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위식도 역류질환 환자에서 Proton Pump Inhibitor 치료 후 재발률 및 증상개선에 관한 임상적 고찰

        정유정 ( You Jeong Jeong ),이동호 ( Dong Ho Lee ),최태혁 ( Tae Hyuck Choi ),황태준 ( Tae Jun Hwang ),이병환 ( Byeong Hwan Lee ),나종천 ( Jong Chon Nah ),이상협 ( Sang Hyub Lee ),박영수 ( Young Soo Park ),황진혁 ( Jin Hyok Hwang 대한소화기학회 2010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5 No.2

        목적: 위 식도 역류질환은 치료 후 증상 호전 및 식도염이 치유되더라도 약 복용을 중단하면 1년 이내에 50-80%에서 재발하는 만성적인 경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들은 위 식도 역류질환 환자들에서 양자펌프 억제제 투여 후 재발률과 치료에 대한 반응을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7월부터 2009년 1월까지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외래를 방문했던 식도염 증상을 호소하는 총 207명의 역류성 식도염 환자에서 위 내시경 검사를 시행 후 비미란성 역류성 식도염과 미란성 역류성 식도염 두 군으로 나누었고 비미란성 식도염군은 란소프라졸 15 mg, 미란성 식도염군은 란소프라졸 30mg을 각각 8주간 투여하였다. 상부위장관 내시경 검사 시 H. pylori 감염 여부를 확인하였으며 가슴 쓰림, 역류, 소화장애 및 비전형적인 증상의 4가지 증상항목을 치료 전과 8주간 치료 후에 조사하였다. 투약에 따른 치료반응이 있었던 환자들에서 전화 설문이나 외래 방문을 통하여 치료 중단 후 증상 재발에 대해 평가하였다. 결과:평균 추적 관찰 기간은 24.4주로 시험을 완료한 총 207명의 위 식도 역류질환 환자에서 전체 재발률은 40%였으며 NERD군 94명, ERD군 113명으로 나눈 두 군에서의 재발률은 각각 43.8%, 35.1%였고 두 군 간 차이는 없었다. 평균 재발 시기는 NERD군은 10.1주, ERD군은 10.6주였으며, 8주간 투약 후 증상 개선율은 전체 위 식도 역류질환 환자에서 89.4%였고 NERD군은 85.1%, ERD군은 92.9%로 재발시기와 증상 개선율 모두 두 군 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식도염의 4가지 증상에 대해 치료 전후 비교한 점수는 두 군 모두 유의한 감소가 있었으며(p< 0.001), H. pylori 감염률은 NERD군에 비해 ERD군에서 유의하게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34.3% vs. 20.0%, p=0.036). 결론: 위 식도 역류질환 환자에서 8주간 PPI 치료 후 6개월 이내 재발률은 40%였으며 절반용량을 투여한 비미란성 식도염군과 표준용량을 투여한 미란성 식도염군에서 재발률, 재발시기 및 증상 개선율은 두군 간 차이가 없었고, 역류성 식도염의 재발을 예방하기 위해 양자펌프 억제제의 필요 시 투여 혹은 지속적 투여를 고려해야 될 것으로 생각한다. Background/Aims: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 is a chronic condition, with 50-80% of patients experiencing recurrence within one year following completion of initial treatment. The present study aimed to estimate recurrence rate and treatment response in GERD patients treated with proton pump inhibitor. Methods: A total of 207 symptomatic GERD patients, which were confirmed by endoscopy from July 2008 till January 2009, were enrolled. They were divided into non-erosive reflux disease (NERD) group and erosive reflux disease (ERD) group by endoscopic findings. Patients were treated with lansoprazole 15 mg (NERD group) or 30 mg (ERD group) once daily for 8 weeks. The presence of symptoms was assessed in each patient at baseline and post-treatment using a questionnaire. Subsequent symptomatic recurrence on the cessation of therapy in each improved patients was checked by telephone survey or outpatient interview. Results: Ninety-four patients and 113 patients were first diagnosed with NERD and ERD, respectively. The mean post-treatment follow-up period was 24.4±8.5 weeks. Recurrence rate was 40.0% (NERD, 43.8%; ERD, 37.1% (p=0.224)). Recurrence time was 10.1±5.8 weeks (NERD 9.6 weeks; ERD, 10.6 weeks (p=0.444)). Regarding the symptom improvement after 8 week therapy with lansoprazole, 89.4% (NERD, 85.1%; ERD, 92.9% (p=0.056)) of total patients were symptomatically improved. Conclusions: Forty percentage of GERD patients recurred within 6 months following the completion of 8 week therapy with lansoprazole. Recurrence rate, recurrence time, and rate of symptom improvemen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NERD group treated with half dose and ERD group treated with full dose lansoprazole. (Korean J Gastroenterol 2010;55:100-108)

      • KCI등재

        인체 백혈병세포에서 매실 추출물에 의한 apoptosis 유도

        You Jeong Chung(정유정),Cheol Park(박철),Yong Kee Jeong(영기),Yung Hyun Choi(최영현) 한국생명과학회 2011 생명과학회지 Vol.21 No.8

        예로부터 한국, 일본 및 중국에서 민간처방 약재 및 건강식품으로 사용되어온 매실은 다양한 효능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인체 암세포에서 유발하는 항암작용 및 그에 따른 분자생물학적 기작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인체 혈구암 U937 세포에서 매실의 메탄올 추출물(MEPM)이 유발하는 항암효과 및 항암기전을 조사한 결과, MEPM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암세포의 성장억제 및 apoptosis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MEPM에 의해서 유발되는 apoptosis에는 XIAP 및 survivin 등과 같은 IAP family의 발현 감소와 더불어 FasL의 발현 증가, Bcl-2의 발현 감소 및 Bid의 단편화 현상이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가지 apoptosis 유발 개시 및 최종 apoptosis 단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caspase-8과 -9 및 -3의 활성화와 그에 따른 다양한 기질단백질의 발현 감소 및 단편화가 동반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인위적인 caspase-3의 활성 차단으로 MEPM에 의하여 유발되는 apoptosis가 현저하게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MEPM은 암세포의 chemotherapeutic agent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지만 향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하여 활성물질의 동정 및 관련 기전의 비교 등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In the present study, the pro-apoptotic effects of methanol extract of Prunus mume fruits (MEPM) in human leukemia U937 cells were investigated. It was found that exposure to MEPM resulted in growth inhibition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by inducing apoptosis. The induction of apoptotic cell death in U937 cells by MEPM was correlated with a down-regulation of inhibitor of apoptosis protein (IAP) family, such as X-linked inhibitor of apoptosis protein (XIAP) and survivin, anti-apoptotic Bcl-2, up-regulation of FasL and cleavage of Bid. MEPM treatment also induced the proteolytic activation of caspase-3, caspase-8 and caspase-9, and degradation of caspase-3 substrate proteins, such as poly (ADP-ribose) polymerase (PARP) and β-catenin. In addition, apoptotic cell death induced by MEPM was significantly inhibited by z-DEVD-fmk, a caspase-3 specific inhibitor, which demonstrates the important role of caspase-3 in the apoptotic process by MEPM in U937 cells. Taken togeth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 mume extracts may be a potential chemotherapeutic agent for the control of human leukemia cells and further studies will be needed to identify the active compound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향신식물의 잔류농약 실태조사

        배호,김운호,정유정,이유나,문경은,김정선,채경석,이진희,도영숙,최옥경,Bae, Ho-Jeong,Kim, Woon-Ho,Jung, You-Jung,Lee, Yu-Na,Moon, Kyeong-Eun,Kim, Jung-Sun,Chae, Kyung-Suk,Lee, Jin-Hee,Do, Young-Sook,Choi, Ok-Kyung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21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36 No.5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search the status of pesticide residues in a total of 114 herbs and spices obtained from January to October 2020. 341 pesticide residues were analyzed by the multi class pesticide multiresidue methods using GC-MSMS, GC-ECD, GC-NPD, LC-MSMS, LC-PDA, and LC-CAS. As a result of analysis, 36 pesticide residues were found, and detection rate was 31.6%. Of them, seven samples were detected over Maximum Residue Limits (MRLs) and the unsuitable level in pesticide was 6.1%. The herbs and spices exceeding MRLs include coriander (2 times), mint (2 times), basil (once), rosemary (once), and boraye (once). According to an analysis of 341 pesticide residues, 22 pesticides were detected 52 times and 8 pesticides were found to exceed the MRLs. The pesticides exceeding MRLs were ingredients such as etofenprox, flufenoxuron, fluquinconazole, iprodione, lufenuron, paclobutrazol, phenthoate, and spiromesifen. 본 연구는 2020년 1월부터 10월까지 향신식물 114건을 수거하여 잔류농약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GC-MSMS, GC-ECD, GC-NPD, LC-MSMS, LC-PDA, LC-CAS를 이용하여 다종농약 다성분분석법으로 잔류농약 341종을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36건의 검출이 있었으며 검출률은 31.6%이었다. 이 중 7건은 농약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하였으며 부적합률은 6.1%이었다. 농약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한 품목은 고수(2건), 민트(2건), 바질(1건), 로즈마리(1건), 서양자초(1건)이었다. 잔류농약 341종을 분석한 결과 22종의 농약 성분이 52회 검출되었고 농약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한 성분은 8종이었다. 농약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한 성분은 etofenprox, flufenoxuron, fluquinconazole, iprodione, lufenuron, paclobutrazol, phenthoate, spiromesifen 이었다.

      • KCI등재

        학질(학疾)의 자락사혈(刺絡瀉血) 치료법(治療法)에 대한 고찰(考察) -『소문(素問),자학(刺학)』을 중심으로-

        김동휘 ( Dong Hui Kim ),창현 ( Chang Hyun Jeong ),장우창 ( Woo Chang Jang ),유정아 ( Jeong Ah Lyu ),백유상 ( You Sang Baik ) 대한한의학원전학회(구 대한원전의사학회) 2011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Vol.24 No.4

        The texts of 『Hwangjenaegyeong(黃帝內經)』 explains Hakjil(학疾) in detail, especially in the 「Jahak(刺학」chapter, where bloodletting treatment is applied in many cases. The following paper categorized and organized Hakjil(학疾) cases treated by bloodletting methods, then analyzed applicable subjects and appropriate time for the procedure based on the texts. Afterwards, the mechanism for the cessation of Hakjil(학疾) seizures was examined.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In the contents of 『Hwangjenaegyeong(黃帝內經)』, the appropriate time for acupuncture and bloodletting procedure is when Hakjil(학疾) seizures start to present themselves. 2. When a seizure takes place as a symptom of the body getting rid of the Hak(학) pathogen, Yanggi(陽氣) rushes to the locus of the pathogen, causing congestion of Gi(氣) and Blood(血) resulting in static blood[瘀血]. Therefore, bloodletting at the time of seizure initiation helps the flow of Gi(氣) and Blood(血), preventing the rush of Yanggi(陽氣). This is a restoration of the balancing function of Eum(陰) and Yang(陽), which indicates that bloodletting not only promotes smooth flow of Gi(氣) and Blood(血), but extends its effects to mental functions that balances Eum(陰) and Yang(陽). 3. Although Hakjil(학疾) seizures are presented in terms of Gi(氣) and Blood(血) in symptoms such as chill and fever[寒熱], static blood[瘀血], pain, etc., a fundamental disturbance in mental functions that control cold and heat seems to be present.

      • KCI등재

        항암 약물전달을 위한 Poly(ethylene glycol)/Poly(trimethylene carbonate) AB2형 믹토암 고분자의 합성 및 특성 분석

        서진솔(Jin Sol Seo),정유정(You Jeong Jeong),이영주(Young Ju Lee),김유경(Yu Gyeong Kim),Tran Thi Ngoc Van,이립(Li Li),이은지(Eunji Lee),강한창(Han Chang Kang),허강무(Kang Moo Huh) 한국고분자학회 2016 폴리머 Vol.40 No.1

        본 연구에서는 친수성 poly(ethylene glycol)(PEG)와 생분해성 poly(trimethylene carbonate)(PTMC)로 구성된 양친매성 생체인지질 모방 구조인 AB₂형 믹토암 공중합체를 합성하여, 선형 PEG-PTMC 이중블록 공중합체와의 자기조립 및 약물전달체로서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SUP>1</SUP>H NMR, FTIR, GPC, DSC 분석 등을 통하여 화학적 조성과 구조를 확인하였고, 수용액 내에서 자기조립을 통해 약 40~70 nm의 구형 미셀 구조를 이루는 것을 확인하였다. 고체 분산법에 의한 난용성 항암제인 paclitaxel의 봉입 실험 결과, 고분자의 구조특성과 봉입조건에 따라 봉입효율과 봉입량이 크게 달라짐을 확인하였다. 특히 믹토암 구조 고분자가 선형 이중블록 공중합체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약물 담지능과 재분산성을 보임으로써 약물전달체로서의 특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In this study, a series of amphiphilic phospholipid structure-mimetic AB₂ miktoarm copolymers consisting of hydrophilic poly(ethylene glycol) (PEG) and biodegradable poly(trimethylene carbonate) (PTMC) were synthesized and compared with typical linear di-block copolymers in terms of self-assembling and drug carrier properties. All the synthesized polymers were characterized by <SUP>1</SUP>H NMR, FTIR, GPC and DLS measurements to confirm their chemical structures and found to self-assemble in aqueous media to form spherical micelle structures with about 40~70 nm in diameter. A poorly soluble drug, paclitaxel, as a model drug was loaded into polymer micelles by a solid dispersion method and the drug loading efficiency and content was significantly dependent on the loading conditions and the polymer structures. In particular, the miktoarm polymers demonstrated better drug-loading capacity and colloidal stability than the corresponding di-block copolymers, increasing their potential for drug delivery applications.

      • KCI등재

        LC-MS/MS를 이용한 채소류 및 서류의 클로로젠산 함량 조사

        류지은(Ji-Eun Ryu),김운호(Woon-Ho Kim),배호(Ho-Jeong Bae),정유정(You-Jung Jung),최영주(Young-Ju Choi),문경은(Kyeong-Eun Moon),최종철(Jong-Chul Choi),채경석(Kyung-Suk Chae),이진희(Jin-Hee Lee),도영숙(Young-Sook Do),최옥경(Ok-Kyung C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9 No.8

        본 연구는 LC-MS/MS를 이용해 다소비 채소류 및 서류에 함유된 9종의 chlorogenic acid 이성질체를 분석하기 위하여 시료 추출 후 QuEChERS kit으로 정제하는 전처리법을 확립하였고, Syncronis C18 컬럼을 사용하여 30분 동안 분석하는 이동상 용매 조성과 9종의 이성질체의 정량 및 정성 이온을 선택하여 negative 모드에서 분석하는 기기 분석법을 확립하였다. 확립한 분석법은 AOAC 가이드라인에 따라 특이성, 직선성, 검출한계, 정량한계, 정확성, 정밀성을 확인하여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다소비 채소류 및 서류 43품목(48품종)의 chlorogenic acids 함량을 분석한 결과, 24품목(29품종)에 함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채소류의 경우 39품목(42품종) 중 22품목(25품종)에 chlorogenic acids가 함유되었으며(0.01±0.01~38.31±8.73 ㎎/100 g FW), 취나물, 케일, 미나리, 우엉, 상추, 브로콜리, 콜리플라워, 가지, 치커리, 도라지 순으로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서류는 고구마(호박고구마, 밤고구마), 감자(로즈밸리, 수미), 마, 토란 등 4품목(6품종)을 분석하였는데, 고구마의 경우 밤고구마(1.31±0.52 ㎎/100 g FW)보다 호박고구마(1.42±0.39 ㎎/100 g FW)에, 감자의 경우 수미(0.09±0.03 ㎎/100 g FW)보다 로즈밸리(0.37±0.07 ㎎/100 g FW)에 chlorogenic acids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취나물, 미나리, 고구마, 감자를 대상으로 조리시간에 따른 chlorogenic acids 함량 변화를 확인한 결과, 취나물과 미나리는 30초 삶았을 때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감자는 30분, 고구마는 20분쪘을 때 chlorogenic acids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다소비 채소류 및 서류의 chlorogenic acids 함량과 조리시간에 따른 chlorogenic acids 함량 변화를 확인하여 식품 내 chlorogenic acids 함량에 관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In this study, a sample preparation method and simultaneous determination method were developed to determine the chlorogenic acids content of frequently consumed vegetables, root and tuber crops in Korea by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to mass spectrometry. The developed method was validated for its specificity, linearity, limit of detection, limit of quantification, recovery, accuracy, and precision based on the AOAC guidelines. Among the 39 items of vegetables, 22 items (0.01±0.01∼38.31±8.73 ㎎/100 g fresh weight (FW)) were quantified. The chlorogenic acids content of the vegetables was in the following order: chwinamul (38.31±8.73 ㎎/100 g FW), kale (22.93±0.75 ㎎/100 g FW), water dropwort (10.67±4.46 ㎎/100 g FW), burdock root (9.72±2.52 ㎎/100 g FW), red lettuce (leaf) (8.66±5.37 ㎎/100 g FW), broccoli (2.45±0.50 ㎎/100 g FW), and cauliflower (2.35±0.36 ㎎/100 g FW). Among the four items of root and tuber crops, sweet potato (1.42±0.39 ㎎/100 g FW) and potato (0.37±0.07 ㎎/100 g FW) were quantified. In addition, the chlorogenic acids content of chwinamul and water dropwort was highest when boiled for 30 seconds. Sweet potato steamed for 20 minutes and potato steamed for 30 minutes showed high chlorogenic acids contents.

      • KCI등재

        식도 조직 검사상 우연히 발견된 호산구 식도염의 임상적 의의

        연무 ( Youn Mu Jung ),이혜승 ( Hye Seung Lee ),이동호 ( Dong Ho Lee ),정유정 ( You Jeong Jeong ),최태혁 ( Tae Hyuck Choi ),이상협 ( Sang Hyub Lee ),박영수 ( Young Soo Park ),황진혁 ( Jin Hyok Hwang ),김진욱 ( Jin Wook Kim ), 대한소화기학회 2010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5 No.3

        목적: 호산구 식도염은 식도에 호산구가 심하게 침윤하여 삼킴 곤란이나 음식 막힘 등의 증상을 일으키는 만성적인 질환이다. 이에 저자들은 우리나라 식도 조직 검사상 호산구 식도염의 발견율과 임상 특징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분당서울대병원에서 2006년 1월부터 2008년 8월까지 식도 생검을 받은 환자들의 조직소견을 후향 분석하여 고배율에서 20개 이상의 호산구가 관찰될 때 호산구 식도염이라 정하였고 각 환자들의 임상 특징과 내시경 소견을 조사하였다. 결과: 2년 8개월간 내시경 식도 점막 이상으로 식도 생검을 받은 환자 1,609명 중 7명(0.4%)에서 고배율당 20개 이상의 호산구 침윤이 관찰되었으며 이들은 심와부 동통, 역류증세 및 소화장애 등의 비특이적인 소화기 증상과 백색 삼출과 백색 결절, 식도 용종 및 식도 비후증 등의 내시경 소견을 보였다. 결론: 생검을 시행한 환자들의 후향적인 식도 조직 재검토 결과 0.4%에서 호산구 식도염이 발견되었고, 임상 양상과 내시경 소견은 비특이적이었다. 전 세계적으로 호산구 식도염의 유병률이 빠르게 증가하는 것을 볼 때 만성적인 삼킴 곤란 증상이 있거나 특히 산 억제제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역류성 식도염 환자에서 호산구 식도염의 가능성을 고려하여 세심한 진단 접근 및 식도 생검이 요구되며 이에 대한 향후 대규모 전향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Background/Aims: Eosinophilic esophagitis (EE) is a chronic inflammatory disorder characterized by abnormal dense eosinophilic infiltration of esophageal mucosa and results in dysphasia and food impaction. EE is being increasingly recognized in adults. The prevalence is largely unknow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detection rate of EE diagnosed based on pathologic criteria and to defin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EE in Korea. Methods: We reviewed biopsy specimen of the 1,609 patients who underwent esophageal biopsy from January 2006 till August 2008. The presence of more than 20 eosinophils per high power field in biopsy specimens was considered cases of EE. Clinical information and endoscopic findings were obtained. Results: 7 (0.4%) patients were diagnosed as EE based on pathologic criteria retrospectively. Clinical symptoms were epigastric pain (43%), regurgitation (29%), dyspepsia (14%), and no symptom (14%). Endoscopic findings were whitish exudates or granules (57%), esophageal polyp (29%), and hyperemic change (14%). Two patients received treatment. One patient with bronchial asthma improved after treatment with inhaled corticosteroid, and one patient improved after 8 week proton pump inhibitor therapy. Conclusions: Eosinophilic esophagitis was found in 0.4% of the total esophageal biopsied cases. Our results suggest that Korean patients with eosinophilic esophagitis showed symptoms mimicking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and atypical endoscopic findings. Therefore, regardless of the gross appearance of the mucosa, meticulous diagnostic approaches are needed for patients with swallowing difficulty and lack of response to proton pump inhibitor. (Korean J Gastroenterol 2010;55:162-168)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