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대 벽돌의 소성온도 해석을 위한 광물학적 연구: 송산리 고분군 벽돌을 중심으로

        장성윤,이찬희,Jang, Sungyoon,Lee, Chan Hee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14 보존과학회지 Vol.30 No.4

        이 연구에서는 벽돌 재료인 토양이 온도별로 소성되면서 겪는 광물학적 변화와 이에 수반된 물리적 변화를 토대로 송산리 고분군 출토 벽돌의 소성온도를 해석하였다. 토양시료를 $500{\sim}1,200^{\circ}C$로 소성하였을 때, 구성광물의 상전이에 의해 광물조성과 미세조직이 변했고 이에 따라 색, 흡수율, 기공률 등의 물리적 특성도 달라졌다. 광물조성은 상안정범위에 따른 광물의 구조붕괴와 재결정으로 인해 온도별로 달라졌지만 색, 흡수율, 미세조직은 $1,000^{\circ}C$ 이하에서 변화 폭이 적었고 $1,000{\sim}1,200^{\circ}C$에서는 급격한 변화가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송산리 고분군 벽돌시료의 소성온도를 해석한 결과, 송산리 고분군 벽돌은 $1,200^{\circ}C$ 이상의 과소성품, $1,100{\sim}1,200^{\circ}C$의 고온소성품, $900{\sim}1,000^{\circ}C$의 소성품과 소성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벽돌이 공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후 이러한 광물학적 및 물리적 변화과정을 토대로 보다 정밀한 소성온도 해석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study, firing temperature of bricks from the Songsanri tomb complex is interpreted based on the mineralogical and physical changes of soil samples fired at different temperature. When soil samples were burned at 500 to $1,200^{\circ}C$, phase transition of clay minerals affected the mineralogical composition and microstructure, which leaded to alteration of physical features as color, water absorption and porosity. Mineralogical composition can be assumed to vary with the temperature by mineral phase stability, however, color, water absorption, porosity and microstructure had slow change under $1,000^{\circ}C$, and had rapid change from 1,000 to $1,200^{\circ}C$. Upon the mineral and physical alteration of soil, firing temperature of bricks from the Songsanri tomb complex were estimated. Some bricks were over fired at temperature more than $1,200^{\circ}C$, some high-burned bricks were fired from 1,100 to $1,200^{\circ}C$, some bricks were fired by 900 to $1,000^{\circ}C$ and some bricks ere assumed not to be fired. Henceforward mineralogical and physical study can be applied to interpretate more precise firing temperature.

      • KCI등재

        광주 치평동 유적 출토 철기시대 토기의 제작특성과 매장환경 연구

        장성윤,문은정,이찬희,이기길,Jang, Sung-Yoon,Moon, Eun-Jung,Lee, Chan-Hee,Lee, Gi-Gil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2 자원환경지질 Vol.45 No.2

        This study aimed to interpret the provenance and firing temperature of pottery from Chipyeongdong site in Gwangju, Korea though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methods and also investigated the post-depositional alteration of pottery in burial environments. It is also presumed that they were made of soils near the site because they have similar mineralogical composition and same geochemical evolution path. Based on the results of mineralogical analysis, the pottery samples are largely divided into 2 groups; $700^{\circ}C$ to $1,000^{\circ}C$ and 1,000 to $1,100^{\circ}C$. At some pottery fired at over $1,000^{\circ}C$, it is thought that the refinement of raw materials were processed to remove macrocrystalline fragments. However, it was found that phosphate in soil environments formed amorphous aggregates with Al and Fe within the pores and voids on pottery fired at the low temperature. It indicates the contamination of pottery after burial. 이 연구에서는 광주 치평동 유적에서 출토된 토기의 태토산지와 소성온도를 광물학적 및 지구화학적 연구방법으로 해석하고 매장환경 하에서 토기의 변질을 조사하였다. 토기와 토양시료는 유사한 광물조성과 지구화학적 진화경향을 갖는 것으로 보아 재료로서의 유사성이 인정되며 토기는 유적의 인근 지역 토양을 이용하여 제작된 것으로 해석된다. 광물학적 분석결과를 근거로, 토기는 크게 $1,000{\sim}1,100^{\circ}C$에서 고온 소성된 그룹과 $700{\sim}1,000^{\circ}C$에서 저온 소성된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고온 소성된 시료에서는 거정질 입자를 제거하는 수비과정을 거쳤을 것으로 보이는데 저온 소성된 시료들과는 다른 시기 또는 용도의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저온 소성된 토기에서 매장환경 동안 P이 토기 내 Al, Fe 등과 반응하여 비결정질의 침전물을 형성하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환경에 의한 토기의 변질 현상으로 해석된다.

      • KCI등재

        백제 와전재료로서 정동리 고토양의 광물 및 지구화학적 특성

        장성윤,이찬희,Jang, Sung-Yoon,Lee, Chan-Hee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0 자원환경지질 Vol.43 No.6

        이 연구는 부여 정동리 꿩바윗골 유적에서 출토된 백제시대 경작토양의 광물학적 및 지구화학적 특정을 조사하고, 이를 사용하여 제작한 것으로 추정되는 무령왕릉 및 송산리 전(벽돌)과 토양을 비교하여 태토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연구대상 토양시료들은 모두 미사질 양토로 가장 하부층을 제외하고는 모두 유사한 토양입도를 가지고 있다. 토양은 산성으로 일부 시료에서 유기물, P, S 등의 집적현상이 나타났다. 또한 지구화학적 원소 분포경향이 유사하며 석영, 사장석, 정장석, 질석, 운모, 고령석 등으로 구성되어 동일한 광물조성을 보인다. 부분적으로 붉은 철산화물의 농집이 관찰되는데, 강의 범람과 배수에 따른 산화와 환원환경이 반복되었던 환경이 토양 내 철산화물의 농집을 일으킨것으로 보인다. 이는 자연현상과 인간의 경작활동에 의한 풍화양상으로 볼 수 있다. 특히 무령왕릉과 송산리고분군 출토 전에서 발견되는 철산화물의 농집현상은 연구지역 토양이 전의 태도로 추정될 수 있는 추가적인 증거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field soil of the Baekje Kingdom from K wongbawigol site in Jeongdongri, Buyeo and whether the bricks from Songsanri Tombs and Muryung's Royal Tomb were made of soil from this site. Soil samples show the similar size fraction as a silt loam and acidic soil, whereas some samples have the enrichment of organic matter, P and S. Also, they have similar geochemical behavior of elements and similar mineral phases consisting of quartz, plagioclase, orthoclase, vermiculite, mica and kaolinite. The enrichment of iron oxide is found in some soil layer, including the iron oxide mottling and precipitation along plant roots and they are attributed to repeat oxidation and reduction environments due to flooding and drainage of field soil. It's anthropogenic alteration by human activity. Especially, it is assumed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iron oxides found in bricks from Muryung's Royal Tomb and Songsanri Tombs is the additional evidence that soil in this study is probably the raw materials of those bricks.

      • 태안 마도 출토 도자기의 염에 의한 손상상태 연구

        장성윤,남병직,박대우,강현미,정용화,Jang, Sung-Yoon,Nam, Byeong-Jik,Park, Dae-Woo,Kang, Hyun-Mi,Jung, Yong-Hwa 국립문화재연구소 2009 保存科學硏究 Vol.30 No.-

        Ceramics from Taean shipwreck were studied to investigate the deterioration by soluble salts and desalination pattern according to each ceramic characterization. NaCl crystals were found as a crystal growth on the ceramic microstructure and deteriorated to push off the glaze layer of some Puncheong ware sample. As a result of monitoring the desalination pattern of ceramics for 74days, the earthenware sample with big pores and no glaze removed soluble salts so fast, but Puncheong ware and Whiteware samples removed lots of soluble salts slowly and continuously. Generally, it takes long time to remove soluble salts from porcelains, due to small pores and glaze, but the long-term desalination probably can cause the damage on the surface layer such like glaze. As some soluble salts still remains in the ceramic microstructures after desalination, it is very important to control and keep the relative humidity stable through the proper storage. There are various ceramic deterioration patterns by soluble salts. Therefore, it needs to select the desalination method of ceramics from shipwreck, considering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the production techniques.

      • KCI등재

        공주 교촌리 3호 전실묘 벽돌의 태토산지와 제작기술

        장성윤 ( Jang Sung-yoon ),진홍주 ( Jin Hong-ju ) 백제학회 2021 백제학보 Vol.- No.36

        교촌리 3호 전실묘가 발굴되면서 송산리 6호분과 무령왕릉에 이어 백제 웅진기 세 번째 전실묘가 그 실체를 드러냈다. 이 연구에서는 교촌리 3호 전실묘를 구성하는 벽돌의 재료과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벽돌의 산지와 제작기술을 해석하고자 하였다. 교촌리 3호 전실묘 벽돌은 형태상 방형벽돌(단면 쐐기형), 장방형벽돌(단면 쐐기형과 장방형)의 3종류로 구분되며 명문이나 문양은 없는 상태이다. 이들은 석영, 알칼리 장석, 운모로 구성되며 산화소성되었고 소성온도는 700~900℃로 추정된다. 벽돌은 정제된 태토에 식물 탄화 흔적과 이로 인한 긴 공극을 포함하고 있고, 방형벽돌이 장방형벽돌보다 정제된 태토를 사용하였다. 선행연구에서 무령왕릉과 6호분 폐쇄벽돌은 부여 정동리 A지구 가마터 벽돌과 동일한 재료적 특성을 보여 정동리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러나 교촌리 3호 벽돌은 이와는 다른 재료적 특성을 나타내 채토와 제작공정이 달랐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일제강점기에 수습된 기타 송산리 출토품과는 동일한 형태와 재료적 특성을 나타냈다. 기타 송산리 출토품은 당시 붕괴되어 있던 교촌리 3호 전실묘 벽돌의 일부가 수습되어 국립공주박물관에 보관·등록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한편 무령왕릉과 6호분의 폐쇄벽돌은 대부분 1,000~1,200℃에서 환원소성되었고 치밀한 태토조직을 가지고 있어, 문양 및 형태, 태토 조직과 소성도 면에서 교촌리 3호 벽돌과는 기술적으로 다른 특성을 가진다. 벽돌 축조기법에서는 석회를 접착재료인 줄눈으로 사용한 무령왕릉, 6호분과는 달리 교촌리 3호 전실묘에서는 석회를 줄눈으로 사용하지 않았다. 대신 매우 곱고 점토함량이 풍부한 토양을 줄눈으로 사용하였는데 석회에 비해 결합강도가 약하고, 내구성이 약해 천정부의 하중을 장기간 지탱하기는 어려웠을 것으로 생각된다 Gyochon-ri brick tomb No.3 was excavated as the third brick tomb during Ungjin period, Baekje, following Songsan-ri No.6 and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In this study, scientific analysis on the bricks from Gyochon-ri brick tomb No.3 was carried out to interpret their manufacturing process and relationship of distribution. The bricks of Gyochon-ri brick tomb No.3 are all with no pattern, and divided into three types in shape: a square brick (cross-sectionally trapezoidal) and rectangular bricks (crosssectionally trapezoidal or rectangular). They are composed of quartz, alkali-feldspar and mica and estimated to have been fired at the firing temperature of 700 to 900℃ in oxidation reaction firing which gives reddish brown color. Bricks have elongated pores caused by carbonized plants in fine raw clay material, and more refined soil was used for square bricks than rectangular bricks. Through the prior study, it was estimated that the bricks of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and Songsan-ri brick tomb No. 6 were manufactured in Jeongdong-ri, Buyeo, showing the sam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ricks from Jeongdong-ri kiln site. However, bricks from Gyochon-ri brick tomb No. 3 showed different geochemical distribution from other bricks, which means that selection of raw clay materials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bricks were presumed to have been different from others. However, they showed the same pattern and material characteristics with other Songsan-ri bricks collect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dicating the possibility that those bricks from Songsan-ri might have been partially acquired from the collapsed Gyochon-ri brick tomb and stored in Gongju National Museum since then. When compared with most of bricks from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and Songsan-ri No. 6 which were fired from 1,000 to 1,200℃ under reduction condition and have densely structured textures, bricks of Gyochon-ri brick tomb No. 3 are considered to be manufactured at a technical difference in terms of their pattern, shape, texture of raw clay material and firing temperature. In addition, while lime was used for brick joints and reinforcing material based on the construction technique of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and Songsan-ri No. 6, lime was not used for brick joints of Gyochon-ri brick tomb No.3. In place of lime, clay-rich soil in a very fine-grained size was used for joints, which is thought to have been weak in durability and difficult to support the weight of its ceiling for a long time.

      • 미군 작전법을 통해서 본 국제인도법 연구

        장성윤(Seong-Yun Jang) 大韓赤十字社 人道法硏究所 2008 人道法論叢 Vol.- No.28

        미군 작전법은 독립전쟁 당시에 기원을 두기는 하나 본격적으로는 1983년 그라나다 작전을 계기로 발전하였다. 미군 작전법 내용을 살펴보면 미국이 비준하지 않은 제네바 추가의정서 등을 포함하여 비준여부와 관계없이 국제인도법의 주요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미국은 ‘법의 지배’란 헌법 정선에 따라 국제인도법 준수의지를 자국 국내법규에 세밀히 반영하고 있으며 일반 야전교범 및 장병 숙지사항 등에도 반영하고 있다. 즉, 국제인도법의 기본정신 및 주요내용은 미군 법체계 내에 충실히 들어와 있음을 알 수 있다. 미군 헌법 제1조 8항은 군대에 관한 제반 법규는 의회에서 제정권이 있음을 밝히고 있으며, 이 조항에 따라 군사법제도를 비롯한 각종 군 관련 입법이 이루어졌다. 전쟁법 위반에 관한 처벌은 Title 18의 Chapter 118, section 2441에 나와 있으며 1996년에는 ’전쟁범죄법(War Crimes Act)’이 별도로 제정되었다. 또한 국방성은 Directives형태로 각 군 조직 및 구성원들의 전쟁 법 준수를 명령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작전법 핸드북(Operational Law Handbook)에서 전쟁법이 적용될 만한 제반 상황을 자세히 다루고 있다.(본 논문은 2007년판 미군 작전법을 주로 참고함) . 작전법 핸드북은 그 자체로 법규적 효력을 갖는 것은 아니지만 국제인도법 관련 제반 성문, 불문법을 포괄하고 있어 미군들이 핸드북의 지시 내지 설명을 그대로 준수하게끔 하는 사실상의 효과를 갖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2012년 전시작전권 전환을 앞두고 있어 독자적인 작전능력 증강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에 있어, 미군 작전법에 관한 연구는 한국군의 작전법 연구역량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 그렇지만, 그동안 이 분야에 관심과 연구가 많지 않았던 것도 사실이고, 이번의 논문을 계기로 작전역량을 높이는 작전법 연구의 활성화에 많은 진전이 있기를 기대한다. In the U.S, Operational Law has developed as an independent study area in the military since 1983, although it has its origin in The Revolutionary War. A major part of Operational Law includes Law of War which incorporates most of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Irrespective of the fact the U.S has not ratified some of IHL conventions, domestic laws and regualtions strictly requires most of IHL contents. Also, deeply rooted tradition of "rule of law", supported by the Constitution, enables strict enforcement of the major provisions. That is to say, general spirit and major provisions of IHL is in practice well enforced in the U.S. military. Art. 1(8) of the U.S Constitution states that the Congress shall have power to make Rules for the Government and Regulation for the land and naval Forces. According to this Article, military statutes were legislated including Unified Code Military Justices. Punishments for encroachment of the provisions related to Law of War is stated in Title 18 (Crimes and Criminal Procedure, Chapter 118, section 2441). Also, DoD Directives concerning Law of War generally applies to the members of the U.S. military. More specifically, Operational Law Handbook describes how soldiers do in any circumstances where Law of War issues may arise. This article covers the detailed contents of the Handbook written in 2007. Handbook itself does not have legal effects on soldiers, however, it absorbs almost what international treaties and customary law requires and actually confines them within the boundary of law of war. In that sense, as ROK's independent operation capability becomes more important in the particular period that wartime operational command is supposed to be transferred to Korea in 2012. As such, a study on IHL in the sphere of Operational Law of the U.S. military will surely contribute to ROK's operational law capability. Up to now, not too many researches were produced in this field, and more attention and studies are anticipated to be developed to enrich the IHL scholarship as well as to be effectively applied to practical use.

      • KCI등재
      • KCI등재

        왜 고산리식토기에 식물 비짐이 사용되었을까?: 바탕흙의 특성과 관련한 고고과학적 해석

        장성윤(Sungyoon Jang),이기길(Gi Kil Lee) 한국상고사학회 2018 한국상고사학보 Vol.102 No.102

        한국 신석기시대의 이른 시기로 편년되는 고산리식토기는 바탕흙(태토)에 식물을 섞어 만들었을 뿐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에서만 발견된다는 점에서 큰 주목을 받아왔다. 최근 연구에서 식물규산체분석을 통해 그것의 종류가 벼과 식물로 밝혀진 바 있다. 그리고 식물을 비짐으로 쓸 경우 성형하기 쉽고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고산리식토기는 음식의 조리에 일회용으로 사용한 후 폐기된 것이라는 견해가 피력되었다. 그러나 토기 제작에서 섞음재인 비짐은 바탕흙의 종속 요인이므로 다양한 종류의 비짐 중에서 유독 식물이 선택된 이유를 무엇보다도 바탕흙과 관련하여 살펴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이런 배경에서 필자들은 고산리유적, 오등동유적, 강정동유적, 김녕리유적의 고산리식토기와 유적지 주변에서 채취한 토양을 대상으로 물리적, 광물학적, 지구화학적 분석을 체계적으로 종합하여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를 검토해 보면 식물을 섞음재로 사용한 이유는 유적별로 차이가 있다고 추정된다. 즉 고산리유적의 경우는 지질환경 요소인 바탕흙의 특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해석되지만, 강정동유적, 오등동유적, 김녕리유적의 경우 환경보다는 제작전통 등의 요인이 더 작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The Gosan-ri-type pottery(GTP), known as the early period of the Neolithic age in Korea, has received a great deal of attention not only because it was made by mixing plants in the raw materials, but also uniquely found in Jeju Island. Through recent study by phytolith analysis of GTP, it has been identified the plant type belongs to the family Poaceae. As plant tempering facilitates convenient and feasible ceramic production, including quick shaping and efficient drying, GTP wares were postulated as casual cooking vessels which were more suited to migratory lifestyle. However, the background of selecting plant temper should be preferentially examined with relation to local clay raw materials because tempers are minor factor in pottery manufacture. In this context, physical,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analyses on GTP from Gosan-ri, Odeung-dong, Gangjeong-dong and Gimnyeong-ri as well as collected soil in situ were systematically conducted. The results of analyses show that the reasons for using plant temper differ between the Gosan-ri site and other sites (Odeung-dong site, Gangjeong-dong site and Gimnyeong- ri site). That is, the Gosan-ri site was closely related to raw material as a part of the geological environment, whereas other sites are assumed to be under the influence of cultural factors such as manufacturing trad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