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자인창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향성 제시에 관한 연구

        문은정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cept and status of ‘Design Entrepreneurship’ which is constantly expanding. Based on this, it draws implications and suggests policy direction for design entrepreneurship to be a key means of domestic design industry development in the future. To this end, this study firstly defined the concept of design entrepreneurship and design industry, and based on this, analyzed domestic reporting standards for design consultancies, the core organization of design entrepreneurship. Second, the classification by organization type of design entrepreneurship was defined based on the classification by industry type in the Industrial Design Statistics Survey published by KIDP. Based on this, through analysis of the organizational form of freelancers and design consultancies, the core organization of design entrepreneurship was defined as ‘Design-Specialized Organizations’. Third, the legal system for the domestic design field was analyzed. Based on this, a classification system in the design field was defined. Lastly, based on theories on the use of design, this study analyzed the viewpoint of the design business of design consultancies. Based on this, a classification by design scope of design startup was proposed. The implications were deriv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 discussed above, and based on this, the direction for establishing practical policies related to design entrepreneurship was proposed. First, there is a need for a transitional thinking that defines small private companies and freelancers as core organizations for design entrepreneurship. Second, design field standards that can be applied equally to the reporting system of the design-specialized organizations and the current status survey are needed. Third, as the concept of design is expanded,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and regularly investigate the status of each design scope. Based on this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systematic and practical policy supports for design-specialized organizations including freelancers will be provided. 본 연구의 목적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디자인창업’의 개념 및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시사점을 도출하여, 향후 디자인창업이 국내 디자인산업 발전의 핵심수단이 되기 위한 정책적 방향성을 제시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첫째, 디자인창업 및 디자인산업에 대한 개념을 정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디자인창업의 핵심조직인 디자인전문회사에 대한 국내 디자인전문회사 신고기준을 분석하였다. 둘째, 디자인창업의 조직형태별 분류를 정의하고 이를 기반으로 프리랜서 및 디자인전문회사의 조직형태에 대한 분석을 통해, 디자인창업의 핵심조직을 ‘디자인전문조직’으로 정의하였다. 셋째, 한국표준산업분류 및 국내 디자인전문회사 신고기준 등 국내 디자인분야의 법적 체계를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디자인분야의 분류체계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덴마크디자인센터의 디자인 사다리 모형(2002), 알랭 팽들리의 디자인 프로젝트 3단계 이론(2005)과 이주명의 디자인 비즈니스 4가지 모형(2011) 및 정경원의 디자인전문회사의 비즈니스 유형(2003) 등의 디자인 활용에 대한 선행이론들을 기반으로 디자인전문회사의 디자인 비즈니스 유형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디자인창업의 디자인 범위별 분류기준 정립 및 현황조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앞에서 살펴본 조직형태별, 디자인분야별 및 디자인창업 현황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디자인창업과 관련된 실질적정책수립을 위한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첫째, 소규모 개인사업체 및 프리랜서를 디자인창업의 핵심조직으로 규정하는 전환적 사고가 필요하다. 둘째, 디자인전문조직의 신고제도와 현황조사에 동일하게적용할 수 있는 통일된 디자인분야기준이 확립되어야 한다. 셋째, 디자인의 개념이 확대됨에 따라, 이에 상응하는 체계적인이며 정기적인 디자인 범위별 현황조사가 필요하다. 향후 본 연구를 바탕으로 디자인창업의 제도적 활성화 및 프리랜서를 포함한 디자인전문조직을 위한 체계적이고 실질적인 정책적지원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인간중심적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디자인씽킹 수업모형 연구: ‘코로나19’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문은정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ay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preparing a systematic teaching model for design concept and social responsibility and role of the design.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a design thinking class model for human-centered social problem solving conducted by four-year design universities, and conducted a case study on this. The subjects of study are four basic undergraduate design classes at H University and C University. The temporal research scope is the first semester of 2020, and has been conducted for a total of 15 weeks, 3 hours per week. The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rough a literature study on the social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design, the importance of the sense of social participation in design was confirmed, and the necessity of systematic design education for this was stated. Second, the design thinking concept and the IDEO design thinking process used in the case study were investigated. Third, a design-thinking class model was proposed to foster students' sense of social responsibility, and the “Corona 19 Project” was analyzed step by step as a case study. The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possible to know that the awareness of the design has been expanded, and that the awareness of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the design has been gained.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students realized the importance of collaboration and communication with the members through the group project. Finally, students learned that they were able to experience the human-centered design process through this class. In the future, based on the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we look forward to continuing research on basic design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디자인 개념 및 디자인의 사회적 책임· 역할에 대한 체계화된 수업모형을 마련하기위한 이론적 토대를 다지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4년제 디자인계열 대학에서 진행한 인간중심적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디자인씽킹 수업모형을 제안하고 이에 대한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은H대학교와 C대학의 학부 기초디자인수업 4개반이다. 시간적 연구범위는 2020년 1학기이며 총 15주동안 주차별 3시간씩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디자인의 사회적 역할과책임에 대한 문헌연구를 통해 디자인의 사회참여의식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체계적인 디자인 교육의 필요성을 피력하였다. 둘째, 사례연구에서 활용한 디자인씽킹 개념 및 IDEO 디자인씽킹 프로세스를 살펴보았다. 셋째, 학생들의 사회적 책임의식 배양을 위한 디자인씽킹 수업모형을 제안하고, 해당 수업모형을 시범적용한 사례연구로 ‘코로나19 프로젝트’를 단계별로 분석하였다. 넷째, 수업 참여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수업 전과 수업 후의 설문조사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 후 디자인 개념에 대한 인식이 확대된 것을 알 수 있었고 디자인의 사회적 책임및 역할에 대한 인식 또한 갖게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조별 프로젝트를 통해 조원들과의 협업및 소통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인간중심적 디자인 프로세스를 경험할수 있는 기회가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제안한 수업모형을 기반으로 체계화된 기초디자인교육에 관한 질적‧ 양적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국내 디자인정책 연구동향 및 과제 : 2009년~2013년 국내 박사학위논문 및 학술논문 분석

        문은정,나건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4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국내 박사학위논문과 KCI등재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2009년부터 2013년까지 발간된 디자인정책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116개의 국내 박사학위논문과 460개의 KCI등재 학술논문의 연도별 논문 발간추이, 연구주제, 연구목적, 연구방법 분석을 통해 전체적인 현상을 분석하였고, 연구주제별/연구목적 분석, 연구주제별/연구방법 분석을 통해 디자인정책의 연구 추이를 파악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박사학위논문의 경우 시간이 흐를수록 연구 논문의 수가 점진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술논문의 경우 2011년부터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방법에서는 학술논문의 경우 문헌적 연구방법과 사례 연구방법이 가장 많이 활용되었고 학위논문의 경우 복합적 연구방법이 가장 많이 활용되었다. 셋째, 연구주제별 분석에서는 학위논문과 학술논문 모두 공공디자인 영역에 지나치게 편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자인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디자인정책 관련 다양한 분야에 대한 균형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octor´s theses and domestic journals’ papers in an effort to determine research trends in design policy studies between 2009 and 2013. This study analyzes the trends in the number of thesis, research theme, research purposes and research methods throughout 116 doctoral theses and 460 domestic journals’ papers published in Ko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theses are on the progressive rise in recent years in case of doctor´s theses. But the number of theses decreased from 2011 in case of domestic journals’ papers. Second, the most dominant type of research was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in case of domestic journals’ papers. But in case of domestic doctor´s theses, the most dominant type of research was complex research method. Third, the majority of research were on public design in research theme analysis. It has been suggested that future research in design policy studies needs to focus more on the areas where relatively less attention has been paid to.

      • KCI등재

        국내 패션 스타트업 브랜드의 핵심가치 유형별 전략 방향성 연구

        문은정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2023 디자인융복합연구 Vol.2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business core valu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domestic fashion startup brands and to propose strategic directions for each type. To this end, first, the concept and business types of designer fashion brands, which account for most of the fashion startup brands, were reviewed, and ‘brand value’ was proposed as a key element of business strategy. Second, an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fashion industry and in-depth interviews with six fashion experts were conducted. Third, 51 domestic brands and 44 foreign brands were selected, business strategies were reviewed, and value keywords were derived. The core business value was derived using the Affinity Diagram. Fourth, ‘Social Impact type’, ‘Creative DNA type’, ‘Digital Value Chain type’, and ‘Customer Connected type’ were finally derived. In the future, based on this study, it is hoped that fashion startup brands will lay the foundation as a key player in the fashion industry. 본 연구는 국내 패션 스타트업 브랜드만의 특성에 기반한 비즈니스 핵심가 치를 도출하고 이에 대한 유형별 전략 방향성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첫째, 패션 스타트업 브랜드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디자이 너 패션 브랜드의 개념과 비즈니스 유형을 고찰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전 략의 핵심요소로 ‘브랜드 가치’를 제안하였다. 둘째, 패션산업의 산업동 향을 도출하기 위해 국내외 패션산업 현황분석 및 패션전문가 6명의 심 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셋째, 국내 디자이너 패션 브랜드 51개, 해외 패션 브랜드 44개를 선정하여 선정된 브랜드의 비즈니스 전략을 검토하 고, 브랜드별 가치 키워드를 도출한 후, 친화도법을 활용하여 비즈니스 핵심가치를 도출하였다. 넷째, 산업동향과 인터뷰 분석결과 및 브랜드 사례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사회적 가치 창출을 지향하는 ‘소셜 임팩트 형’, 디자인 가치 중심의 ‘크리에이티브 DNA형’, 모든 패션 가치사슬의 디지털화를 지향하는 ‘디지털 벨류체인형’ 및 고객경험에 집중하는 ‘커 스터머 커넥티드형’을 비즈니스 핵심가치 유형으로 정립하였다. 마지막 으로 정립된 핵심유형을 기반으로 유형별 전략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향 후 본 연구를 바탕으로 패션 스타트업 브랜드에 대한 가치확립 및 이론 적·산업적 기반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자기자비 글쓰기가 시험불안 대학생의 시험불안과 주의력에미치는 영향

        문은정,이아라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2 상담심리교육복지 Vol.9 No.5

        본 연구는 시험불안을 경험하고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자비 글쓰기를 실시하고, 이러한개입이 이들의 시험불안과 주의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경남 G 대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시험불안 설문지를 실시하였고, 시험불안을 경험하고 있는 75명을선발하여 무선적으로 3개의 집단(자기자비 글쓰기 집단, 주의분산 글쓰기 집단, 무처치 집단)에 배정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자기자비 글쓰기 집단은 주의분산 글쓰기 집단과 무처치 집단에 비해 시험불안 척도의 점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둘째, 자기자비 글쓰기 집단이 주의분산 글쓰기 집단과무처치 집단에 비해 심박수가 효과적으로 감소하였다. 셋째, 주의력 측면에서 격자판 과제의 결과는집단별로 차이가 없었지만, 숫자 따라 말하기 과제에서는 자기자비 글쓰기 집단의 점수가 다른 두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험불안 대학생의 개입 방안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