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H-이진트리 구조를 갖는 타임스탬프 설계 및 분석

        정경원,도경화,전문석,Jung, Kyung-Won,Do, Kyoung-Hwa,Jun, Moon-Seog 한국정보처리학회 2002 정보처리학회논문지 C : 정보통신,정보보안 Vol.9 No.6

        전자문서의 안전한 전송과 법적인 시점확인을 위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인 타임스탬프 방법이 요구된다. 된 논문은 H-이진트리에서 작성되는 타임스탬프 구조를 이용하여, 간단하고 효율적인 전자문서 패킷을 작성할 수 있는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기존 전자서명에이용되고 있는 RSA 프로토콜은 비도면에서 취약하기 때문에, 강한 타임스탬프 구조가 요구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이론적으로 트리구조를 갖는 형태이며 H-이진트리O(logn) 시간복잡도를 갖는, 전자문서에 대한 타임스탬프 프로토콜을 설계하고 기존의 프로토콜 방식과 비교 분석한다. We want to find a timestamping method which improves efficient performance and have high-level security to send secured messages in the digital signature and the law of e-commerces. Our paper shows a H-binary tree of time stamp to use a time stamp protocol with high suity and performance in the packets of sending messages. We implement and analyze the protocols, show to compare with previous RSA methods. Our proposed protocol has O(log n) time complexity and high-performance.

      • SCOPUSKCI등재

        Dete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nteroviral RNA in Paraffin-embedded Heart Tissues from Patients with Dilated Cardiomyopathy

        정경원(Gyung Won Jung),남정현(Jung Hyun Nam),이호정(Ho Jung Lee),홍해남(Hae Nam Hong),조영걸(Young Geol Jo) 대한바이러스학회 2000 Journal of Bacteriology and Virology Vol.30 No.1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viral etiology in dilated cardiomyopathy (DCM)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or nested reverse transcription PCR (RT-PCR), and characterize the enteroviral RNA presented in the clinical specimens. Twenty-eight paraffin-embedded heart tissue samples were assayed to detect cytomegalovirus, herpes simplex virus type 1, type 2, parvovirus, adenovirus, and enterovirus (EV) with each specific primer. Of these 28 patients (mean age: 27, M: 24, F: 4), 26 were histologically diagnosed as DCM and 2 as myocardial infarction (MI). Nested RT-PCR detected enteroviral RNA in 7 (26.9%) of 26 patients with DCM, and none of patients with MI. And none of DNA viruses tested were detected from the samples. Amplified products were also genotyped by single-strand conformation polymorphism (SSCP). Three subtypes can be differentiated from 7 clinical specimens. Furthermore, direct sequence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genetic variation of EV is present in the explanted heart tissues from patients with DCM. Although most of the sequences among the wild isolates have the greatest similarity to those of coxsackievirus B3, there are specific regions of variable sequences (no 490 - no 510). The data suggest that enterovirus may be a major viral pathogen for the DCM in Korea and nucleotide sequence data indicate that coxsackievirus B3 may be a leading etiologic agent of DCM.

      • KCI등재

        새로운 경구용 항응고제 중에 어떤 약이 가장 안전한가?: 위장관 출혈을 기준으로

        정경원 ( Kyoungwon Jung ),박무인 ( Moo In Park ) 대한소화기학회 2017 대한소화기학회지 Vol.69 No.5

        고령화의 진행으로 우리나라에서도 비판막성 심방세동(non-valvular atrial fibrillation) 환자가 점차 증가하였고, 이는 임상에서 흔히 접하는 질환이 되었다. 심방세동은 지속성 심장 부정맥 중에서 가장 흔하며, 성인 인구의 약 3%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고, 사망, 허혈성 뇌졸중, 입원, 삶의 질 저하, 좌심실 기능 저하 및 인지 장애를 흔히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타민 K 비의존 경구 항응고제(non-vitamin K antagonist oral anticoagulants)로도 불리는 새로운 경구용 항응고제(direct oral anticoagulant [DOAC] agent)는 최근 비판막성 심방세동 환자에서 뇌졸중과 전신 색전증에 대한 예방 효과가 와파린과 비교하였을 때 적어도 같거나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DOAC는 와파린과 다르게 용량이 고정되어 있고, 이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 없는 간편함 때문에 최근 사용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무작위 대조군 연구, 관찰 연구, 체계적 고찰 등에서 와파린과 비교해서 위장관 출혈에 대한 위험도를 25-30% 정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DOAC의 안전성에 대한 문제가 새롭게 등장하고 있다. 이에 Abraham 등은 현재 사용되는 세 가지 DOAC (dabigatran, rivaroxaban, apixaban) 약제 간의 위장관에 대한 안전성을 1대 1로 비교하였고, 75세 이상의 노인에서의 안전성에 대해서도 함께 분석을 시행하였다. 약 5년간 DOAC를 처방받은 372,380명의 환자 중에서 제외 기준에 포함되지 않은 총 43,303명에 대해서 추적 관찰을 시행하였다. 세 가지 약제에 대한 위장관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다른 변수들의 차이를 조절하여 비교하는 1대 1 경향 점수 대칭 코호트(one-to-one propensity score matched cohort)로 직접 비교하였다. 최종 비교 대상은 apixaban군과 dabigatran군이 13,084명, apixaban군과 rivaroxaban군이 13,130명 그리고 rivaroxaban군과 dabigatran군이 31,574명이었다. 각각의 비교군에서 경향 점수 대칭 이후에는 사회 경제적인 특징, 동반 질환, 약물 위험인자 등과 같은 모든 기본적인 특성에서 두 군 간의 차이가 표준편차 10% 미만으로 확인되었다. 결과를 살펴보면, dabigatran군보다 rivaroxaban군에서 위장관 출혈이 더 빈번하게 발생한다는 것을 관찰(위험 비[hazard ratio, HR] 1.20, 95% 신뢰 구간[confidence interval, CI] 1.00-1.45)하였으나, apixaban군은 dabigatran군(HR 0.39, 95% CI 0.27-0.58; p<0.001)이나 rivaroxaban군(HR 0.33, 95% CI 0.22-0.49; p<0.001)에 비해서 위장관 출혈 위험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위장관 출혈은 75세 이상의 고령에서, DOAC 각각의 군에서 그 발생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apixaban군은 초고령 환자군에서도 dabigatran군(HR 0.45, 95% CI 0.29-0.71)이나 rivaroxaban군(HR 0.39, 95% CI 0.25-0.61)에 비해서 위장관 출혈 위험이 낮은 것으로 확인 되었다. 이러한 위장관 출혈이 발생하는 중앙기간 값은 apixaban군이나 rivaroxaban군에서는 90일 이내에, dabigatran 군에서는 120일 이내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apixaban은 전체 연령대와 모든 연령대에서 가장 양호한 위장관 안전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rivaroxaban군은 가장 안전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이 증가할수록 위장관 출혈의 발생이 증가하였고, 특히 75세 이상의 환자에서 가장 높은 위험도를 보였다.

      • KCI등재

        브라보 캡슐 pH 검사의 증상-역류의 연관성 분석을 이용한 위식도 역류 질환 진단의 부가적 역할

        정경원 ( Kyoungwon Jung ),박무인 ( Moo In Park ),박선자 ( Seun Ja Park ),문원 ( Won Moon ),김성은 ( Sung Eun Kim ),김재현 ( Jae Hyun Kim ) 대한소화기학회 2017 대한소화기학회지 Vol.70 No.4

        목적: 위식도 역류 질환의 진단을 위한 이동성 식도 pH 카테터 검사가 시작된 이후로 여러 가지 진단 기준이 소개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24시간 pH catheter monitoring의 지금까지 알려진 자료에 비해서 Bravo 캡슐 pH 검사의 진단적 효능을 확인하고, 측정되는 pH 4 미만의 시간 비율(%), DeMeester 점수, 증상-역류 연관 인자 등 여러 인자들의 진단적 효능과 그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10월부터 2015년 5월까지 고신대학교복음병원에서 Bravo 캡슐 pH 검사를 시행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산 역류 척도 및 증상 역류 연관 인자에 대해서 의무기록을 바탕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pH가 4 미만인 전체 시간의 비율(%) 중앙값은 2.90%였으며 DeMeester 점수는 11.10이었다. 또한 pH 4 미만의 시간 비율(%) (r<sup>2</sup>=0.72)과 DeMeester 점수(r<sup>2</sup>=0.54)에 대한 일일 변동을 분석하였을 때, 첫째 날과 둘째 날 사이에 의미 있는 상관관계를 보였다. DeMeester 값에 따른 Bravo 캡슐 pH 검사 양성은 총 27명(39.7%)이었다. 전체 검사자 중 30명만 검사 기간 동안 증상 발생을 경험하였으나 증상 유무에 따른 Bravo 검사 값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증상군에서 7명(23.3%)은 DeMeester 검사에서 음성이었지만 증상 역류 연관 인자에서 이상 소견을 보였다. 검사로 인한 합병증은 보이지 않았다. 결론: Bravo 캡슐 pH 검사 결과의 해석에서 pH 4 미만의 시간 비율이나 DeMeester 점수 등의 전통적인 지표와 더불어 증상-역류 연관 분석 및 일일 변동을 고려한 분석을 추가하였을 때, 역류 과민성 환자를 포함한 위식도 역류 질환의 진단을 높일 수 있겠다. Background/Aims: Since the development of ambulatory esophageal pH monitoring test to diagnose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 several parameters have been introduc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whether using the symptom index (SI), symptom sensitivity index (SSI), and symptom association probability (SAP), in addition to the DeMeester score (DS), would be useful for interpreting the Bravo pH monitoring test.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which included 68 patients with reflux symptoms refractory to proton pump inhibitor (PPI) therapy who underwent a Bravo capsule pH test between October 2006 and May 2015, was carried out. Acid reflux parameters and symptom reflux association parameters were analyzed. Results: The median percent time of total pH<4 and DS were 2.90% (interquartile range [IQR] 1.13-6.03%) and 11.10 (IQR 4.90-22.80),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day-to-day variation in percent time of total pH<4 (r=0.724) and DS (r=0.537),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Day 1 and Day 2. The positive rate of Bravo test according to DS was 27 (39.7%). Although thirty patients experienced symptoms during the te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reflux parameters compared with other patients. In the symptom group, 7 patients (23.3%) were identified as having negative DS and an abnormal symptom-related index. There were no significant test-related complications. Conclusions: In addition to the analysis of traditional acid parameters of the Bravo capsule pH test, diagnosis of GERD, including reflux hypersensitivity, can be improved by performing an analysis of the symptom-reflux association and of the day-to-day variation. (Korean J Gastroenterol 2017;70:169-175)

      • KCI등재

        위마비증과 만성 구역 구토 증후군 환자에서 Aprepitant의 효과

        정경원 ( Kyoungwon Jung ),박무인 ( Moo In Park ) 대한소화기학회 2018 대한소화기학회지 Vol.72 No.6

        위마비증(gastroparesis)이나 만성 구역 구토 증후군(chronic unexplained nausea and vomiting)으로 인한 구역과 구토에 대한 치료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위장관 촉진제에 만족스럽지 못한 경우가 많고, 여러 부작용으로 인하여 장기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워 보다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 필요하다. 최근 미국에서 발표된 본 연구는 위마비증이나 연관 증후군 환자에서 구역과 구토 증상을 줄이기 위한 aprepitant(neurokinin-1 receptor antagonist) 치료의 효과를 분석한 것으로, 향후 일반적인 치료에 불응성 위마비증 환자에서 새로운 약제 사용을 시도해볼 수 있어 소개하고자 한다.1 본 Aprepitant for the Relief of Nausea (APRON) 연구는 기질적 질환을 배제하기 위하여 최근 2년 이내 위내시경이 정상이며, 적어도 6개월 이상 조기 포만감(early satiety), 식후 만복감(postprandial fullness), 팽만감(bloating) 그리고 명치부통증(epigastric pain)을 유발하는 증상과 함께 만성적인 구역이 있는 18세 이상의 성인 중 4시간의 위배출 검사를 시행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객관적인 지표로 0점에서 45점까지 보이는 9-증상 Gastroparesis Cardinal Symptom Index (GCSI)가 2주 이상 총 21점 이상이며, 0-100 mm의 visual analog scale (VAS)의 7일간의 구역 증상 평균 25 mm 이상인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일주일에 3일 이상 narcotics를 사용하였거나 와파린이나 pimozide, terfenadien, astemizole, cisapride를 복용하였던 환자, 2배 이상으로 간 효소 수치상승을 보이거나 Child-Pugh score 10점 이상, aprepitant에 알레르기를 보이는 환자는 제외되었다. 그렇지만 metoclopramide나 erythromycin을 안정적으로 사용 중인 환자는 제외되지 않았다. 위배출 검사는 2시간에서 60% 이상 남아 있거나 4시간에서 10% 이상 남아 있는 경우에 지연된 것으로 정의되었으며, 지연된 위배출 검사 결과 자체는 환자의 등록기준에 포함되진 않았다. 등록 기준에 포함된 환자는 1:1로 무작위 배정되어 하루 한 번 125 mg의 aprepitant 복용군과 위약군으로 나누어져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약제 복용 4주간 2주 간격으로, 그리고 복용 후 2주 뒤까지 구역 증상의 호전 정도와 약제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효과를 판정하기 위하여 환자가 방문하는 동안 GCSI를 포함한 Patient Assessment of Upper GI Symptoms (PAGI-SYM), Gastrointestinal Symptom Rating Scale, daily VAS, daily diary version of the GCSI 그리고 정신 측정 도구와 삶의 질 도구인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15와 Short Form 36 version이 측정되었다. 구역에 대한 aprepitant와 위약의 치료 효과의 일차적 판정은 이전 항암 요법에 대한 aprepitant 연구와 같이 28일 평균 VAS 25 mm 미만이거나 치료 전 7일간의 VAS와 비교하여 28일 치료 기간 동안 25 mm 이상 감소한 경우로 정의하였고, 이차 결과는 구역의 매일 시간, 치료 중 구역이 없는 날짜의 퍼센트, PAGI-SYM score의 개선 등으로 확인하였다. 2013년 4월부터 2015년 7월까지 총 126명의 환자가 등록되어 aprepitant군 63명, 위약군 63명으로 무작위 배정되었다. 전체의 57%인 72명에서 위배출 지연이 보였으며, 나머지 43%에서는 정상 또는 빠른 위배출 소견을 보여 만성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구역과 구토에 포함된 환자군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29%에서 당뇨를 가지고 있었으며, 8%에서 수면제를 사용하고 있었다. 최종적으로 aprepitant군은 59명, 위약군은 63명이 연구를 끝까지 종료하였다. 일차 결과에서 aprepitant군 46%, 위약군 40%의 구역 호전을 보여 두 치료군 간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상대 위험도 1.2, 95% CI: 0.8-1.7; p=0.43). 그러나 일차 분석의 두 가지 척도(28일 평균 VAS 25 mm 미만과 기저 VAS보다 평균 28일 VAS의 25 mm 이상 감소)를 모두 함께 고려한 민감도 분석에서는 aprepitant군이 37% (22/59)로 위약군의 17% (11/63)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구역의 호전을 보였다(상대 위험도 2.1, 95% CI: 1.1-4.1; p=0.01). 또한 이차 분석을 살펴보면 aprepitant군에서 PAGI-SYM 중증도 지수로 확인하였을 때, 구역(1.8 vs. 1.0; p=0.005)과 구토(1.6 vs. 0.5; p=0.001)의 중증도 및 매일 구역 시간의 감소를 보였고, 28일 동안 구역이 없는 날짜의 퍼센트 증가 소견을 보였다. 다른 이차 결과 분석에서 aprepitant군이 PAGI-SYM 중증도지수의 GCSI 종합 점수(1.3 vs. 0.7; p=0.001), 상당한 증상호전, 구역 구토의 세부 점수, 팽만감 세부 점수 그리고 위식도 역류 증상 점수에서 호전을 보였고, 매일 일기로 표현한 daily diary version of the GCSI에 상복부 통증 중증도, 전체 증상 그리고 Gastrointestinal Symptom Rating Scale의 종합 점수에서 호전을 보였다. 연구 중 발생한 부작용은 주로 경증과 중등도 정도의 부작용이 주로 발생하였지만, aprepitant군(35% vs. 17% 위약군, p=0.04)에서 더 많이 발생하였다. 결론적으로 위마비증 또는 위마비증 유사 증후군으로 인한 만성 구역 및 구토 환자의 무작위 시험에서 aprepitant는 VAS 점수를 통한 주요 결과를 분석하였을 때는 구역의 중증도를 호전시키지 못하였지만 다른 이차적 결과에 대해서는 위약군에 대하여 호전 소견을 보였다. 따라서 aprepitant에 효과적인 반응을 보이는 위마비증 환자를 감별하는 추가 임상시험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 SCOPUSKCI등재

        Propylthiouracil 복용 후 발생한 ANCA positive RPGN

        정경원 ( Gyung Won Jung ),조성 ( Seong Cho ),김성록 ( Sung Rok Kim ),권오언 ( Oh Wen Kwon ),우재곤 ( Jae Gon Woo ),이지은 ( Ji Eun Yi ) 대한신장학회 2010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9 No.3

        Anti neutrophil cytoplasmic antibody (ANCA)-positive vasculitis and crescentic glomerulonephritis has been rarely reported in patients suffering from Graves` disease and treated with Propylthiouracil. We experienced a case of ANCA-positive crescentic glomerulonephritis presenting good prognosis after discontinuing Propylthiouracil. A 40-year-old female visited due to the proteinuria and hematuria in urinalysis. She had been medicated Propylthiouracil for 3 years. Blood pressure was 100/60 mmHg. BUN and serum creatinine were 24.7 mg/dL, and 1.9 mg/dL, respectively. Urinalysis revealed protein 1481 mg/day, many RBC`s/HPF (dysmorphic 80%), Serological ANCA was positive, anti-myeloperoxidase (MPO) antibody 1,922 AAU/ mL (normal <150 AAU/mL). The histologic finding showed crescentic glomerulonephritis on light microscopy, but no immuno deposit on immunofluorescence and light microscopy. So we diagnosed ANCA positive pauci-immune glomerulonephritis. Propylthiouracil was discontinued and steroid, cyclophosphamide was medicated within about 1 month, but stopped due to cytopenia. Patient`s creatinine level was maintained 1.3 mg/dL and showed stable progress for about over 18 months. We report this case that showed good prognosis after discontinuation of Propylthiouracil.

      • KCI등재

        현재의 국내 응급의료체계에서 중증외상환자의 이송 지연

        정경원 ( Kyoung Won Jung ),장정문 ( Jeong Moon Jang ),김지영 ( Ji Young Kim ),백숙자 ( Suk Ja Baek ),송서영 ( Seo Young Song ),강찬숙 ( Chan Suk Gang ),이국종 ( Kug Jong Lee ) 대한외상학회 2011 大韓外傷學會誌 Vol.24 No.1

        Purpose: Major trauma patients should be transferred to a definitive care facility as early as possible because prompt management will prevent death. This study was designed to discover the obstacles leading to delayed transfers under the current emergency medical system in Korea and whether there are any negative outcomes associated with conducting procedures at primary care hospitals prior to transferring patients to higher levels of care.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major trauma patients with an Injury Severity Score above 15 within the past year were reviewed. Patients were divided three groups as follows: (A) came directly to our emergency center, (B) were transferred without CT or MRI scan at the primary care hospital and (C) transferred with CT or MRI scans. The transfer time of each group were compared and analyzed statistically. Additionally, the number and type of imaging performed at the primary care hospital were analyzed. Results: All qualified patients (n=276) were enrolled in this study: 121 patients in group A; 104 in group B; 51 in group C.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ransfer time between the three groups (pvalue< 0.001), and 79 (28.6%) were transferred to an emergency medical center within one hour. In group C, CT or MRI scans were performed an average of 1.86 times at the primary care hospital, and the median transfer time was 4 hours 5 minutes. Conclusion: Only 28.6% of the cases in the study arrived within the golden hour at a definitive care facility. Such delays are in part the result of prolonged times at the primary care hospital for radiologic examinations, such as CT or MRI scans. Major multiple trauma patients should be transferred to a definitive care facility directly or as soon as the primary survey and the resuscitation of Advanced Trauma Life Support guideline are completed at the primary care hospital. (J Korean Soc Traumatol 2011;24:25-3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