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식민지 시기 역사극의 동학농민운동 형상화 방식 연구

        전지니 ( Jee Nee Jun ) 한국드라마학회 2010 드라마연구 Vol.- No.32

        This thesis aims to look into how to Donghak Movement were portrayed differently through each period in colonial times since historical plays which were focused on this historical movement were continuously published from 1920`s to 1940`s. Donghak movement had its various goals such as change of stratification system, political reforms, anticolonialism. Various goals of this movement were emphasized differently by playwriter based on certain part of period. We can find and confirm it through〈That Night〉(1927),〈Gabose〉(1931),〈Donghakdang〉(1941). Specifically, Park Kil-su of ``New-tendency`` group emphasized an aspect of class strife after forming of KAPF in mid 20`s, Cho Yong-man who kept ideology argument distance portrayed political reform after early 30`s, when KAPF was intimidated and Japan began to prepare for war at the Manchurian Incident. Finally, Lim Seon-kyu escaped from censorship through criticizing the Joseon Dynasty, and exposed nationalist sentiments against Imperialism in the hidden side of the text. This difference is related to the change of writer`s historical consciousness according to period, and these three historical plays have reality of its own because of writer`s historical awareness. Moreover, these have significance since colonial playwrights showed their own way of struggle against its circumstance. 본고는 1920년대부터 40년대까지 동학을 소재로 한 역사극이 지속적으로 발표된 것에 주목하여, 식민지 시기 동학농민운동이라는 역사적 사건이 조명되는 양상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한다. 동학농민운동은 계층구조 변화, 내정개혁, 반식민주의와 반제국주의 등 다양한 투쟁목표를 지니고 있었는데, 각 시기별로 작가가 강조하는 바가 달라지는 것을 박길수의〈그날밤〉(1927), 조용만의〈가보세〉(1931), 임선규의〈동학당〉(1941)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20년대 중반 카프 결성 이후, 신경향파 작가 박길수는〈그날밤〉에서 동학농민운동의 계급투쟁적 측면을 부각시켰다. 또한 만주사변을 기점으로 제국이 ``準전시체제화``되었던 30년대 초반 이후, 이념투쟁과 거리를 두었던 조용만은〈가보세〉에서 농민봉기의 계급혁명적 측면보다 정치개혁적 측면을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국가가 본격적인 전시체제에 돌입한 40년대 이후, 임선규는〈동학당〉에서 사건의 계급투쟁적 측면을 부각시켜 이조사회를 비판함으로써 일제의 검열망을 피하고, 그 이면에 민족주의적 색채를 드러냈다. 이러한 차이는 작가의 역사의식이 시대에 따라 변화하는 것과 관련되는데, 세 편의 역사극은 사건의 구체적 형상화와는 별개로 역사와 현재적 삶의 관련성을 인식하는 역사의식이 투영되어 있기에 리얼리티를 확보하게 된다. 즉 세작품은 작가가 역사적 사건을 환기시켜 식민지 현실과 투쟁하고, 자주적 근대를 실현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줬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KCI등재

        공공건축물의 공간 공유가치의 특성에 대한 연구

        전지원(Jun, Ji Won),박은수(Park, Eun Soo)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4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42 No.2

        본 연구는 지속 가능성과 공유 가치 요소가 지역의 상징적 이미지 형성에 미치는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는 배경에서 시작되었다. 이러한 시대의 흐름에 따라 공공건축물이 공적공간으로써 다양한 사회적 가치와 지속 가능한 요소의 주요 특성을 갖추는 것은 중요해졌다. 공공건축물의 공간의 특수성을 고려할 때, 공공건축물의 공간 공유가치는 지역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친밀한 정서적 교류 공간의 기능을 하고 대중적 가치를 지닌 이해관계자들 간의 다양성을 포용한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관점에서 공공건축물의 공간 공유가치 요소를 도출하고 공공건축물의 각 유형이 지역사회에 기여하는 공유가치를 비교분석하여 확장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해 공간적 관점의 공유가치를 사용가치, 사회가치, 문화가치, 환경가치로 도출하고, 이를 평가지표로 구성하여 공공건축물의 네가지 유형별 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유가치 요소 중 환경가치가 가장 낮게 평가되었다. 둘째, 유형별 공공건축물은 용도에 맞는 공유가치를 잘 이행하고 있었다. 셋째, 행정 및 공공기반 시설은 문화가치가, 문화 및 체육시설은 사용가치와 사회가치가 비교적 낮게 평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공공건축물이 용도의 기능 뿐만 아니라 지역의 문화적, 사회적, 경제적 발전에 기여하는 공유가치를 극대화하기를 바란다. This study began against a background where the role of sustainability and shared value elements in forming the symbolic image of the region is becoming more important. In accordance with the trend of these times, it is important for public buildings to have various social values and key characteristics of sustainable elements as public spaces. Considering the special nature of the space of public buildings, the shared space value of public buildings is defined as serving as a space for local social interaction and intimate emotional exchange and embracing diversity among stakeholders with public values.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spatial shared value elements of public buildings from various perspectives and to compare and analyze the shared values of each type of public building to identify the shared value that each type contributes to the local community and seek expansion plans. Therefore, through previous research, this study derived shared values from a spatial perspective into use value, social value, cultural value, and environmental value, organized them into evaluation indicators, and conducted a case analysis of four types of public buildings. The research results and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shared value elements, environmental value was evaluated the lowest. Second, public buildings of each type were well implementing shared values appropriate for their purpose. Third, administrative and public infrastructure facilities were rated relatively low in cultural value, and cultural and sports facilities were rated relatively low in use value and social value. Based on these results, we hope that public buildings will maximize shared value by not only serving as a simple space, but also contributing to the cultural,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 of the region.

      • KCI등재

        조선족 이주노동자가 노동 경험에서 인식한 인권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전지형(Jun Ji Hyoung)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6 생명연구 Vol.39 No.-

        본 연구는 조선족 이주노동자들이 타국에서 체류하는 외국인임과 동시에 고용 관계에서 노동자로서의 이중적 취약성에 따른 복합적 어려움을 겪으면서 구체적인 삶에서 구성한 인권의 의미와 경험을 그들의 목소리를 통해 살펴보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삶의 현장에서의 경험과 소통을 통해 구성된 의미들을 새로운 통찰과 해석으로 보여줄 수 있는 질적사례연구를 활용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동일하게 조선족 이주노동자였지만 자신들만의 독특한 삶의 경험을 통해 서로 다른 인권의 의미를 구성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조선족 이주노동자들의 보편적 인권 보장 뿐 아니라 특수한 각 개인의 삶의 실제적인 인권 개선 및 향상을 위한 실용적인 지향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rough their own voices the human rights and meanings formed in the concrete life of the Korean Chinese immigrant workers while they undergo the complex difficulties of dual vulnerabilities as foreigners staying in the foreign country and as laborers in the employment relationships. To achieve this purpose, the qualitative case study was utilized, which can show with a new insight and interpretation the meanings formed through the experiences and communication in the actual field of life.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the same Korean Chinese immigrant workers but they were forming the meanings of the human rights that were different from one another through their own unique experiences of life. Through this, this researcher presented the implications of social welfare practice not only for the guarantee of the universal human rights of the Korean Chinese immigrant workers but also for the improvement and enhancement of the practical human rights of the specific life of each individual.

      • KCI등재

        전사(戰士)형 여성상으로 본 1950년대 북한연극의 젠더체계 - <탄광사람들>(1951)을 중심으로

        전지니 ( Jun Jeenee ) 한국연극학회 2018 한국연극학 Vol.1 No.68

        본고는 한국전쟁 발발 이후 여성 영웅이 발견되는 과정과 함께 드물게 여성 주인공이 전경화된 한봉식의 <탄광사람들>(1951)을 중심으로 전쟁기 북한의 젠더 전략이 작품 내에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를 규명한다. <탄광사람들>은 기술자에서 빨치산으로 거듭나는 여성 주인공과 인민의 연대기를 다룬 희곡으로, 드물게 여성을 전면에 내세웠다는 점에서 북한의 젠더정치 방식이 문학적으로 극화되는 양상을 살펴보기 적합하다. 그런데 여성의 몸은 숭고한 희생제의의 핵심요소가 되며, 성고문은 여성이 영웅으로 격상되는 결정적 과정이 된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극 중 여성 주인공은 여성과 남성이 다를 바가 없다고 재차 강조하고 남편은 그녀를 전우로서 존경한다고 말하지만, 그녀의 성별은 고문을 당할 때, 그리고 숭고한 죽음을 맞을 때 차별화된 극적 효과를 만들어낸다. 그런데 여성 인물의 수난사와 타락상을 체현하는 여성 인물/여배우의 몸은 무대 위에서 적군과 결부될 때 적개심을 고취하는 대신 에로틱한 인상만을 남길 수 있다는 점에서 문제시됐다. 연극을 본 김일성이 이 같은 문제를 지적함에 따라 연극은 ‘자연주의적’ 요소가 짙다는 비판을 받았으며, 여주인공이 고문당하는 장면은 수정하는 작업을 거쳤다. 여기서 <탄광사람들>과 관련한 논란은 사회주의 체제하에서 여성이 헤게모니적 남성성을 획득하기 위해 사용해야 하는 전략과 더불어 당대 사회에 깔려있는 이중적 성의식을 드러내기도 한다. 곧 여성이 여성성을 탈피할 때 영웅으로 격상될 수 있지만, 민족의 수난사를 보여주기 위해 여성으로서 겪어야 하는 육체적 수난 또한 반복적으로 강조하는 방식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This study closely examines how North Korea's gender strategy in the period of war is being embodied within the work focusing on < Coal-mining People >, which is the theater that the female hero is fore-grounded, along with the process that a heroine is found following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 Coal-mining People > is being addressed the chronicle in the heroine and the people who act as a partisan from a technician. By the way, there is a need to note that a woman's body becomes the key element of a sublime sacrifice rite, and that the sex torture becomes the crucial process that a woman is upgraded to a hero. The controversy related to < Coal-mining People > here discloses a double sexual opinion, which is rooted in the contemporary society, together with the strategy that a woman under the socialist system needs to use in order to acquire hegemonic masculinity. That is to say, a woman may be promoted to a hero when breaking from femininity. Yet it is being shown a method of being repetitively emphasized even the physical ordeal that needs to be suffered as a woman in order to show the history of national ordeals.

      • KCI등재

        희곡 <조국은 부른다>(1952)의 개작 양상을 통해 본 유치진의 1950년대

        전지니 ( Jun Jeenee ) 한국연극학회 2017 한국연극학 Vol.1 No.64

        본고는 전쟁 중 후방에서 발표된 희곡 <조국은 부른다>의 개작 과정을 검토하면서, 총 세 가지 판본을 통해 극작가 유치진의 1950년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쟁이 발발하고 휴전이 성립된 후 반공주의에 입각한 사상전(思想戰)이 전개되는 과정에서, 유치진은 <조국은 부른다>의 결말을 계속 새롭게 써내려갔다. 이상의 개작 과정은 시대 상황과 긴밀히 조응하고 있었던 것이라는 점에서, 특히 초판본의 경우 전쟁기 프로파간다 연극의 특성을 고스란히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논의될 필요가 있다. <조국은 부른다> 초판본은 전쟁 기간 공보처의 국민 통제 논리와 피난 후 부산에서 새로운 활동 거점을 마련했던 유치진의 반공·계몽주의가 공명한 작품이었다. 여기서 전선과 총후의 관련성을 강조하며 관객-독자를 각성시키겠다는 의도는 자결과 살인이라는 극단적인 설정이 난무하는 결말을 통해 부각되고 있다. 반면 휴전 직후 발표된 1차 개작본의 경우, 서울 환도 이후 재건을 위한 통합으로 나아가는 과정에서 악인은 급작스럽게 회개하고 극은 대화합으로 마무리된다. 또한 유치진과 공생하던 이승만 정권의 붕괴 직전 발표된 2차 개작본에 이르면, 초판본의 과도한 흥분 상태, 1차 개작본의 급작스러운 해피엔딩이 모두 삭제되고, 극은 병사가 마음을 다잡고 전선으로 나아가는 것으로 마무리된다. 이상 세 가지 판본은 각각 전쟁 중 후방에 대한 문제의식, 전후 복구의 사명, 국민 재통합이라는 시대적 사명감을 반영하고 있다. 그런데 각판본의 결말은 달라졌을지라도, 병사는 여전히 과도한 흥분 상태에서 등장인물 중 홀로 국민 통합을 부르짖는다. 작가가 여전히 계몽적 위치에서 국민-관객의 각성을 요구하는 한, 결말을 다시 써도 극의 기저를 이루는 교조주의는 변하지 않았다. 이처럼 <조국은 부른다>의 개작 과정은 반공의 기수이자 당대 문화 정책을 선도하는 연극인으로서, 냉전 지형의 중심에 홀로 서고자 했던 유치진이 살아간 1950년대의 일면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laywriter Yu Chi-jin's 1950s through totally three versions while inquiring into the process of adapting the play titled < The Fatherland Calls > that was released in the rear during the war. In the process of being developed the ideological warfare(思想戰) based on anti-communism after the outbreak of war followed by armistice completion, Yu Chi-jin continued to newly write the conclusion of < The Fatherland Calls > down. The first edition titled < The Fatherland Calls > was a work, which was resonated by the national control logic in the Bureau of Public Information during the war and by anti-communism and enlightenment in Yu Chi-jin who had arranged a foothold of new activity in Busan after the evacuation. A will to arouse audience-reader with emphasizing a relationship between the front line(戰線) and the rear(銃後) here is being magnified through the ending of being rampant in the extreme settings dubbed suicide and murder.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the primary adapted version that was announced right after armistice, the process of advancing to integration for reconstruction after returning to the capital Seoul leads to what a bad man suddenly repents and to what the play is finished with national unity. Also, entering the secondary adapted version, which was released right before the collapse of the Syngman Rhee government that had coexisted with Yu Chi-jin, leads to being deleted both the excessively excited condition in the first edition and the suddenly happy ending in the primary adapted version, and to being finished by which a soldier goes up the line with staying calm. Three editions in the above are reflecting, respectively, a critical mind of the rear during the war, a mission of restoration after the war, and a historical sense of duty called the national reintegration. By the way, a soldier still cries for national integration alone in the excessively excited state among the characters even if a conclusion in each text came to be different. As far as a writer still demands the awakening of people and audience in the enlightened position, the doctrinairism, which forms the base of a play, did not change even if ending is written again. In this way, the process of adapting < The Fatherland Calls > needs to be noted in a regard of showing one aspect of the 1950s that Yu Chi-jin, who had aimed to stand alone in the center of the cold-war terrain as a flag bearer of anti-communist and as a theatre practitioner of leading the contemporary cultural policy, had proceeded with living.

      • KCI등재

        해방기 역사소재 대중극 연구 -김춘광, 박로아의 희곡을 중심으로-

        전지니 ( Jee Nee Jun ) 한국연극학회 2011 한국연극학 Vol.1 No.44

        The play in the era of liberation started to put an end of the play in the colonial period. However, melodramatic elements in the propaganda is still ongoing. Melodramatic elements were used to ensure the popularity of the play in the era of liberation, and this thesis focuses on the historical Drama in the era of liberation. Playwrights chose historical topic which are familiar with historical materials to increase the intimacy of the audience. This study analyzes the play of Kim, Chun-Gwang and Park, No-ah who appealed to the public because of more active entertaining elements than historical research on the history. By analyzing their works, this thesis investigates aesthetic aspects of the public drama on the basis of history which has been devalued. In the main body, we check the characteristics of the public drama on the basis of history to point out the pattern of choosing materials and reconstitution of history which were shown in the play of two playwrights. Chapter 3 examines the aspects patriotic heroes in the Yi Dynasty or colonial-era were recalled to instill national consciousness of the public in the era of liberation. Both of them tried to inspire pride to the audience to dramatize the history of resistance. We have to note that Kim, Chun-gwang, popular drama writer, tried to reproduce realistic representation. And, Park, No-ah, left-wing writer who criticized shinpa drama(新派劇), tried to pursue interest based on spectacle. Chapter 4 examines the pattern of history which were reconstituted based on commercial success. New history was realized on the play of Kim and Park to feed off the popularity without having obsession to history. Therefore, the plays written by Kim and Park could achieve popularity due to national code and melodramatic elements despite of unfavorable evaluation by critics. It reveals obvious limitations in terms of contents and completeness, however imagination about history and practical use about entertainment elements could meet contemporary desire of audiences. It is possible to point out the aesthetics of drama on the basis of history through it.

      • KCI등재
      • KCI등재

        탈냉전시대 포로수용소 영화 연구 : <흑수선>(2001), <스윙키즈>(2018)를 중심으로

        전지니(Jun, Jeenee) 구보학회 2021 구보학보 Vol.- No.29

        본고는 한국전쟁 이후부터 오늘날까지 포로수용소를 다룬 영화에 대해 짚어보며, 2000년대 이후 탈냉전시기의 한국영화가 전쟁과 반공, 그리고 냉전 구도를 사유하는 방식이 과거와 어떻게 차별화되는지 논의한다. ‘한국형 블록버스터’ <흑수선>(2001)과 <스윙키즈>(2018)의 경우, 제작 시기는 다르지만 한국전쟁 당시를 배경으로 하고 있으며, 현재와 과거를 오가며 수용소 안에서 벌어지는 이념의 투쟁 양상을 전경화한다는 점에서 공통분모를 갖는다. 2000년대 이전까지 포로수용소를 배경으로 한 영화는 당국의 정책적 방향과 밀접한 관련성을 지니고 있었으며, 국방부로부터의 협조와 후원을 받았다. 반면 <흑수선>은 이념의 문제 대신 멜로와 미스터리를 전경화하고, <스윙키즈>는 휴먼코미디를 표방하며 수용소 내에서 빚어지는 다양한 갈등을 소재로 삼는다. 대중성을 강화한 두 영화는 포로수용소 내 스펙터클을 강화하면서 장르의 혼종을 도모하고, 상대적으로 이념 문제로부터 자유롭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그러나 스크린으로 옮겨진 1952년 포로수용소 내의 열전(熱戰)은 지금 현재의 관객에게 큰 감흥을 주지 못하며 흥행에 실패했다. 그렇다면 탈냉전시대 포로수용소 영화의 대중적 실패가 시사하는 바는 무엇인가. 본고는 포로수용소 영화의 계보를 살피며 이상의 문제를 규명하고자 한다. This paper analyzes Korean movies that have addressed “POW Camp” up to this day since the Korean War, and discusses about how the Korean film during the post-cold war period is differentiated a method of thinking the war, the anti-communism and the cold-war structure from the past. The Last Witness(黑繡扇)(2001) and Swing Kids(2018) of corresponding to ‘Korean-style’ blockbuster are different in the period of production, but are being set at the time of the Korean war. There is a common denominator with regard to foregrounding the ideological struggle that takes place in a camp with going back and forth between the present and the past. A movie based on POW camp until before the 2000s had possessed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national policy of the authorities and was cooperated and sponsored by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On the other hand, The Last Witness foregrounds melodrama and mystery instead of the ideology matter. Swing Kids has a material as various conflicts arising within a camp with standing for the human comedy. Two movies, which strengthened popularity, are enough to be noted in terms of stepping up spectacle within POW camp, of promoting hybrid in genre and of freeing from the ideology issue. Nevertheless, a fierce fight(熱戰) within a camp in 1952, which was moved to the screen, ended in a box office failure while not giving an impression to the current audience very much. If so, what is an implication of a public failure in the movies of POW camp in the post-cold war period?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genealogy of the prison-camp films and to find out the problem which mentioned above.

      • KCI등재

        학원물과 재난물의 조우, ‘학원재난’ 웹툰의 스토리텔링 연구

        전지니(Jun, Jee-Nee) 우리문학회 2018 우리文學硏究 Vol.0 No.60

        본고는 학원물과 재난물이 결합된 ‘학원재난’ 웹툰 <방과 후 전쟁활동>(2012~13)과 <유쾌한 왕따>(2014~16)를 통해 재난 소재 웹툰의 스토리텔링 방식을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재난은 2010년을 전후해서 10~20대가 주소비자층인 웹툰의 주요 소재로 등장했으며, 언급한 두 작품은 학교를 배경으로 원인 모를 재난에 직면한 후 아이들 사이에서 형성되는 혐오와 연대 감정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특히 두 작품은 ‘N포 세대’의 좌절감에 입각한 ‘헬조선’ 담론과 맞물려 있으며, 과도한 경쟁과 비가시적인 폭력에 입각해 있는 국가의 통치 방식에 대해 질문을 던진다는 점에서 주목할 수 있다. 본고는 최근 웹툰의 흐름을 창작자 그리고 독자의 시국 인식과 관련지어 읽으며, 청소년 주인공과 ‘학원재난물’이라는 특징이 작품 속에서 어떠한 의미망을 형성하는지 모색할 것이다. 이를 위해 웹툰 속에 구현된 포스트 아포칼립스의 양상, 그리고 청소년이 재난에 대처하는 방식 등을 살펴본다. 이어 웹툰이 재난을 반복적으로 형상화하는 것의 의미 및 두 웹툰의 성취와 한계를 동시에 성찰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a method of disaster storytelling in webtoon through <War Activity After School>(2012~13) and <Pleasant Bullying (Wangtta)>(2014~16). It relates to a “school disaster” webtoon with the combination of a school movie and a disaster movie. Disaster has emerged as a major webtoon theme whose main consumers were those in their 10s and 20s before and after the year 2010. The two works mentioned focus on the emotions of hatred and solidarity among children who faced disaster of an unknown cause in an academic context. The two works are especially interlinked through a discourse of “Hell Joseon” based on a sense of frustration in “N-po Generation(N抛世代).” It is noticeable in the questioning of the nation’s governing style, which is based on excessive competition and invisible violence. Here, a recent flow of webtoon is studied in relation to understanding a situation involving creators and readers. The semantic network is researched in a work comprising an adolescent hero and a characteristic dubbed the so-called “school disaster movie.” To this end, the study examines the post-apocalypse aspect implemented in webtoon, which is a method used by adolescents to cope with disaster. Subsequently, it will introspect the perception that webtoon repetitively embodies disaster, together with the achievements and limits of the two webtoons played in combination.

      • KCI등재

        해방기 희곡의 심상지리 연구

        전지니 ( Jun Jee-nee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1 국제어문 Vol.51 No.-

        새로운 정치가 시작됐지만 식민 통치의 유산이 지속됐던, 가능성과 불가능성에 대한 전망이 동시에 자리잡고 있던 시기였다. 해방기에는 정치적으로 첨예한 대립구도가 전개되고, 그 선전효과가 중시되면서 연극이 양적으로 팽창하게 되는데, 본고는 냉전질서가 세계를 재편하고 조선에서도 국제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던 이 시기에 주목한다. 그리고 당대 희곡의 심상지리를 규명함으로써 그 내적구조를 해명하고자 한다. 2장에서는 정범수, 오영진, 유치진 희곡에 나타난 냉전오리엔탈리즘과 이념대결구도를 분석한다. 또한 3장에서는 이같은 식민주의적 심상지리로부터 거리를 두는, 드물게나마 균형을 견지하고 남북한을 점령한 제국를 비판하는 텍스트들을 읽어 본다. 이상의 텍스트 분석을 통해, 독립과 식민지배 사이에 놓여있던 해방기 희곡들의 식민성과 탈식민성을 동시에 짚어내고자 한다. 이처럼 국제정세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는 시기에 극작가들의 지리적 상상력을 읽어냄으로써, 당대 희곡의 의의와 한계를 가감없이 고찰할 수 있을 것이다. The new politics were began during the era of liberation, however the vestiges of colonial rule were endured and prospect of possibilities and limits were inherent at the same time in this period. The number of plays were increased due to its propaganda effect in this term when left and right wing were in sharp disagreement over the establishment of nation. Therefore, this thesis aims to analyze play`s structure through investigating imaginative geography in the era of liberation when the cold war system reorganized world after second world war and people`s interest in international affairs had increased in Joseon. Political and cultural elites predicted `new war-the third world war` and relocated geographical location of Korean peninsula from periphery to center of the world in this period. Imaginative geography is used as the notion `geographical location that establish boundary of `we` and `others` tied with national identity by author` and this thesis investigates mobilization and deviation from the cold war system which new empire produced. This thesis shows play`s coloniality and postcoloniality simultaneously through analyzing text`s dual aspects which were located between independence and colonial rule. Significance and limitation of plays in the Era of Liberation could be figured out without making any adjustments by investigating playwright`s geographical imagination at the time as interests on international affairs have increased significantly. Furthermore, it can be possible to find out aspects of drawing maps through this study after 50`s when cold war system were became perman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