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경관생태학적 환경영향 평가기법에 관한 연구

        정홍락,이현우,유헌석,권영한,노태호,박소현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3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03/re-23 No.-

        본 연구는 환경영향평가중 동·식물상 분야의 발전방안으로서 경관생태학적 평가 기법에 대한 개념적 접근을 시도하였으며, 경관생태학적인 환경영향평가의 중요성과경관생태학적인 관점에서의 동·식물상 조사방법, 영향예측, 저감방안에 대한 일반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연구의 주요 내용은 현행 환경영향평가에서 동·식물상 항목평가의 특성과 문제점, 경관생태학의 이론적 배경과 연구동향, 경관생태학적 평가기법의 적용방안 검토, 사례지역의 경관생태학적 특성 분석, 동·식물상 항목의 경관생태학적 평가기법 제안이다. 현행 환경영향평가에서 동·식물상 항목의 평가특성과 문제점 분석에서는 현황조사의 내용이 다양한 분류군을 포함하고 생물상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 서식지에 대한 분석은 미흡한 부분이 있음을 지적하였다. 경관생태학적 평가기법의 적용방안에서는 경관생태학적 이론들 가운데서 환경영향평가에 실제로 응용될 수 있는 내용들을 도출하였다. 사례지역의 분석에서는 생명산업단지와 도로사업의 2건에 대한 현지답사와 기존의 평가서를 토대로 생물서식공간의 구분과 경관생태네트워크를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현행환경영향평가 기법과 비교하여 현재의 여건에서 동·식물상 항목에 대한 경관생태학적 평가의 개념적 접근방안을 제시하였다. 경관생태학적 평가기법에서 몇가지 중요한 사항으로서 현황조사는 먼저 사업특성이나 지역에 따라 중요 분류군을 설정하고, 생태계유형별 혹은 서식지 중심으로 생물서식공간을 구분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사례지역조사를 통하여 생물서식공간의 구분은 지형도 등의 각종 기초자료와 1차적인 현지조사 결과를 토대로 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기법은 향후 연구되어야 할 부분으로 남겨두었다. 생물서식공간의 구분과 조사자료의 비교 ·분석 결과는 조사지역내의 생태계 유형이나 서식지 별로 보전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는 중요한 정보가 될 수 있으며, 사업시행으로 인한 영향예측과 저감대책을 이러한 정보를 토대로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였다. 생태계나 서식지의 연결성 확보는 생태계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한 방안이며, 경관 생태네트워크의 구상은 입지의 적합성 판단과 함께 가장 근본적인 저감대책의 수립으로 연결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핵심적인 사항은 환경영향평가서 작성지침에 포함시킬 수 있도록 정책적인 다음과 같은 제안을 하였다. 즉, ① 지역생태계의 공간적 구조의 현황파악, ② 주요 생물서식공간을 구분하고 현황조사, 영향예측, 저감방안 수립, ③ 경관생태네트워크의 구축 등이다. 그러나 이번 연구는 경관생태학적 이론을 토대로 보다 발전적인 환경영향평가기법을 개발하기 위한 개념적 접근이며, 앞으로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분석기법이 연구되어야 할 것임을 마지막에 제안하였다. The aim of the study is to provide general guidelines for fauna and flora survey, impact evaluation and predication, and mitigation strategies in environmental impact assesment (EIA) applied by principles in landscape ecology. In order to suggest the application of methodologies in landscape ecology to present EIA system, the study has dealt with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statements in fauna and flora category in EIA documents, theoretical background and research trends in landscape ecology, examination of possible application of landscape ecological principles, and analysis of landscape ecological traits in example areas as case studies. The study indicated and analyzed that the limitation of fauna and flora category in EIA resulted from uncovering many important portions, which are supposed to be analyzed and reviewed in ecosystem level such as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system, and roles of habitats. The results presented that diverse ways in application of landscape ecological approaches using two different cases - a industrial park construction project and a road construction - in EIA reviews. Especially, both biotope classification and landscape ecological network analysis were applied for the case studies through the site visiting and study on the EIA documents. Most important aspect in applying diverse principles in landscape ecology to present EIA is how to make useful inventory to Improve analysis of fauna and flora category. To meet this criterion, first of all, major and/or interested taxa should be analyzed or examined depending upon the kinds of projects and their localities, followed by second procedure that biotope identifications according to types of ecosystems or habitats. The study suggested that the second step should be completed by preliminary field survey results and other fundamental data such a topographical map. The result of the biotope identification and the comparative analysis of survey data would determined the priority order of conservation, which could playa critical role in impact prediction and mitigation establishment In EIA. The study suggested that the security of connectivity among ecosystems or biotopes could be a major device to maintain the function of ecosystem, while the results from network analysis could be used as core information for site suitability and mitigation formulation. As final, 3 propositions as additional guidelines for preparation EIA statement were described as followings; ① Understanding of spatial structure in local ecosystems, ③ Identification of ma)or blotopes, inventory, impact prediction, and mitigation establishment, and ③ Building ecological networks. By using conceptual approaches, the study showed the possible ways for the improved EIA methods based on principles of landscape ecology. It is also recommended that development of the detail and applicable techniques is needed as future study.

      • 고리원자력발전소 주변의 식생과 식물현존량 추정

        김성종,이호준,김인택,김창호,정홍락 建國大學校基礎科學硏究所 1995 理學論集 Vol.20 No.-

        고리원자력발전소 주변의 식생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순1차생산력과 식물현존량을 추정하였다. 또한 상관에 의한 현존식생도 및 녹지자연도를 작성하였다. 종조성표에 의한 식물군락은 소나무군락, 곰솔군락, 서어나무-굴참나무군락, 아까시나무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소나무군락은 아교목층(평균식피율 35%)이 빈약하였으며, 서어나무-굴참나무군락은 비교적 안정된 계층구조를 이루고 있었다. 전체적으로 교목층에서 소나무, 곰솔, 아교목층에서 사방오리, 졸참나무, 저목층에서 졸참나무, 사스레피나무, 초본층에서 산거울, 주름조개풀 등의 피복지수가 높았다. 삼림토양의 pH는 4.30~4.85, 유기물함량은 6.04~9.40%의 범위였다. 현존식생도에 의한 분포비율은 곰솔군락(31.4%)이 가장 높았으며, 평균녹지자연도는 5.4였다. Montreal model에 의한 순1차생산력은 1555.2g/㎡/yr, 식물현존량은 단위면적당16,982,21ton/k㎡으로 추정되었다. The forest vegetation and estimation of phytomass and net primary production in the vicinity of Kori Atomic Power Plant was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phytosociological data. Depending on physiognomy, actual vegetation map and the degree of green naturality(DGN) was also drawn in the of 1:50,000. According to Z-M method, the forest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four communities, which include Pinus densiflora, Pinus thunbergii, Carpinus laxiflora-Quercus variabilis, and Robinia pseudo-acacia communities. The Pinus densiflora community was most poorly covered in tree-2 layer. The Carpinus laxiflora-Quercus variabilis community was relatively stable in the stratum structure. It was generally shown that Pinus densiflora and Pinus thunbergii in tree-1 layer, Alnus firma and Quercus serrata in tree-2 layer, Quercus serrata and Eurya japonica in shrub layer, and Carex humilis and Oplismenus undulatifolius in herb layer had high coverage index. The pHs and contents of organic matter of the forest soil collected in each sites was in the range of 4.30 to 4.85 and 6.04% to 9.40% in average in the communities. The Pinus thunbergii community showed the highest distribution rate(31.4%) in the actual vegetation map. The average DGN was approximately 5.4. Net primary production and phytomass per unit area obtained by Montreal model were estimated to be 1555.2g/㎡/yr and 16,982.21ton/k㎡, respectively.

      • 학가산 삼림식생의 식물사회학적 분류와 입지환경분석

        김창호,강혜원,정홍락,이호준 建國大學校基礎科學硏究所 1993 理學論集 Vol.18 No.-

        영남 동북부 내륙에 위치한 학가산(870m)의 삼림식생을 식물사회학적으로 조사하고, 입지요인에 따른 식물군락의 분포특성을 고찰하였다. 조사지역의 삼림식생은 신갈나무-맑은대쑥 군집으로 밝혀졌으며, 3아군집, 3변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즉, A: 뱀고사리 아군집(A-1. 굴참나무 변군집, A-2. 물푸레나무 변군집, A-3.전형 변군집), B:소나무 아군집, C:전형 아군집이다. 종합상재도표에 의한 70 %이상의 고상재도종은 신갈나무(97.5 %), 생강나무(95.0%), 둥굴레(72.5%), 털진달래(70.0%) 쇠풀푸레(70.0%), 싸리(70.0%)등이다. 식물군락의 분포특성은 입지요인에 따라 계곡 부근 및 적습한 사면의 물푸레나무림, 토양습도 및 유기물 함량이 다소 양호한 호적조건의 참나무-당단풍림, 습도와 고도가 중간적인 북사면의 참나무림, 토양조건이 건조하고 비교적 척박한 남.남서 사면의 소나무. 쇠물푸레림, 저지대의 소나무림 등의 5개 생태군으로 밝혀졌다. 종다양도, 우점도 및 종풍부도는 각각 1.047, 0.146, 10.237로 나타났다. The forest vegetation of Mt. Hakka(870m),situated in the inland part of northeastern Yeongnam district, the Korean Peninsula, was investigated phytosociologically. The ecological relationships of the vegetation units are described and discussed. Forest vegetation of the study area was indentified into Artemisio-Quercetum mongolicae KimJ.-W. 1990. And the lower units were classified by the method of Z-M school, i.e. Athyrium yokoscense subass. nov(Quercus variabilis variant, Fraxinus rhynchophylla variant, Typical variant), Pinus densiflora subass. nov.,and Typicum subass. nov..According to the synthesis table, species of the high constance degree(more than 70%) were Q. mongolica(97.5%), L. obtusiloba(95.0%), C. humilis(82.5%), P. odoratum var. pluriflorum(72.5%), R. mucronulatum var. ciliatum(70.0%), F.sieboldiana(70.0%), L. bicolor(70.0%)etc. By two dimensional analysis of temperature(elevation)and moisture(slope aspect) gradients, the forest vegetation were grouped into five ecological types: Ash forest at mesic parts near cove, oak-maple forest at the fertile sites, oak forest at submesic-middle parts of the north slope aspect, pine-ash forest at xeric-infertile soils of the south slope aspect, and pine forest distributed in lowlands. Diversity index, dominance index and species richness were shown as 1.047, 0.146, 10.239, respectively.

      • KCI등재

        Biological Assay of Mercury and Cadmium Ions Using DNA Immobilized on a Nanotube Paste Electrodes

        이수영,이장현,정홍락,박광호,박용근,석홍우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2012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29 No.2

        Bio assay of mercury and cadmium ions were searched using voltammetric analysis using DNA doped carbon nanotube paste electrodes (DCP). The square-wave stripping voltammetryic optimized results indicated working ranges of 1-10.0 ngL-1 and 20-100ugL-1,Hg(II) Cd(II) within an accumulation time of 120 seconds, in 0.1-M phosphate buffer solutions of pH 6.3. The relative standard deviations of 5 ngL-1 Hg(II) and Cd(II) that observed were 0.14 and 0.22% (n=12), respectively, using optimum conditions. The low detection limit (S/N) was pegged at 0.1 ngL-1 (4.9×10-11M) Hg(II) and 0.2 ngL-1 (1.77×10-10M) Cd(II). The developed methods can be applied to assays in biological fish kidneys and water samples.

      • 도로건설사업의 환경영향 예측과 사후모니터링의 비교ㆍ분석

        이수재,최준규,최상기,이희선,정홍락,강영현,이관규,서성철,노태호,박영민,이정호,노백호,최진석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4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04/re-17 No.-

        본 연구는 도로건설사업에 대하여 환경 영향의 예측과 공사시 실제 그 영향의 발생현황을 살펴보고 저감대책의 적절성을 살펴보기 위한 연구이다. 이 연구는 검토기관의 입장에서 환경영향평가를 바라보는 시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환경영향평가서의 법적 검토기관으로서의 기능과도로건설 사업의 환경영향평가의 개선방안을 주로 다루었다. 각 장별 요약은 다음과 같다. 제1장 서론 현재 한국환경정책ㆍ평가연구원은 환경영향평가서의 법적 검토기관이고 사업의 실질적인 내용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검토기관의 검토의견이 현실과 어느 정도부합되는지 확인해보자 연구를 시작하였다. 이 연구는 환경영향평가 협의 후 착공한 사업에 대하여 사후관리 현황, 현장방문 등을 통하여 영향예측과 실제 발생한 현상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도로사업의 환경영향평가를 개선하고자 하였다. 제2장 도로로 인한 환경 현안 도로건설사업은 여러 가지 환경영향을 유발하므로 이에 대한 일반적인 환경적 현안을 다루었다. 우리나라의 도로의 총연장은 선진국에 비해서 적고 교통수요가 많아서 도로개설의 압력이 높은 나라이므로, 그 개발압력이 계속 지속되어 도로건설로 인한 단절, 파편화(fragmentation), 대기질 악화, 소음의 증가 등의 환경적 영향이 많이 있을 것이다. 도로변의 환경질 측정 자료를 추세분석해 보면 우리나라의 대도시는 대기질 환경기준이 초과하는 곳이 많아서 환경질 개선이 시급하다. 생태적으로 우리나라는 도로로 인한 단편화가 국토면적에 비하여 너무 많이 진행되었다. 7x9 간선도로망이 완성되면 우리나라는 적어도 80개 이상 파편으로 단편화 될 것이다. 따라서 지금부터 도로로 인한 단편화에 대한 대책을 서둘러 마련할 필요가 있다. 제3장 도로건설사업의 환경영향예측과 모니터링 현황 환경영향평가 협의 후 공사가 진행된 사업장에 대하여 사업자와 승인기관의 환경영향조사보고서와 협의내용 이행 현황, 협의기관 협의내용 관리현황 그리고 현장 방문조사를 통하여 사후관리 내용을 분석하였다. 사후관리 현황조사 결과, 문서상으로는 환경상 문제점이 적은 것으로 보이나 전반적으로 개선해야 할 사항이 많았다. 즉, 환경영향의 예측시 그 개념이 새로이 적용되어야 하며, 현재의 환경영향조사는 조사지점의 선정, 조사시기, 조사방법, 조사대상 등에서 전반적으로 미흡하다. 특히 예측한 곳에 대해 사후에 측정되는 곳이 매우 적어 예측의 합리성을 파악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현재의 사후환경영향조사는 사업장에 대하여 사후적 환경 현황조사에 그치고 있으므로, 현장에서 실제 작업이 이루어질 때 발생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ㆍ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환영영향 예측과 사후관리에 대한 전반적인 개선이 시급하다. 제4장 국외의 환경영향 예측과 모니터링 고찰 국외의 환경영향평가의 예측 방법과 후속조치(follow-up)를 살펴 보았다. 미국에서는 환경영향평가의 예측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서 레오폴드 매트릭스(Leopold matrix)나 영향요소 분석법 등을 활용하고 있다. 또한 공사시에 영향 예측한 것을 사후에 확인 조치하는 미국의 모니터링(monitroing) 캐나다 후속조치(follow up)와 일본의 검증제도 등을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국외에서도 환경영향평가의 실효성을 높이려면 사후 감시나 검증 작업이 철저하게 수행되어야 함을 강조하 This researth focused on the road construction projects which were carried out under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ct(ElAA), by analyzing the prediction of the environmental impact and the on-site state of the construction stage. Korea Environment Institute(KEI), a legal review institute for the Environmental Impact Statement(EIS) in Korea, gives its review opinion to the Ministry of Environment for all the EIS. But the post-project management, which is regarded as monitoring or follow-up of EIAA in Korea, is not within the hands of the review institute. So there may be some discrepancies between review opinions and the on-site state of the road construction. Generally speaking the reviewers tend to consider the project as an ideal condition, but the real projects are quite different from the description under the EIS. This study is a trial to enhance the . quality of review opinion for the road construction projects by analyzing the on-site real construction. The study revealed that there are still large gaps on the environmental issues among the interested groups, which includes the officials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the members of Korea Road Construction Corporation, engineering designers, road construction workers, managers, auditors, the writers of EIS, and the specialists in road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etc., Therefore, there still remains many unresolved issues. South Korea peninsula proper is divided into 80 fragments by the 7x9 trunk roads. The degree of fragmentation will be increased if other linear structures such as railways, defence fencing, power line etc. are included. So the physical state of the land, as a habitat for the biological community, is quite aggravated and almost isolated by central dividers of roads in terms of natural environment. Furthermore, as the air quality of the most mega cities, such as Seoul, Daegu, Busan and Incheon etc., that have large populations over two million, already roared up to the national and local environmental standards, the environmental impact on the people can become very serious. However, the number of road construction projects have not decreased in number. The EISs for the road construction proposals that are under the EIAA are about 40-45% of the government actions per year. The problem is not the road construction itself but the lack of environmental consciousness of the proponents, who are reluctant to consult with the environmental parties, allocate money to reduce the environmental impact, and involve the public. The chapter 3 of this research examines the on-site state of the road construction. First of all, the concepts of. prediction such as the discharge of soil particles to the streams, the emission by vehicles during operation of roads, the degree of landform change etc. shall be re-designed as a whole because they used unrealistic prediction method. At present, the prediction of the impact to the ecosystem especially the corridor for the animals is inadequate, and almost neglected. As most EISs do not fully describe or predict the future state of the ecosystem, there is no serious consideration for the mitigation measures such as tunnels, bridges, eco-bridges, small boxes etc. We think that the reports of follow-ups or monitoring after EIS should be reviewed by expert groups to wholly implement the mitigation measures described in the final EIS consultation documents. The EIA system can be improved by incorporating the record of decision(ROD), tiering, social impact assessment etc. into the EIAA. Also, some environmental impact indices, more comprehensiv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criteria for the significance etc. were developed, in order to apply them to the EIA. These materials will be tested on some road construction projects in the near future for their refinements. In summary,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current EIA system for the road construct

      • KCI등재후보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전국자연환경조사의 발전방안 -선진 외국의 사례검토를 중심으로-

        노백호 ( Parik Ho Rho ),정홍락 ( Eung Lak Choung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6 환경정책연구 Vol.5 No.3

        2006년부터 5년 계획으로 시작한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를 비롯한 우리나라 자연환경조사의 실태와 일본, 독일, 미국, 영국의 자연환경조사체계를 비교·검토하였다. 국내 여건을 토대로 선진 외국과 우리나라 조사체계를 비교·검토한 결과, 생물종 중심의 자연환경조사에서 벗어나 서식지, 생태계 및 생태권역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고, 나아가 위성영상이나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토지자원의 공간분포를 주기적으로 파악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위성영상은 생물종, 서식지, 생태계 조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여야 한다. 조사내용 확대 및 다양한 정보수집을 위해 다방면의 전문인력을 확보하고, 지역주민의 자연환경 보전의식을 고취시키기 위해 자원봉사자의 참여를 유도해야할 것이다. 전국에 걸친 생물종 및 생태계 조사, 데이터베이스 구축은 물론 자료의 분석·가공을 통해 자연환경정책 수립이나 생물다양성 국제협약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독립된 전문조사기관의 설립이 필요하다. 전문조사기관의 설립을 통해서 물리적인 서식 환경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의 자연환경조사를 체계적으로 수행하고 생물다양성에 대한 종합적인 현황파악과 변화예측을 통해 보다 신속·정확한 자연환경 정보를 생성할 수있을 것이다. We reviewed and compared nationwide surveys conducted in advanced countries (i.e., Japan, Germany, USA, and UK) with those in Korea, including the third Nationwide Survey of Natural Environments, which began in 2006 and will proceed until 2010. Based on this comparative analysis, we suggest alternatives to the nationwide survey of natural environments that are suited to Korea. Given the focus on species abundances and distributions in previous nationwide surveys in Korea, surveys of habitats, ecosystems, and ecoregions are required to more effectively protect biological resources in Korea. Furthermore, their spatial distributions should be mapped using periodical satellite images and aerial photographs. In particular, satellite images can be used to survey species, habitats, and ecosystems. Natural resources monitoring and management specialists are needed to collect various data and improve survey results. The participation of community volunteers is also important to develop an awareness in local residents of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Independent survey institute (i.e., a ‘National Ecosystem Institute’) should be established to develop a database and survey scheme for species, habitats, and ecosystems throughout Korea. Moreover, the survey institute could develop natural environmental policy through the data analysis to meet the objectives of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The establishment of a survey institute will allow the completion of a natural environment survey that considers various factors, including physical habitat conditions. This will allow us to detect subtle changes in species abundance and spatial distributions and provide accurate and timely information on natural environments.

      • KCI등재

        백운산의 삼림식생과 토양환경

        이호준(Ho Joon Lee),배병호(Byung Ho Bae),정홍락(Heung Lak Choung),전영문(Young Moon Chun),홍문표(Moon Pyo Hong) 한국환경생물학회 1999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17 No.1

        The relationship between floristic composition and soil environmental conditions was investigated in the forest vegetation of Mt. Paekun. The forest vegetation unit of Mt. Paekun was divided into six plant communities by Zu¨rich-Montpellier method, such as Quercus mongolica community(Typical subcommunity,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subcommunity), Q. variabilis community, Fraxinus rhynchophylla community, Pinus densiflora community, Larix leptolepis community and Pinus koraiensis community. Q. mongolica community group was distributed at the altitude over 500 meter, Q. variabilis and P. densiflora communities appeared on the southwestern slope at the altitudes of 600∼700m and 290∼700m. However, L. leptolepis and P. koraiensis plantation were distributed at lower altitude, on hillside or around homestead. The DBH class distribution of dominant species in each community showed that Q. mongolica had 10.9 individuals/a at 6∼10㎝ class, Q. variabilis 2.5 individuals/a at 11∼15㎝ class, P. densiflora 1.8 individuals/a at 26∼30㎝ class, F. rhynchophylla 3.3 individuals/a at 2∼5㎝ class, and L. leptolepis 5.9 individuals/a at 11∼15㎝ class. Q. mongolica and Q. variabilis communities showed a stable bell-shaped pattern of distribution. The contents of organic matters and soil water, and cation exchange capacity of the soil increased, and the pH decreased as the altitude gets higher increased altitude at the each communities. The contents of the soil water and organic matters of the forest soil collected in Q. mongolica community were in the 17.81% to 51.20% and 5.51% to 14.90%, respectively. These tendency is similar to the contents of N, P and K, but those of Ca, Mg, and CEC was lower than in other communities. Cation exchange capacity was suspected to be correlated to the pH. The hypothetical successional sere of the forest vegetation of Mt. Paekun is as follows: Pinus densiflora community → Q. variabilis community → Q. mongolica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