textbook of economic area in the social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to check the relation between level of socioeconomic development and transition of gender role during the period and to search desirable method for improvement. For this objective, first, I analyzed the contents of social study text books related economic area from the 2nd curriculum to the 7th curriculum. Second, I investigated the relation between the gender role indicated in the textbook of each period and the socioeconomic change. The gender role in the textbook, especially the phenomenon of division of labor by gender, was analysed. The result of analysis were: First, the rate of male and female shown in the textbook was 3:7, which was lower than 4:6, the rate of male and female discovered by analyzing all textbooks of high school in the 6th curriculum. This conclusion shows that female is implicitly excluded especially from economic area among diverse areas. Second, it turned out that the two-part structure still exists in the economic activity, namely, male as manufacturer and female as consumer. Third, the fixed idea on traditional gender role in the occupation of cast is still demonstrated. Namely, high ranking position is occupied by male and low ranking position is occupied by female. In the 34 chapters related economic area of high school textbooks from the 2nd to 7th curriculum, only 4 chapters explicitly refer to transition of position or role of female, It seems that this result intentionally excludes the problem exposed in connection with economic activity of female. Meanwhile, checking the socioeconomic changes and gender role from 1960 to the end of 1980, the period of the 5th curriculum, it turned out that the rate of female cast in the textbook that may indicate regular part of balance between genders has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income level and increment of female's rate of participating in the economic activity. This suggests that the labor force of female was socially needed in the high growth period initiated by government in 1960s and 1970s as well as the female cast increased notably in the textbook as such tendency was reflected in the textbook. Namely, it was emphasized that low wage and monotonous labor needed to be maintained for the then economic development. As a result, compared to the 6th and 7th curriculum, the rate of female working as simple laborer or assistant in the 3-5th curriculum was much higher, intensively concentrating on low-ranking job of service and production. In the 6th and 7th curriculum after 1990s, the income level and female's rate of participating in the economic activity constantly increased, buy the rate of female cast was still in the level of 30% since 1980s. However, contents of textbook related to sexual inequality was improved in this period. It seems that the increment of female's legislative and administrative job and decrement of female's simple labor service may suggest the reflection of equivalent viewpoint for both sexes. 본 논문은 사회과 교육 중에서도 특히 경제활동 영역에 있어서의 교과서 내용이 남녀의 역할분담에 따른 성역할 고정관념 혹은 성별 편중성이 얼마나 담겨있고 개선되고 있는지에 대해 양성평등적 시각에서 비판적으로 고찰해보고 그 기간의 사회경제적 발전수준과 성역할 변화 사이에 어떤 관계가 있는가를 알아보고 바람직한 개선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첫째, 제2차 교육과정 시기부터 제7차 교육과정까지의 사회과 교과서 내용 중 경제영역 단원을 분석하고, 둘째, 각 시기별로 교과서에 나타난 성역할이 사회경제적 변화와 어떤 관련이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현대사회에서 성역할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여성의 사회 참여에 대한 욕구도 높아지고 있을 뿐 아니라, 사회에서도 여성의 사회 참여를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산업화과정에서 여성의 노동시장 진출이 늘어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취업구조에 있어서의 기회의 차별, 임금, 승진, 직업배치에 있어서 차별대우를 받고 있는 성차별의 구조가 현저히 드러난다. 그렇다면 이렇게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의 흐름을 사회과는 얼마나 잘 반영하고 변화할 미래 사회를 대비하고 있는가? 교과서는 교육과정을 대표하며 교육내용을 전달하는 기본도구로 그 사회의 문화를 반영하고 있으며 경제,정치, 사회 상황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또한 교과서는 학교에서의 성역할 사회화에 있어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나는 성고정적인 표현방식이나 남성 중심적인 이미지는 학생들에게 전통적인 성역할 고정관념을 강화시키며, 앞으로의 진로선택이나 사회활동에 있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여성고급인력의 경제활동비율이 여타 선진 국가들에 비해 상당히 떨어지는 우리나라의 현실을 감안할 때 사회과 교과서에 담겨있는 성편향성 내용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제까지 여성들의 경제교육은 소비자로서 여성을 규정한 바에 의하여 실시되었다 그러나 여기에 여성의 존재방식을 제한시키는 문제가 표출되며 여성은 더 이상 소비자의 위치에만 놓여있지 않다. 경제와 사회생활에서 획일적인 생산자와 소비자의 구분은 퇴색되어 가고 있다. 여성은 소비자인 동시에 생산자로 해석되며, 특히 생산자인 여성으로서의 역할을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이러한 맥락에서 교과서에 나타난 성역할,특히 성별 분업 현상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등장인물의 성별분포와 비중 변에서 살펴보았을 때 교과서에 등장한 남녀의 비율은 3:7정도의 수준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6차 교육과정 시기 고등학교 전체 교과서를 분석하여 나타난 남녀 등장인물 비율인 4:6에 못 미치는 수치로서 이는 다른 영역보다 특히 경제영역에서 여성을 암암리에 배제시키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경제활동에 있어서 남성은 생산자,여성은 소비자의 이분법적 구조가 여전히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등장인물의 직업에 있어서 전통적인 성역할에 대한 고정관념을 드러내고 있었다. 즉 고위직은 남성, 여성은 하위직이라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었다. 끝으로 고등학교 경제영역의 단원에서 여성의 지위나 역할 변화와 관련하여 명시적으로 언급한 단원은 2차부터 7차까지의 경제영역을 다룬 단원 총34개 단원 중에서 4개 단원뿐이었다. 이것은 여성의 경제활동과 관련하여 드러나는 문제를 의도적으로 배제하고 있다고 보여진다. 이상의 교과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 즉 현재의 사회과 교육의 경제교육을 통하여 성별 분업 현상을 정당화하는 교육과정이 제공된다고 할 수 있다. 사회과 교과서 내용을 통해 경제영역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완화 ·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성별 불평등 현상을 유지하는데 기여하는 역할을 하는 면이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의식적으로 양성평등적 시각에서 성간 균형을 맞추기 위한 노력이 교과서 제작과정에서 절실히 요구된다고 하겠다. 한편 사회경제적 변화와 성역할을 살펴보면 1960년부터 1980년대 후반 제5차 교육과정 시기에 이르기까지를 보면 소득수준과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의 증가와 비례하여 성간 균형성을 일정부분 나타낼 수 있는 교과서의 여성 등장인물 비율도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이것은 1960·70년대 정부주도의 고도 성장기를 거치며 여성의 노동력이 사회적으로 필요하였고, 이에 대한 교과서의 반영으로 여성 등장인물 비율의 큰 증가로 나타났다고 생각된다. 즉, 당시 경제발전을 위해 저임금과 단순 노동의 유지를 강조하였고, 그 결과 3-5차 교육과정기 여성은 단순 노동자, 보조자로 나타나는 비율이 6,7차와 비교했을 때 훨씬 많은 수치를 보이고 있으며, 지위가 낮은 서비스직, 생산직 등에 집중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의 제6,7차 교육과정 시기에 이르면 소득수준과 여성의 경제활동참여율은 계속 해서 증가하고 있지만 여성 등장인물의 비율은 1980년대 이후에 나타난 30% 수준의 비율을 유지하고 있을 뿐이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이 시기에 성 불평등과 관련하여 교과서 내용의 개선이 전혀 없었던 것은 아니다. 남녀 직종 분포에 있어 여성의 입법 관리직 수가 증가했고 단순노무직의 숫자가 감소하였다는 것은 양성평등적 시각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사회과 교과서의 내용 중 특히 경제영역의 부분은 다른 영역에 비해서도 성간 불균형이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교과서 내용을 구성함에 있어서 특히 삽화나 자료사진의 부분에서는 성간 균형을 의식적으로 고려하여 선정할 필요가 있겠다. 또한 명시적으로 사회경제적으로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를 독려하고 이를 위한 사회적 뒷받침이 있어야 한다는 여성의 역할과 지위의 변화에 대한 내용이 경제영역과 관련지어 교과내용에 선정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국내 신용카드디자인요소가 신용카드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전업주부 30, 40대를 중심으로 -

        조혜령,김승인 한국융합학회 2017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8 No.11

        신용카드 소지자들은 카드결제수단용을 넘어 본인을 나타내는 심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30, 40대 전업주부가 신용카드를 발급할 때 어떤 디자인 요소가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신용카드를 사용하는 고객 중 연구 대상자를 서울과 수도권에 거주하는 30, 40대 주부 총 200명을 선정하여 국내 신용카드가 가지고 있는 디자인요소가 신용카드 선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카드사 자료와 참고문헌, 선행연구를 토대로 설 문지를 작성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신용카드 디자인 요소 중 색상은 무채색 계열과 메인 이미지는 이미지나, 로고를 강조하지 않고 컬러로만 사용한 단순한 디자인을 가장 선호했고 다음으로 캐릭터형을 선호한 것 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카드 장식은 없는 것을 선호하며, 금속 느낌의 카드 재질을 가장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카드사에서 30, 40대 주부를 대상으로 하는 디자인 개발 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Credit card holders are showing a higher level of psychology to show their identity beyond the means of pay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ich design factors affect the 30th and 40th generation housewives when issuing credit cards. A total of 200 people in the 30s and 40s housewives who live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were selected from among the customers who use the credit card, and the effect of the design factors of the domestic credit card on the selection of the credit card, Based on previous studies, questionnaires were prepared and surveyed. As a result of the survey, it was found that the color design of the credit card design element was the achromatic system and the main image was the simple design which only used the color without emphasizing the image or the logo, and then the character type was preferred. I prefer not to have a card decoration, and I have found that a metal-like card material is the most preferred. Through this, I would like to suggest directions for the design development for 30 and 40 housewives in credit card companies.

      • KCI등재

        장류 미생물을 이용한 식용곤충 발효 조미페이스트 제조 및 품질특성

        조혜령,주형,정장호 한국식품과학회 2018 한국식품과학회지 Vol.50 No.3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easoning paste fermented by Aspergillus oryzae and Bacillus subtilis using three edible insects: Tenebrio molitor larvae, Gryllus bimaculatus, and Bombyx mori pupa. No significant changes in pH and titratable acidity were observed between the insect pastes and soybean control during a 5-week fermentation process. The amino nitrogen was 0.35-0.50% (w/w) in the early stage of the fermentation and increased to 0.72-0.78%. The total nitrogen was 2.36-3.62% (w/w) in the early stage and was preserved during the fermentation period. Free amino acids of the insect pastes were similar to those in soybean paste. In general, the fermented insect pastes showed a lower flavor and color than soybean paste but B. mori pupa-fermented paste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ference from soybean. Glutamate, aspartate, lysine, phenylalanine, arginine, and serine were found to affect taste preference. It was possible to ferment edible insect protein to produce a fermented seasoning paste like Korean doenjang.

      • KCI우수등재

        영국 정원문화의 대중화 전개 양상에 대한 연구 - 19세기 왕립원예협회(RHS)의 활동을 중심으로 -

        조혜령,성종상,Cho, Hye-Ryeong,Sung, Jong-Sang 한국조경학회 2016 韓國造景學會誌 Vol.44 No.3

        영국은 정원의 역사와 문화가 대표되는 국가로서, 크고 작은 비영리 단체 및 자선단체들이 활동을 하고 있다. 이 중 RHS는 영국의 정원문화 및 산업의 저변확대에 큰 영향을 준 핵심단체이다. 본 연구에서는 RHS의 등장 배경과 전개 과정을 통해 전문 자선단체로서의 정원문화 대중화에 기여한 전개 양상과 그 가치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19세기 빅토리안 시대의 식물 수집에 대한 열정은 협회 창립의 배경이 되었으며, 영국의 시민정원문화와 관련이 깊다. 19세기 RHS의 전개양상과 정원문화 대중화에 대한 연구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19세기 식물사냥꾼들의 해외 파견을 통한 이국적 식물의 전문적인 도입은 수집과 표본작업, 기록 등을 통해 전문적인 식물연구를 지원하는 단체로 발전되었으며, 이는 영국 내 원예기술의 발달, 묘목업의 성장 등의 결과로서 정원문화가 대중화되기 위한 기반 틀을 마련하였다. 둘째, 원예 및 가드닝의 전문서적의 출간은 로우든의 협회 가입 시점으로부터 실천적인 정보와 내용들이 편집됨으로써 대중적(특히, 여성과 중산계층) 독자 폭을 넓힐 수 있었다. 그리하여 생산 활동에 소외되어 있던 여성들의 가정적 원예활동은 새로운 정원 양식을 만들어 내기 시작했다. 셋째, 식물수집 전시를 통해 회원들과 소통하고자 했던 협회의 활동이 여러 형태의 축제로 변형되어 이어져 오다 지금의 첼시플라워쇼를 탄생시켰다. 첼시플라워쇼는 현재까지 세계 정원문화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영국 정원문화의 아이콘이다. 넷째, 이러한 RHS의 활동의 과정과 19세기 영국의 근대성은 독특한 영국만의 대중적 정원양식을 이끌어 냈으며, 이는 매우 실천적인 정원술을 요하는 영국 중산층 가정 정원의 형태로서 대중적이면서도 영국적인 성격을 갖는다. 이러한 RHS의 역사와 활동들은 결국 정원의 나라로서의 국가적 위상과도 연결되며, 우리에게 시민 중심의 정원문화 정착을 위해 지향해야할 가치 및 실천방안의 단서를 제시해 준다. RHS is a core organization with huge influences on the expansion of the base for the garden culture and industry.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professional charity's role through the appearance background and developmental process of RHS. The passion for plant collection in the Victorian Age of the $19^{th}$ century became the background of establishing the society. Such background of the times and the root of the society are deeply related to the British civil garden culture. The consideration of the forming process of RHS and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below. First, the professional introduction of exotic plants by plant hunters was developed into an organization supporting professional plant research through collection, sampling, and records, which led to the development of horticulture techniques, growth of plant nursery businesses and established the foundation of the civil garden culture in the UK. Second, after John Loudon was involved in RHS, inspired by the press editing more practical information contents, middle-class and women became new patrons to gardening. Therefore, the care of gardens became a source of agreeable domestic recreation, especially to the female sex. Third, $19^{th}$ century plant collection and exhibition was seen in the Chelsea Flower Show which a key role beyond the UK garden culture. Fourth, those acts of RHS and modernity in $19^{th}$ developed British middle-class domestic gardens which have the character of the ordinary and national garden style in the UK. Such history and activities of RHS are connected to the national status as a country of gardens, which suggests clues to practical measures and values we should aim for in order to settle citizen-centered garden culture.

      • KCI우수등재

        코티지 가든에 표상된 영국성

        조혜령,Cho, Hye-Ryeong 한국조경학회 2017 韓國造景學會誌 Vol.45 No.1

        오늘날 대중들이 만드는 일반적인 화단의 형태나 식물 가꾸기 및 가드닝 활동은 영국의 코티지 가든(Cottage Garden)의 원형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코티지 가든은 근대 영국에서 발생된 대중적 정원양식으로 민속성(Ethnic sense), 토착성(Vernacular)을 비롯하여 특유의 영국성(Englishness)을 함축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난 200여 년 간의 영국의 근대적 움직임을 살펴보고 이러한 과정 속에 출현한 코티지 가든의 발생 배경과 그 특징 고찰하여 코티지 가든이 내포하고 있는 영국성을 읽어 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며,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자유와 풍경을 사랑하는 영국인의 자연관은 애국주의 핵심요소로 작동하여 전원적 잉글랜드의 보존과 연결된다. 이러한 시골에 대한 영국인들의 이상(Ideal)은 다양한 문학 및 예술적 산물로부터 영국인의 전원성을 발견할 수 있으며, 식물수집과 공급의 활성화와 함께 새로운 정원의 형태인 코티지 가든을 발생케 했다. 둘째, 초기 코티지 가든의 형태는 도시화에 따른 중산계층의 교외 이주로 인하여 채원이 존재하는 자급농원의 형태로 이루어졌으나, 다양한 근대사회의 상황과 맞물려(공예진흥 운동, 유적보호 및 고건물복구운동) 예술성과 지역성, 토착성, 생태성을 겸비한 정원의 형태로 진화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발생된 와일드가든은 영국의 야생들판과 숲을 재현한 정원으로 현재에 이르기까지 많은 정원디자이너들에게 큰 영향을 주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영국성이 투영된 코티지 가든은 도시계획, 플라워쇼의 주제로 등장하며, 영국을 상징하는 문화로 존재한다. Gardening activities, plant raising, and general flowerbeds the public makes today can be found in the original form of cottage gardens in the United Kingdom. A cottage garden is a popular garden style of modern Britain, implying unique Englishness including ethnic sense and vernacular.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modern movement in the United Kingdom in the past 200 years and read Englishness of cottage gardens through style differentiation and background of occurrence of cottage gardens appearing in this process. Therefore,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 view of nature of the Englishman loving freedom and landscape acts as a key part of patriotism and is connected to the preservation of idyllic England. For this ideal of the Englishman of the country, idyllic British characteristics are found in various literatures and artistic fruits; cottage gardens, that is a form of new garden, were made with invigoration of supply and collection of plants. Second, an early form of cottage gardens was the domestic garden, in which there is a vegetable garden by middle-class move to a suburb according to urbanization, but evolved into a form of garden having both artistry and regionality, vernacular,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with various situations of modern society(handicraft promotion movement, preservation of remains, and ancient building restoration movement). Wild gardens occurring in this process are a type of garden realizing wild fields and forests in the United Kingdom;they have made a big impact on many garden designers up to now. Cottage gardens, reflecting a variety of Englishness, is a subject of city planning and flower shows and is a culture symbolizing the United Kingdom.

      • KCI등재

        연애 리얼리티 프로그램 로고타이틀 디자인 연구- OTT 플랫폼을 중심으로 -

        조혜령,신상윤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3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21 No.1

        Due to the development of smart devices, the consumption of content has increased without restrictions on private space due to the popularization of various devices such as tablets and smartphones. As a result, the usage of OTT platforms increased in 2022, and dating shows have established themselves as a trend. Among the relationship reality shows on the OTT platform, <Transfer relationship> also created an unusual situation in which it entered the top ranking in the entertainment show category. This study selected a popular love reality show on the OTT platform and verified the importance of aesthetic elements of logo title design and effective information delivery methods through multidimensional scale analysis. In this study, after analyzing the logo titles of nine shows, transfer dating, in-house dating, and solo hell were selected through a survey of 10 design experts, and an online survey of 100 consumers was conducted. As the dependent variables for verifying consumer preference, formability, attentional originality, readability, and symbolism were measur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logo title of the love reality show showed high consumer response to the logo title containing the show's message. In addition, consumers felt that the bold typeface was highly legible, while the high-profile logo title was less legible. As a result of examining consumer attitudes, formability, symbolism, and readability showed high preference for in-house dating, and solo hell for attention and originality. This study expects that the logo title design of the overflowing love reality show will provide guidelines for the development of logo title designs that are different from the story of the show, not in a printed and written format.

      • KCI등재

        Esthetic evaluation of maxillary single-tooth implants in the esthetic zone

        조혜령,이재관,엄흥식,장범석 대한치주과학회 2010 Journal of Periodontal & Implant Science Vol.40 No.4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influence exerted by the observer’s dental specialization and compare patients’opinion with observers’ opinion of the esthetics of maxillary single-tooth implants in the esthetic zone. Methods: Forty-one adult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a single implant in the esthetic zone, were enrolled in this study. Eight observers (2 periodontists, 2 prosthodontists, 2 orthodontists and 2 senior dental students) applied the pink esthetic score (PES)/white esthetic score (WES) to 41 implant-supported single restorations twice with an interval of 4 weeks. We used a visual analog scale (VAS) to assess the patient’s satisfaction with the treatment outcome from an esthetic point of view. Results: In the PES/WES, very good and moderate intraobserver agreements were no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ating. The mean total PES/WES was 11.19 ± 3.59. The mean PES was 5.17 ± 2.29 and mean WES was 6.02 ± 1.96. In the total PES/WES,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was not significant. However, in the W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was significant and prosthodontists were found to have assigned poorer ratings than the other groups. Periodontists gave higher ratings than prosthodontists and senior dental students. Orthodontists were clearly more critical than the other observers. The statistical analysis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atients’ esthetic perception and dentists’ perception of the anterior tooth. Howeve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otal PES/WES and the VAS score for the first premolar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The PES/WES is an objective tool in rating the esthetics of implant supported single crowns and adjacent soft tissues. Orthodontists were the most critical observers, while periodontists were more generous than other observers. The statistical analysis reveal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atients’ esthetic perception and dentists’ perception of the anterior too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