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혼남녀근로자의 일ㆍ가족 균형과 관련요인

        한경혜(Han Gyoung-Hae)ㆍ장미나(Chang Mi-Na) 한국가족학회 2009 가족과 문화 Vol.21 No.1

        본 연구는 기혼근로자들이 지각하는 일ㆍ가족 균형수준 및 관련요인에 있어서의 성별차이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16개의 일터에서 정규직으로 종사하는 총 688명의 기혼남녀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일ㆍ가족 균형수준과, 가족 및 작업환경 특성별 균형인식의 남녀차이를 위계회귀분석을 통하여 탐색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여성이 남성에 비하여 두 역할간의 균형감을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가족과 작업환경 특성으로 구성된 본 연구모형 중 균형수준에 대한 대개의 설명력은 직업특성에 집중되어 있으며, 그 중 업무량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남녀에게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근무시간과 업무량, 그리고 배우자로부터의 지원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4) 남녀 간 차별적인 기제도 관찰되었는데, 직무융통성은 남성에게 그리고 직무통제감은 여성에게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주요결과에 기초하여 기혼남녀근로자가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일ㆍ가족 균형의 의미와 인식과정에서의 젠더차이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level of perceived work-family balance reported by married employees, and how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work and family are related to their perceptions of balancing the two, both in regards of gender differences. Data were gathered from 688 employees (male: 485, female: 203) working in sixteen major firms in Korea. Hierarchical regressions were conducted on perceived work-family balance using categorical independent variables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family and work, respectively) including gender interaction terms, and OLS regression was conducted on two separate models for men and women. The results were: (1) women reported to have more balanced life than men. (2) Work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contributed the most in explaining the variance of the model. (3) There were similarities as well as differences in perceived work-family balance between men and women. Among family characteristics, higher level of spouse support was associated with feeling more balanced in both groups. (4) Among work characteristics, time pattern variables such as weekly working hours and overtime work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feeling balanced in both genders. However, job flexibility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men's sense of balance, and job control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women's. Gender differences both in the meaning of perceived balance and process of perception were discussed based on these findings.

      • KCI등재

        일상재구성법을 통해 살펴본 영,유아자녀를 둔 기혼 여성들의 행복감

        한경혜 ( Gyoung Hae Han ),장미나 ( Mi Na Chang ) 한국가족복지학회 2011 한국가족복지학 Vol.16 No.4

        본 연구는 어린자녀를 둔 기혼여성들이 경험하는 일상적 행복감과 관련요인을 살펴보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일상재구성법(Daily Reconstruction Method)을 이용하여 만 5세미만의 영유아 자녀를 둔 기혼여성 총 3,067명을 대상으로 하루 동안의 활동과 상황, 그리고 그 순간의 행복감을 재구성한 일상경험 자료를 수집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혼여성들은 일상생활의 상당부분을 가사일과 자녀를 돌보며 살아가고 있었는데, 그 순간 느끼는 행복감은 개인유지활동이나 여가활동 순간보다도 낮았다. 둘째. 함께 있는 대상에 따라 기혼여성들이 느끼는 행복감의 차이가 나타났는데, 자녀와만 있는 상황은 평균보다 낮은 행복감을 느꼈지만, 자녀와 배우자가 함께 있는 순간은 매우 높은 행복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삶의 전반적 행복감은 일상생활에서 느끼는 순간의 행복감과 유의한 관련성을 나타냈으며, 특히 가사활동 순간에 느끼는 행복감이 다른 활동 순간에 느끼는 행복감보다 더 큰 관련성을 보였다, 또한 자녀와 배우자가 함께 있는 순간에 느끼는 행복감이 여성들의 전반적 행복감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기혼여성들이 느끼는 행복의 조건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aily happiness of young married women in various everyday contexts and overall happiness using the Day Reconstruction Method (DRM). Data were gathered from a total of 3,067 married women with children under the age of five.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most married women spent the majority of time on household work and childcare, but the reports showed that they were less happy when doing housework and care-related work than when spending time on leisure and self-maintenance (i.e., eating, sleeping) activities. Secondly, the women showed a below-average level of happiness while they were with their child alone. On the other hand, they showed a higher level of happiness when their husband joined the picture. Third, the women`s daily happiness leve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ir overall level of happiness. In particular, the level of daily happiness coming from the time spent doing household work intensified the effect on overall happiness. Lastly, the companionship of family (a child and/or husband) was found to be the only significant predictor of the women`s overall happines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conditions that make married women happy and the significance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