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山圖 制作技法을 통해 본 曹溪山仙巖寺大覺國師重創建圖 硏究

        이형윤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24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78

        「Monk Daegwak's Joongchanggundo」 is a documentary painting, which depicts terrain, seal engraving, and hermitage, by guessing the time when Uicheon Daesa had rebuilt Seonamsa. The 「Monk Daegwak's Joongchanggundo」 placed Seonamsa, which is an auspicious place, in the center of the picture. It describes the natural terrain surrounding Seonamsa relatively subtly but exaggerates the space of Seonamsa. This duality of scale distinctly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a mental map. The 「Monk Daegwak's Joongchanggundo」 outlines representations of mountains with solid lines. The inside of the solid lines is treated with Yongmukbup, which means coloring techniques by using various density of oriental ink and wash, and the density of ink reveals slope and dimensionality. It depicts water flows with three solid lines and omits Supamyo, which means detailed water patterns. It describes the architecture of Seonamsa by using a single axis, starting from the main gate, which is Iljumun and called Jogyemoon to the main hall called Daeungjeon, by passing through pavilions. The picture of 「Monk Daegwak's Joongchanggundo」 employs a perspective with a bird’s eye view, overlooking from above. and it utilizes a reverse perspective method, presenting major terrain features and architectures around Seonamsa. The space of Seonamsa is depicted with a viewpoint looking down from Daeoknyeobong toward Seonamsa. The composition of the picture clearly presents a central orientation through the flow of viewpoints and in addition it overcomes limitations of visual observation through a shift in perspective. Through mountain principles, 「Monk Daegwak's Joongchanggundo」 describes the topography, focusing on Janggunbong as the central point, which is Sojosan, as a space by presenting a form of Janggundaejwahyung and by expressing Daeoknyeobong as an inner sanctuary. Gyeolin, which is a symbolic sign with the fingers of Ilwolseok protecting the central vein starting from Janggundaejwa, indicates Ilwol of a sign of a truth, called Bupin. On the other hand, it symbolizes a seal called Injang in Feng Shui. In addition, the picture represents the Buddhist world by drawing Saminbong and Samindang. The 「Monk Daegwak's Joongchanggundo」 is a pictorial map employing a composing method of mountain map as a documentary painting including the context of Feng Shui. Through the pictorial map, this picture describes the architecture of Seonamsa and its surrounding terrain realistically. Thus, the 「Monk Daegwak's Joongchanggundo」 is a pictorial map, which includes not only a simple context of Feng Shui but also Buddhist ideology by using images and mountain principles.

      • 昌寧姓氏族譜의 山圖製作과 地理認識에 관한 硏究

        이형윤 한국고지도연구학회 2013 한국고지도연구 Vol.5 No.1

        族譜類에서 山圖製作은 17세기 중후반 父系中心의 宗譜가 나타나면서 宗中의 결속과 위계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방편으로 시작되었다. 이들 족보류의 산도는 참여계층의 성리학적 세계관과 풍수적 지리관을 풍부히 담고 있으며, 그림지도와 산론山論이라는 매개체를 통하여 표현하고 있다. 특히 18세기 초에 제작된 『昌寧成氏族譜』에 삽입된 산도는 초기 산도제작의 특징을 살필 수 있는 자료인 동시에 그 당시의 성리학적 세계관과 풍수적 지리관을 알 수 있는 자료이다. 『창녕성씨족보』의 산도는 전통 산도제작기법인 제목, 그림지도, 산론의 3단 구성되어 있으며, 그림지도의 전체적인 구도는 풍수적 이상공간을 형상화하는 전통 산도제작기법을 충실히 따르고 있다. 산론은 그림지도와 연결되어 산도에서 담고자하는 내용을 풍수적 시각으로 설명하고 있다. 또한 『창녕성씨족보』 산도에서는 산도제작의 목적을 기록하고 있는데, 이 기록은 조선시대의 족보 참여계층이 갖고 있는 산도제작 의도를 검증하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또한 ?창녕성씨족보?의 산도는 묘지설화와 연결되어 風水形局을 완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묘지설화가 산도와 연결되어 하나의 풍수형국을 만들고 있는 것은 宗法意識이 산도를 통하여 표출된 것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Deterlab 환경에서 Earlybird를 이용한 웜 탐지와 Snort 연동을 통한 웜 확산 차단

        이형윤,황성운,안병구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13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13 No.1

        웜이란 시스템의 취약점을 탐색하고 취약한 시스템을 공격하여 훼손시키는 독립형 프로그램으로서, 네트워크 를 통하여 자신을 복제하고 확산한다. 본 논문에서는 웜 탐지 및 차단 방법을 연구하였다. 먼저 가상 시뮬레이션 테 스트베드인 Deterlab 환경에서 CoderedⅡ 웜 트래픽을 발생시켰다. 이 트래픽을 Earlybird를 이용하여 의심스러운 부분 을 식별한 후, Wireshark를 통해 분석하여 Snort 규칙을 작성하였다. 다음으로 CoderedⅡ 웜 트래픽에, 앞에서 작성된 Snort 규칙을 적용함으로써, 생성된 로그 파일의 확인을 통해, 정상적으로 웜 탐지가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A computer worm is a standalone malware computer program that probes and exploits vulnerabilities of systems. It replicates and spreads itself to other computers via networks. In this paper, we study how to detect and prevent worms. First, we generated CoderedⅡ traffic on the emulated testbed called Deterlab. Then we identified dubious parts using Earlybird and wrote down Snort rules using Wireshark. Finally, by applying the Snort rules to the traffic, we could confirmed that worm detection was successfully done.

      • SiH_4 기체 방전 파라미터 해석

        이형윤,하성철,유회영,김상남,임상원,문기석 동국대학교 산업기술연구원 1997 산업기술논문집 Vol.9 No.-

        This paper describes the discharge parameters in SiH_4 gas calculated for the range of E/N values from 0.5~300(Td) by the Monte Calro simulation and Boltzmann equation method using a set of electron collision cross sections determined by the authors and the values of the discharge parameters are obtained for the TOF method. The theoretical results of the discharge parameter such as the electron drift velocity, characteristic energy agree with the experimental values for the range of E/N. The electron energy distributions function were analyzed in monosilane at the E/N : 30, 50(Td) for a case of equilibrium region in the mean electron energy. The validity of the results obtained has been confirmed by the TOF method.

      • KCI등재

        전자 Swarm법에 의한 $SiH_4$ 플라즈마의 전자이동속도 및 특성에너지 해석

        이형윤,백승권,하성철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1999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12 No.1

        This paper describes the electron transport characteristics in $SiH_4$ gas calculated for the range of E/n:0.5~300(Td) and Pressure:0.5, 1, 2.5(Torr) by the Monte carlo simulation and Boltzmann equation method using a set of electron collision cross sections determined by the reported results. The motion has been calculated to give swarm parameters for the electron drift velocity,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ffusion coefficients, the electron ionization coefficients, characteristics energy and the electron energy distribution function. The electron energy distributions function has been analysed in $SiH_4$ at E/N: 30, 50(Td)for a case of the equilibrium region in the mean electron energy and respective set of electron collision cross sections. The results of Monte carlo simulation and Boltzmann equation have been compared with experimental data by ohmori ad Pollock.

      • KCI등재

        朝鮮 性理學者의 亭子 造營에 관한 風水 景觀的 一考察

        이형윤(李炯倫)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5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64 No.-

        정자는 그것을 경영하는 사람의 자연관과 세계관을 함축하고 있다. 무등산 권역의 창계천 주변의 정자는 16세기 성리학자들의 사상과 자연관이 집약된 곳이다. 도교적 사고와 유교적 사고, 풍수적 사고는 정자 조영원리로서 그 시대의 학자들에게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특히 정자 조영에서 풍수적 사고는 정자의 입지적인 측면과 주변 자연지형을 관조하는 경관적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런 점에서 풍수적 사고는 정자의 경관을 포괄적으로 이해하는데 기초자료가 되고 있다. 창계천 주변의 자연지형은 무등산을 중심으로 산계와 수계의 흐름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경영의 공간인 내부공간과 관찰의 공간인 외부공간을 하나의 경관요소로 끌어드릴 수 있다. 풍수적 관점에서 정자 경관은 내명당 공간과 외명당 공간, 조안산 공간 및 상징적 공간으로 구분되며, 이들 공간의 유기적 결합으로 풍수경관을 완성하고 있다. 그리고 창계천 주변의 정자는 무등산을 관조적 대상이면서 동시에 상징적 대상으로 풍수경관의 정점에 두고 있다. The pavilion represents the way its owner sees the nature and world. In the same token, the pavilions along the Changgye Stream in the Mt. Mudeung area epitomize the views on ideas and the nature of neo-Confucianist scholars in the 16th century. Ideas on Taoism, Confucianism and fengshui played important roles in lending pavilion building principles to the scholars of the period. In particular, fengshui ideas in the matter of pavilion building played an important role in deciding on where to build pavilions and in appreciating natural terrains near them. In these respects, fengshui ideas offers basic materials in understanding the landscape of pavilions in a comprehensive manner. The natural terrains near the Changgye Stream allow for understanding the mountain system and water system around Mt. Mudeung. In this way, the inner space of management and the outer space of observation can be combined to become a uniform landscape factor. In terms of the fengshui perspective, pavilion landscapes can be divided into inner propitious space, outer propitious space, assisting space and symbolic space. All these spaces inextricably combine to bring about a landscape of fengshui. And, the pavilions along the Changgye Stream put Mt. Mudeung on the apex of the fengshui landscape not only as a contemplative space but also as a symbolic sp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