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메타버시티의 도래와 교양교육의 책무 : COVID-19의 지속과 메타버스의 부상에 따른 교육환경의 변화를 중심으로

        정연재(Jeong, Yeon Jae)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22 교양학연구 Vol.- No.18

        코로나 팬데믹(COVID-19)은 견고한 교육시스템에 커다란 균열을 내어 새로운 교육의 물꼬를 트고 있다. 오랫동안 미완에 그쳤던 교육에서의 실험적 시도는 이제 새로운 정상(正常)으로서 뉴노멀을 형성하기에 이르렀다. 정해진 시간표, 순차적 커리큘럼에 따라 특정 강의실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은 대학의 가장 일상적인 모습이었으나, 팬데믹의 비대면 환경은 한순간에 가장 익숙하고 일상적인 모습을 낯선 풍경으로 바꾸어버렸다. 특히 ICT, AI와 연계된 에듀테크놀로지는 언제 어디서나 존재한다는 유비쿼터스 교육환경을 비약적으로 발전시켰고, 이제 확장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메타버스(metaverse)로까지 확대되기에 이르렀다. 이런 측면에서 대학의 위기감은 그 이전과는 확연하게 구분된다. 본 글은 코로나 19의 지속과 메타버스의 부상에 따른 교육환경의 변화를 추적하면서 팬데믹 이후 출현가능한 형태의 대학을 메타버시티(metaversity)로 형상화한다. 메타버시티는 단일한 차원의 교육공동체인 유니버시티(university)와 다르게 전통적인 대학의 한계를 극복하는 이념적 형태의 미래대학을 말한다. 현재 고등교육을 둘러싼 상황은 ‘비동시성의 동시성’에 기초해 있다. 현재의 교육상황에 비추어볼 때 다른 시대에 존재하는 이질적 요소들이 동시대에 공존하는 현상이 두드러지기 때문이다. 본 글은 미래 교육에 대한 기술공학적 분석보다는 성찰적이고 규범적인 접근을 시도한다. 우선 메타버스 현상이 지니는 의미를 분석하면서 향후 메타버스가 몰고 올 고등교육상의 변화를 예측해본다. 나아가 메타버스의 가장 중요한 영향이 시간, 공간의 변화라는 점에 주목하여 미래 교육에 필요한 교육내용, 교육방식, 교육공간의 변화상을 도출하고, 교육적 차원에서 점점 중요해질 교양교육의 책무를 점검한다. 마지막으로 다가올 미래를 위해 새로운 형태의 대학을 모색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The COVID-19 pandemic created a significant challenge for the strength of the education system, resulting in opportunities for new types of education. The experimental attempts in education that have been ongoing are now forming a new normal. Normally, education w as carried ou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lass schedule and sequential curriculum, which was the most common form at universities; but the non-face-to-face environment during the pandemic changed education into an unfamiliar scene instantly. In particular, edutechnology, which is linked to ICT and AI, swiftly developed a simultaneously omnipresent and ubiquitous educational environment, and now it has expanded to the metaverse based on virtual reality. In this regard, the sense of crisis in universities is clearly different from before. In light of such changing times, this article explores the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due to COVID-19 persistence and the expansion of the metaverse and characterizes metaversity as the ideal forms of universities. Unlike a university, metaversity refers to an ideological form of a future university that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a traditional university, which consists of a one-dimensional educational community. The current situation surrounding higher education is based on the contemporaneity of the uncontemporary. Considering the current educational situation, this is due to the prominent phenomenon of the coexistence of heterogeneous factors from other eras. This article attempts introspective and normative approaches to future education rather than technical analysis. First, the meaning of the metaverse phenomenon will be analyzed, and the metaverse’s impact on higher education will be predicted. Furthermore, the most important influence of the metaverse is temporal and spatial changes. Therefore, educational content, educational methodology, and changes in educational space that are necessary for education in the future will be derived, and the responsibility of liberal education, which will be heavier at the educational level, will be reaffirmed. Lastly, the necessity of searching for new types of universities for future will be presented.

      • KCI등재

        기술공학시대에서 전문직의 정체성과 윤리의 문제

        정연재 ( Yeon Jae Jeong ) 한국윤리학회 2010 倫理硏究 Vol.77 No.1

        이 글의 목적은 전문직의 정체성, 이른바 프로페셔널리즘(전문직업주의, professionalism)을 심도 있게 규명함으로써 통합적 관점에서의 전문직윤리의 중요성을 살피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프로페셔널리즘에서 전문직윤리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규범적 필요성을 강조함으로써 우리 사회에 적실한 전문직윤리의 가능성을 살펴볼 것이다. 해당 전문직종사자 간의 피할 수 없는 생존경쟁이 격화되고 있는 현실에서, 이른바 전문직의 희소가치가 감소 추세에 있는 오늘의 상황에서 프로페셔널리즘과 전문직윤리는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 직업적 영향력과 경제적 보상이 전문직의 권력(professional power)을 구성하는 가장 큰 요소라고 할 때, 그 권력이 뚜렷하게 약화되고 있는 지금의 상황은 과연 통상적인 윤리(ordinary Morality)의 수준을 넘어서는 전문직윤리의 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는가? 이 글은 전문직윤리를 통합적으로 다루면서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변의 실마리를 찾아볼 것이다. Professional ethics has received relatively little attention from scholarship in comparison with its practical needs. Professional ethics as an independent study of ethics is still underdeveloped in the sense that there is no theoretical unity.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lead to the fundamental importance of the professional ethics. More specifically, this article aims at clarifying the unified view of professional ethics through the detailed analysis of professionalism. Therefore, The main themes of this article are professionalism, conflicts between duties of professional roles and those of ordinary morality, the boundary of professional authority, the foundations of professional values and obligations, and the character of professional responsibility. The conclusion which is drawn from this study can be briefly stated as follows. Professionalism is an important social category, and professional should not isolate themselves from the public sphere. Thus, professional ethics that contains positive ethical standards should be built upon the basis of ``shared responsibility`` which stimulate professional`s moral commitment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 KCI등재
      • KCI등재

        존엄성 개념의 명료화를 통한트랜스휴머니즘의 비판적 고찰

        정연재 ( Yeon Jae Jeong ) 한국윤리학회 2015 倫理硏究 Vol.105 No.1

        This article aims to critically assess the ethics of enhancement raised by transhumanism by attempting conceptual clarification of Dignity. The debate about human enhancement has produced a new context of conceptual use of dignity. Transhumanism deny a fixed, intrinsic dimension to human dignity. In this paper, I will show that the concept of dignity classified into inherent dignity and attributed dignity and that the attributed aspect of dignity presuppose the intrinsic aspect of dignity. Then, I calls in question the legitimacy of transhumanist`s claim that the use of emerging technologies will enhance human dignity. This study is organized as follows. The first section clarifies the concept of dignity in the context of value theory. Intrinsic dignity refer to the special type of intrinsic value that belongs to the natural kinds that have the capacities for language, rationality, free will, moral agency etc. Intrinsic dignity is the value that human beings have simply by virtue of the fact that they are human. Attributted dignity refer to the non-instumental value that are attributed to members of any natural kind that has intrinsic Dignity. Attributed dignity is a created value. As Sulmasy argued, the intrinsic sense of dignity is prior to the attributed senses in terms of logical and moral aspects. The second section summarize an critical assessment of transhumanism by grounding this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and attributed dignity. Bostrom argues that transcending of human nature will enhance human dignity because human nature is improvable and that human(intrinsic) and posthuman(attributed)dignity as compatible and complementary. However, there is a remarkable difference between human dignity and posthuman dignity in relation to the moral status of human beings. Especially, the use of technology to enhance human dignity removes the uniqueness of human beings based upon intrinsic dignity. The conclusion can be briefly stated as follows. In order to search for the equilibrium(balancing) point between dignity and enhancement, the recognition of the intrinsic, intersubjective value of human dignity is important.

      • KCI등재

        포스트휴머니즘 행복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정연재 ( Jeong Yeon-jae ) 한국윤리학회(구 한국국민윤리학회) 2018 倫理硏究 Vol.121 No.1

        이 글의 목적은 포스트휴머니즘에서 제기하는 낙관적 행복론과 향상의 윤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본다면, 이 글은 기술적 수단을 통해 감정을 제어하고, 인간의 덕성을 개선하여 행복에 도달하려는 ‘도덕적 향상’의 정당성에 의문을 제기한다. “포스트휴머니즘이 상정하는 ‘행복한 삶’, ‘행복한 세상’은 전통적 행복론과 어떤 차이가 있는가?”, “포스트휴머니즘의 맥락에서 전통적 인간 가치로서의 행복은 어떤 중요성을 지닐 수 있는가?”, “인간 가치와 도덕성이 흔들리는 위기의 시대에 포스트휴머니즘은 강력하고 확실한 도덕적 대안으로 작동할 수 있을까?”, “기술적 수단을 통해 향상된 포스트휴먼은 진정한 행복에 도달할 수 있을까?”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포스트휴머니즘의 행복론을 비판하기 위한 일종의 우회적 접근으로 행복 개념에 대한 기원적 탐색, 즉 쾌락적 행복과 자기실현적 행복의 특징을 살펴본다. 다음으로는 포스트휴머니즘의 행복론을 정서적 측면의 향상과 덕목 향상의 측면에서 고찰하면서, 도덕적 향상과 행복과의 연관성을 도출한다. 마지막으로는 앞선 논의를 기반으로 포스트휴머니즘이 상정하는 행복의 성격과 행복을 실현하는 주체의 문제, 행복에 이르기 위한 절차적 한계 등을 중심으로 포스트 휴머니즘의 행복론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면서, 인간 향상 기술을 통해 행복에 도달할 수 있다는 포스트휴머니즘의 전략에 문제가 있음을 보여줄 것이다. 결론적으로 기술적 수단을 통한 감정의 제어는 자기실현적 측면에서 행복의 본질을 위협하고, 도덕적 향상은 인간을 도덕적으로 향상시키지 못하며, 결국 진정한 의미에서 인간을 행복하게 하지 못한다는 점을 강조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ssess critically the optimistic view of happiness and the ethics of enhancement raised by posthumanism.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calls in question the legitimacy of moral enhancement which aims at achievement of happiness, perfect control of emotions, and improvement of human character through technological means. In this paper, I will argue that the control of emotions by technological means threaten the essence of happiness as self-realization and moral enhancement is unlikely to morally enhance people and make people happy in the true sense of the word. This study is organized as follows. The first section clarifies the definition of hedonia and eudaimonia as two conceptions of happiness. These are drived from hedonic view which focused on attainment of pleasure and avoidance of pain, and eudaimonic view which focused on self-realization and meaningful life. Hedonia is a subjective experience of pleasure which is an expected concomitant whenever there is a satisfaction of personal needs. Eudaimonia is an objective condition associated with living an rational and virtuous life. and It is considered as a consequence of an individual efforts toward excellence in fulfilling personal potentials. The second and third section summarize posthuman perspectives on happiness in relation to emotion and virtue and offer a relevant critique of the posthuman conceptualization of happiness. The conclusion can be briefly stated as follows. The manipulation of emotions by enhancement technologies seems to subvert moral agency and the technological improvement without moral agency would not amount to a true happiness at all. Thus, moral enhancement is a one-dimensional conceptualization of happiness that does not reflect the vision of self-realizaition and the good life.

      • KCI등재

        교육경험에 대한 가다머의 해석학적 분석

        정연재 ( Yeon Jae Jeong ) 한국교육철학회 2013 교육철학 Vol.51 No.-

        This article attempts to define and categorize educational experience as a model for enhancing of fundamental learning ability and problem-solving competence at General Education.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calls in question the legitimacy and utility of hermenetical approach of educational experience. Thus it has attempted to clarifying the essential feature of philosophical hermeneutics as source of reciprocal education and good education practice. This study is organized as follows. The first section clarifies the nature of philosophical hermeneutics and its relevance to educational experience. Especially educational experience is characterized by interrealatedness and interplay between learner and teacher. The second section deals with Socratic dialogue and Gadamer`s dialectical hermeneutics. Socratic dialectic is an art of questioning. But it consists not in a method, technique of making up questions rather in remaining open so that questions can still occur to answerer and questioner alike. In socratic dialogue Gadamer discerns that questioning is an necessary condition for educational experience. The learning question is a necessary condition of educational experience. Learning process does not issue some ready-made or finalized product that is designed and manufactured by teacher. Genuine guestions are distinguished from pedagogical and rhetorical questions. The third section deals with hermeneutical anaysis of educational experience. Educational experience is always hermeneutical experience. For example, the interchange of learning in educational situation is an interchange of interpretation. It is a dialectical give and take between one interpretation and another. Then final section summarizes the importance of this study of philosophical hermeneutics as source of good educational practice.

      • 대화와 해체, 그 간극을 넘어서

        정연재 ( Yeon Jae Jeong ) 한국해석학회 2005 해석학연구 Vol.16 No.-

        가다머 해석학의 전개과정에서 데리다와의 논쟁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해의 객관성 문제`를 둘러싸고 베티(E. Betti), 허시(E. D. Hirsch)와 벌였던 논쟁과 비교해 본다면, 데리다와의 논쟁은 해석학에 대한 가다머의 방어전선을 180도 옮겨놓았다. 베티, 허시에 의해 `진리와 객관성에 대한 고전적 이념을 붕괴시킨 상대주의자`라는 비판에 직면했다면, 이제 데리다에 의해 `고전적 진리 개념에 대한 지나친 집착으로 인한 낡은 형이상학으로의 복귀`, `개체성과 차이를 제국주의적 방식으로 은폐시켰던 전체주의`라는 비판에 맞서 자신의 해석학을 옹호해야 했고 또한 정교하게 다듬어야 했다. 또한 가다머는 이 논쟁을 통해 자신의 철학적 기반인 그리스 철학과의 연속성을 보다 견고하게 만들었다. 가다머-데리다 논쟁에 등장하는 가장 핵심적인 인물은 니체와 하이데거다. 니체, 하이데거 사유와의 친화성과 대립, 혹은 비판을 토대로 복잡하게 전개되는 이 논쟁은 그만큼 다층적인 철학사적 기반을 함축한다. 이러한 배경을 토대로 이 글은 가다머-데리다 논쟁의 전개과정과 의미를 중점적으로 살펴보면서, 특히 다음과 같은 문제까지 다루어볼 것이다. 우선 니체와 가다머의 입장을 직접 비교하고자 한다. `하이데거의 니체`도 `데리다의 니체`도 아닌, 니체와 가다머를 직접 대면시키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다. 니체 사유와의 연속적 측면과 단절적 측면에 대한 고찰은 데리다와의 생산적 대화의 가능성을 더 유연하게 열어놓기 때문이며, 나아가 `진리`, `예술`, `삶`, `실천` 등 가다머 해석학의 중심주제를 바로 니체 사유의 생산성과 연계시킴으로써 해석학이 앞으로 모색해야 할 방향을 가늠해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두 번째는 가다머와 하이데거의 복합적 관계를 추적해 본다. 이 논쟁 가운데서 하이데거는 가다머에게 있어 매우 이중적으로 다가선다. 데리다와의 논쟁 가운데 부각되는 `하이데거 사유의 적법한 계승자`로서의 역할과, `하이데거 사유에 대한 엄격한 비판가`로서의 역할은 자신의 철학적 입장의 선명성 그리고 독창성과 밀접히 연결되기 때문이다. 해석학적 사유의 도정에서 마주친 데리다가 단순한 일회적 만남을 넘어서 하나의 지속적 동반자로서 자리매김될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자. Vorliegende Arbeit behandelt die Bedeutung der Debatte mit Derrida im Entwickelungsprozess der Gadamers Hermeneutik. Die Gadamer-Derrida Debatte um das Thema `Text und Interpretation` faßt nicht nur die Interpretation der abendlandischen Philosophie, sondern auch deren Kritik bzw. Uberwindung und Rezeption um. Es ist der Grund, warum Nietzsche und Heidegger im Mittelpunkt dieser Debatte stehen. Gadamers Text und Interpretation ist ein Versuch, mit Derridas Dekonstruktivismus ein produktives Gesprach zu fuhren. Gadamer erlautert zuerst die Gute Wille zum Verstehen, die den Universalitats-anspruch der Hermeneutik geltend macht, damit der Grund der Begriffe `Text` und `Interpretation` im Dialog zu finden ist. Derrida kritisiert aber nicht nur den Begriff des Textes im Dialogzustand, sondern auch metaphysische Voraussetzung der Gadamers Hermeneutik. Derridas Kritik zielt auf den Grenzen der Gadamers Hermeneutik in Die Unterschriften interpretieren(Nietzsche/Heidegger), indem er Heideggers Nietzsche-Interpretation als Modell der hermeneutischen Denken hielt. Trotz des ubermaßigen Abstandes zwischen Gadamer und Derrida im Einsicht auf Verstehen, Kontinuitat, Differenz und Diskontinuitat besteht es die Gemeinsame Dimension, in der sie beide sich befinden. Die Debatte mit Derrida bietet eine Gelegenheit der Reflexion, wie die Defferenz und die Andersheit in den unendlichen Bemuhungen zum Verstehen und Dialog aufgenommen werden konnten. Wenn Gadamers Hermeneutik einen Weg zwischen Dogmatismus und Relativismus hingewiesen hatte, konnte es durch den kritischen Dialog mit Derrida moglich sein.

      • KCI등재

        발견의 수사학과 적용의 해석학

        정연재(Jeong, Yeonjae) 한국수사학회 2017 수사학 Vol.0 No.29

        This article attempts to investigate the feature of Gadamer’s philosophical hermeneutics that reaffirms the classical rhetorical tradition and that clarifies the interconnectedness between rhetoric and hermeneutics.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lays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rhetorical hermeneutics. Gadamer emphasizes, “The rhetorical and hermeneutical aspects of human linguisticality completely interpenetrate each other,” and “There is a deep inner convergence with rhetoric and hermeneutics.” Thus, this article attempts to clarify the rhetorical dimension of Gadamer’s philosophical hermeneutics. This study is organized as follows. The first section investigates the affinity hermeneutics and rhetoric with practical philosophy. Rhetoric and hermeneutics share the characteristics of practical philosophy in dialogical form. Rhetoric, like hermeneutics, returns us to the finitude of human existence in a practical context. The second section clarifies the interconnectedness between rhetoric and hermeneutics, showing the interwoven history of rhetoric and hermeneutics. By equating the interpreter with the rhetor rather than with the receptive audience, Gadamer emphasizes the dynamic character of interpretation and the space for affirmation of the tradition that is opened by the dialogic structure of understanding. Especially, avoiding the superficial account of the rhetor’s speaking and interpreter’s listening, he establishes that the interpreter is engaged in a rhetorical–hermeneutical activity that is structured by the logic of question and answer and that is conversational in nature. The second section naturally leads to the third section, which deals with the interaction between rhetorical invention and hermeneutical application. The interplay between invention and application creates an organic connection between the production of rhetoric and the understanding of hermeneutics. Then, the final section summarizes the feasibility of rhetorical hermeneutics.

      • KCI등재후보

        바람직한 교육 실천과 교육윤리

        정연재 ( Yeon Jae Jeong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8 윤리교육연구 Vol.0 No.17

        지금 우리 대학은 탁월한 연구기관으로 자리잡기 위한 치열한 경쟁에서 ``교육 부실``이라는 공통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무엇보다 학생들을 진정한 배움으로 이끌겠다는 교육자적 사명이 퇴색해가고 있다. 교육에 있어서 지나친 책임의식과 원칙고수는 교수는 물론이요, 학생, 대학당국 모두를 피곤하게 만든다는, 그래서 대충 무난하게 넘어가자는 관행이 우리 대학사회를 지배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교육은 대학사회에서 다시금 중요한 시대적 책무를 가지는 것으로 보인다. 과연 대학에서 연구와 교육의 균형은 애초부터 불가능한 것으로, 결국은 양자택일의 문제일 수밖에 없는가? 그렇다면 대학의 현실적인 여건에서 교육부실화의 문제를 풀어나갈 수 있는 실마리는 무엇인가? 이 글의 문제의식은 바로 여기서 출발한다. 연구중심의 경쟁력 강화가 대학교육, 특히 학부교육의 부실화를 가져온 원인이라고 가정할 때, 연구윤리(Research Ethics) 이외에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교육윤리(Teaching Ethics)가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그래서 이 글은 교육윤리를 연구윤리와 함께 ``교수윤리``의 중요한 영역으로 설정하고, 이를 세부적으로 실천하기 위한 방안을 살펴볼 것이다. 나아가 최근 연구윤리에서 강조되고 있는 ``바람직한 연구 실천``(GRP, Good Research Practice)의 대응 개념으로서 ``바람직한 교육 실천``(GEP, Good Education Practice)이라는 개념의 적용가능성도 살필 것이다. 연구윤리가 연구자의 학문적 역량에 부합하는 윤리의식과 책임감을 고취시키는 것이 목적이라면, 또 다른 축인 교육윤리가 제대로 구현될 때만이 대학 교육의 본래 목표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envisioning good education as teaching and student learning. More specifically, the article aims at clarifying the essential feature of ``Good Education Practice`` and ``Teaching Ethics.`` I confirmed through the analysis of "A Compact to Enhance Teaching and Learning at Harvard" that education is a ``shared responsibility``, requiring organizational cooperation as well as professor`s individual effort. Educational excellence and creativity demands the sustained commitments from professor, administrators, staff, students. It is built upon the basis of supportive teaching culture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for education. The good approaches in teaching must communicate regularly to others. For effective Education, Professors must actively communicate with students and cooperate with collegues to set clear curricular goals, improve teaching skills, assess what students actually learn, and experiment with pedagogical improvements. A university that values education must motivate ``committed teacher`` as well as ``excellent researcher`` and encourage experimentation and efforts to improve student learning by teachers. Fostering the value of teaching an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requires change and renovation in academic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