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인터넷전문은행 설립 및 운영에 관한 특례법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소유 및 지배구조 규제를 중심으로
이한준 한국상사법학회 2019 상사법연구 Vol.37 No.4
The Special Act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Online-only Bank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pecial Act on Online-only Banks”) was passed at the National Assembly, and enacted from January 17, 2019. It’s encouraging that the legal foundation of online(internet)-only banks(herinafter reffered to as “online-only banks”)has been established through this act, however, the contents need some critical assessment. In regard of regulation towards ownership structure and business conduct, Special Act on Online-only Banks still prohibits non-financial business operators from owning more than 34% of the total number of outstanding voting shares of online-only banks, and this does not even apply to enterprise group subject to limitations on debt guarantees. Moreover, it seems to provide rather heavy restrictions such as the one that prohibits online-only banks from providing credit to corporations. There is also no additional consideration in the case of corporate governance regulations, while prudential regulations are more relaxed than those for the ordinary banks, which are below the necessary level. The fundamental reason for this phenomenon is to include the prevention of concentration of economic power that does not comply with the purpose of the Special Act on Online-only Banks, which is to stabilize the financial system and protect depositors while developing the financial industry by promoting financial innovation through the convergence of ICT and finance. By focusing only on the ownership of online-only banks by large conglomerates and the consequent side effects of it, the act is concentrating on regulation towards ownership structure and business conduct, which narrows the range of potential companies that can invest in online-only banks. nevertheless, the government is trying to promote competition in the financial industry through the launch of online-only banks by alleviating the prudential regulation and it lacks interest towards corporate governance regulation of online-only banks. It seems necessary to revise the Special Act on Online-only Banks to ease the limit on the ownership of online-only banks by non-financial business operator to less than two-thirds of the total number of issued shares with voting rights, to apply the same eased limit in principle to enterprise group subject to limitations on debt guarantees, and to allow online-only banks to freely provide credit to corporate targets. Meanwhile, it is necessary to set the same standard as the application of the minimum capital and Basel III, as online-only banks have the same risk as general banks. By adding financial experience to the qualification requirements of executives and having the cumulative voting system and the mandatory adoption of the executive director system, the act should be able to control the abuse of power of online-only banks’ major shareholder. In addition, non-financial business operators, who are major shareholders of online-only banks, will need to be given obligation of capital contribution in the event of a management crisis. Finally, further research will be needed on how to incorporate the Special Act on Online-only Banks as part of the Banking Act in the long term, and on the procedures and requirements for granting online-only banks the authorization of conversion to general bank. 2018. 9. 20. 인터넷전문은행 설립 및 운영에 관한 특례법(이하 ‘인터넷전문은행 특례법’)안이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되었고, 동법이 2019. 1. 17.부터 시행되었다. 이를 통해 통해 인터넷전문은행의 법적 기반이 마련되었다는 점에서는 고무적이나, 그 내용에 있어서는 아쉬운 점이 적지 않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터넷전문은행 특례법은 소유구조 규제와 업무행위 규제에 있어서는 비금융주력자의 지분보유 한도를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34로 완화하는데 그치고 그나마도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에 대해서는 이를 적용하지 않으며, 인터넷전문은행의 법인 대상 신용공여를 원칙적으로 금지하는 등 필요이상으로 과도한 제한을 설정하고 있는 반면, 지배구조 규제에 있어서는 추가적인 고려가 없었던 것으로 보이고, 건전성 규제는 오히려 일반 은행에 비해 완화하여 필요한 수준의 규제를 마련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현상의 근본적인 이유는 다름아닌 정보통신기술과 금융의 융합으로 금융혁신을 촉진해 금융산업을 발전시킴과 동시에 금융시스템의 안정을 유지하고 예금자를 보호한다는 인터넷전문은행 특례법의 목적과 부합하지 않는 경제력집중의 방지를 입법 취지로 포함한 것에 있다. 즉, 대규모기업집단의 인터넷전문은행 소유 및 이로 인한 부작용에만 천착하다 보니 소유구조 및 업무행위 규제에 집중하게 되고, 이로 인해 인터넷전문은행에 출자할 수 있는 잠재적 기업의 범위가 좁아졌음에도 불구하고 인터넷전문은행의 출범을 통해 금융산업에 경쟁을 촉진시키려다보니 건전성 규제는 오히려 완화하게 되었으며, 지배구조 규제에 대해서는 신경을 쓸 여력이 없게 된 것이다. 이에 비추어 볼 때, 비금융주력자의 인터넷전문은행 지분보유 한도를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총수의 3분의2 미만까지 완화하고,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에 대해서도 원칙적으로 이와 같은 완화된 한도를 적용하며, 인터넷전문은행에 대해서도 법인 대상 신용공여를 자유롭게 허용하도록 하는 방향의 법 개정이 필요해보인다. 한편, 임원의 자격요건에 금융분야 경력을 추가하고, 집중투표제와 집행임원제도를 의무적으로 채택하도록 하여 인터넷전문은행 대주주의 전횡을 지배구조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인터넷전문은행도 어디까지나 은행으로서 은행과 동일한 리스크를 가지는 만큼, 최저자본금 및 건전성 규제기준인 바젤 III의 적용에 있어서는 일반 은행과 동일한 기준을 적용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인터넷전문은행의 대주주인 비금융주력자에게 인터넷전문은행에 경영상 위기가 발생할 경우 최우선적인 출자의무를 부과할 필요도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인터넷전문은행 특례법을 은행법의 일부분으로 통합하는 방안과 인터넷전문은행으로 인가받은 은행의 일반 은행 전환 인가 절차 및 요건에 대해서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바람직한 조각투자 규제체계에 관한 고찰―해외 경주마 조각투자 규제체계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한준 한국증권법학회 2023 증권법연구 Vol.24 No.3
In this paper, in order to establish a desirable regulatory framework for fractional investments, which has only recently been included in the domain of financial regulations, it is assumed that a sufficient review of overseas cases is necessary. The study analyzes the ‘microshare’ method of fractional investment in racehorses in the United States, the ‘hitokuchi umanushi(一口馬主)’ method in Japan, and the ‘syndicate’ method in Australia, which are the most generalized forms of fragmented investment overseas, along with the corresponding financial regulatory cases in each country. Subsequently, based on the release of the so-called fractional investment guidelines in 2022, it is highlighted that prior to this point, fractional investment was practically a regulatory blind spot in financial regulations. However, from that point onward, it is fundamentally regulated based on the concept of investment contract securities in the Financial Investment Services and Capital Markets Act(‘FISCMA’). The paper examines the current trends and future prospects of domestic financial regulations on fractional investment, focusing on the fact that it is now regulated based on the FISCMA since 2022. Based on this review, the paper suggests that it is desirable for financial supervisory authorities to explicitly state, based on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FISCMA, that certain fractional investment activities do not fall under the category of collective investment under the FISCMA. Moreover, it emphasizes the need to apply certain financial business entitiy regulations under the FISCMA to companies engaging in fractional investment activities on a certain scale.
베일인(bail-in, 채권자 손실분담제도)의 국내 도입 방안 연구
이한준 은행법학회 2024 은행법연구 Vol.17 No.2
베일인의 국내 도입을 논의함에 있어서 검토의 흐름은 ① 도입의 필요성 ② 신속정리제도와의연계 여부 ③ 합헌적 설계 방안 ④ 적용 채권 범위 ⑤ 최적화 방안의 순서가 자연스러울 것이다. 국제규범 준수 및 구제금융과 관련된 재정적, 정치적 어려움을 고려할 때 베일인의 도입은 필요하다고볼 수 있다. 베일인과 신속정리제도는 개념적으로 별개의 제도이며 반드시 베일인과 연계될 필요는없지만, 베일인을 위한 입법 과정에 도움이 된다면 이를 연계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베일인의도입에 있어서 청산가치 준수(NCWOL) 원칙이 유지된다면 배일인 제도의 합헌적 설계는 가능할것이라고 본다. 적용 채권의 범위는 회사채를 포함하되, 베일인의 원활한 도입을 위해서는 예금채권은제외하는 것이 현실적일 것으로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베일인 제도를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베일인을구제금융에 앞서서 적용되는 원칙적인 정리수단으로 규정하고, 베일인을 적용하기 적절한 배일인적격 선순위 회사채의 발행량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