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中和’의 具現과 ‘中通人義’의 實現

        장재진(Jang, Jae-Jin)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2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33

        “Junghwagyeong 『中和經』” which was handed down by the founder of a new religion Kang Jeungsan in the Empire of Korea seems to have supplemented and reorganized Confucianism. Most of the studies on the new religion regarded Jeungsan’s thoughts as being Taoistic, the mixed principle of three religions including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based on the shamanistic prototype, or the integrated pluralistic principle around certain religions thoughts. The lack of academic approach from the perspective of Confucianism in studying Jeungsan’s thoughts is thought to have been attributed to the lack of cognition and research on “Junghwagyeong 『中和經』”. This study aims at identifying how Jeungsan succeeded to the ‘Junghwa(中和)” concept in “Jungyong” and accepted it through “Junghwagyeong” in an effort to consider the aspects in accepting Confucianism to develop the Hucheongaebyuk(後天開闢) thought through ‘Cheonjigongsa(天地公事)’. From the author’s perspective, Jeungsan seems to have oriented to an integrated religious pluralism as he evenly accepted three religions including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Among others, “Junghwagyeong” belongs to a representative literature that Jeungsan accepted, reorganized and systematized Confucianism. Jeungsan pointed out that Confucianism had been criticized due to negative elements and evil practices although it had been recognized for positive functions which had been demonstrated in the feudal society. Accordingly, he attempted to hand down righteous values and positive functions of Confucianism through “Junghwagyeong”. The ideal world which Jeungsan wanted to realize is a world where everyone can achieve ‘Jungtonginui(中通人義)’ and can be positioned as a universal existence. This is the ideal world where everyone can reach the world of ‘Chijunghwa(致中和)’. Jeungsan defined the ideal world as the coming world while defining the world like the feudal society system which was thought to be irrational as the preceding world. The preceding world is a world based on the structure of ‘Hado(河圖)’ and ‘Nakseo(洛書)’ where conflicts, irrationality, concoction and grudge were created. Jeungsan wanted to develop a new world through ‘Cheonjigongsa’ as ritual actions for plans to overcome it. This world is the ideal world to be developed by the righteous order. Jeungsan seems to have discovered norms and thoughts for a new world by reorganizing the values of Confucianism at the point when he looked forward to the modern times. Jeungsan’s direction as such can be said to have great significance in motivating the formation of a new order toward the future as well as solving problems confronting the mankind living in the modern times.

      • KCI등재

        近代期 甑山敎團의 經典에 나타난 日本認識 -『大巡典經』을 中心으로-

        장재진(Jang Jae-Jin) 대한일어일문학회 2021 일어일문학 Vol.91 No.-

        근대기에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新宗敎인 甑山宗團의 초기에 형성된 경전인『大巡典經』을 중심으로 豫言과 解寃의 관점에서 甑山의 日本에 대한 인식을 고찰해 보았다. 조선과 일본의 관계에 대해서 甑山은 두 민족 간에 오랫동안 지속해 온 怨과 恨의 고리를 풀어야 하는 것으로 보았다. 豫言의 관점과 解寃의 관점은 하나의 맥락으로 모두 ‘天地公事’라고 하는 종교적인 의례에 내재된 甑山의 사유와 유관하다. 彌勒의 化身임을 자처한 甑山은 일본에 대해서 부정과 긍정의 양극단적인 인식을 하지 않았다. 이미 전개된 歷史그리고 앞으로 다가올 미래의 상황에 대해서 解寃을 바탕으로 지나온 과거가 청산될 수 있음을 암시했다. 근대기라는 격동의 세계정세 상황과 조선이 처한 내적 외적인 위기를 고려한다면, 甑山의 일본에 대한 인식은 ‘코즈모폴리터니즘’에 기반 한 미래지향적 사유를 지녔다고 하겠다. 甑山의 公事는 日本에게 힘을 실어 주어 밀려오는 서양의 세력을 견제하게 하는 역할과 日本의 힘을 빼게 하여 조선의 독립과 세계질서의 재편을 진행한 것으로 믿어진다. 甑山의 입장에서는 이 두 가지 모두 미래의 이상세계 구현을 위한 架橋에 해당하는 것이다. 증산의 豫言은 미래를 미리 내다보는 정도의 것이나 神託을 통한 啓示의 성격이 아니다. 彌勒의 化身을 자처한 자신이 역사적으로 얽혀있는 怨恨의 고리를 푸는 ‘解寃’이라는 의례를 통해서 ‘報恩’을 하고 다시 ‘報恩’을 통한 ‘相生’의 세상을 이루고자 하는 待望이 함의된 豫言이다. 따라서 甑山의 思想을 民族主義나 國家主義의 차원에서 접근하고자 한다면 이해하기 힘들 것이다. 다만 解寃이 함의된 豫言을 통해서 그가 제시하고자 한 解寃相生의 사상을 고찰하고, 한일관계를 넘어서 人類普遍의 실천과제로 삼을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Several types of new religions emerged in modern Korea. Among them, this paper examined Jeungsan"s perception of Japan through the Daesun Sutra, which is the earliest scripture of the Jeungsan Order. Jeungsan thought that the long-standing resentment between Joseon and Japan should be resolved. The viewpoint of prophecy and the viewpoint of Haewon(resolving one"s deep sorrow and grudge: 解冤) are related to the key thoughts of Jeung-san(甑山), which are inherent in the religious ritual called "Cheonji-Gongsa(work of recreation for heaven and earth:天地公事)" in one context. Jeung-san(甑山), the self-proclaimed reincarnation of Maitreya(彌勒), did not have extremely negative nor positive perceptions of Japan. He though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would improve based on the notion of Haewon(解冤). Considering the turbulent world situation of the modern era and the internal and external crises that Joseon was facing, it can be said that Jeung-san(甑山) had a future-oriented thinking about Joseon and Japan based on "Cosmopolitanism". Jeungsan"s prophecy amounted to foreseeing the future, though it did not have the characteristic of divine revelation through oracle. The prophecy of Jeungsan is to practice Bo-un (returning the favor: 報恩) through the ritual of Hae-won (resolving old grudges: 解寃). And again, through Bo-un (報恩), he wants to achieve the world of Sang-saeng (live and let live: 相生). Therefore, it will be difficult to understand if you are trying to approach the thought of Jeung-san(甑山) in terms of nationalism. However, it is necessary to appreciate the idea of Haewon Sangsaeng(解寃相生) in the context of the prophecy in which Hae-won (解寃) is implied. In addition, it is hoped that this thought will present an opportunity to go beyond the current Korea-Japan relations and set the thoughts as a universal rule for practice.

      • KCI등재

        가야불교문화 연구, 역사적 이미지와 현황

        장재진 ( Jang Jae-ji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8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3

        가야불교문화에 대한 관심과 이에 따른 논쟁은 진위여부를 불구하고라도 인문학과 사회과학의 연구방법 차이에 따른 인식의 상이성으로 인해 학자들간에 대립된 견해를 보이고 있다. ‘가야불교’라고 하는 실체가 무엇인지, 그리고 이와 관련성이 있다고 알려진 ‘허왕후’와 ‘아유타국’은 어떤 상관성과 진실을 담은 채 전승되어 왔는지가 지속적인 논의의 대상이 되어왔다. 가야불교전래의 유래를 찾는 과정에서 인도 공주의 고향으로 추측되는 ‘아유타국’과 인도의 공주라고 믿어지는 ‘허왕후’, 그리고 허왕후가 김해지역으로 올 때 함께 전래되었다고 믿어지는 ‘불교’는 문제해결의 관건이 된다고 하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문제는 학문하는 방법과 대상에 대한 접근방식의 차이로 인해서 공감대를 형성하기 어려운 상황이 되어 왔다. 이 논의는 바로 역사의 실체와 이미지로서의 역사에 대한 인식과 믿음의 차이에서 근거하는 것으로 보인다. 사실이라고 여겨지는 것들 중 진실인 것과 진실이 아닌 것이 있다. 에드워드 카(E.H. Carr)는 “역사란 과거 사실의 단순한 재현이 아니라 과거의 어떤 사건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해석, 평가하여 재구성할 때 확립되는 것이고, 역사란 현재와 과거의 끊임없는 대화”라고 말했다. 역사적인 사건을 논할 때 절대적인 객관성이란 있을 수 없다. 사실로 드러나서 보편성과 통일성을 지니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것들 중에서도 진실이 아닌 것들이 많다. 특히 종교나 사상 그리고 이념이 반영된 것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김수로왕과 허왕후의 전래설 그리고 고분벽화나 해항도시의 루트와 같은 다양한 통로를 통해서 가야불교문화에 대한 다층적인 접근이 가능하다. 그리고 신화나 설화 그리고 역사를 바라보는 다각적이고 다층적인 인식을 바탕으로 한 융·복합적인 방법론을 적용함으로써 숨겨진 베일을 드러낼 수도 있고, 새로운 해석을 통한 문화콘텐츠 제작의 근간이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종교인들에게 자기 종교의 과거사에 대한 인식은 더욱 숭고하고 신비스러운 역사이기를 바라는 마음이 간절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고대사 인식에서 발생하는 이미지로서의 역사보다도 더욱 심하게 역사적인 실체가 왜곡되는 상황이 야기되기도 한다. 자료가 부족한 역사일수록 더욱 이미지화의 강도가 심하게 드러난다. 실제로 존재한 것과 그렇게 보이도록 드러난 것, 현존과 현존하고자 하는 것 사이에는 현격한 차이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상에 대한 특정한 접근법과 이해방식을 통한 해석이 당연한 것처럼 여겨지는 학문의 풍토에 문제점이 많은 것으로 보인다. 보편성과 객관성이라는 개념에 함몰된 사회적 상황 때문에 실제로 그러했을 수 있는 가능성까지 배제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There has been a serious confrontation between humanistic method and social science method among scholars in the study of Gaya Buddhism. In the process of finding the origin of Gaya Buddhism, ‘Ayodhya Kingdom’, ‘Hwanghue-heo’ and ‘Gaya Buddhism’ have been the center of the discussion. This argument seems to be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ality of history and the perception and faith of history as image. There can be no absolute objectivity when discussing historical events. A lot of things seem to be universal and unified in the facts, which are not true. This situation can occur frequently especially when religion or ideology is reflected. It is possible to have a multi-layered approach to the Gaya Buddhist culture through the various passages such as the story of King Su-ro and Hwanghue-heo. And it can play a role of providing a piece of evidence by fusion and complex methodology based on the multifaceted and multi-layered perceptions of myths, fables, and history. It can also form the foundation of cultural contents production through new interpretations. There is a remarkable difference between what actually exists and what it turned out to be. It should not rule out the possibility that it could actually be because of the social situation that is embedded in the concept of universality and objectivity. We can reduce the differences of opinions and fill in the gaps through the review of fusion and complex methodology, which can be the key to solving these problems.

      • KCI등재

        수운(水雲) 최제우(崔濟愚)와 장소(長素) 강유위(康有爲)의 유교관(儒敎觀)

        장재진(Jae Jin Jang) 퇴계학부산연구원 2011 퇴계학논총 Vol.17 No.-

        근대 동아시아의 한국과 중국이 격동의 시대를 겪으면서 근대기를 맞이하는 과도기적 상황에서, 한국의 최제우(1824-1864)와 중국의 강유 위(1858-1927)는 기존 세상의 혼란한 원인에 대해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고자 했다. 이 시기는 외부적으로는 서구제국주의의 침탈에 따른 혼 란과 위기로, 내부적으로는봉건적 가치를 형성했던 유학적 가치의 붕괴로 인해 극도의 위기를 맞이했다.이들은 이에 대한 해결책을 五帝 및 夏殷周 三代의 정신과 공자를 중심으로한 原始儒學에서 찾고자 했다.이러한 시대적 배경을 토대로 水雲과 長素는 유교를 최상의 가치로 한 東學運動과 孔子敎運動이라는 新宗敎運動을 전개하게 된다. 이들이 활동했던시기가 다르고 그 사상적 경향에는 차이가 있다. 그럼에도 불 구하고 서로 다른 時空間에서 발생했던 비슷한 유형의 현상에 대한 분석과 비교가 시야를넓히고 사고의 폭을 넓혀줌과 동시에, 역사적 연계 와 본질을 진일보하게 게시해주어 역사발전의 규율을 찾는데 도움을 준다고 생각한다.그래서 논자는 본고를 통하여 수운의 동학사상과 장소 의 대동사상에 내재된, 유교사상에 대한 유사성과 상이성에 중점을 두고 이를 비교 검토했다. 왜냐하면 이들은 공자를 기점으로 한 遠古의 유 교를 강조했으며 이러한 가운데主理論적 성리학을 비판하고 主氣論적 입장을 수용하고자 한 것에서 유사성이 있기 때문이다. 수운과 장소는 유교의 본질적 가치와 긍정적 기능을 공자를 비롯한 遠古를 통해서 재해석 하고, 성리학의 主氣論적 사유를 수용하여再生産함으로서 기존유 교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했다.또한 이와 같은 "遠古志向"과 "주기론의 수용"에 대한 이들의 사상이"유교자본주의, 유교사회주의, 유교부흥 론"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에서, 오늘의 문제 즉, 인권, 남녀평등, 예법, 정치, 경제를 비롯한 공동체를 지향하는 세계의현실과 미래의 문제해 결에 실마리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수운과 장소의 이와 같은 사상은 봉건적 수구세력들에게 신랄한 비판을 받아서 결국 수운은 처형당했으며 장소는 망명의 길을 떠났다. 이들의 주장이학술논박에 앞서 수구 세력의 비난에 직면하게 된 것은 무엇보다도 봉건제도공격에 중요한 이유가 있다. 시대를 앞서간 선각자의 사상이 기득권자들에게는 비판과 타도의 대상이었으나 억압받고 핍박받는 민중들에게는 자존 의 자각을 하게 되는 동기를 부여한 점에 있어서 그 의의가 크다고 하겠다. In the transition period in which Korea and China face the early modern era through a turbulence period, Choi-Jewoo(1824-1864) in Korea and Kang-Youwei (1858-1927) in China recognized the cause of the current world's chaos and tried to solve it. This period was in extreme crisis due to chaos from the external plunder of Western imperialism and internal collapse of Confucian values that formed feudal values. They sought solution from the primitive Confucianism focusing on Ojae(五帝) and Ha-eunju Samdae(夏殷周 三代) spirit and Confucius. Based on such periodic background, Suwun(水雲) and Changsu(長素) developed a new religion movement of Donghak Movement(東學運動) and Confucianism Movement(孔子敎運動) that considered Confucianism as the best value. They worked in different times, and the ideological tendency has difference. Nevertheless, analysis and comparison of similar types of phenomena occurred in different time and space broaden perspective and thought, as well as present historical connection and essence with a major step, helping to find the rule of historical development. Thus, the present writer compared and examined Suwun's Donghak-sasang and Changsu's Daedong-sasang focusing on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Confucian ideas immanent in them. This is because they emphasized the ancient (遠古) Confucianism of Confucius, among which there is a similarity in that they criticized Joori theory(主理論) Neo-Confucianism and accepted Joogi theory(主氣論). Suwun and Changsu reinterpreted the essential value and positive function of Confucianism through ancient materials(遠古) including Confucius, and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existing Confucianism by reproducing Joogi Theory ideas of Neo-Confucianism. Also, their thoughts on "ancient-oriented" and "Joogi theory acceptance" can be the clue for solving problems of reality and future that pursue a community of human rights, gender equality, courtesy, politics, and economy in the situation of"Confucian capitalism, Confucian socialism, Confucian revival theory". These ideas of Suwun and Changsu were severly criticized by feudal, extremely conservative force. In the end, Suwun was executed and Changsu took asylum. Their arguments faced the criticism of extremely conservative force because of the attack on feudalism. The ideas of pioneers were criticized and brought down by the privileged, but had significance in giving motivation for the oppressed and suppressed people to be aware of self-respect.

      • KCI등재

        사상 : 『중화경(中和經)』에 보이는 "유(儒),불(佛),도(道)"와 삼교회통(三敎會通)

        장재진 ( Jae Jin Jang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5 동양문화연구 Vol.22 No.-

        근대를 맞이하는 시기에 동아시아 각국들은 내부적인 혼란과 외부적인 서양의 침탈로 인해 극도의 혼란과 위기를 겪게 된다. 이러한 시대적상황에서 조선은 내적으로는 봉건적 가치를 형성했던 유학의 지위가 변화됨에 따라서 유학을 더욱 강고하게 함으로써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고자 했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유학적 가치를 부정하고 서양의 문물을 하루빨리 수용해서 근대화에 앞장서자는 주장이 있었다. 이러한 분위기는당시 조선의 지식인들에 의해서 주도된 ‘위정척사운동’과 ‘개화사상’을 통해서 알 수 있다. 유학의 전승에 대한 긍정과 부정의 양극단적인 판단과 달리 부분적인변용을 통해서 유학의 전통을 계승하고자 한 주장도 있었다. 이러한 변용에는 당연히 불교와 도교의 비판을 통한 수용이라는 회통적인 방법도 포함되었다. 이는 근대기의 인물인 최제우와 강증산을 통해서 주장되었다. 이들은 유학적 사유가 사회에 끼친 부정적인 경우를 타파하고 전승해야할 긍정적인 부분을 수용해야 한다고 주장한 사람들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형성된 경전이 증산 강일순(1871-1909)에 의해 지어진 『중화경』이라고 할 수 있다. 증산의 회통적인 사유는 이어하트가 말한 “종교의 화석화(fossilizaton)현상”에 대한 대응적인 것으로 개혁화(reform)의 과정을 지향했다고 볼수 있다. 이어하트는 모든 종교가 발달과정에 있어서 형식화(formalism)와 개혁화(reform)의 과정을 번갈아 거치게 되는데, 사회의 변화기를 맞이해서 개혁화의 과정이 중지되고 형식화의 과정만 지속되면 사람들은 기성종교가 아닌 새로운 종교적 활력을 찾게 되고 이 결과로 신종교가 탄생하게 된다고 한다.1) 증산은 유교의 개혁화에 불교 및 도교와의 회통을 통한 새로운 종교적 변혁을 시도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방향성에 부합하여 형성된 경전이 『중화경』이라고 본다. 본고를 통해서 논자는 강증산의 유학적 가치의 전승에 대해 고찰하고, 이와 함께 『중화경』에 내재된 儒·佛·道三敎의 會通적인 사유를 문헌을 통해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연구함에 있어서 첫째는 유교나 불교 또는 도교적인 성향이 함의된 내용을 분류하고 분석했다. 둘째는 어떤구절이나 내용에 함의된 사상이 儒·佛·道三敎의 특정 종교에 국한된 것이 아닌 포괄적인 것이 있어서 이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중화경』이성립된 시대적 배경과 경전에 함의된 사상을 통해서, 근대 이후 종교다원주의의 원류(原流)로 보이는 강증산의 다원주의적 혼합주의가 반봉건을 통한 근대극복의 의지를 표명하고 이상세계를 향한 방향을 제시했음을 알아보고자 했다. 강증산의 다원주의적 혼합주의가 『중화경』을 통해서 반봉건을 통한 근대극복의 의지를 표명하고 이상세계를 향한 방향을 제시했다고 본다면, 『중화경』에 함의된 儒·佛·道三敎의 회통적 혼합주의는 칼 야스퍼스가 말한 ‘축의 시대’ 이후 형식화(formalism)와 개혁화(reform)의 과정을 번갈아 진행해 오던 三敎의 화석화 과정에 개혁화의 의미를 부여했다고 보인다. 야스퍼스에 의하면 ‘축의 시대’에 발생한 고등의 종교들이 이후 여러차례 각 종교에서 형식화와 개혁화를 반복했음을 알 수 있다. 강증산은 근·현대 동아시아의 종교적 성향에 새로운 개혁화의 과정을 필요하다고 여겼으며, 이러한 시대정신을 선도하고자 시도한 결과물 중 하나가 『中和經』이라고 하겠다. The study aims to examine ‘Junghwagyeong(中和經)’ authored by Jeung-san Gang who longed for an ideal world based on Three Religious-Unity Theory in situations where East Asia faces turbulences in the modern period. Jeung-san Gang’s cosmopolitan vision can be regarded as a process of reforming religious fossilization as insisted by Earhart. If it is believed that revitalization is realized when formalism and reform are implemented alternately, the scripture ‘Junghwagyeong’ seems to comply with the directionality. The study is focused on delving into transmission of Jeung-san Gang’s Confucian value and contemplating cosmopolitan vision of such three religions as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inherent in ‘Junghwagyeong’ through literary research. It indicates that with respect to the historical backdrop of establishment of Junghwagyeong and the ideologies inherent in the scripture, Jeong-san Gang’s pluralistic syncretism that is believed to be the origin of religious pluralism after the modern period expresses determination to overcome the modern period through semi-feudalism and suggests the direction to the ideal world. If Jeong-san Gang’s pluralistic syncretism expressed determination to overcome the modern period through semi-feudalism based on Junghwagyeong and suggested the direction to the ideal world, the cosmopolitan syncretism of the three religions such as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which is inherent in Junghwagyeong seemed to imbue the fossilization of the three religions that alternately went through formalism and reform after the Axial Age argued by Karl Jaspers with special significance of reform.

      • KCI등재

        인공와우 또는 보청기를 착용한 학령기 청각장애 아동의 작업 기억 능력 연구

        장재진 ( Jang Jae Jin ),장선아 ( Chang Son A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8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9 No.3

        본 연구는 말지각, 인지 및 언어 능력을 일치시켰을 때도 청각장애 유무와 보장구의 종류에 따른 작업 기억 능력에 차이가 있는지, 또한 말지각, 인지, 언어 능력과 작업 기억 능력간에는 어떠한 상관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서 8~10세(언어 연령 9세)의 건청, 인공와우 및 보청기 아동 각 15명을 대상으로, 4 가지 작업 기억 과제(음운회로 기능과 관련된 숫자 따라말하기와 비문장 따라말하기, 중앙집행기 기능과 관련된 숫자 거꾸로 따라말하기와 읽기폭)의 수행력을 비교해 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말지각, 인지 및 언어 능력을 일치시켰음에도 청각장애 아동은 건청 아동에 비해 낮은 작업 기억 과제 수행력을 보였다. 둘째, 인공와우 아동과 보청기 아동 간에는 비문장 따라말하기에서만 인공와우 아동이 보청기아동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의 높은 수행력을 보였고, 나머지 작업 기억 과제에서는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작업 기억 과제 간 상관관계는 전반적으로 약하게 나타났으며, 대상 아동 집단별로 변인 간 상관의 분포 양상이 달랐다. 청각장애 아동은 보장구에 상관없이 건청 아동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은 작업 기억 수행력을 보였으며, 인공와우아동은 보청기 아동보다 비문장 따라말하기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수행력을 보인 것을 비롯해서 4가지 과제 모두 높은 수행력을 보였다.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working memory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hearing loss(HL) and the types of hearing prostheses. The cor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in the subject groups were also examined. Methods: A total of 45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with 15 children in each group; those fitted with cochlear implants(CI), those wearing hearing aids(HA), and those with typical hearing(TH). The language-age for all children was 9 years and their chronological ages ranged between 8 to 10 years. We compared working memory ability through completion of four different tasks; (1a) forward digit span, and (1b) nonsense sentence repetition task related to phonological functions; (2a) backward digit span, and (2b) reading span related to central executive function. Results: All the children with HL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in working memory tasks than the children with TH. The children with HL showed comparable language abilities which may mask the deficits in their working memory skills. The children fitted with CI achieved significantly better results in nonsense sentence repetition task than those wearing HA.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hen completing the other three tasks. There were relatively small numbers of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in all three groups. Despite of comparable intelligence, speech perception and language abilities, children with HL showed significantly lower working memory performance than children with TH. Children with CI scored better in all the 4 working memory tasks than children with HA with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onsense sentence task. There should be the various discussion about working memory and the measurement of it.

      • KCI등재
      • KCI등재

        근대기 한·일 신종교에 나타난 여성교주의 불교관 비교

        장재진(Jang, Jae Jin) 동아시아일본학회 2013 일본문화연구 Vol.45 No.-

        This paper explored the acceptance of Buddhism and modification taken by Seondo(仙道敎) of Korea and Tenrikyo (天理敎) of Japan, newly emerged religions in premodern and modern eras of Korea and Japan. They aimed at establishing an ideal world on the earth by creating new religions while accepting the Buddhist belief in Maitreya and Amita Buddha as well as the Wheel-turning Monarch. This was not unrelated to the fact that the framework of the existing world maintained under the predominance of men over women was broken and the critical point of time to enable the gender equality as well as women’s liberation was felt. Also, it represented and advocated equality of both genders, social positions and economic classes. They are considered to sufficiently provide their own value to be delivered in the contemporary society. This is because we still have many tasks to be done in terms of gender and social and economic cla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