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Effects of Job Stress and Drinking Problems on College Students’ Suicide Ideation: Mediating Effect of Ego Resilience

        장용언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2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job search stress and drinking problems on college students’ suicide idea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in this relationship. After receiving the research approval (P01-201810-22-005) from IRB, the questionnaire was analyzed from 334 college students. SPSS 21.0 was used to analyze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s, and the causality and mediator effects of variables were analyzed using AMOS 18.0. The results showed that job search stress and drinking problems had a negati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tudents’ suicide ide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earch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of college students, ego-resilience was verified as a partial mediation effect. However, drinking problems only affect suicide ideation without affecting ego-resilience of college students. Only direct effect of drinking problems on suicide ideation were confirmed.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practical and policy basis to prevent suicide ideation of college students.

      • KCI등재

        자활기업 참여자의 직무만족도가 자활효과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배제 매개효과

        장용언,정은주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job satisfaction of self-supporting firms on the self-sufficiency effect, and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and activation of self-supporting firms by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exclusion. The study was conducted on 133 representatives and practitioners who participated in the project groups of the regional self-supporting organizations and regional self-help centers in Busan.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1.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job satisfaction of self-supporting firm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self-sufficiency effect.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of self-supporting firms, the higher the self-sufficiency effect. Second, job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in self-support companie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ocial exclusion in a positive direction.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research model, the job satisfaction of the participants in the self-supporting firm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elf-sufficiency effect, and social exclusion, which is a mediator,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aims to provide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job satisfaction, social exclusion and promotion of self-sufficiency of self-supporting enterprises. 본 연구의 목적은 자활기업 참여자의 직무만족도가 자활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사회적배제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자활기업 참여자의 사회적배제를 감소시키고 자활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조사는 부산 소재 광역자활센터와 지역자활센터에서 창업한 자활기업에 참여하고 있는 종사자 13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자활기업 참여자의 직무만족도가 자활효과에 정적(positive)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활기업 참여자의 직무만족도가 사회적배제에 정적(positive)인 방향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활기업 참여자의 직무만족도가 자활효과에 정적(positive)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이 관계에서 매개변수인 사회적배제는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자활기업 참여자의 직무만족도, 사회적배제 및 자활효과 증진에 대한 실천적·정책적 함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

        생활스트레스가 대학생의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장용언,조윤진,조재무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022 공공정책연구 Vol.39 No.3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life stress of college student’s to suicide behavior and defines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And then it tries to propose intervention methods to reduce suicide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For this study, 379 college students were surveyed. Descriptive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tilized to test research hypothe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Suicide Behavior. Second, it demonstrated that there i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Suicide Behavior. It means that suicide behavior decreased as resilience increased. Third, resilience had moderating effect within the relationship of life stress and suicidal behavior. Based on the results, we will provide effective suggestions to decrease suicide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 KCI등재후보

        빅데이타를 통한 ‘군 생활’ 현황 분석과신세대 병사의 군 생활 적응 증진 방안

        장용언,재원,김도희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019 공공정책연구 Vol.3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군 생활 현황을 분석 한 후신세대 병사의 군 생활 적응 증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 텍스트마이닝, 의미연결망 분석 및 CONCOR 분석을 통한 네트워크를 분석해 군 생활 현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텍스트마이닝(Textmining) 분석을 통한 빈도는 주로 군 생활적응에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네트워크 연결중심성이 높은 단어는 군 생활에 대한 인식과 군 생활에 대한 평가와 관련된 것이분석의 중심을 차지하고 있음을 확인되었다. 셋째, CONCOR분석 결과실제 군 생활과 관련된 용어, 군 생활의 문제와 개입, 군 복무제도와 군생활 적응에 대한 단어, 군 생활에서의 건강과 건강 관련 위험요인과 군생활에 대한 연구 활동에 관한 내용 중심으로 네트워크가 형성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신세대 병사들의 군 생활 적응 증진을 위한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주제발표 논문 1] “군 장병의 군생활적응을 위한 군사회복지 활성화 방안”

        장용언 한국사회복지학회 2017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7 No.10

        본 연구는 군 장병의 군 생활 적응과 군 사회복지 활성화를 위해 군 생활의 특성, 군 생활 적응 실태 및 과제, 군 사회복지에 대한 이해와 인식, 군 사회복지 제도의 실태와 군 사회복지 실천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현재 우리 군 장병의 군 생활 적응을 위해 가장 절실한 것은 전문적인 군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군 사회복지사 제도의 도입이 시급한 것으로 사료된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현실은 전문적인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할 군 사회복지사가 배치되지 못하고 있으며 군 사회복지제도도 법제화 되고 있지 못한 현실이다. 본 연구를 통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병사들의 부적응 문제에 개입하는 가장 적임자로 군 사회복지사의 필요성이 강하게 제기된다. 둘째, 군 복지를 위한 군 사회복지사의 부재를 조속히 극복하기 위하여 자격제도의 법제화와 그에 따른 교육과정 편성 및 양성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셋째, 군 사회복지사 자격증 제도화를 위한 교육과정 편성 및 양성과정의 활발한 논의 또한 필요하다. 넷째, 군 사회복지의 필요성과 제도화를 모색해가는 과정에서 다양한 대안을 검토하는 것도 중요할 것이다. 다섯째, 군 사회복지전문가로 민간 군 사회복지사 제도, 군무원, 사회복지병과 창설 등 다양하게 방안을 검토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군 사회복지가 사회복지의 전문영역의 하나로 군과 사회 모두에게 기여하려면, 지금까지의 군 사회복지를 제도화 하려는 노력을 관련 기관이나 학회에서 지속적으로 해야 한다. 특히 군 사회복지와 관련된 군과 사회복지 관련 기관들의 유기적인 협력을 통해 전문적인 군 사회복지사제도를 도입하기 위한 법 제정의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지각된 스트레스가 대학생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가족의사소통의 조절효과

        장용언,김미애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erceived stress on suicidal ideation an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family communication. After the pre-test, the main survey was conducted from June to August 2018, and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college students in Gyeongsangbuk-do. A total of 377 copies were recovered, of which 375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ept for two insincere responses. Data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1.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ived stress of college student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uicidal ideation. Second, family communication was found to be negatively significant for suicidal ideation.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 communication was verified in the positive effect of perceived stress on suicidal ideation of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aims to provide social welfare implications for reducing suicide ideation of college students. 본 연구는 지각된 스트레스가 대학생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그 관계에서 가족의사소통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사방법은 사전검사 후에 본 조사는 2018년 6월부터 2개월간 진행하였다. 연구참여자는 경상북도 지역 대학생이다. 온라인 설문지 278부와 대면조사 설문지 99부로 총 377부가 회수되었으며, 이 중 불성실한 응답 2부를 제외한 375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ver.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대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가 높아질수록 자살생각이 높아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는 지각된 스트레스가 높아지면 대학생의 자살생각이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가족의사소통 수준이 높아지면 자살생각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가족의사소통이 높아지면 자살생각이 낮아짐을 의미한다. 셋째, 가족의사소통은 지각된 스트레스와 자살생각과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검증되어 지각된 스트레스가 높아지면 자살생각이 높아지는 관계는 완충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대학생의 자살생각 감소를 위한 사회복지 실천적인 함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

        가족만족도가 중학생의 등교공포에 미치는 영향 : 자아정체감과 대인관계기술의 매개효과와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장용언 한국청소년학회 2012 청소년학연구 Vol.19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family satisfaction on the fear of attending school for adolescent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ego-identity and interpersonal skills. In addition, the study will explore if there are any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he path through multi-group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first, it is shown that family satisfaction has positively effects on adolescents’ ego-identity but has not effects on the fear of attending school. This results revealed that family satisfaction was found to affect the fear of attending school indirectly through ego-identity. Second, family satisfaction has positively effects on adolescents’ interpersonal skills but has not effects on the fear of attending school. This results also revealed that family satisfaction was found to affect the fear of attending school indirectly through interpersonal skills. Third, there are gender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atisfaction and ego-identity. The effects of family satisfaction on the ego-identity of famale students was stronger than that of male students. This result suggests different intervention strategies according to gender.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re is a necessity for intervention for the purpose of prevention of the fear of attending school. 본 연구의 목적은 가족만족도가 중학생의 등교공포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정체감과 대인관계기술의 매개효과를 검증함과 동시에 남녀 집단간 차이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에 거주하고 있는 중학생 925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만족도는 자아정체감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등교공포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아정체감은 가족만족도와 등교공포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가족만족도는 대인관계기술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등교공포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인관계기술이 가족만족도와 등교공포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가족만족도, 자아정체감, 대인관계기술 및 등교공포와의 구조적 관계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가족만족도가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남녀간 차이가 확인되었으며, 여학생 집단이 남학생 집단에 비해 가족만족도가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보다 강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성별을 고려한 중학생의 등교공포 문제를 해결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

        The Effects of Perceived Stress on Suicidal Ideation in College Students: Moder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Skill

        장용언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erceived stress on suicidal ideation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interpersonal skills in the process. The research participants included 375 college students in two- and four-year colleges in Gyeongsangbuk-do. For data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ver.21 program.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erceived stres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uicidal ideation of college students. Second, interpersonal skills have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suicidal ideation of college students. Third, it was found that interpersonal skills were controll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of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vided social welfare implications for suicide prevention and acquisition of interpersonal skills and suggested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 KCI등재

        외상 후 스트레스가 대학생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대인관계기술의 매개효과

        장용언 ( Jang¸ Yong Eun )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020 공공정책연구 Vol.37 No.2

        본 연구는 외상 후 스트레스가 대학생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그 관계에서 대인관계기술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참여자는 경상북도에 소재한 2년제, 4년제 대학교에 재학중인 대학생 375명으로 이들이 자기기입식으로 작성한 자료를 분석 하였다. 자료분석방법은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상 후 스트레스는 대학생의 정신건강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상 후 스트레스는 대학생의 대인관계기술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외상 후 스트레스가 대학생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인관계기술은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대인관계기술 향상을 통한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ost-traumatic stress on mental health of college students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interpersonal skills. Participants analyzed data of 375 college students in Gyeongsangbuk-do. For the data analysis metho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ver.21.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ost-traumatic stress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mental health of college students. Second, post-traumatic stress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interpersonal skills of college students. Third, in the effect of post-traumatic stress on the mental health of college students, interpersonal skills were verifie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aims to provide social welfare implications for improving mental health and interpersonal skill of college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