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위피 기반 LBS 단말 표준 플랫폼 개발

        장정아,최혜옥,김경호,Jang, Jeong-Ah,Choi, Hai-Ock,Kim, Kyong-Ho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 정보처리학회논문지 A Vol.14 No.5

        본 고에서는 최근 기술 개발되고 있는 위피 기반 LBS 단말 표준 플랫폼에 대하여 소개하고 있다. 위피 기반 LBS 단말 플랫폼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탑재되어 응용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모바일 표준 플랫폼 규격에서 위치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API 이다. 이러한 위피 기반 LBS 단말 표준 플랫폼은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처리할 수 있도록 단말 HAL API, 위피 C API, Java API 의 세가지 규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중 HAL 부문과 C 부문은 Generic I/O 기반으로 개발 정의하였고, 이에 대하여서는 본 고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러한 표준 플랫폼을 통해 위치정보기반 컨텐츠의 활용, 모바일 단말기 개발자에게 위치정보의 활용할 수 있는 표준화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This paper describes the LBS Terminal Standard Platform based on WIPI. The LBS Terminal Standard Platform based on WIPI is API for obtaining the location information in the mobile standard platform providing the environment which is mount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and can platform an application. The mobile Platform consists of HAL API, C API and Java API that it is able to process Location Information data among wireless network. It is defined and developed at the HAL sections and C sections based on Generic I/O, and It describes in details in this paper. This standard Platform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the base specification in developing the LBS Terminal development technology and standard method to LBS application developers.

      • KCI등재

        모바일 긴급서비스 프로토콜 연구

        장정아,최혜옥,최완식,Jang Jeong-Ah,Choi Hae-Ock,Choi Wan-Sik 한국통신학회 2006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1 No.3b

        유선 전화에 의한 119, 112 등의 긴급서비스는 KT의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구조서비스 요청자의 위치를 즉시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이동전화에 의한 119, 112 긴급구조서비스 요청 시 이동전화의 위치를 이동통신망에서 제공받아야 한다. 본 연구는 모바일 긴급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망에서의 위치정보 제공을 위한 프로토콜에 대한 것으로, 국내외 무선긴급구조서비스 기술, 제도, 관련 연구 현황을 조사하고, TIA/EIA/J-STD-036-A을 기반으로 국내 이동통신망 환경에 적합한 기술규격을 제시하였다. 무선긴급서비스는 무선긴급구조서비스와 무선긴급경계서비스로 구분할 수 있다. 무선긴급구조서비스를 위한 네트워크 표준 참조모델은 국내 표준으로 제정되어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무신긴급구조서비스 참조 모델의 각 모듈간 세부 인터페이스를 정의하고 시나리오와 메시지, 메시지 흐름을 정의하였다. 또한 무선긴급경계서비스를 위한 네트워크 참조모델을 제시하고, 구성요소간의 메시지 흐름 및 메시지 규격에 대하여 정의하였다. The location information of wired 112, 119 emergency call is provided immediately by subscriber database of KT. But emergency call made by mobile phone should be ask location information to mobile network. This paper proposes the network protocol for mobile emergency service refer to TIA/EIA/J-STD-036-A with reviews about technical issues, legacy factors and related researches. The mobile emergency service is divided to mobile emergency rescue service and mobile emergency alert service. The network reference model for mobile emergency rescue service is released in domestic sector. In this paper, the interfaces between modules of the network reference model, and service scenarios, message flows are defined. Supplement to mobile emergency rescue service, the network reference model, interfaces and message flows for mobile emergency alert service are developed.

      • 교통DB와 다변량 분석기법을 활용한 교통사고 분석

        장정아(Jang, Jeong-A),장일준(Chang, Il-Joon),최기주 대한교통학회 2004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46 No.-

        1990년 이후 자동차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그에 대응하는 도로 및 교통시설 환경의 개선이 급증하는 자동차 증가에 뒤따르지 못하고 도로의 혼잡, 주차 난 그리고 교통공해의 증가 등의 여러 가지 교통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교통문제 중 가장 물적/인적 손실이 크게 가져오는 것이 바로 교통사고문제이다. 이러한 교통사고의 원인으로는 인적요인, 차량결함, 도로환경의 결함(도로구조 및 주변시설) 등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교통사고는 이들 요인이 단독으로 발생하기보다는 대부분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게 된다. 이중 도로 관리자에게 주된 관심이 되는 것으로 도로 환경적 조건이 교통사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어떠한 조치를 먼저 취하게 되는 투자우선순위문제가 중요한 의사결정과정이 된다.

      • 텔레매틱스 참조모델에 관한 연구

        장정아 ( Jeong-a Jang ),김경호 ( Kyong-ho Kim ),한은영 ( Eun-young Han ),최혜옥 ( Hae-ock Choi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1 No.2

        최근 다양한 분야의 기반기술이 융합된 형태의 서비스로 텔레매틱스와 관련한 기술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한 기술표준화도 활발히 추진 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텔레매틱스 기술 표준화를 위한 기술 프레임워크인 텔레매틱스 참조모델에 대한 개념과 구성요소를 살펴보고 있다. 텔레매틱스 참조모델에서는 텔레매틱스의 주요 구성요소로 텔레매틱스 클라이언트, 통신망 그리고 텔레매틱스 서버 부문으로 구성요소를 분류하였다. 텔레매틱스 클라이언트는 통합측위장치, 차량장치, 텔레매틱스 단말의 세가지로 구성된다. 텔레매틱스 통신망은 다양한 통신 인프라(CDMA, WLAN, DMB, WiBro 등)의 Seamless 통신이 지원이 가능해야 한다. 텔레매틱스 서버는 텔레매틱스 서비스 제공을 위한 TSP 서버와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위한 컨텐츠 정보를 수집-가공-제공하는 CP 서버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 결과는 향후 텔레매틱스 기술 개발 및 표준 추진의 제반 아키텍쳐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 컴퓨터 과학 교육 1 : 정보과학적 사고 기반의 퍼즐 교재 개발

        장정아 ( Jeong Ah Jang ),차승은 ( Seung Eun Cha ),이원규 ( Won Gyu Lee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09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3 No.1

        퍼즐의 교육적 효과가 입증됨에 따라 퍼즐의 교육적 활용 및 교재 연구가 확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 교과에서 제시하고 있는 문제해결능력과 사고력 기반의 교재 개발을 위해 퍼즐의 문제해결 과정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퍼즐의 분류가 이루어졌다. 그 첫 번째 단계에서는 가장 널리 알려진 퍼즐들을 선정하여 각 퍼즐의 문제해결과정을 분석하였으며 두 번째 단계에서는 정보과학적 사고를 기반으로 퍼즐들을 4개의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4개의 그룹은 알고리즘 퍼즐, 추론 퍼즐, 추상화 퍼즐, 창의력 퍼즐로서 Computational Thinking의 하위 사고 과정과 그 맥락을 같이 하고 있다. 마지막 단계에서 퍼즐 프로그램 설계모형과 학습 자료를 개발함으로서 정보과학적 사고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도구 및 방법에 대한 교재 개발의 새로운 기틀을 마련하는 데 기여했다는 점을 의의로 들 수 있다.

      • KCI등재

        PBL 문제 개발과정에 대한 사례연구

        장정아(Jang Jeong-A) 한국열린교육학회 2006 열린교육연구 Vol.14 No.1

        문제기반학습(Problem based Learning : PBL)에 대한 관심과 실천이 증가하면서 자연스럽게 PBL 문제 개발과정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PBL을 위한 문제 개발과정을 제시하기 위해 PBL 문제개발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검토하고, PBL 실천과 문제개발에 있어 경력교수자와 초보교수자의 문제 개발과정을 사례연구를 통해 비교하였다. 사례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PBL 경험이 많은 경력교수자는 문제개발을 위해 1) 자신의 경험과 현재 수행하고 있는 일에서 문제의 기본틀을 마련하고, 2) 문제의 기본틀을 PBL 문제가 요구하는 형식을 갖추어 시나리오로 작성하고, 3) 완성된 PBL 문제가 PBL 문제의 조건에 부합하는지 검토하였다. 경력교수자는 한 학기 PBL 강좌에 필요한 문제를 개강 전 모두 개발하지 않고, 학습자들의 문제해결과정을 지켜보면서 이의 결과와 실제적 요구를 반영하여 필요한 문제를 수정ㆍ개발하였다. 한편, PBL 경험이 없는 초보 교수자는 문제를 개발하기 위해서 1) 교재를 선정하고, 선정한 교재의 단원을 분석ㆍ통합하여 문제의 기본틀을 마련하고, 2) 이미 개발된 PBL 문제를 참고하여 PBL 문제의 시나리오를 작성하고, 3) 작성된 문제 시나리오를 전문가에게 보여 검토받고, 4) 전문가 의견을 반영하여 문제를 수정 보완하는 과정을 나타내었으며, 한 학기 PBL 강좌에 필요한 문제를 개강 전에 대부분 모두 개발하였고, PBL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이미 개발한 문제를 수정ㆍ보완한다는 점에서 새롭게 문제를 개발한 경력교수자와 차이를 보였다. PBL 경력교수자와 초보교수자는 문제 개발과정은 PBL 문제 개발과정이 한 강좌의 속성과 그 강좌에서 다루는 주제의 실제성을 파악하는 과정이며, 동시에 PBL 과정에서 문제를 해결하는 학습자들에 대한 충분한 분석과 문제와 관련된 실제적 분석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는 과정이라는 공통점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교수자의 경험 정도에 따라 PBL 문제개발에 대한 부담감과 거치는 과정이 다르다는 점에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처음 PBL 실행을 위해 문제를 개발해야 하는 교수자에게 문제 개발과정에 대한 안내를 제공한다. Problem Based Leaning(PBL) is an effective educational method. PBL means a problembased, learner-centered learning environment. PBL presents an authentic problem first, Then, throughout the whole compulsory process of solving the problem, learners collaboratively acquire and learn the core knowledge and the experts" problem solving skills. PBL method may seem intuitive and even unstructured because a problem is in nature unstructured and authentic. However, with a closer look at the PBL, it is carefully designed and highly structured. Therefore, if it is poorly and incompletely designed, PBL can be a frustrating and exhausting experience for students and faculty members. Well designed PBL can be a exhilarating and rewarding experience for both of them. A critical aspect of problem-based learning(PBL) is the actual design of the problem to be solved. However, many faculties may believe that it is difficult to design PBL problem.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how to design problem of PBL. A literature review and a qualitative case study were performed to achieve the goal. Especially,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differences in the processes of problem design of expert and novice in PBL. The overall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xpert instructor did the following steps to design PBL problem ; 1) collecting data -any magazines or newspaper articles, documentaries, news reports, books, movies, and so on, 2) writing a rough draft PBL problem scenario based on collected data, 3) revising a PBL problem scenario or developing a new PBL problem based on analysis data about learners" needs, learners" problem solving products, instructor"s work as a SME, and authentic needs. Second, novice instructor did the following steps to design PBL problem ; 1) conducting content analysis and searching proper context, 2) writing a rough draft PBL problem scenario based on collected data, problem samples, and characteristics of PBL Problem, 3) revising a PBL problem scenario through expert"s reviewing, 4) complementing PBL problems based on data analyzed learners" needs, learners" problem solving products, and authentic needs during implementing PBL. This study showed how instructor designed PBL problems. The result should be the base of formulation of process of PBL problem desig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