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BL 문제 개발과정에 대한 사례연구

        장정아(Jang Jeong-A) 한국열린교육학회 2006 열린교육연구 Vol.14 No.1

        문제기반학습(Problem based Learning : PBL)에 대한 관심과 실천이 증가하면서 자연스럽게 PBL 문제 개발과정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PBL을 위한 문제 개발과정을 제시하기 위해 PBL 문제개발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검토하고, PBL 실천과 문제개발에 있어 경력교수자와 초보교수자의 문제 개발과정을 사례연구를 통해 비교하였다. 사례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PBL 경험이 많은 경력교수자는 문제개발을 위해 1) 자신의 경험과 현재 수행하고 있는 일에서 문제의 기본틀을 마련하고, 2) 문제의 기본틀을 PBL 문제가 요구하는 형식을 갖추어 시나리오로 작성하고, 3) 완성된 PBL 문제가 PBL 문제의 조건에 부합하는지 검토하였다. 경력교수자는 한 학기 PBL 강좌에 필요한 문제를 개강 전 모두 개발하지 않고, 학습자들의 문제해결과정을 지켜보면서 이의 결과와 실제적 요구를 반영하여 필요한 문제를 수정ㆍ개발하였다. 한편, PBL 경험이 없는 초보 교수자는 문제를 개발하기 위해서 1) 교재를 선정하고, 선정한 교재의 단원을 분석ㆍ통합하여 문제의 기본틀을 마련하고, 2) 이미 개발된 PBL 문제를 참고하여 PBL 문제의 시나리오를 작성하고, 3) 작성된 문제 시나리오를 전문가에게 보여 검토받고, 4) 전문가 의견을 반영하여 문제를 수정 보완하는 과정을 나타내었으며, 한 학기 PBL 강좌에 필요한 문제를 개강 전에 대부분 모두 개발하였고, PBL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이미 개발한 문제를 수정ㆍ보완한다는 점에서 새롭게 문제를 개발한 경력교수자와 차이를 보였다. PBL 경력교수자와 초보교수자는 문제 개발과정은 PBL 문제 개발과정이 한 강좌의 속성과 그 강좌에서 다루는 주제의 실제성을 파악하는 과정이며, 동시에 PBL 과정에서 문제를 해결하는 학습자들에 대한 충분한 분석과 문제와 관련된 실제적 분석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는 과정이라는 공통점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교수자의 경험 정도에 따라 PBL 문제개발에 대한 부담감과 거치는 과정이 다르다는 점에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처음 PBL 실행을 위해 문제를 개발해야 하는 교수자에게 문제 개발과정에 대한 안내를 제공한다. Problem Based Leaning(PBL) is an effective educational method. PBL means a problembased, learner-centered learning environment. PBL presents an authentic problem first, Then, throughout the whole compulsory process of solving the problem, learners collaboratively acquire and learn the core knowledge and the experts" problem solving skills. PBL method may seem intuitive and even unstructured because a problem is in nature unstructured and authentic. However, with a closer look at the PBL, it is carefully designed and highly structured. Therefore, if it is poorly and incompletely designed, PBL can be a frustrating and exhausting experience for students and faculty members. Well designed PBL can be a exhilarating and rewarding experience for both of them. A critical aspect of problem-based learning(PBL) is the actual design of the problem to be solved. However, many faculties may believe that it is difficult to design PBL problem.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how to design problem of PBL. A literature review and a qualitative case study were performed to achieve the goal. Especially,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differences in the processes of problem design of expert and novice in PBL. The overall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xpert instructor did the following steps to design PBL problem ; 1) collecting data -any magazines or newspaper articles, documentaries, news reports, books, movies, and so on, 2) writing a rough draft PBL problem scenario based on collected data, 3) revising a PBL problem scenario or developing a new PBL problem based on analysis data about learners" needs, learners" problem solving products, instructor"s work as a SME, and authentic needs. Second, novice instructor did the following steps to design PBL problem ; 1) conducting content analysis and searching proper context, 2) writing a rough draft PBL problem scenario based on collected data, problem samples, and characteristics of PBL Problem, 3) revising a PBL problem scenario through expert"s reviewing, 4) complementing PBL problems based on data analyzed learners" needs, learners" problem solving products, and authentic needs during implementing PBL. This study showed how instructor designed PBL problems. The result should be the base of formulation of process of PBL problem design.

      • 교통DB와 다변량 분석기법을 활용한 교통사고 분석

        장정아(Jang, Jeong-A),장일준(Chang, Il-Joon),최기주 대한교통학회 2004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46 No.-

        1990년 이후 자동차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그에 대응하는 도로 및 교통시설 환경의 개선이 급증하는 자동차 증가에 뒤따르지 못하고 도로의 혼잡, 주차 난 그리고 교통공해의 증가 등의 여러 가지 교통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교통문제 중 가장 물적/인적 손실이 크게 가져오는 것이 바로 교통사고문제이다. 이러한 교통사고의 원인으로는 인적요인, 차량결함, 도로환경의 결함(도로구조 및 주변시설) 등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교통사고는 이들 요인이 단독으로 발생하기보다는 대부분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게 된다. 이중 도로 관리자에게 주된 관심이 되는 것으로 도로 환경적 조건이 교통사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어떠한 조치를 먼저 취하게 되는 투자우선순위문제가 중요한 의사결정과정이 된다.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의 덕 개념과 덕 형성 과정에 대한 연구

        장정아 ( Jeong A Jang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6 윤리교육연구 Vol.0 No.40

        아리스토텔레스 윤리학의 본질은 덕이 무엇인지를 아는 것이 아니라 덕스러운 품성을 인간 내면에 형성해 내는 것이다. 본 연구자 역시 덕 혹은 윤리학의 본질은 사람들에게 얼마나 많은 도덕적 지식을 가지게 하느냐의 문제가 아니라 행위자가 덕스러운 품성을 가지고 이를 통해 현실에서 얼마나 도덕적 행위들을 실천해 낼 수 있느냐의 문제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덕 형성의 과정을 연구해 보고자 한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덕 형성이란 프로네시스와 성품적 덕의 형성이다. 그런데 프로네시스와 성품적 덕 각각의 형성 과정을 살펴보면 이둘은 순환논증적 관계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왜냐하면 올바른 프로네시스가 형성되기 위해서는 성품적 덕이 필요하고 다시 올바른 성품적 덕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프로네시스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아리스토텔레스에 따르면 프로네시스와 덕은 본성적으로 생겨나는 것이 아니다. 그렇다면 아직 덕스러운 품성이나 프로네시스와 같은 이성적 능력이 전혀 없는 사람 예를 들면 어린아이는 이러한 순환논증에 따르는 덕 형성의 과정으로는 진입 자체가 불가능 해 진다.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의 덕 형성 과정에서 보이는 이러한 순환논증적 애매함은 덕 형성 과정의 시작점을 발견함으로써 해결 가능하다. 왜냐하면 덕 형성 과정으로 들어가는 혹은 덕 형성이 시작되는 그 지점이 밝혀진다면 그것을 기점으로 덕 형성의 과정 역시 시작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필자는 덕 형성의 시작점을 ‘교육을 통한 올바른 감정 상태의 계발’이라고 생각한다. The essence of Aristotelian ethics is not knowing what virtue is but forming virtuous characteristics in the inner being of humans. The present researcher also believes that the essence of ethics or virtue is not having a lot of moral knowledge but having virtuous characteristics and practicing virtuous acts in the real life. Thus, this study analyzed the process of virtue formation suggested by Aristotle. Aristotelian virtue formation is attainable through the formation of phronesis and the formation of ethical virtue. When we examine the formation process of each of phronesis and ethical virtue, we can find that the two are in the relationship of cyclical argument with each other. It is because ethical virtue is required for the formation of upright phronesis, and again phronesis is required for the formation of upright ethical virtue. According to Aristotle, phronesis and virtue do not happen naturally. If this is the case, it is impossible for those without any rational abilities such as virtuous characteristic or phronesis, for example, children to enter into the process of virtue formation. This ambiguity of cyclical argument observed in Aristotelian the process of virtue formation can be overcome by finding the starting point of the process of virtue formation. It is because if the starting point through which one enters into the process of virtue formation or from which one initiates virtue formation is found, the process of virtue formation will commence from that point. Thus, the author argues that the starting point of virtue formation is ``the development of upright emotion through education.``

      • 텔레매틱스 참조모델에 관한 연구

        장정아 ( Jeong-a Jang ),김경호 ( Kyong-ho Kim ),한은영 ( Eun-young Han ),최혜옥 ( Hae-ock Choi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1 No.2

        최근 다양한 분야의 기반기술이 융합된 형태의 서비스로 텔레매틱스와 관련한 기술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한 기술표준화도 활발히 추진 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텔레매틱스 기술 표준화를 위한 기술 프레임워크인 텔레매틱스 참조모델에 대한 개념과 구성요소를 살펴보고 있다. 텔레매틱스 참조모델에서는 텔레매틱스의 주요 구성요소로 텔레매틱스 클라이언트, 통신망 그리고 텔레매틱스 서버 부문으로 구성요소를 분류하였다. 텔레매틱스 클라이언트는 통합측위장치, 차량장치, 텔레매틱스 단말의 세가지로 구성된다. 텔레매틱스 통신망은 다양한 통신 인프라(CDMA, WLAN, DMB, WiBro 등)의 Seamless 통신이 지원이 가능해야 한다. 텔레매틱스 서버는 텔레매틱스 서비스 제공을 위한 TSP 서버와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위한 컨텐츠 정보를 수집-가공-제공하는 CP 서버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 결과는 향후 텔레매틱스 기술 개발 및 표준 추진의 제반 아키텍쳐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 KCI등재
      • 고정형 USN 교통센서를 활용한 신호교차로용 위험차량 판단기법 연구

        장정아(Jang, Jeong-A),최정단(Choe, Jeong-Dan),문영준(Mun, Yeong-Jun),장병태 대한교통학회 2008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59 No.-

        신호교차로는 신호등이 있어 교차로에 진입하는 차량이 신호(적색, 황색, 녹색)에 따라 차량의 통행우선권을 할당하여 교통류를 제어하는 도로 구간이다. 녹색표시는 교통류를 합법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황색표시는 녹색표시에서 적색표시로 바뀌는 경과시간에 사용된다. 적색표시는 차량이 진행해서는 안 된다. 이러한 법적 구속력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대다수의 교통사고는 신호위반으로 인하여 발생이 되고 특히 교통량이 적은 새벽에 발생할 경우는 치사율이 매우 높으며, 교통량이 많은 시간대는 황색신호나 딜레마구간으로 인한 측면사고와 차량출발에 따른 연속차량의 후면추돌 사고의 수가 높은 상황이다. 이에 최근에는 적색표시에 신호를 위반할 경우 단속카메라를 설치하여 안전의식을 높이고 교통사고를 줄이고자 하는 시스템들이 설치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