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학자들의 일상과 연구과정을 다룬 다큐멘터리를 통한 대학생들의 과학 및 과학자에 대한 인식변화 탐색

        이현옥 ( Hyunok Lee ),문지영 ( Jiyeong Mun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8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8 No.2

        과학 및 과학자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선행 연구에서 대상 및 국가를 넘어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정형적 이미지가 있다고 보고되었다. 최근 연구에서는 연구 참여자 및 조사 도구에 따라 몇몇 새로운 이미지가 제시되지만 아직 정형적 이미지가 주도적으로 나타난다고 보고된다. 이에 본 연구는 과학자들의 일상과 연구과정을 담은 다큐멘터리를 맥락으로 하여 대학생들의 과학 및 과학자에 대한 인식을 구체적으로 탐색하고 인식변화의 경로를 추적해 보고자 하였다. 여기서 활용한 다큐멘터리에는 오랜 기간 실제 과학자들을 촬영하여 제작한 것으로 다양한 과학자들이 등장할 뿐 아니라 과학연구와 함께 개별 과학자들의 일상적인 삶을 조명하며 그들의 모습을 다각적으로 담아내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총 109명의 대학생(인문계열 33명, 자연계열 35명, 사회계열 41명)으로 과학기술관련 교양 수업에서 해당 다큐멘터리를 시청하고 과학 및 과학자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에 대한 내용을 중심으로 에세이를 작성하였다. 연구 결과, 다수(70명, 64.2%)의 학생이 인식변화가 있었다고 보고하였고 그들 중 대부분은 다큐멘터리를 계기로 과학자에 대한 정형적 이미지에서 보다 현실적인 인식으로 변화하였다. 과학 및 과학자에 대한 현실적인 인식으로는 1) 감정기복을 겪는 평범한 일반인, 2) 반복되는 실패에도 인내심을 가지고 목표에 매진, 3) 지식의 최전선에서 창의성을 발휘, 4) 협력과 경쟁의 공존, 5) 경제적·현실적 장벽에 좌절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또한, 인식변화가 없다고 보고한 학생들(39명, 35.8%) 중 다수가 원래부터 과학자에 대한 현실적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고 서술 하였다. 결국, 전체 연구 참여자 중에서 소수의 학생들만이(8명, 7.3%) 과학자에 대한 정형적 이미지를 고수하였다. 이를 해석하면 대학생들이 갖는 과학자에 대한 정형적 이미지는 과학자들의 현실적 모습을 담은 다큐멘터리를 시청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쉽게 변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 결과는 대학생들이 서술하는 과학자에 대한 정형적 이미지가 내적으로 깊은 인상을 형성하는 인식 내용이기보다는, 외부에서(예, 학교 및 대중 매체 등) 주어지는 과학자에 대한 대표적인 특징을 단순히 보고하거나 묘사하는 것일 수 있다고 추론해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학생들의 과학자에 대한 인식 내용뿐 아니라 미묘한 인식 차원도 고려해볼 수 있었다. In spite of a growing number of recent studies that indicate students are coming to view scientists with more varied images, the stereotypical image of scientists remains in many students’ minds. In this study, the authors explore how college students change their perceptions of science and scientists through the use of a documentary that focuses on scientists’ daily lives, including laboratory life, and their emotional ups-and-downs. We analyzed 109 college students’ essays on perceptions about scientists after watching the documentary. As a result, 64.2% of the college students declared that there was a change in their perception of scientists. The students’ new perceptions of science and scientists are as follows: 1) scientists undergo emotional ups-and-downs just like any normal person; 2) scientists experience numerous failures while researching; 3) science does not have a fixed answer and scientists undertake research with creativity; 4) scientists conduct research in collaboration, but also in highly competitive environments; 5) scientists are often frustrated with their socio-economic status. The students’ previous perceptions on science and scientists were mainly stereotypical ones that have been reported in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of the other college students who did not change their perceptions, the majority declared that they have new perceptions such as 1) - 5). Only a small percentage of students (7.3%) had unchanged stereotypical perceptions. These results are interpreted as that college students relatively easily change their stereotypical images of scientists after watching the documentary but, alternatively, the results can be interpreted that the most stereotypical images of college students are not perceptions that form a deep impression, but rather they are simply depictions of representative images of scientists given from outside sources (e.g. the mass media and school).

      • KCI등재

        대학생들의 과학기술관련 사회쟁점(SSI) 논의에서 기술의 본성(NOT)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이현옥 ( Hyunok Lee ),이현주 ( Hyunju Lee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6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6 No.2

        본 연구는 다양한 과학기술관련 사회쟁점(SSI)에 대한 논의과정에서 기술의 본성(NOT)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하여 SSI 교육 및 과학교육에서 NOT의 연계성 및 역할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원자력 발전소 건설 및 사고, 유전자재조합식품, 우주 개발과 같은 다양한 SSI 사례를 살펴보면 개념적으로 과학과 함께 기술이 연계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연구자는 선행연구에서 초기 형태의 NOT를 구성하여 유전자재조합식품에 관련된 SSI 의사결정에서 NOS보다는 일부 NOT 요소가 명시적으로 나타난다는 결과를 확인한바 있다. 이를 기반으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과학기술과 연관된 다양한 SSI 맥락을 도입하였고, 연구자가 개발한 통합적 NOT 개념틀을 채택하여 체계적인 분석을 시도 하였다. 해당 NOT에서는 기술의 다양한 존재 양식을 보여주는 인공물(artifacts), 지식(knowledge), 실행(practice) 그리고 시스템(system)이라는 4 가지 차원을 도입하였는데, 이러한 통합적인 접근을 반영한 NOT는 학생들의 다양한 SSI추론을 포착하고 분석하기에 적절하였다. 서울 소재 대학교의 교양수업 커리큘럼으로 모둠별로 SSI를 선정하여 수업에서 전체 토의 및 토론을 이끄는 과제를 제시하였는데, 대학생 45명이 참여하여 총 7 가지 SSI 주제를 구성하여 발표 하였다. 그 과정에서 다양한 SSI 추론 자료를 수집하였고, 학생들이 어떤 NOT 인식하고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다양한 SSI 추론에서 일부 NOT 요소가 자연스럽고 명시적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공물 및 시스템 차원에 해당하는 NOT 요소는 SSI의 맥락에 상관없이 자주 나타났고, 지식 및 실행차원의 NOT 요소는 자주 등장하지 않거나 간접적으로 드러났다. 더욱이 학생들의 NOT 이해의 깊이와 수준에서 질적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 결과는 과학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에게 요구하는 NOT이해가 무엇인지를 구체적으로 제안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Socioscientific issues (SSI), by their nature, are conceptually embedded in technology. Previous research reported that nature of technology (NOT), unlike nature of science, was quite explicitly manifested in SSI decision-making, and NOT could be a promising construct for promoting SSI reasoning. In this study, authors introduced an integrated conceptual framework for NOT, which consisted of four dimensions (i.e., artifacts, knowledge, practice and system) as diverse modes of technology. We adapted the framework to investigate students’ conceptualizations of NOT in the context of various SSIs. Data was collected from 45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a liberal arts course on science and technology. The students participated in a team project, where they prepared and led discussions for SSI topics in class. Seven topics concerning SSIs were selected by students themselves. The preparation and class discussion of each student group were audio-recorded, and final reports were also analyzed. As a result, NOT sub-components in the dimensions of artifacts and system were explicitly represented in most contexts of SSI with various ranges of understanding. Other sub-components under the dimensions of knowledge and practice were rarely or implicitly shown in the discussion. The depth of students’ understanding on NOT varied.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三論學에 보이는 佛性의 문제 - 승조를 중심으로 -

        이현옥(Lee Hyunok) 보조사상연구원 2005 보조사상 Vol.23 No.-

        The topic of this article deals with a changes of Buddhata(佛性)'s concept in Sanlun school(三論宗). This paper was written specially for Seng-chao(僧肇) and Dao-sheng(道生), Ji-zang(吉藏)'s thought. Through this research, I could get following conclusion. Dao-sheng(道生, 372-434) is regarded as having played a pioneering role in developing Buddhata theory(佛性論) in the history of Chinese Buddhism. his life is in the situation that Xuan theory(玄學) and Nirvana theory(涅槃學) was popular. So he comes under the influence of Xuan theory and Nirvana theory. but his Buddhata theory is include substantive-thin(實體的 思惟) in literary. Even though Seng-chao(僧肇, 374-414?) was not found a actual example(for example concept of Buddhata and so on) in Buddhata theory, he concentrated his attention to concept of Buddhata and his madhyamapratipad theory(exactly 二諦中道論) succeed to Nagarjuna(龍樹, 150-250)’s thought. The main features of Sanlun school(三論宗) is madhyamapratipad-Buddhata theory(中道佛性論). Ji-zang(吉藏 549-623) completed the madhyamapratipad-Buddhata theory(中道佛性論) In time of examine in Sanlun school's literary, the madhyamapratipad-Buddhata theory is affected by Seng-chao's satyadvaya-madhyamapratipad theory(二諦中道論) rather than Dao-sheng's In this point, We could think that it should to set a high value on a Seng-chao's thought in Buddhata theory.

      • KCI등재

        과학기술관련 사회쟁점에 대한 의사결정에서 나타나는 NOT 이해 수준의 평가를 위한 루브릭 개발 및 적용

        이현옥 ( Hyunok Lee ),이현주 ( Hyunju Lee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7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7 No.2

        과학기술관련 사회쟁점(SSI) 교육은 다양한 영역에서 긍정적 효과를 보여주고 있는데, 학생들이 책임 있는 미래 사회 시민으로 합리적인 SSI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한다. 저자의 선행연구에서 기술의 본성(NOT) 요소가 SSI 맥락에서 명시적으로 나타날 뿐 아니라 NOT 이해 수준이 높은 경우가 좋은 SSI 의사 결정의 특징과 겹친다는 결과를 얻었다. 따라서 NOT 이해의 수준은 SSI 의사결정의 질을 가늠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SSI 의사결정에서 NOT 이해 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루브릭을 제안하였다. 또한, 이 루브릭을 활용하여 SSI 수업 전후에 나타나는 NOT 변화를 탐색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58명의 대학생으로 SSI 수업을 6주간(주 1회 105분) 수강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하여 SSI 수업 전후로 대학생들에게 황금쌀(유전자재조합식품의 일종)에 관련된 지문을 읽고 의사결정 글쓰기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학생들의 황금쌀관련 의사결정에서 NOT 이해 정도를 평가하고 분석하기 위하여 개발한 루브릭은 저자의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NOT 개념틀(기술의 양태를 드러내는 `인공물`, `지식`, `실행`, `시스템` 차원에 각 3개의 하위요소를 포함하여 총 12개의 요소를 가짐)을 기반으로 하였다. 더욱이 NOT 이해 수준을 구분하기 위하여 두 가지 기준을 도입하였다. 학생들이 얼마나 많은 NOT 요소를 파악하는지와 주어진 지문의 맥락에 맞추어 근거를 제시하는지가 해당 기준이다. 결국 NOT 요소를 인식하지 못하거나 잘못 이해하는 경우가 `수준0` 이고, 주어진 지문에 명시적으로 제시되지 않은 NOT 요소를 폭넓게 제시하면서 다양하고 구체적인 정보와 근거를 제안하는 경우는 `수준3` 으로 전체 4 단계로 구분하였다. 연구결과로 학생들의 SSI 의사결정에 NOT 요소가 명시적으로 나타나고 이해 수준은 다양하게 분포하였다. 또한, SSI 수업 후 NOT 이해 수준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함의에서는 SSI 의사결정에서 NOT 이해의 역할과 SSI 수업의 어떤 측면이 NOT 이해를 향상시켰는지를 추론하여 제시하였다. Current science education aims to guide students as future responsible citizens to make informed decisions on socioscientific issues (SSI). In the authors` previous study, it was found that conceptions of nature of technology (NOT) were explicitly represented in various contexts of SSI with differentiated levels of understanding, and cases of the informed NOT understanding included the key features of well-reasoned SSI decision-making. Therefore, enhancing NOT understanding could be one of the elements to leverage students` informed SSI decision-making.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rubric to assess NOT understanding in the context of SSI and applied it to evaluate the impact of SSI instruction. Participants were 58 college students who took an SSI course for 6 weeks. Before and after the SSI course, they were asked to write decision-making essays on the Golden Rice issue (a type of genetically modified foo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e- and post decision-making essay using the rubric, it was found that NOT understanding was improved after the SSI course; in addition, the salient patterns of NOT changes were analyzed in detail in order to gauge the influence of the SSI classes.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were discussed.

      • KCI등재

        과학기술관련 사회쟁점 수업을 통한 대학생의 기술의 본성에 대한 인식변화 탐색

        이현옥(Hyunok Lee),이현주(Hyunju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0

        현대 과학기술 사회에서 기술의 본성(NOT)을 이해하는 것은 학생들이 갖추어야할 주요 역량 중 하나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학생들이 기술을 인공물로 제한하여 인식하고 있으며, 기술의 다면적 속성에 대해서는 간과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 에,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NOT 인식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 방안으로 과학기술관련사회쟁점(SSI)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는 대학에서 개설된 과학기술관련 교양 수업을 듣는 1학년 학생 28명(공학전공 10명, 사회과학전공 3명, 인문과학전공 15명)이 참여하였다. 수업 전후에 대학생들의 NOT 인식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기술의 네 차원(인공물, 실행, 지식, 시스템)을 포괄하는 설문지(QNOT)를 개발하여 투입하였다. QNOT는 NOT의 이론적 틀을 기반으로 개발된 설문지로, 기술의 인공물, 실행, 지식, 시스템 측면에 대한 인식을 측정할 수 있는 7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외에도, 학생들과의 사후 면담, SSI 수업에서 드러나는 학생들의 담화와 학습자료 등이 자료로 포함되었다. SSI 수업 결과, 인공물 및 지식 차원에서는 학생들의 NOT 인식 변화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실행 및 시스템 차원에서는 NOT 인식이 향상되는 방향으로 변화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NOT를 함양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SSI 수업의 가능성을 실증적으로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겠다. In the contemporary society, understanding of Nature of technology(NOT) has long been recommended to be an important part for promoting students’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literacy. However, not a small number of students still possess limited view of technology as artifacts, and hardly perceive multi-faceted nature of technology. In this study, therefore, authors suggested SSI programs as an instructional approach to enhance students’ understanding of NOT. Twenty eight 1st year college students, registered in the SSI program,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as collected by administering Questionnaire on Nature of Technology(QNOT) which consisted of 7 items covering four dimensions of technology(i.e., artifacts, knowledge, practice, and system). Supplementary data source included in-depth individual interviews with 12 students, audio recordings of student group discussions, and their reflective writings. In results, even though they did not present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ir perceptions under artifacts and knowledge dimensions of NOT, some participants showed enhanced NOT perceptions under practice and systems dimensions after the course. They tended to consider diverse aspects of technology using specific cases, and to critically examine the cases.

      • KCI등재

        대학생의 전공계열 및 성별 집단에 따른 과학기술관련 인성과 가치관에 대한 특성 탐색

        이현옥(Lee, Hyunok),이향연(Rhee, Hyang-yon)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9 교육과학연구 Vol.5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과학기술관련 인성과 가치관에 대한 특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세계시민으로서의 인성과 가치관을 과학기술 맥락에서 묻는 평가도구(CVGCA)와 전통적인 기술에 대한 태도(PATT) 검사지를 활용하였다. 연구참여자는 대학생 111명(공과계열 50명, 비공과계열 61명)으로 전공계열(공과계열 및 비공과계열) 및 성별집단에 따른 인성과 가치관, 과학기술에 대한 태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전공계열에 상관없이 ‘생태학적 세계관(EW)’과 ‘기술의 결과(T-C)’ 사이에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사회적 책무(SA)’와 ‘기술에 대한 흥미(T-I)’ 사이의 상관관계는 공과계열 학생에게만 유의하게 나타난 반면 ‘사회도덕적 공감(SM)’과 ‘기술과 직업(T-J)’은 비공과계열에서만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CVGCA와 PATT 하위 영역에 대한 전공 및 성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성별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CVGCA의 생태학적 세계관은 전통적 측정도구 PATT의 기술의 결과와 대비되었으며, 과학기술의 맥락에서 발생하는 도덕적‧윤리적 쟁점에 대한 인성 및 가치관에서 공과계열 학생과 비공과계열 학생 사이에는 차이가 없는 반면, 현대적 관점을 반영하는 생태학적 세계관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인식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기술 관련 인성교육에 대한 함의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identifies the features of university students" science- and technology-related character and values as global citizens. A comparative analysis was performed according to students" major (engineering and non-engineering) and gender utilizing CVGCA (Character and Values as Global Citizens Assessment) and PATT (Pupil"s Attitude Toward Engineering and Technology).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EW (ecological world view) and T-C (consequence of engineering) an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both majors. SA (social accountability)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E-I (interest in engineering) for engineering students while SM (social and moral compassion) was closely related to T-J (engineering and job) for non-engineering students. This study further tested the differences in the averages of CVGCA and PATT sub-categories according to major and gender group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only in gender groups.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findings for science- and technology-related character education of university students were suggested.

      • KCI등재

        동아시아 맥락에서의 돌봄레짐 변화와 이주의 여성화

        이현옥(Lee, Hyunok) 비판사회학회 2016 경제와 사회 Vol.- No.110

        전통적인 이주의 목적지로 여겨지던 유럽과 북미 등과는 달리, 동아시아 몇몇 국가들은 199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새로운 이주의 목적지로 떠올랐다(Castles & Miller, 2009). 이는 이들 국가들이 공통적으로 경험한 급속한 경제발전의 결과이자, 동시에 아시아 지역 내 불균등한 경제발전(uneven development)의 결과로 볼 수 있다. 이주의 여성화 논의에 등장하는 많은 사례들이 아시아에서 유럽과 북미로의 여성이주노동자들을 다루고 있다. 반면, 아시아 역내에서 동아시아 지역으로의 이주 패턴을 살펴보면, 결혼이주의 경우 뚜렷한 여성화 경향을 보이지만, 이주노동의 경우는 각국의 이주정책에 따라 다양한 경향을 보인다. 이는 아시아 지역 내에서의 ‘이주의 여성화’에 대한 논의가 보다 구체적으로 맥락화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시아 역내 이주의 젠더화된 패턴과 그 구조적 맥락을 살펴봄으로써 이주의 여성화 논의를 노동이주뿐만 아니라 혼인이주로까지 확장시키고자 한다. 둘째, 한국과 대만 정부가 펼쳐온 노동시장, 복지, 이주 정책, 사회인구학적 변화들을 살펴봄으로써, 두 국가에서 1980년대 노동력 부족에 대한 대응으로 취한 여성노동정책이 이후 이주정책과 젠더화된 이주 패턴과 어떻게 이어지는지 살펴본다. 이론적으로 남반구(Global South) 여성의 북반구(Global North)로의 이주가 북반구 국가들의 복지와 돌봄레짐 변화로 인해 일어났다는 이주노동의 여성화 논의가 동아시아의 복지와 돌봄레짐 변화의 맥락에서는 어떠한 형태로 전개될 수 있을지를 중심으로 돌봄레짐과 이주의 관계에 대한 맥락화된 논의를 하는 동시에, 한국과 대만에서 나타나는 차이점이 돌봄과 여성 노동시장 참여를 둘러싼 정책과 사회인구학적 변화에 기인함을 보이고자 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gendered patterns of migration and contextualizes this migration pattern in changing care regime, women’s labor force participation, and migration policies in East Asia with the case of South Korea and Taiwan. By examining both labor and marriage migration, changing care regime and women’s paid and unpaid reproductive labor, this article expands the discussion of feminization of migration in the context of East Asia. While addressing the common economic and socio-demographic conditions for current migration in these countries, which were shaped under the compressed modernization, this paper highlights the difference in the ways in which the labor of migrant is used and explains that it depends on the policies on migration, women’s labor and care provision.

      • KCI등재

        COVID-19에 따른 융복합 섬유·패션 전시산업의 실태와 향후 전망

        김수지(Kim, Suzie),이현옥(Lee, Hyunok),구양숙(Ku, Yangsuk)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1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9 No.5

        본 연구는 섬유·패션 전시회의 활성화와 성공적인 전시회를 개최하기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 전후로 변화된 국내 섬유·패션 전시회의 융·복합적 사례와 섬유·패션전시회의 실태를 살펴보고 개선점을 논의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 방법은 문헌연구와 질적 연구를 병행하여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10명의 섬유·패션 전시 전문가에게 COVID-19의 섬유·패션 전시회의 실태와 향후 전망에 대하여 개별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COVID-19 확산으로 패션과 테크놀로지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었다. 둘째, 온·오프라인이 융합된 하이브리드 전시회가 대세가 되고 있다. 셋째, 전시회에서 친환경·지속가능성이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다. 넷째, 전세계 어디서나 시즌의 구분없이 제품 구매가 가능한 전시회가 되었다. 앞에서 언급한 실태를 바탕으로 섬유·패션 전시회의 전망을 살펴보면 첫째, 패션테크가 활성화 되어 다양한 디지털 기술이 전시회와 융합될 것으로 예상된다. 둘째, E-커머스 마케팅의 활성화에 따른 온라인 콘텐츠의 개발이 확대될 것이다. 셋째, 비대면 소비의 확산으로 무인 서비스가 강조되는 리테일테크가 강세일 전망이다. 넷째, 세계적으로 트렌드인 친환경과 탄소제로, 지속가능성의 중요성이 전시회가 대세가 될 전망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섬유·패션 전시산업을 예측하여 향후 정부 지원 정책 및 섬유·패션 기업의 마케팅 전략을 수립함에 있어서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was star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activation of textile and fashion exhibitions and the successful exhibi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vergence cases of exhibitions that have changed before and after COVID-19, examine the actual conditions of textile and fashion exhibitions, and discuss improvements. The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was to draw results by conducting literature research and qualitative research. In addition, the researcher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0 experts in textile and fashion exhibitions on the actual condition and future prospects of COVID-19 textile and fashion exhibitions. The results and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igital transformation has accelerated as the importance of fashion and technology has been emphasized due to the spread of COVID-19; second, the exhibition form has been changed to a hybrid exhibition that combines online and offline; third, the number of exhibitions with the concept of eco-friendliness and sustainability has been increased; fourth, the online exhibition made it possible to purchase products from anywhere in the world, thereby revitalizing exhibitions without distinction of seasons. Thus, suggestions from the study result are as follows: first, fashion tech is revitalized, and various digital technologies are expected to converge with the exhibi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develop online content according to the activation of e-commerce marketing; third, retail technology, which emphasizes unmanned services due to the spread of non-face-to-face consumption, is expected to be strong; fourth, the exhibition should realize zero carbon which is a key trend in the textile and fashion industry for the present and the foreseeable future. Hence, the results can be useful basic research data for predicting the textile and fashion exhibition industry in the Post COVID-19 era, and establish future government support policies and marketing strategies for textile and fashion compan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