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겉뿌림 산지초지에서 목초 파종량이 초지의 생산성 및 식생구성에 미치는 영향

        정종성,김종근,김현섭,박형수,최기춘,지희정,최기준,오승민,Jung, Jeong Sung,Kim, Jong Geun,Kim, Hyeon Shup,Park, Hyung Soo,Choi, Ki Choon,Ji, Hee Jung,Choi, Gi Jun,Oh, Seung Min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8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8 No.1

        본 연구는 산지초지에서 목초 파종량이 초지의 연차별 식생 및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 산지초지 조성에 적합한 파종량을 설정하고자 2015년 8월부터 2017년 10월까지 평창군의 서울대학교 국제농업기술대학원과 천안시의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자원개발부 2개소에서 수행되었다. 처리는 총 4처리로 T1: 기준 파종량 대비 50%감량, T2: 기준 파종량(평창 $37kg\;ha^{-1}$, 천안 $34kg\;ha^{-1}$), T3: 기준 파종량 대비 50% 증량, T4: 기준 파종량 대비 100%증량 이었다. 월동 후 생육조사에서 T1이 목초 63%, 잡초 24%, 나지 13%로 가장 불량하였으며 T3와 T4는 목초 90%이상으로 매우 우수한 식생을 보였다. 분얼은 T1이 6.53개 (본/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T4가 4.49개(본/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정착 개체수는 T4가 62개($30{\times}30cm$)개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T1이 44 ($30{\times}30cm$)개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정착률은 T1에서 92%로 가장 높았고 T4에서 79%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목초 식생은 2016에서 T2, T3, T4에서 목초 비율이 87~100%로 우수한 식생을 보였고 T1의 경우 목초 비율이 75~92%정도로 나타났다. 2017년도 목초 식생은 T1의 경우 1차 예취시기에서는 목초비율이 91% 였지만 4차 예취시기에서 75%까지 떨어졌다. 2017년 T2, T3, T4에서 목초의 비율은 79~95%의 양호한 식생을 유지하였다. 초장의 경우 유의적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2016년 목초 건물 생산성은 T4 ($13,576kg\;ha^{-1}$)와 T3($12,727kg\;ha^{-1}$)가 가장 높았고 상대적으로 T1 ($9,583kg\;ha^{-1}$)과 T2 ($10,925kg\;ha^{-1}$)에서 낮게 나타났다(p<0.05). 2017년 전체 건물 생산성을 보면 T3 ($9,598kg\;ha^{-1}$)와 T4 ($9,294kg\;ha^{-1}$)가 가장 높았고 상대적으로 T1 ($6,809kg\;ha^{-1}$)과 T2 ($8,117kg\;ha^{-1}$)에서 낮게 나타났다(p<0.05). 2016년과 2017년 전체건물수량을 종합해보면 T4 ($11,435kg\;ha^{-1}$)와 T3 ($11,162kg\;ha^{-1}$)가 상대적으로 T1 ($8,196kg\;ha^{-1}$)과 T2 ($9,521kg\;ha^{-1}$)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겉뿌림 산지초지 조성시 기준량 대비 50%에서 100%증량은 목초의 정착률 및 생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effects of seeding rate of a seed mixture on grassland productivity and botanical composition. Seeding rates were composed of four different treatments varying by the amount of seed: T1, 50% decrease in seeding rate from standard; T2, standard seeding rate; T3, 50% increase in seeding rate from standard; and T4, 100% increase in seeding rate from standard. In 2016, seasonal changes in grass botanical composition revealed T2, T3, and T4 in portion of grass ratio were the highest with a range of 87-100%, whereas T1 was the lowest of all treatments. In 2017, the botanical composition in T1 showed that the grass ratio in of the first cutting was 91%, but in the fourth cutting its ratio decreased by 75%. The results from both years were combined for each treatment, T4 ($11,435kg\;ha^{-1}$) and T3 ($11,162kg\;ha^{-1}$) demonstrated the highest dry matter yield of the treatments (T1: $8,196kg\;ha^{-1}$; T2: $9,521kg\;ha^{-1}$) (p<0.05). As a result, a 50-100% increase in the seeding rate from the standard demonstrated the best grassland yield and botanical composition.

      • KCI등재

        중부지역 부실 산지초지에서 국내육성 신품종 목초 이용 혼파조합이 식생구성 및 건물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정종성,김종근,김현섭,박형수,최기춘,이상훈,지희정,최기준,김원호,Jung, Jeong Sung,Kim, Jong Geun,Kim, Hyeon Shup,Park, Hyung Soo,Choi, Ki Choon,Lee, Sang Hoon,Ji, Hee Jung,Choi, Gi Jun,Kim, Won Ho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7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7 No.2

        본 연구는 부실 산지초지에서 국내육성 품종을 이용한 혼파조합이 초지의 연차별 식생 및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 중부지역 산지초지 갱신에 적합한 혼파조합을 선발하고자 2013년 8월부터 2016년 11월까지 서산시 농협중앙회 한우개량사업소의 경사초지에서 수행되었다. 대상지는 pH가 산성이었고 유기물의 함량은 높았으며, 애기수영 및 고사리 등이 일부 우점되어 있는 중급정도의 초지였다. 초기생육은 전체적으로 고르게 출현되었고 월동 후 초장은 5~6cm, 분얼은 3~5개 정도로 양호하였지만 목초 식생비율이 66~75%로 악성잡초로 인하여 목초 정착이 불량한 부분이 발견되었다. 초지식생변화를 살펴보면 대조구는 목초 및 잡초의 식생비율변화 폭이 크지 않았으며 여름철 잡초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Tall fescue 위주 혼파조합을 부실초지에 보파한 결과 목초 비율이 80%정도까지 증가하여 대조구 대비 우수한 식생을 보였다. 조성 초기에는 orchardgrass비율이 높았지만 3년차(2016) 부터는 tall fescue비율이 증가하였고 상대적으로 orchardgrass의 비율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Orchardgrass 'Kordione'과 Orchardgrass 'Onnuri'위주 혼파조합은 유사한 식생비율 변화를 보였으며 부실초지에 보파한 결과 목초 비율이 80%정도까지 증가하여 우수한 식생을 보였고 봄철에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연차가 지속될수록 하번초인 Kentucky bluegrass의 비율이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량성에서 tall fescue(Greenmaster)위주 혼파조합은 3년차에서 tall fescue가 안정적으로 정착하면서 대조구 및 orchardgrass(Kordione, Onnuri)위주 혼파조합 보다 잡초침입 없이 상대적으로 높은 수량을 보였다. 연차별로 보면 2년차에서 대조구를 제외한 모든 시험구에서 수량이 가장 높았으며 3년차 때 대조구와 tall fescue위주 혼파조합은 변화가 크지 않았지만 orchardgrass위주 혼파조합의 수량은 크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를 종합해보면 중부지역에서 부실초지를 갱신하기 위한 가장 좋은 혼파조합은 tall fescue(Greenmaster)위주 혼파조합이었지만 orchardgrass(Kordione, Onnuri)위주 혼파조합의 경우 조성 후 2년차가 넘어가면서 수량감소가 나타나기 때문에 2년차 때 목초를 보파해준다면 우수한 식생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over seeding using new grass varieties orchardgrass 'Kordione' and 'Onnuri', and tall fescue 'Greenmaster' on botanical composition and dry matter productivity from 2013 to 2016 in low productivity hilly pasture, middle area of Korea. There were used 3 grass seed mixture types made of different compositions and amounts {T1: control - no over seeding, T2: tall fescue (TF) 'Greenmaster' $18kg\;ha^{-1}$, orchardgrass (OG) 'Kordione' $9kg\;ha^{-1}$, Perennial ryegrass (PRG) 'Linn' $5kg\;ha^{-1}$, and Kentucky bluegrass (KBG) 'Kenblue' $2kg\;ha^{-1}$, T3: TF 'Greenmaster' $9kg\;ha^{-1}$, OG 'Kordione' $18kg\;ha^{-1}$, PRG 'Linn' $5kg\;ha^{-1}$, and KBG ' Kenblue' $2kg\;ha^{-1}$, T4: TF 'Greenmaster' $9kg\;ha^{-1}$, OG 'Onnuri' $18kg\;ha^{-1}$, PRG 'Linn' $5kg\;ha^{-1}$, and KBG 'Kenblue' $2kg\;ha^{-1}$}. In the botanical composition of grassland, T1 nearly remained constant in other seasons while ratio of weeds were increased in summer season. T2 was better than control (T1) in portion of grass ratio, which has increased by 80%. In the early time of establishment, the portions of OG were increased in T2, but TF rate was increased after 3 years later when grass was established. T3 and T4 showed a very similar patterns, grass ratio had increased by 80% and the portion of KBG had increased as time passed. T2 ($129,763kg\;ha^{-1}$) was showed the highest dry matter yield than other treatments (T1: $6,756kg\;ha^{-1}$, T3: 9641, and T4: 10,738) in 2016.

      • KCI등재

        평창지역에서 겉뿌림 산지초지 조성시 목초 파종시기가 초지의 생산성과 식생에 미치는 영향

        정종성,김종근,김현섭,지희정,최기춘,최기준,최보람,오승민,김원호,Jung, Jeong Sung,Kim, Jong Geun,Kim, Hyeon Shup,Ji, Hee Jung,Choi, Ki Choon,Choi, Gi Jun,Choi, Boram,Oh, Seung Min,Kim, Won Ho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8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8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eding dates on grassland productivity and botanical composition in oversown hilly pasture located in Pyeongchang of South Korea. Four treatment groups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seeding dates of grass mixture: T1, August 13; T2, August 27; T3, September 10; and T4, September 24. Evaluation of seasonal changes in grass botanical composition revealed the highest ratios of grass in T1 and T2 (81-100% grass) and the lowest in T4 (46-90 % grass). In the plant length, the first harvest time was longer than other cutting times and last harvest time was the lowest. The total dry matter yield of grass was highest in T2 ($9,042kg\;ha^{-1}$) and T1 ($8,845kg\;ha^{-1}$) and lowest in T4 ($5,086kg\;ha^{-1}$).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seeding by late August provide the most desirable results for vegetation and grassland productivity in oversown hilly pasture, Pyeongchang of South Korea. 본 연구는 평창지역의 산지에서 목초 파종시기가 초지의 연차별 식생 및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 평창지역의 산지초지 조성에 적합한 피종시기를 설정하고자 2015년 8월부터 2017년 10월까지 평창군에 위치한 서울대학교 국제농업기술대학원의 산지에서 수행되었다. 처리는 총 4처리로 T1: 8월 13일 파종 T2: 8월 27일 파종, T3: 9월 10일 파종, T4: 9월 24일 파종이었다. 월동 후 초지 식생구성을 보면 T1과 T2까지는 목초 식생비율이 98%이상으로 높은 식생밀도를 보였지만 T3이후부터는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분얼의 경우 T1과 T2에서 4.4개 이상으로 양호하였지만 T3이후에는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초기 월동률의 차이는 이후 목초의 식생 및 생산성에 큰 영향을 주었다. 연차별 식생변화를 보면 T1과 T2의 경우 목초 비율이 81%이상으로 우수하였지만 T4의 경우 상대적으로 불량하였다. 전체 건물 수량의 경우 T2와 T1이 각각 $9,042kg\;ha^{-1}$와 $8,845kg^{-1}$로 우수하게 나타났지만 T4의 경우 $5,086kg\;ha^{-1}$로 건물 생산성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결과를 종합해보면 평창지역에서 8월 말까지 파종을 완료 한 경우 목초 월동이 향상되었으며 이는 식생이나 생산성 측면에서 유리하게 나타났다.

      • KCI등재

        애기수영 우점 산지초지에서 식생개선 기술적용이 식생구성 및 건물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정종성,김종근,박형수,이상훈,김원호,김현섭,김영진,이효원,최기준,Jung, Jeong Sung,Kim, Jong Geun,Park, Hyung Soo,Lee, Sang Hoon,Kim, Hyeon Shup,Kim, Won Ho,Kim, Young Jin,Lee, Hyo won,Choi, Gi Jun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6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6 No.2

        본 연구는 애기수영 우점 초지를 대상으로 종합적인 식생개선 기술을 적용하여 갱신한 초지의 연차별 식생 및 생산성 추이를 분석해보고 개량효과를 생태적 방법으로 고찰해 보고자 2013년 8월부터 2015년 10월까지 강원도 평창의 방목용 초지에서 수행되었다. 토양개량을 위해 석회를 $2MT\;ha^{-1}$의 양으로 2회 시용한 결과 pH 4.69에서 5.47까지 향상되었으며, 이후 더 이상 상승하지 않고 pH 4.91에서 4.98 수준을 유지하였다. 초장은 식생개선구가 모든 방목 시기에서 대조구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방목 후 초장은 12~18 cm 사이로 대조구와 식생개선구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초지 식생구성은 목초의 비율이 증가되었고 잡초(애기수영)의 비율은 12%에서 2%까지 감소하였다. 목초는 orchardgrass와 timothy의 비율이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Kentucky bluegrass의 식생비율이 증가하였고 tall fescue의 비율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방목두수는 한우 20두로 2014년도 총 방목기간은 58일이었고, 2015년도는 55일 이었다. 가축의 총 건물섭취량의 경우 2014년은 $7,848kg\;ha^{-1}$이었고 2015년에는 $6,941kg\;ha^{-1}$로 2014년도가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평균 초지 가축 이용률은 2014년도 84%로 2015년도 79% 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목초의 건물수량은 2014년도 1차 방목에서 대조구는 $3,437kg\;ha^{-1}$로 식생개선구 $5,460kg\;ha^{-1}$ 보다 생산량이 59% 증가되었고, 2015년도 총 건물수량에서 대조구는 $5,742kg\;ha^{-1}$로 식생개선구 $8,685kg\;ha^{-1}$ 보다 51% 건물수량이 증가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Improvement of Botanical Composition Technology (IBCT) on the forage production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in a Rumex acetosella-dominated hilly pasture in Pyeongchang, in a period from August 2013 to the end of growing season in October 2015. $2MT\;ha^{-1}$ limestone was applied in August 2013 and April 2014. Liming significantly increased soil pH from 4.69 to 5.47 and then the soil pH consistently hovered at 4.91~4.98. For every grazing time, plant height was found to be higher with the application of IBCT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After graz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lant height was found between the IBCT group and the control. Changes in the botanical composition of grassland can be affected by a lot of circumstances, but application of IBCT decreased Rumex acetosella from 12% to 2%, while also increasing the proportion of pasture. In relation to the botanical composition of grass, orchardgrass and timothy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s throughout the whole study period. The proportion of Kentucky bluegrass increased over time while tall fescue steadily decreased. The totals for grazing days were 58 in 2014 and 55 in 2015. Average herbage dry matter intake was $7,848kg\;ha^{-1}$ in 2014 and $6,941kg\;ha^{-1}$ in 2015. Due to the application of IBCT, dry matter productivity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of 59% during the first grazing period in 2014 (3,437 kg ha and 5,460 kg ha in control and IBCT). In 2015, the total dry matter yield of the IBCT group was 51% greater than the control ($5,742kg\;ha^{-1}$ and $8,685kg\;ha^{-1}$ in control and IBCT). Under acidic soil conditions, red sorrel can grow more strongly than grasses because it has better tolerance in dry and acidic conditions. Therefore, constant management is required in order to keep red sorrel from dominating the hilly pasture. In this study, the application of IBCT was able to effectively control weeds at all points. As a result, total management, including improvement of soil, overseeding, and application of selective herbicide and fertilizer, is needed to maintain excellent grassland conditions due to the limiting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on grassland productivity.

      • KCI등재

        CUDA와 OpenMP를 이용한 NEC-2 코드 속도 향상

        정종성(Jong-Sung Jung),권혁준(Hyeok-Jun Kwon),최인식(In-Sik Choi),조용희(Yong-Heui Cho),오성원(Seong-Won Oh) 한국정보기술학회 2018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1

        The NEC-2 code based on MoM(Method of Moment) among electromagnetic numerical analysis methods has difficulty in calculating a massive matrix. In this paper, we reduced the computation time by applying the parallel processing to the NEC-2 code, which needs a lot of computation time. The OpenMP(Open Muti-Processing) based on parallel cores is applied since the moment scattering matrix needs the complex operations. The cuBLAS based on CUDA(Compute Unified Device Architecture) which make the high speed parallelism possible, is applied to the inverse matrix calculation of NEC-2 code using the Gauss elimination.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calculation results of the conventional NEC-2 code and our method are matched well. Futhermore, the calculation speed is faster about 12 times than the conventional NEC-2 code.

      • KCI등재

        시간-주파수 해석법을 이용한 구의 RCS 분석 연구

        정종성(Jong-Sung Jung),권혁준(Hyeok-Jun Kwon),최인식(In-Sik Choi) 한국정보기술학회 2017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4

        The choice of modeling methods and numerical analysis methods are important factors in the process of RCS analysis through simulation. In this paper, the wire-grid and triangular patch are applied as the modeling method, and the method of moments (MoM) is applied as a numerical analysis method to analyze RCS and creeping wave of the sphere. Since the RCS of a sphere can be obtained theoretically, the theoretical RCS and the numerical RCS of the sphere according to the two modeling methods are compared and the differences are checked. The sphere RCS obtained by triangular modeling is very similar with the analytic solution, but that obtained by the Wire-Grid modeling is different from the analytic solution, and the difference is caused by the influence of the creeping wave. In addition, the effect of this creeping wave can be clearly distinguished by applying the continuous wavelet transform (CWT) which is one of the time-frequency analysis methods.

      • KCI등재

        상황버섯 및 카레를 첨가한 잡곡밥 추출물의 LLC-PK1 세포에서의 산화적 스트레스 보호 효과

        이정숙(Jung-Sook Lee),송가락(Jia-Le Song),길정하(Jeung-Ha-Kil),정병진(Byung-Jin Jeong),정종성(Jong-Sung Jeong),허태곤(Tae-Gon Huh),박건영(Kun-Young Par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3 No.11

        잡곡밥 메탄올 추출물이 가지는 산화적 스트레스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H₂O₂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LLC-PK1 세포의 보호 효과를 조사하였다. 250 μM의 H₂O₂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가 유발된 LLC-PK1 세포에 시료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WR, TMR, GR 순으로 H2O2 처리군에 비해 세포 생존율이 증가하였다(P<0.05). 특히 GRS와 GRK에서 정상군에 가까운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어 H₂O₂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로 유발된 세포 손상에 대한 잡곡밥 추출물의 보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세포 내 활성산소(ROS)의 수준과 세포 내 지질과산화물질(MDA)의 생성 억제 효과 역시 WR, TMR, GR, GRK, GRS 순으로 증가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H₂O₂로 인하여 세포 내 항산화 효소인 SOD, CAT와 GSH-px 등의 활성이 감소된 LLC-PK1 세포에 잡곡밥 추출물을 처리했을 때 이들 효소의 활성이 증가했으며 특히 GRK, GRS군에서 현저하게 증가되었다. LLCPK1 세포에서 H₂O₂에 의해 발생하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보호 효과를 측정한 결과 잡곡밥 추출물은 세포 손상을 억제하고 세포 내 활성산소(ROS)의 수준과 지질과산화물질(MDA)의 생성을 억제하며, 세포 내 항산화 효소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항산화 효소 유전자 발현에서도 위와 비슷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잡곡밥 메탄올 추출물, 특히 기능성 물질인 카레가루와 상황버섯 추출물이 첨가된 잡곡밥은 LLC-PK1 세포에 대한 보호 작용과 in vitro에서의 항산화 효과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tective effects of methanolic extracts of cooked mixed grain rice samples, including grain rice (sorghum, black bean, proso millet, and Job"s tears) mixed with fermented brown rice (GR), GR added with 0.5% water extract of Sanghwang mushroom (GRS) or 0.1% curry (GRK), and traditional five grain mixed rice (TMR, Ohgokbap), on H₂O₂-induced oxidative injury in LLC-PK1 pig renal epithelial cells. White rice (WR) was used as a positive control. Cells were first exposed to H₂O₂ (250 μM) for 4 hr, followed by treatment with 100 μg/mL of different GR extracts for 24 hr. H₂O₂ significantly induced cell damage (P<0.05). Cellular levels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lipid peroxidation, and antioxidant enzymes, including catalase (CAT), superoxide dismutase (SOD), and glutathione peroxidase (GSH-px), were measured. In addition, mRNA levels of antioxidant enzymes were determined by RT-PCR assay. Mixed grain rice, particularly GRS and GRK, were able to reduce cellular levels of ROS, decrease lipid peroxidation, and also increase mRNA expression of antioxidant enzymes compared to other sampl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mixed grain rice, specifically GRS and GRK, have strong protective effects against H₂O₂-induced oxidative injury in LLC-PK1 cells through inhibition of lipid peroxidation, reduction of ROS levels, and elevation of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 KCI등재

        파종방법 및 질소시비량이 총체 벼의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김종근,박형수,이상훈,정종성,고한종,Kim, Jong Geun,Park, Hyung Soo,Lee, Sang Hoon,Jung, Jeong Sung,Ko, Han Jong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5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5 No.2

        본 시험은 파종방법과 질소시비 수준이 총체벼의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총체 벼는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육성된 "남일벼"를 이용하여 직파는 4월 25일, 이앙은 5월 25일에 하였다. 질소시비량은 총 5개 수준(90, 110, 140, 170 및 200 kg/ha)을 두고 수행되었다. 출현일, 출수일 및 내병성은 처리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녹색도는 질소시비량이 많아짐에 따라 짙어졌다. 초장은 질소시비량이 많아짐에 따라 커졌으며 분얼수도 증가되었고 직파보다 이앙구에서 더 많았다. 건물함량은 질소시비량에 따른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생초 및 건물수량은 질소시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늘어났다(p<0.01). 수량은 이앙하는 것이 직파하는 것보다 유의적으로 많았으며(p<0.01) 직파시는 140 kg/ha, 이앙시에는 170 kg/ha 질소 시비구에서 각각 최고의 수량을 나타내었다. 조단백질 함량은 질소시비량이 늘어남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파종방법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ADF 및 NDF 함량은 질소시비량이 늘어남에 따라 증가되었으나 TDN 함량은 질소시비량이 늘어남에 따라 감소되었으며,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총체 벼 재배시 질소시비량이 높을수록 생초 및 건물수량이 증가되지만 수량과 토양환경을 고려하여 적정 질소시비량은 140 kg/ha가 권장되었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seeding methods and application levels of nitrogen fertilizer on the yield and forage quality of whole crop rice (WCR). The WCR variety "Namil" was directly seeded on April 25 and transplanted on May 25. Five levels of nitrogen fertilizer were applied (90, 110, 140, 170 and 200 kg/ha).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of the emergence date, heading date and disease resistance based on the nitrogen fertilizer rates; however, the WCR became dark at higher nitrogen fertilizer rates. The plant height increased at higher nitrogen fertilizer rates and the tiller number showed the same trend. In contrast to a direct seeding method, transplanting increased the tiller number. The dry matter (DM) content did not show a certain tendency based on nitrogen fertilizer rates, while the fresh and dry matter yields increased with incremental changes of the nitrogen fertilizer rates (p<0.01), and the transplant method increased the yield size. In yield analysis, the plot direct-seeded with 140 kg N/ha and the transplanting with 170kg N/ha showed the highest yields. The crude protein (CP) content increased with higher nitrogen fertilizer rat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ransplant and direct-seeding methods. The content of ADF (acid detergent fiber) and NDF (neutral detergent fiber) increased with higher nitrogen fertilizer rate, but total digestible nutrient (TDN) content decreased with increased nitrogen levels. Although high nitrogen applications increased the fresh and DM yields, the 140 kg/ha nitrogen fertilizer level is recommended as the proper nitrogen fertilizer level, considering both yield and the environments.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