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2,4-트리메틸벤젠에 피폭된 노동자의 뇨 중 3,4-디메틸히푸르 산과 크레아티닌의 정량

        임정미(Jeong Mi Lim),장재연(Jae Yeon Jang),이용문(Yong Moon Lee),강종성(Jong Seong Kang) 대한약학회 1997 약학회지 Vol.41 No.6

        Creatine and 3.4-Dimethylhippuric acid (3,4-DMHA), a glycine conjugate of 1.2,4-trimethylbenzene (1,2,4-TMB) were determined in the urine of workers exposed to 1,2,4-TMB vapor. The best condition for the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3.4-DMHA and creatine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as obtained by reverse phase C18 column (4.6X150mm, 5mcm) as stationary phase and 20% acetonitrile in 20mM phosphate buffer (pH 3.0) containing 4mM sodium octylsulfate(SOS)as mobile phase. The recovery of 3,4-DMHA spiked to blank urine in the range of 1~5mcg/ml was about 96%. The concentration of urinary 3,4-DMHA of worker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environmental level of 1,2.4-TMB (r=0.866). The data suggest that urinary 3,4-DMHA concentration is a useful biological index for 1,2.4-TMB exposure.

      • KCI등재후보

        케어직원의 부적절한 케어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일본 노인요양시설을 중심으로

        임정미(Jeongmi Lim) 국가생명윤리정책원 2020 생명, 윤리와 정책 Vol.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 노인요양시설에서 종사하는 케어직원의 부적절한 케어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 관련 요인과 부적절한 케어 인식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 수행을 위해 일본 노인요양시설에 근무하는 케어직원 6,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수집된 1,473명의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선행문헌 검토를 통해 케어직원의 부적절한 케어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해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개인적 특성으로는 여성 케어직원일수록, 케어복지사 자격을 가지고 있는 직원일수록 부적절한 케어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직무 특성으로는 케어 스트레스가 낮은 직원일수록 부적절한 케어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시설 환경 특성으로는 시설 규모가 작을수록, 운영 형태가 사회복지법인과 비영리법인인 경우, 행동제한을 용인하지 않는문화를 구축한 시설일수록, 케어기술 관련 훈련을 실시하고 있는 시설일수록 직원의 부적절한 케어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선행연구에서 위험요인으로 지적하고 있는 케어 필요도, 야근 횟수와 같은 업무량 증가는 부적절한 케어 인식에 유의미한 관련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부적절한 케어 예방을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erception of maltreatment among care workers and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reported in the literature and this perception. A questionnaire survey conducted among 6,000 care workers in Japanese long-term care facilities yielded usable data from 1,473 respondents for the analysis. Based on literature reviews, independent variable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individual, work,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possible relationships between these variables and perceptions of maltreatment. The results show that female staff who were qualified care workers were more likely to report a higher level of perceived maltreatment. Care workers reporting lower care stress were also more likely to perceive a higher level of maltreatment. The smaller the facility size, the more the facility operated as a social welfare corporation (i.e., as a non-profit business) and the more the facility built a culture that did not tolerate behavioral restrictions, the higher the worker"s perception of maltreatment was expressed. Finally, the more the facility provided education related to care skills, the higher the worker"s perception of maltreatment. In contrast, increases in workload, such as nursing care level and the number of night shifts, which were reported as risk factors in previous research, were not significant in this study. Based on the findings of our study, policy implications for the prevention of maltreatment among care workers are discussed.

      • KCI등재

        요양보호사 수급격차 분석과 중장기 전망

        임정미 ( Jeongmi Lim ),이영광 ( Youngkwang Lee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장기요양시장에서의 요양보호사 인력 현황을 파악하고 2030년까지의 요양보호사 수요공급을 추계하여 적정 인력 수급을 위한 정책 방향에 대해 논의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요양시설, 공동생활가정, 방문요양과 주야간보호센터에서 활동하고 있는 요양보호사로, 보건복지부의 각 연도별 보건복지통계연보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요양보호사 활동현황에 대한 내부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인력 공급추계에는 기초추계방법을 사용하였고, 수요추계에는 장기요양서비스 수요를 추정한 뒤 이로부터 필요인력 수요량을 도출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2018년에는 요양보호사가 17,693명 과잉 공급되지만, 2020년에는 요양보호사가 11,694명 부족하고, 2030년에는 89,976명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급격차에 대한 결과를 바탕으로 요양보호사 수급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대책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human resource status of the care workers in long-term care insurance, to forecast supply and demand for care workers, and to discuss the policy direction for appropriate human resources supply and demand.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care workers working in long-term care facilit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s annual report on health and welfare statistics for each year and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s internal data on the status of care worker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baseline projection method was used to forecast the human resource supply, and the derivative demand method was used to forecast the demand for care workers. A comparison of supply-demand estimates of care workers shows an oversupply of 17,693 care workers in 2018, but a shortage of 11,694 care workers in 2020, and a shortage of 89,976 care workers in 2030. Based on the results of the disparity in receipt of benefits, measures were proposed to eliminate the imbalance in receipt of care workers.

      • 노인의 건강 및 기능 상태 실태와 과제

        임정미 ( Lim Jeongmi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1 보건복지포럼 Vol.300 No.-

        이 글에서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실시한 2020년 노인실태조사를 바탕으로 노인의 건강 및 기능 상태를 파악하고 향후 필요한 건강 관련 정책의 방향을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노인의 건강 상태와 건강행태 및 기능 상태를 살펴보았다. 전반적으로 중증 만성질환이 있는 노인은 2017년에 비해 감소하였지만, 만성질환이 1개 있는 노인의 비율이 2017년에 비해 증가하였다. 우울 증상은 2017년에 비해 감소하였지만 여전히 고연령 노인, 배우자가 없는 노인, 미취업 노인, 기능 제한이 있는 노인의 우울 증상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건강행태, 즉 영양관리를 포함한 건강 실천 행위는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분석 결과를 통해, 노인의 건강 상태와 기능 상태 향상을 위해서는 고위험 집단별 특성을 고려한 예방적 건강관리 정책이 강화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paper, based on the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the health and functional status of the elderly will be assessed and the direction of health-related policies needed in the future will be discussed. For this purpose, we examined the health status, health behaviors, and functional status of the elderly. Overall, the number of older adults with serious chronic diseases decreased compared to 2017, but the percentage of older adults with one chronic disease increased compared to 2017. Symptoms of depression decreased compared to 2017, but the proportion of depressive symptoms was still higher among older adults, older adults without a spouse, older adults not in work, and older adults with functional limitations. Health behaviors, i.e., health practice behaviors including nutrition management, showed positive changes. Through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t can be confirmed that preventive health care policies that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high-risk group need to be strengthened in order to improve the health and functional status of the elderly.

      • KCI등재

        무용사회학 정립을 위한 몸 접근

        임정미 ( Jeong-mi Lim ),구희곤 ( Hee-gon Ku ) 한국무용과학회 2016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사회학이라는 새로운 학문적 영역을 정립시켜 무용의 도구인 몸을 질적 접근으로 연구하는 방향에 대하여 문헌으로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무용과 사회, 예술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문헌고찰과 선행연구를 통해 무용사회학이라는 영역을 정립시키고, 몸을 이해하여 몸에 대한 관점과 아서 프랭크(Arthur, W. Frank)의 몸 유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무용의 도구인 몸은 첫째, 서양의 데카르트의 이원론과 기계론에서 연원 되어 오랜 기간 몸이 학문적 대상에서 제외되어 왔다. 둘째, 몸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 부상한 시기는 1960년 포스트모던시대 이후부터이다. 예컨대 소비문화의 등장과 개인화, 페미니즘 운동, 몸에 대한 통제 기술의 발달, 고령사회의 등장 등으로 사회·문화적 관심의 대상으로 부각되었다. 셋째, 몸에 대한 관점은 다양하지만 일반적인 생물학적인 관점과 사회구성주의 관점이 있다. 생물학적인 관점은 자연주의적인 시각이며 사회구성주의 관점은 어느 정도 몸이 사회에 의해 형성되고 구속되며 창출된다는 견해이다. 넷째, 사회구성주의 관점에서 아서 프랭크(Arthur, W. Frank)는 인간이 행위를 할 때 직면하는 문제를 기준으로 몸의 유형을 훈육되는 몸(disciplined body), 반영하는 몸(mirroring body), 지배하는 몸(dominating body), 의사소통하는 몸(communicative body)으로 분류하였다. 아서 프랭크의 몸 유형은 무용수의 몸 이미지 유형을 분류할 수 있다. 행위자 주체가 지향하는 몸에 대한 인식을 사회·문화적 맥락 내에서 탐색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literature research direction for approaching qualitatively about a body which is a tool for dancing by defining Sociology of Dance as a new academic area. For this, this research defined the area for sociology of dancing, and analyzed perspective of body from understanding body and Arthur W. Frank``s body type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preceding researches about the relationships of dancing and society, and arts and society. In result, body, which is a tool for dancing, is first, body has been excluded from academic subject for long time due to dualism and mechanism of Descartes of the West. Second, the interest of body as academic subject started to gain popularity after post-modern age in 1960s. For example, appearance of consumption culture, individualism, feminism movement, development of body controlling technology, and aging society highlighted body as subject of social and cultural subject interest. Third, though perspectives of body are various, there are general biological perspective and social constructivism perspective. The biological perspective is a naturalistic perspective, and social constructivism perspective is an opinion where body is formed, bounded, and created from the society in some level. Fourth, from social constructivism perspective, Arthur W. Frank used problem of action to categorize body types into four ideal typical bodies: the disciplined body, the mirroring body, the dominating body, and the communicative body. Arthur W. Frank``s typical bodies can categorize image types of dancer``s body. This research can provide, within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a method of exploring awareness of about the body that performer oneself aims.

      • SCOPUSKCI등재

        발생 중인 흰쥐에서 Losartan 투여 후 콩팥동맥계통내 Renin , α - smooth Muscle Actin 및 Aquaporin - 1 발현양상의 변화

        임정미(Jung Mi Lim),김향(Hyang Kim),정주영(Ju Young Jung),임선우(Sun Woo Lim),김완영(Wan Young Kim),한기환(Ki Hwan Han),차정호(Jung Ho Cha),김진(Jin Kim) 대한신장학회 2002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1 No.1

        목 적 : 발생 중인 흰쥐의 콩팥에서 AT 1 수용체 길항제를 임신 중 및 출생 후에 구강으로 투여하여 발생 중인 콩팥내 동맥계통에서 renin, α-smooth muscle actin (ASMA) 및 aquaporin-1(AQP1)의 발현양상 및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실험동물은 Sprague- Dawley계의 흰쥐를 사용하였고, 임신군과 출생후군으로 나누어 시행하였다. 임신군은 losartan (M.S.D, 10 ㎎/㎏/day s )을 임신 14일부터 4일간 투여하고 임신 17일날 희생시켰으며, 또한 임신 14일부터 8일간 투여한 후 출생 1일과 9일에 희생시켰다. 출생 후군은 losartan을 출생 직후부터 4일 및 9일 동안 투여하였다. 또한 각 군에 대한 대조군으로 losartan 대신 식염수를 같은 방법으로 투여하였다. 콩팥을 periodate- lysine- paraformaldehyde (PLP)로 고정한 후, renin (1 : 10,000), ASMA (1 : 1,000) 및 AQP 1(1 : 1,000)에 대한 항체를 각각 이용하여 포매 전 면역염색법을 시행하였다. 결 과 : Losartan을 임신 쥐에 투여한 경우 출생 전후 콩팥혈관동맥에서 AQP1, renin 및 ASMA의 발현양상에 큰 변화는 없었다. 그러나 losartan을 출생직후 새끼에 투여한 경우 4일군과 9일군 모두에서 동맥계통 혈관벽의 renin - 양성 세포의 수가 증가되었고 ASMA- 양성세포는 비대 및 증식되어 있었으나, AQP1 면역반응성에는 변화가 없었다. 결 론 : 혈관분화 과정에서 AQP1과 renin의 발현 사이에 직접적인 관련은 없는 것으로 생각 된다. Background : Recent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renin, α-smooth muscle actin(ASMA) and aquaporin-1(AQP 1) participate in the development of renal arterial system . The components of the reninangiotensin system have been shown to function as growth factors, apart from their classical roles in controlling blood volume and homeostasis. Interestingly, the vasoconstrictor angiotensin Ⅱ(ANG Ⅱ) appears to participate in the regulation of angiogenesis in various tissues.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ANG Ⅱ type-1(AT 1) receptor blocker losartan given during pregnancy or newborn rats on the expression of renin, ASMA and AQP 1 in the developing renal arterial system. Methods : Pregnant and newborn rats received losartan (10 ㎎/㎏/day) or saline for 4 and 8 days from E 14 to parturition, and for 4 and 9 days starting at day 1 after birth, respectively. Kidneys of 17-day-old fetuses and 1-, 4-, and 9-day-old pups were processed for immunohistochemistry using antibodies to renin (1 : 10,000), ASMA (1 : 1,000), and AQP 1(1 : 1,000). Results : In all pregnant group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immunostaining for renin, ASMA, and AQP 1 between losartan treated groups and saline treated groups. In all newborn groups, however, blockade of AT 1 receptor with losartan found to increase expression of renin and ASMA but to have no effect on expression of AQP 1 in the developing renal arterial system. Conclusion : T hese results suggest that AQP 1 expression is not associated with renin or ASMA expression during development of renal arterial system.

      • KCI등재

        여자대학생의 발레작품 수준에 따른 운동강도 및 에너지소모량 연구

        임정미 ( Jung Mi Lim ) 대한무용학회 2014 대한무용학회논문집 Vol.72 No.1

        본 연구에서 비교분석하고자 했던 운동강도의 관찰변인으로 채택했던 심박수에 대해 살펴보면 <그림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발레작품1의 경우 1분 경과시의 심박수는 155.35 bpm이고, 80초 경과 종료시의 최대심박수는 162.32 bpm이었다. 작품2에서는 1분 경과시의 심박수는 169.81 bpm이고 80초 경과 종료시의 최대심박수는 177.01 bpm이었다. 작품3에서는 1분 경과시의 심박수는 162.29 bpm이고 85초 경과 종료시의 최대심박수는 167.90 bpm이었다. 이중 작품2에서 1분 경과시 심박수는 169.8 bpm(84.91%HRmax)이고 80초 종료시의 최대심박수는 177.0 bpm(88.51%HRmax)로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정미송 등(2006)의 연구에서 S대학교 발레무용수를 대상으로 Bruce protocol를 이용한 최대운동부하검사(GXT) 결과 심박수에서 187.1(±11.8)HR보다는 낮은 수준이었지만 회복기 1분후의 심박수 169.3(±11.0)보다는 다소 높은 수준으로 본 연구에서 발레 시작 1분 후의 심박수 169.81HR은 GXT직후 회복기 1분 후의 심박수 169.3HR와 매우 비슷한 수준, 즉 운동강도가 84.91%HRmax로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활동 중인 한국무용 여자 무용수를 대상으로 한 연구(공미애 등, 2008,p.881)에서 한국무용 기본동작(굿거리, 늦은굿거리, 자진모리, 늦은타령, 자진타령; 총 14분) 수행시 최대심박수는 183(±7.14)HR이었고 평균 심박수는 141.4HR(72.5%HRmax)이었다. 이러한 선행연구결과는 본 연구의 발레작품2의 80초 종료시의 최대심박수 177.01HR, 작품1의 최대심박수 162.32HR, 작품3의 최대심박수 167.90HR와 비교하면 더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나, 선행연구에서의 평균 심박수 141.4HR와 비교하면 발레작품1의 1분 경과시의 심박수 155.35HR, 작품2의 심박수 169.81HR, 작품3의 심박수 162.29HR와 비교하면 본 연구의 발레작품 모두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무용은 비교적 정적이고 다소 느린 동작위주로 구성된 반면 발레는 동적이고 보다 빠른 동작위주로 구성 되어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또 다른 한국무용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양선희 등, 2001,p.195)에서 한국무용 기본동작(굿거리장단 8분과 자진모리장단 4분; 총12분)시 초기 1분 경과시 심박수는 135.2(±11.94) HR으로 본 연구의 발레작품1의 동일한 경과시간의 심박수 155.35HR, 작품2의 심박수 169.81HR, 작품3의 심박수 162.29HR와 비교하면 매우 낮은 수준으로 판단되고, 한국무용 기본동작의 12분 종료시의 심박수 173.6(±11.68)HR은 본 연구에서 발레작품1의 80초 종료시의 심박수 162.32HR, 작품2의 심박수 177.01HR, 작품3의 심박수 167.90HR와 비교하면 비슷하거나 다소 높은 수준인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발레작품2에서 시작 1분과 80초 경과시 각각 심박수는 169.81 bpm과 177.01 bpm으로 조남규와 이상옥(1998)의 이매방류 살풀이의 14분 동안의 평균 심박수는 143.34 bpm(±7.52)보다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권양기와 이채산(1992)의 국민체조에 관한 연구결과의 심박수 143.83 bpm보다 더 높았으며 동시에 덩더쿵 체조에 대한 심박수 161.63 bpm과는 비슷한 수준이거나 오히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 고유의 민속춤인 소고춤의 심폐기능에 관한 연구(조남규, 2004, p.91)에서 한국무용 전공자 14명을 대상으로 소고춤 연기시 측정한 심박수는 초기 1분간 평균 심박수 146.33(±14.86)HR, 경과 3분에서 최고 심박수 171.50(±12.72)HR, 3분 동안의 평균 심박수 164.39(±34.25)HR로서 본 연구에서 발레작품2의 1분간의 심박수는 169.81HR, 경과 80초 종료시의 심박수 177.01HR와 비교하면 시작 1분 경과시에는 발레작품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기 종료시에는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또 다른 선행연구인 우리 한국민속춤의 하나인 박병천류의 진도북춤에 관한 연구(조남규 등, 2001,p.146)에서 한국무용수 14명을 대상으로 진도북춤 6분 동안 수행시 초기 1분의 심박수는 136.92(±13.42)HR, 6분동안의 최대심박수는 174.45(±12.42)HR로서 본 연구의 발레작품2에서 초기 1분의 심박수 169.81HR, 80초 경과시의 심박수 177.01HR와 비교하면 발레작품의 초기 심박수가 월등히 높고 발레작품이 짧은 시간인데도 시작 후 80초의 심박수가 진도북춤의 6분 경과시 심박수보다 오히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새천년건강체조의 심박수와 산소섭취량은 조사한 연구(이가영 등, 2008, p.935)에서 심박수 변화는 체조시작 30초에 96(±8.1)HR, 시작 5분 경과시 심박수 122(±11.0)HR로서 본 연구에서 발레작품2의 시작 20초 경과시 심박수 145.71HR, 작품1의 심박수 128.34HR, 작품3의 심박수 135.43HR와 비교하면 월등히 낮은 운동강도인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실행된 발레작품은 3가지 모두 한국무용의 기본동작, 박병류의 진도북춤, 새천년건강체조의 수행시 나타난 심박수에 의한 운동강도보다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발레작품이 초기 시작부터 점프하고 회전하는 등의 빠른 템포와 격렬한 동작위주로 구성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운동량의 관찰변인으로 채택했던 에너지소모량에 대해 살펴보면 <그림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발레작품1에서의 초기 60초(1분) 및 80초 경과시 에너지소모량은 각각 10.40 kcal/min, 15.79 kcal/min이었고, 발레작품2에서는 각각 12.12 kcal/min, 18.26kcal/min이었으며, 발레작품3에서는 각각 11.31 kcal/min, 16.88 kcal/min로 나타났다. 마찬가지로 에너지소모량에서도 작품2에서 유의하게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Lv1; 작품1; Lv2; 작품2; Lv3; 작품3 낮은 수준 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얼음위의 발레라고 할 수 있는 피겨스케이팅의 에너지소모량에 관한 연구(안나영, 1994)에 의하면, 본 연구의 발레작품 12.12kcal/min이 프리 스케이팅시 에너지소모량 16.25kcal/min보다 훨씬 더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다른 한국무용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양선희 등, 2001, p.203)에서 한국무용 기본동작(굿거리장단 8분과 자진모리장단 4분; 총12분)시 초기 1분 경과시 에너지 소모량은 7.1kcal/min, 12분 경과시 9.91kcal/min로서 본 연구 발레작품의 10.40kcal/min~12.12kcal/min과 비교하면 본 연구의 발레작품이 상당히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다른 한국무용 여자무용수를 대상으로 한 연구(공미애 등, 2008, p.888)에서 한국무용 기본동작(굿거리, 늦은 굿거리, 자진모리, 늦은 타령, 자진타령; 총 14분) 수행시 평균 에너지소모량은 7.73(±1.22)kcal/min로서 본 연구결과와 비교할 때 역시 더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한국무용에 관한 에너지소모량에 관한 연구는 일부 이루어졌으나 발레작품에 대한 연구는 정미송 등(2006)의 연구에서 기초체력, 환기량, 호흡교환율, 최대산소섭취량, 회복력 등의 심폐지구력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진 바 있고, 발레무용수를 대상으로 발레음악에 맞춘 유산소성 트레이닝을 실시한 후 심폐기능, 혈중젖산농도,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가 진행된 바 있으나 발레작품의 에너지소모량에 관한 연구는 아직 찾아볼 수 없는 실정이므로 본 연구의 논의에서 더 이상 발레작품과의 비교분석하는 논의내용에 대해서는 한계를 실감해야 했다. 한편 무용관련 이외의 스포츠 종목의 경우, 댄스스포츠 종목별 에너지소모량에 관한 연구(정미송, 2006, p.7)에서는 룸바 5.52kcal/min, 왈츠 6.44kcal/min, 차차차 7.47kcal/min로 나타났다고 보고함으로써 본 연구의 발레작품이 월등히 더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골프운동 중 에너지소모량에 관한 연구(손태열, 1994)에서는 18홀 동안 에너지소모량이 평균 7.18(±0.92) kcal/min를,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6km 걷기중 평균 에너지소모량은 4.5kcal/min(박태열 등, 1996, p.362)로 보고함으로써 역시 발레작품이 더 높은 운동량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에어로빅 댄스의 평균 에너지소모량은 7.9kcal/min, 중간 강도의 경우는 6.1kcal/min으로서(한국체육과학연구원, 1999) 본 연구의 발레작품보다 월등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고강도 에어로빅 댄스의 에너지소모량은 9.41kcal/min로서(Inbanugo Gutin, 1978)로서 본 연구의 발레작품과 유사한 수준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본 연구결과 3가지 발레작품의 운동강도 81.2%HRmax ~ 88.5%HRmax 및 에너지소모량 10.40kcal/min~12.12kcal/min은 한국무용, 현대무용, 댄스스포츠, 그리고 일부 스포츠종목(에어로빅 댄스, 골프, 걷기, 조깅 등)보다 더 높은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발레작품시의 에너지소모량은 운동선수들의 에너지소모량에 비해 적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연구결과(김수연 등, 2012, p.1592)와도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발레작품의 운동강도와 단위시간당 에너지소모량은 상당히 높은 고강도의 운동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운동강도 및 에너지소모량의 변화는 발레작품이 초기부터 비교적 높은 강도에서 출발하여 갈수록 강도가 높아지는 격렬한 발레 연습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미국 대학 스포츠의학회(ACSM)에 따르면 심폐기능 향상을 위한 운동처방의 강도는 50~85%VO2max 또는 55~90%HRmax이고, 체중감량을 위한 운동처방의 강도는 40~70% VO2max 또는 55~90%HRmax정상범위와 비교해 볼 때(ACSM, 2010), 본 연구에서의 발레작품 수행시 운동강도가 81.2~88.5%HRmax으로 측정되었음을 고려하면 본 연구의 발레작품은 심폐기능 향상을 위한 운동강도로는 무리가 없으나 체중감량을 위한 운동강도로는 다소 무리이거나 상당히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examines how exercise intensity and energy costs are different according to ballet dances` technical levels. Eight women collegiate ballet dancers(18.6±0.5yrs) performed three ballet dances: 1)The Sleeping Beauty, 2)La Bayade`re, and 3)Talisman. Exercise intensity was measured by heart rate and energy cost by Kcal during performances. La Bayade`re was observed the highest in both exercise intensity and energy cost, showing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he Sleeping Beauty while not with Talisman.

      • KCI등재

        노인장기요양보험 내 작업치료사 안정적 확보방안: 진입과 이직 방지를 중심으로

        임정미(Lim, Jeong-Mi)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2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4 No.1

        목적: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 내에서 작업치료사의 장기요양시장 진입을 저해하는 요인과 이직을 촉진하는 요인을 규명하고 문제해결을 위한 대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19년 6월 19일부터 6월 26일까지 노인장기요양기관에 근무하는 작업치료사 4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내용분석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작업치료사의 장기요양시장 진입과 정착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인력배치 기준의 문제, 장기요양기관에 대한 부정적 인식의 문제, 장기요양기관 채용 관련 정보획득의 어려움 등 총 7개의 카테고리가 추출되었다. 결론: 인터뷰 결과를 바탕으로, 인력배치 기준 조정, 노인재활 관련 전문자격 도입, 대학 교육과정 개편 및 실무 중심 직무교육 강화 등의 제언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는 장기요양시장 내 작업치료사의 진입과 정착을 촉진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의의가 있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hibit occupational therapists from entering the care market and promote turnover, and to present its alternatives to solve the problem. Methods: Four occupational therapists working in long-term care facilities from June 19 to June 26, 2019, were interviewed. Content analysis was adopted. Results: Seven categories were identified as hindrances to the entry and reten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long-term care market, including problems with staffing arrangement, negative perceptions of long-term care institutions, and difficulties in obtaining recruitment-related information.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nterview, recommendations were made for the adjustment of staffing arrangement standards, the introduction of professional qualifications related to geriatric rehabilitation, the reorganization of university curriculum, and the strengthening of practice-oriented job training.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a evidence data for promoting the entry and reten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long-term care market.

      • 에이징 인 플레이스 실현을 위한 일본 임대주택 내 주거·사회서비스 결합 사례 연구

        임정미(Lim, Jeong-Mi),권오정(Kwon, Oh-Jung),장미선(Jang, Mi-Seon),김태완(Kim, Tae-Wan),김민기(Kim, Min-Gi) 한국주거학회 2022 한국주거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34 No.1

        The aging of the rental housing population and the increasing number of families with complex needs living in rental housing have increased the desire to realize aging in place values within rental housing. Reflecting this, the academic community has recently focused on the need for changes that will position rental housing as a diverse housing choice, combining housing services with social services, in addition to housing stability based on enhanced public services. In order to realize the value of “Aging in Place,” rental housing needs to be transformed into a variety of housing alternatives that can be selected based on resident’ income, health status, and household type. This study therefore analyzes a Japanese case study of combining housing services and social services within rental housing to realize the Aging-in-Place value, and proposes that in the future, domestic rental housing should be transformed into a choice-oriented housing alternative where diverse households can live, regardless of the target population (elderly, disabled, children, single-parent families, etc.). We seek to explore alternatives that are necessary to position it as a housing alternative. That is, how does this study combine housing services with social services to enable aging-in-place for rental housing residents? In order to answer the question,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using-social service combination in Japanese rental housing? Based on the results, we made recommendations on what should be considered when domestic rental housing is positioned as a housing alternative for a variety of households and families in the future.

      • KCI등재

        노인요양시설의 급식 및 영양 관리 체계 구축을 위한 연구 : 영국사례를 중심으로

        임정미(Lim Jeongmi)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10

        본 연구는 영국 케어홈의 급식 및 영양에 관한 법적제도적 차원에서의 관리체계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의 노인복지시설 급식 및 영양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의 노인복지시설 급식관리 체계에 대해 검토한 여러 연구들은 노인의 급식의 양과 질을 국가가 보장할 수 있는 법적 제도적 방안이 시급히 마련되어야 한다고 주장함에 따라 한국에 앞서 노인복지시설의 급식 및 영양에 관한 국가차원의 법적 제도적 방안을 마련한 영국의 사례를 문헌연구에 기반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영국의 노인복지시설 급식 및 영양관리는 2000년의 「케어기준법」과 2008년의 「보건 및 사회적 케어법」 그리고 이들 법에 따른 후속 조치들에 기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케어기준법」에서는 국가케어기준위원회와 국가최소기준에 관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였으며 후속 조치들을 통해 급식 영양 및 영양관리에 관한 국가최소기준과 서비스 제공자의 준수사항을 마련하고 있었다. 나아가 급식 및 영양문제를 직접적으로 담당하는 지방정부는 중앙정부의 법적 조치에 따라 실정에 맞는 구체적인 시행지침을 마련하여 운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영국의 조치들을 기반으로 우리나라의 노인복지시설 급식서비스의 질을 높이기 위해, 법적체계 구축 및 이에 따른 서비스 표준지침 마련; 영양실조 선별도구(MUST)를 사용한 노인복지시설 입소자 전체를 대상으로 한 영양상태 파악; 영국의 케어품질위원회(CQC)와 같은 기구 설립을 통한 노인복지시설 급식 및 영양의 질적 보장; 그리고 급식 및 영양 서비스 제공에 있어 핵심 역할을 하는 영양사의 충분한 확보 등을 시사점으로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implications of establishing a meal security system for the elderly welfare facilities in Korea by examining the legal and institutional management system for food and nutrition in care homes in the United Kingdom. Several studies on meals and nutrition management for the elderly welfare facilities in Korea conclude that the country urgently requires legal and institutional measures to guarantee the quantity and quality of meals served to the elderly. Based on literature reviews and focusing on the roles of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we conducted a case study on the United Kingdom, which has established national-level legal and institutional measures for food service and nutrition in elderly care homes. Food and nutrition management for elderly care homes in the United Kingdom is based on the Care Standards Act 2000, the Health and Social Care Act 2008, and follow-up measures under these laws. The Care Standards Act 2000 established the legal basis for the National Care Standards Commission and the national minimum standards. Through follow-up measures, these national minimum standards for food and nutrition management and the provisions regulating care home providers were established. Furthermore, the local governments, which are directly responsible for food and nutrition regulation, have established and implemented specific implementation guidelines in accordance with the legal provisions of the central government. Based on these measures in the United Kingdom, this study establishes the legal system as an implication for Korea and presents standard service guidelines accordingly. It proposes assessing the nutritional status of all residents of elderly welfare facilities using the Malnutrition Universal Screening Tool(MUST) and ensuring quality assurance of meals and nutrition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n organization similar to the B ritish Care Quality Commission (CQC). It a lso proposes adeq uate recruitment of dietitians, who play a key role in providing meals and nutrition serv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