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린자녀를 둔 맞벌이부부들의 일상생활경험

        장미나(Chang, Mi-Na),한경혜(Han, Gyung-Hae) 한국가족학회 2011 가족과 문화 Vol.23 No.1

        어린자녀를 둔 맞벌이부부들이 일상생활에서 배분하는 시간 구조와 활동 순간 느끼는 순간의 정서(emotion)경험을 살펴보기 위해 맞벌이부부 91쌍의 일상생활경험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맞벌이부부들의 일상현실을 ‘어디에서 무엇을 하며, 누구와 있는가’와 같은 일상시간의 외적이고 구조적인 경험뿐만 아니라 이러한 상황에서 남편과 아내가 느끼는 순간의 정서경험 자료를 동시에 수집할 수 있는 경험표집법(ESM)을 활용하였다. 남편과 아내에게 하루 6번 총 5일 동안 동시에 신호를 주고, 그 순간의 외적인 상황과 정서경험을 기입하게 하여 수집한 경험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 모두 경제활동을 수행하는 맞벌이가구임에도 불구하고, 아내는 남편에 비해 가사 및 자녀돌봄 등 가족영역에 보내는 시간비율이 더 높고, 유급활동과 여가활동비율은 남편보다 낮아서 부부간에 상이한 일상시간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상맥락을 구분하지 않고 전반적인 부부의 정서경험을 비교해 본 결과, 맞벌이남편은 배우자인 아내에 비해 일상 활동 순간순간을 더 긍정적으로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맞벌이남편은 일터에서 주요 업무를 보는 순간을 일상 활동 중 가장 부정적으로 느끼고 있었으며, 배우자인 아내보다 부정정서 수준이 더 높았다. 반면에 아내는 남편에 비해 가사일이나 자녀돌봄 순간을 더 부정적으로 느끼고 있었으며, 자신의 유급활동 순간보다도 덜 긍정적인 느낌으로 보고하고 있다. 즉 전통적으로 남녀에게 부여된 활동 영역에서 남편과 아내는 각각 더 부정적으로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주요결과에 기초하여 맞벌이부부의 일상시간구조와 정서경험에 대한 사회규범의 영향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temporal and emotional organization of daily lives of 91 dual-earner couples with young children. Experience Sampling Method(ESM) was used, which provided an access to where, how, and with whom they spent their daily time and how they experienced different settings. A sample of 91 couples(91 husbands, 91 wives) reported their activities, companion contexts and emotional states six times a day for a consecutive 5-day period. They provided 5,141 self-reports, and the unit of analysis was based on the couple level(the couple was used as the unit of analysi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aily time pattern between husbands and wives. While wives, the primary caretakers of their families, spent more time on housework and childcare than husbands, they spent less time on paid work and leisure than their spouses. Second, husbands experienced positive emotions with more intensity than their wives in overall average. Third, the pattern of daily emotional experiences differed markedly. Wives reported more intense negative states in childcare and housework, in other words, women's traditional family role. On the contrary, husbands who are not primarily responsible for housework and childcare, reported experiencing stronger positive emotions for those activities than wive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ignificance of gender role on dual-earner couples' daily lives was discussed.

      • 가족센터 1인가구 프로그램에 관한 1인가구의 요구 탐색

        장미나(Mi-Na Chang),진미정(Meejung Chin),노신애(Shinae Noh) 한국가족정책학회 2022 가족정책연구 Vol.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 가족센터의 1인가구 프로그램의 내용과 운영방식에 관한 1인가구의 요구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 지역 가족센터 1인가구 프로그램 참여자 6명과 비참여자 5명을 대상으로 각각 집단면접을 실시하였다. 참여자 집단은 20~30대, 비참여자 집단은 40~50대 1인가구로 구성되었다. 분석 결과, 내용상으로는 생애주기 단계별 이행이나 전환을 원활하게 돕는 프로그램, 외로움을 줄일 수 있는 정서적 지원프로그램, 식사나 취미활동을 매개로 한 공동체 프로그램에 관한 요구가 있었고, 운영상으로는 남녀 모두 참여할 수 있는 주제 기획, 지속적인 회원관리와 홍보, 융통성 있는 참여 요건 적용 및 개인정보보호,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정보 제공 등 요구를 표현하였다. 연구 결과에 토대하여 가족센터 프로그램에 다음과 같은 제언이 가능하다. 첫째, 지역사회 인프라를 활용하여 식사와 취미활동을 매개로 한 공동체 활동 등 1인가구의 요구에 부합하는 프로그램 내용을 기획하고, 둘째, 프로그램 참여 요건을 완화하며, 셋째, 센터의 다양한 사업에 대한 홍보와 노출을 통해 센터 인지도를 높이고, 넷째, 사생활과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보장으로 프로그램 참여에 대한 심리적 문턱을 낮추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information for program development for single-person households delivered at local Family Centers. We conducted two focus group interviews with single-person households, one with center program participants, and the other with non-participants. The participant group consisted of six people in their 20s and 30s, while the non-participant group consisted of five people in their 40s and 50s. The results show that single-person households need programs to facilitate transitions in life courses, reducing loneliness, and social gathering through sharing meals or hubbies. They also need programs for both men and women, a consistent member management, flexible participation requirements, privacy protection, and practical inform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ocus group interviews, we made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program contents need to be planned according to the needs of single-person households, Second, flexibility is needed on the targets and contents of the programs for single-person households. Third, public awareness should be increased regarding Family Centers to attract both men and women. Finally, protection on privacy and personal information needs to be enforced.

      • KCI등재

        기혼남녀근로자의 일ㆍ가족 균형과 관련요인

        한경혜(Han Gyoung-Hae)ㆍ장미나(Chang Mi-Na) 한국가족학회 2009 가족과 문화 Vol.21 No.1

        본 연구는 기혼근로자들이 지각하는 일ㆍ가족 균형수준 및 관련요인에 있어서의 성별차이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16개의 일터에서 정규직으로 종사하는 총 688명의 기혼남녀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일ㆍ가족 균형수준과, 가족 및 작업환경 특성별 균형인식의 남녀차이를 위계회귀분석을 통하여 탐색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여성이 남성에 비하여 두 역할간의 균형감을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가족과 작업환경 특성으로 구성된 본 연구모형 중 균형수준에 대한 대개의 설명력은 직업특성에 집중되어 있으며, 그 중 업무량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남녀에게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근무시간과 업무량, 그리고 배우자로부터의 지원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4) 남녀 간 차별적인 기제도 관찰되었는데, 직무융통성은 남성에게 그리고 직무통제감은 여성에게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주요결과에 기초하여 기혼남녀근로자가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일ㆍ가족 균형의 의미와 인식과정에서의 젠더차이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level of perceived work-family balance reported by married employees, and how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work and family are related to their perceptions of balancing the two, both in regards of gender differences. Data were gathered from 688 employees (male: 485, female: 203) working in sixteen major firms in Korea. Hierarchical regressions were conducted on perceived work-family balance using categorical independent variables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family and work, respectively) including gender interaction terms, and OLS regression was conducted on two separate models for men and women. The results were: (1) women reported to have more balanced life than men. (2) Work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contributed the most in explaining the variance of the model. (3) There were similarities as well as differences in perceived work-family balance between men and women. Among family characteristics, higher level of spouse support was associated with feeling more balanced in both groups. (4) Among work characteristics, time pattern variables such as weekly working hours and overtime work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feeling balanced in both genders. However, job flexibility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men's sense of balance, and job control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women's. Gender differences both in the meaning of perceived balance and process of perception were discussed based on these findings.

      • 오대산 소나무림의 유기탄소 분포 및 수지

        장미나 ( Mi Na Jang ),김성용 ( Sung Yong Kim ),( Azyleah C. Abino ),김창현 ( Chang Hyun Kim ),이중효 ( Jung Hyo Lee ),이영진 ( Young Jin Lee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본 연구는 백두대간에 위치하고 있는 오대산 국립공원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2012년 6월부터 2013년 5월까지 지상부와 지하부 현존량, 낙엽생산량, 낙엽층의 낙엽량과 토양의 유기탄소 분포를 조사하였으며, 탄소수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토양호흡을 측정하였다. 오대산 소나무림에서 조사된 총 유기탄소량은 230.11 ton C/ha으로, 지상부와 지하부의 유기탄소량은 각각 182.78 ton C/ha, 45.70 tonC/ha이었으며, 낙엽층과 토양의 유기탄소량은 각각 5.98 ton C/ha, 45.40 ton C/ha이었다. 오대산 소 나무림에서 연간 광합성을 통하여 식물체에 고정되는 유기탄소량은 17.76 ton C/ha/yr로 임내 층위에 따라 유기탄소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조사기간 동안 낙엽을 통하여 임상으로 유입되는 유기탄소 량은 3.233 ton C/ha/yr이었다. 토양호흡을 통하여 방출되는 탄소량은 5.76 ton C/ha/yr으로 이 중미생물호흡을 통해 방출되는 탄소량은 3.11 ton C/ha/yr이고, 뿌리호흡을 통하여 방출되는 탄소량은2.65 ton C/ha/yr이었다. 그 결과, 오대산 소나무림에서 연간 대기로부터 순 흡수하는 유기탄소는 14.65 ton C/ha/yr로 조사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carbon sequestration and carbon budget of Pinus densiflora stands in the Mt. Odae National Park. Above and below ground standing biomass, litter layer, soil organic carbon, and soil respiration were measured to estimate the amount of carbon and the carbon budget from June 2012 through May 2013. Total amount of carbon was 230.11 ton C/ha attributed to above (182.78 ton C/ha) and below (45.70 ton C/ha) ground biomass, litter layer (5.98 ton C/ha) and soil organic carbon (45.40 ton C/ha). This was equivalent to 17.76 ton C/ha/yr from above and below ground biomass, shrub and herb. In addition, the amount of organic carbon returned to the forest through litterfall was 3.233 ton C/ha/yr. The amount of carbon evolved through soil respiration was 5.76 ton C/ha/yr to which 3.11 ton C/ha/yr was accounted for microbial respiration while the remaining 2.65 ton C/ha/yr was due to root respiration. Based on the estimation of the difference between Net Primary Production and microbial respiration, the amount of atmospheric carbon sequestered by Pinus densiflora stands was 14.65 ton C/ha/yr.

      • 오대산 신갈나무림의 낙엽생산과 유기탄소 동태

        장미나 ( Mi Na Jang ),김성용 ( Sung Yong Kim ),( Azyleah C. Abino ),김창현 ( Chang Hyun Kim ),이중효 ( Jung Hyo Lee ),이영진 ( Young Jin Lee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본 연구는 백두대간에 위치하고 있는 오대산 국립공원 신갈나무림을 대상으로 2012년 6월부터 2013년 5월까지 지상부와 지하부 현존량, 낙엽생산량, 낙엽층의 낙엽량과 토양의 유기탄소 분포를 조사하였으며, 탄소수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토양호흡을 측정하였다. 오대산 신갈나무림에서 조사된 총유기탄소량은 93.07 ton C/ha으로, 지상부와 지하부의 유기탄소량은 각각 72.36 ton C/ha, 18.09 tonC/ha이었으며, 낙엽층과 토양의 유기탄소량은 각각 4.39 ton C/ha, 42.28 ton C/ha이었다. 오대산 신갈나무림에서 연간 광합성을 통하여 식물체에 고정되는 유기탄소량은 5.46 ton C/ha/yr로 임내 층위에 따라 교목층 4.26 ton C/ha/yr, 관목층 0.24 ton C/ha/yr, 초본층 0.95 ton C/ha/yr의 유기탄소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조사기간 동안 낙엽을 통하여 임상으로 유입되는 유기탄소량은 2.840 tonC/ha/yr이었다. 토양호흡을 통하여 방출되는 탄소량은 5.52 ton C/ha/yr으로 이 중 미생물호흡을 통해 방출되는 탄소량은 2.98 ton C/ha/yr이고, 뿌리호흡을 통하여 방출되는 탄소량은 2.54 tonC/ha/yr이었다. 그 결과, 오대산 신갈나무림에서 연간 대기로부터 순 흡수하는 유기탄소는 2.48 tonC/ha/yr로 조사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Litter Production and carbon budget of Quercus mongolica stands in the Mt. Odae National Park. Above and below ground standing biomass, litter layer, soil organic carbon, and soil respiration were measured to estimate the amount of carbon and the carbon budget from June 2012 through May 2013. Total amount of carbon was 93.07 ton C/ha attributed to above (72.36 ton C/ha) and below (18.09 ton C/ha) ground biomass, litter layer (4.39 ton C/ha) and soil organic carbon (42.28 ton C/ha). This was equivalent to 5.46 ton C/ha/yr where 4.26 ton C/ha/yr is from above and below ground biomass, 0.24 ton C/ha/yr from shrub and 0.95 ton C/ha/yr from herb. In addition, the amount of organic carbon returned to the forest through litterfall was 2.840 ton C/ha/yr. The amount of carbon evolved through soil respiration was 5.52 ton C/ha/yr to which 2.98 ton C/ha/yr was accounted for microbial respiration while the remaining 2.54 ton C/ha/yr was due to root respiration. Based on the estimation of the difference between Net Primary Production and microbial respiration, the amount of atmospheric carbon sequestered by Quercus mongolica stands was 2.48 ton C/ha/yr.

      • 35년생 잣나무림의 수관연료량 추정을 위한 상대생장식 개발

        김성용 ( Sungyong Kim ),장미나 ( Mi Na Jang ),( Azyleah C. Abino ),김창현 ( Chang Hyun Kim ),이병두 ( Byung Doo Lee ),이영진 ( Young Jin Lee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35년생 잣나무림을 대상으로 수관층 연료량을 추정하기 위한 상대 생장식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는 경기도 가평군, 강원도 홍천군, 정선군 국유림 내 잣나무조림지로 선정하였으며, 총 24본의 표본목을 벌채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수관연료량 추정을 위해 수간, 잎, 가지로 분류하여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가지는 고사여부와 직경 크기별로 세분화하여 구분하였다. 상대생장식은 흉고직경 또는 흉고직경과 수고를 독립변수로 이용하는 회귀식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대부분의 수관 부위에서 ln Wt=β0+β1ln D 식이 조정결정계수가 가장 높고=(R2(adj)=0.6021-0.9742) 표준추정오차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S.E.E.=0.2018-0.7271). 한편, 수관화 확산 시 연소가능한 연료(잎과 직경 1 cm 이하 가지)의 비율은 총 수관에서 55.6%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llometric equations for the estimation of crown fuel biomass of Pinus koraiensis in South Korea. A total of twenty four representative trees were destructively sampled in Gapyeong, Hongcheon, and Jeongseon. Crown fuel were weighed separately for each fuel category by size class and by living and dea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djusted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values were the highest =(R2(adj)=0.6021-0.9742)and standard error of estimate were the lowest ( S.E.E.=0.2064∼0.8578) in allometric equation ln Wtln Wt=β0+β1ln D The available fuels that are consumed during crown fires (i.e. needles and twigs with diameter less than 1 cm) comprised 55.6% of the total crown fuel biomass.

      • KCI등재

        일상재구성법을 통해 살펴본 영,유아자녀를 둔 기혼 여성들의 행복감

        한경혜 ( Gyoung Hae Han ),장미나 ( Mi Na Chang ) 한국가족복지학회 2011 한국가족복지학 Vol.16 No.4

        본 연구는 어린자녀를 둔 기혼여성들이 경험하는 일상적 행복감과 관련요인을 살펴보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일상재구성법(Daily Reconstruction Method)을 이용하여 만 5세미만의 영유아 자녀를 둔 기혼여성 총 3,067명을 대상으로 하루 동안의 활동과 상황, 그리고 그 순간의 행복감을 재구성한 일상경험 자료를 수집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혼여성들은 일상생활의 상당부분을 가사일과 자녀를 돌보며 살아가고 있었는데, 그 순간 느끼는 행복감은 개인유지활동이나 여가활동 순간보다도 낮았다. 둘째. 함께 있는 대상에 따라 기혼여성들이 느끼는 행복감의 차이가 나타났는데, 자녀와만 있는 상황은 평균보다 낮은 행복감을 느꼈지만, 자녀와 배우자가 함께 있는 순간은 매우 높은 행복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삶의 전반적 행복감은 일상생활에서 느끼는 순간의 행복감과 유의한 관련성을 나타냈으며, 특히 가사활동 순간에 느끼는 행복감이 다른 활동 순간에 느끼는 행복감보다 더 큰 관련성을 보였다, 또한 자녀와 배우자가 함께 있는 순간에 느끼는 행복감이 여성들의 전반적 행복감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기혼여성들이 느끼는 행복의 조건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aily happiness of young married women in various everyday contexts and overall happiness using the Day Reconstruction Method (DRM). Data were gathered from a total of 3,067 married women with children under the age of five.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most married women spent the majority of time on household work and childcare, but the reports showed that they were less happy when doing housework and care-related work than when spending time on leisure and self-maintenance (i.e., eating, sleeping) activities. Secondly, the women showed a below-average level of happiness while they were with their child alone. On the other hand, they showed a higher level of happiness when their husband joined the picture. Third, the women`s daily happiness leve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ir overall level of happiness. In particular, the level of daily happiness coming from the time spent doing household work intensified the effect on overall happiness. Lastly, the companionship of family (a child and/or husband) was found to be the only significant predictor of the women`s overall happines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conditions that make married women happy and the significance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 SOFTWARE의 합리적인 관리를 위한 문서화에 대한 연구

        장미나,김정종 慶南大學校 附設 工業技術硏究所 1990 硏究論文集 Vol.8 No.-

        문서화라는 자체가 획일적이지 못하고, 서술 내용, 방법 및 도구들에 의해 다양하고 복합적이기 때문에 문서화 방법은 가변적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서를 표준화 해서 갖추는 것만이 아니고 원활한 문서화를 만들어 시스템 개발을 효율적으로 하여 유지 보수를 쉽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하였다. Documentation is not uniform, but it can be variable because it is compounded by contents of descriptions, methods, and tools. This study is not only to standardize documentation, but also to make software development and maintenance easy and effici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