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인석,탁정호,정원 한국신뢰성학회 2018 한국신뢰성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8 No.10
국내에서는 정비도 예측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통계적 기법을 주로 활용하여 왔으나, 통계적 기법만으로는 정비도 예측과 실적이 차이를 보일 때가 많다. 즉, 기존의 방법으로는 일정하게 발생하는 정비 수요에 대해서는 효과적인 예측을 수행하나, 간헐적이고 우발적으로 발생하는 정비 수요에 대해서는 예측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간헐적 또는 우발적으로 발생하는 정비수요에 대해서는 정비환경이나 정비인력 등 외부적인 요인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필요한 독립변수를 고려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통계적 기법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무기체계 정비도 예측의 정확도를 높이는 방안을 설명하고자 한다.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and sensitivity of nutrient balance in South Korea
김인석,김윤형 한국농업경제학회 2019 농업경제연구 Vol.60 No.3
This study analyzed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nutrient balance in South Korea by reflecting on recent trends and performed a sensitivity analysis to analyze the relative importance of various factors influencing nutrient balance. The results of sensitivity analysis showed that reduction of chemical nitrogen fertilizer was the factor that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nitrogen nutrient balance, followed by changes in rice cultivation area, resource conversion rate, and purification rate. The sensitivity analysis of phosphoric acid nutrient balance revealed that the resource conversion rate and purification rate had the greatest influence, followed by rice paddy cultivation area and a reduction in phosphoric acid chemical fertilizer.
김인석,정원,이환태 한국신뢰성학회 2014 한국신뢰성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11
철도산업에서 요구되는 가장 기본적인 요건은 수송의 안전을 확보하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철도선진국 대비 주요사고와 사상사고 발생건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전체 사고 발생 중 사상사고의 비중이 매우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획기적인 개선대책이 필요하다. 모든 철도 전문가들은 심각한 사고의 원인은 안전관리체계의 주요사항들을 실천하지 않은 결과라고 말한다. 따라서, 안전보증 기술은 이러한 문제를 확인하고 바로잡아 사망사고를 비롯한 안전사고를 줄이고 자원(비용)을 절약하는 결과를 가져다 준다. 본 논문에서는 안전관리체계dml 안전보증기술에 대한 선진국 사례를 살펴보고, 우리나라 철도 안전관리체계 안전보증기술로의 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김인석,이재욱,안준오,구현철 한국전자파학회 2008 전자파기술 Vol.19 No.1
본고에서는 최근 전파 전공 대학원 학생수가 급감하는 이유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먼저 새로운 기술의 중요성을 설명하였고, 새로운 기술은 일반적으로 대학원에서 교육되고 연구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또, IT 기술은 컴퓨터, 통신, 회로, 반도체, 정보, 전파 기술 등이 융합되어 이루진다는 점을 소개하였고, 우리의 강점인 IT 기술, 휴대폰ㆍ이동통신기술의 강국이 되기까지의 역사적 배경도 설명하였다. 그동안 국내 기반이 없었던 전파 기술을 정부주도형으로 2차례에 걸친 전파 인력 양성 사업을 통하여 미진하나마 필요 인력을 확보하였었던 점을 상기시켰다. 그리고 현재의 IT 강국의 위치를 유지하고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서는 상기의 다양한 기술을 융합ㆍ발전시켜야 하는데, 대학원에서 배출되는 전파 인력의 부족 문제로 인해 앞으로 조화롭게 발전시켜 나아가야 할 우리의 IT 기술이 절름발이 기술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전파인력 부족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전파 전공을 자연스럽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학부생들에 대한 동기 부여책, 대학원 활성화 대책, 학부 레벨 이하에서의 동기 부여책, 전파 기술의 홍보 방안, 여성 전파 인력양성 방안 등을 제안하였다.
김인석 한국전자파학회 2007 전자파기술 Vol.18 No.4
본고에서는 IT강국으로의 도약을 꿈꾸는 우리에게 기술이 국가 경쟁력을 발생시키는 원동력이라는 점을 소개하고, 여러 기술 가운데 전파 기술은 현재에도 매우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고, 앞으로 IT839의 시도와 유비쿼터스 시대를 개척할 수 있는 기반 기술 중에 하나로서 국가 경쟁력을 위해서 필요한 핵심 기술 분야라는 점을 설명합니다. 그리고 우리가 IT 강국을 지향한다면 전파 기술의 핸드폰 관련분야의 발전과 유지에만 머물러 있지 말고 다양한 전파 기술을 습득케 하는 전파 기술의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고 주장합니다. 마지막으로 대학에서의 전파 기술 교육은 국가 경쟁력 측면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과제로서 전파 인력 양성을 NEXT 사업과는 다른 차원에서 수행해 나가야 할 것임을 제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