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감, 도덕적 의무감, 사회적 지지에 대한 인식이 사회적 기업가적 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채원,오혜미,Lee, Chaewon,Oh, Hyemi 한국벤처창업학회 2017 벤처창업연구 Vol.12 No.5

        본 논문은 '의도(Intention)는 행동을 예측할 수 있다'는 사회 심리학자들의 연구에 근간을 두고 사회적 기업가적 의도(Social Entrepreneurial Intention)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Ajzen의 계획된 행동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과 Shapero의 기업가정신행동모델(Shapero's Model of the Entrepreneurial Event: SEE)에 근간하여 많은 연구들은 기업가적 의도(Entrepreneurial Intention)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자기 효능감(Self Eficacy), 지각된 욕구(Perceived Desirability), 지각된 실현가능성(Perceived Feasibility) 등이 있음을 규명하였다. 이러한 연구에 기반하여 본 연구는 사회적 기업가정신 맥락에서 사회적 공감(Compassion), 도덕적 의무감(Moral Obligation), 사회적 지지에 대한 인식(Perceived Social Support)이 사회적 기업가적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공감(Compassion)은 다른 사람이 느끼는 감정이 무엇인지를 이해하는 능력으로 일반인 혹은 일반 기업인들에 비해 사회적 기업가가 갖는 두드러진 특성이다. 또한 사회적 기업가는 사회적 기업가적 활동을 하는데 있어서 도덕적 의무감을 주관적 규범으로서 중시한다. 또한 개인이 갖는 특성 변수 외에 외생적 요소로 사회적 지지에 대한 인식을 어떻게 하느냐가 사회적 기업가적 의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자발적으로 사회적 기업가정신 및 기업가정신 과목 수강을 선택한 대학생 27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회귀분석을 통해 가설검증을 하였다. 공감능력(인지적 공감, 정서적 공감, 사회문제 공감)과 주관적 규범으로의 도덕적 의무감은 사회적 기업가적 의도에 영향을 미치며, 외부 환경에 대한 인식 즉 사회적 지지에 대한 인식의 정도에 따라 사회적 기업가적 의도는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사회적 기업가정신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규명하는 연구들이 주로 기존 기업가정신 연구에서 사용된 변수를 사용함으로써 사회적 기업가정신의 특성을 잘 설명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는 공감, 도덕적 의무감, 사회적 지지에 대한 인식이 의도(Intention)에 영향요소임을 밝힘으로써 사회적 기업가적 의도 연구 분야에 기여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사회적 기업가적 의도를 파악하는데 있어서 학생들만을 대상으로 한 것은 본 연구의 한계점이라고 할 수 있다. In recent 10 years the attention to social entrepreneurship has raised increasing among scholars, public sector, and community development. However les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how social entrepreneurship intention create a social enterprise and what factors can be affected to the social entrepreneurial intentions. This paper aims at contributing to identify the antecedents of entrepreneurial behavior and intentions. Especially, we have had a strong interests in compassion factors which haven't been used as important variables to encourage for people to do social entrepreneurial activities. Also, we try to find the moral obligation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as antecedents of social entrepreneurial intentions. Finding show that compassion and moral obligation affect to the social entrepreneurial intention. Especially this study identify the external factor of society with the variable, perceived social support. Once individuals recognize that the infrastructure and societal positive mood on social entrepreneurship is friendly to social entrepreneurship, people have a tendency to try to do some social entrepreneurial activities. Only few empirical studies exist in this research domain. A study of more than 271 Korean college students has studied which personal traits predict certain characteristics of social entrepreneurs (such as having social vision or looking for social innovational opportunities). In addition to those antecedents, students experience is the critical factor that enabled continued expansion of the social entrepreneurial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 how we can nurture social entrepreneurs and how we can develop the social environment to promote social entrepreneurship.

      • KCI등재

        국민의식과 사회문제 해결 대안으로서의 기업가정신 탐색

        이채원(Chaewon Lee),강경균(Kyoung Kyoon Kang) 한국경영학회 2016 Korea Business Review Vol.20 No.4

        기업가정신(Entrepreneurship)은 일자리 창출 및 경제성장에 기여하여 국가의 경쟁력을 형성하는 핵심동력 역할을 한다. 즉, 기업가정신은 우리가 처해 있는 사회 및 경제적 문제를 해결하는 대안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업가정신은 창업으로 인식되거나 기업가적 사고방식 및 행동양식으로 국한되어 이해되는 경우가 많다. 기업가정신이 국민의식과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대안으로 작용하기 위해서는 기업가정신의 개념에 대한 재정립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기업가정신이 국민의식과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대안으로 이해되어야 한다는 당위성을 설명하기 위해 기업가정신 전문가와의 인터뷰를 통해 기업가정신이 국민의식과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본질과 속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찾고자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기업가정신의 개념을 재정립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기업가정신에 대한 의미와 구조를 순환적으로 밝혀내는 자연주의적 질적 접근을 시도하였으며, 특히 삶의 현상에 대한 본질적 측면을 밝힐 수 있는 현상학적 접근법을 사용하였다. 이를 위해 기업가정신에 대한 오랜 연구와 경험을 가진 전문가와의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국민의식과 사회문제 해결로서의 기업가정신을 핵심질문으로 하여 기업가정신의 의미가 사회나 국가에 어떤 의미를 미치는지를 질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기업가정신의 본질 속에는 6개의 주제가 내포되어 있음을 파악하였다. 첫째, 편향된 가치로 인한 사회 구조의 불균형, 둘째, 기존의 한계로 인한 사회문제의 악순환, 셋째, 새로운 요구로 인한 패러다임 변화의 필요성, 넷째, 유기체적 기업이 변화하는 동인으로서의 기업가정신, 다섯째, 기업가정신이 주는 역동성으로 인한 기업의 선순환, 여섯째, 경제 및 사회적 가치창출의 원천으로서의 기업가정신으로 정의되었다. 이러한 기업가정신 개념의 본질에 대한 이해를 통해 일반적으로 인식되던 창업으로서의 협의 개념에서 벗어나 사회문제를 해결해 주는 시대정신으로서의 기업가정신을 재개념화 한 것은 본 논문의 기여점이라고 할 수 있다. 기업가정신의 재개념화와 더불어 기업가정신이 국민의식 및 사회문제 해결의 대안으로 작용하는 여러 사례들을 발굴하고, 기업가정신을 함양할 수 있는 기업가정신 교육, 혹은 관련 프로그램의 지속적 개발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Entrepreneurship has been a driving force for economic growth. However, the definition of entrepreneurship has been defined as a way of thinking for creating value or defined as activities related to start-up. This kind of narrow definition led the misunderstanding to the public. Also, the entrepreneurship policy makers and educators have used the concept of entrepreneurship as a start-up activities. With this mis-concept of narrow definition should broaden to the right and broad concept of entrepreneurship as the zeitgeist and the solutions to social problem. For redefining the entrepreneurship concept, we conducted the survey with experts in the entrepreneurship industry such as professors in entrepreneurship division at university level and experts in entrepreneurship industry such as policy makers in the government related organization. Based on Colaizzi(1978)’s research, the phenomenologist view is useful to see the core value of phenomena. Researchers did in-depth interview to redefine the definition of entrepreneurship. We got the 6 key concepts which they have to be included in the definition of entrepreneurship through in-depth interview. First, entrepreneurship can solve the inequity issues in terms of social value and economic side. Second, it can be a solution of unbalanced bad cycle of society. Third, it can be a solution to adjust the current economic paradigm. Forth, entrepreneurship can be a driving force of economic and social dynamics. Fifth, it will create the positive system to create the effective results. As a sixth key point, entrepreneurship can be a source of social value creation beyond the economic value creation. These core values can lead the more broad perspective to understand entrepreneurship concept as a solution of social problem and the zeitgeist. Using this understanding, entrepreneurship can be applied to the economic sectors and social sectors as well. Also, it will bring the right direction for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the situation all students have to take the entrepreneurship course as a mandatory course.

      • KCI등재후보

        기업가적 대학(entrepreneurial university)의 개념적 프레임워크 개발; 탐색적 사례연구

        이채원(Chaewon Lee),Marc Meyer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2021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Vol.5 No.1

        기업가정신은 현 경제체계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대안으로 여러 국가들이 강조하고 있다. 특히 대학은 기업가적 경제(entrepreneurial economy)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대학은 연구 및 교육 기능을 넘어서 ‘자연적 인큐베이터 역할을 수행하며 경제적 가치 및 사회적 임팩트를 창출’하는 기업가적 대학(entrepreneurial university)로의 역할이 기대되고 있다. 기업가적 경제에서 대학의 중요성에 대해 많은 논의가 이루어진 것에 반해 기업가적 대학의 학문적 연구는 미비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업가적 대학의 개념을 정리하고, 기업가적 대학을 설명할 수 있는 개념적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여 기업가적 대학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기업가적 대학을 설명할 수 있는 주요 구성요소로는 기업가정신 교육(entrepreneurial education), 경험적 교육(experiential learning), 벤처창업(venture companies), 외부협력요소(collaboration with stakeholder)로 도출되었다. 도출된 개념적 프레임워크의 구성요소에 기반하여 본 연구는 3개 대학을 대상으로 탐색적 비교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중요성에 비해 연구가 미진했던 기업가적 대학의 개념적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기여점을 찾을 수 있으며, 추후 기업가적 대학의 성과 평가에 대한 실증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업가적 대학 관련 측정변수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본다. This paper develops a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entrepreneurial university. The role of universities has changed over the last several decades from being viewed solely as academic learning centers to becoming engines of innovation for creativity to create new economic value and social impact, the basis for new companies and the next generation products, systems, and therapies upon such companies are based. Many universities have tried to transform themselves into more effective entrepreneurial engines. However, while there are numerous specific programs and initiatives having this intent, there is no higher level, integrative framework for University entrepreneurship ecosystem design to guide such efforts. Specific data are reported for two large Korean universities and one American institution. The two Korean universities has active entrepreneurship centers and receive considerable government funding. The American University is well-regarded for its entrepreneurship success, being the recipient of the 2020 award for Outstanding Contributions to Venture Creation Best Venture Creation by the Global Consortium of Entrepreneurship Centers. The entrepreneurship university framework proposed here has four major dimensions. The first dimension is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viding specific innovation design and business planning methods for undergraduate, graduate, and post-graduate participants. In addition to assessing the breadth and depth of classroom offerings programming, we assessed the specific and aggregated capabilities of the teaching faculty itself, as well student engagement in said programs. The second dimension is experiential learning, the degree to which universities provide work internships in dynamic venture companies, or, allow students to self-intern in their own startups with industry mentorship. Internship count, structure, and type are metrics here. The third major dimension is are the specific processes and funding provided by universities to incubate new companies, as measured not just by the number of startups, but participation rates throughout the University, the type of ventures (in terms of being technologically intensive, non-lifestyle ventures), and their sustained success. This third dimension also incorporates a University’s mentoring system to complement faculty and University staff. The fourth dimension encompasses the integration by the University in its regional entrepreneurship ecosystem and its various stakeholders. This includes the planned interactions and programs with adjacent accelerators, government agencies, and early-stage investors for the purpose of allowing University ventures to advance to the next level of startup, and then, scale up. Using a structured research instrument, we conducted in-depth data collection for specific data items within each of the four major dimensions in the higher-level framework. Using these data, we then compared the educational, experiential, and external programs of these universities, assessing each university’s strengths and weakness according to our framework. Then, in aggregate across the three Universities, we identified best practices for each of the four dimensions. While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integrative framework for University-based entrepreneurship ecosystems, it also had a practical outcome. By contrasting their current approaches to observed best practices, University administrators could develop specific improvement plans for their respective entrepreneurship ecosystems.

      • KCI등재

        COBie-IM 및 BIM 기반 건축물 점검 및 유지보수 정보관리방안 제시 Proposed Information Management Plan for Building Inspection and Maintenance Based on COBie-IM and BIM

        이채원 ( Lee Chaewon ),김상용 ( Kim Sangyong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3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23 No.1

        노후화된 건축물이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인 점검과 보수ㆍ보강이 수행되어야 한다. 하지만 현재 건축물 유지관리 단계에서 발생하는 정보의 형태와 의사결정은 여전히 비효율적인 방식에 의존하고 있다. 이는 건축물 유지 관리에서 발생하는 비용의 증가와 시간 낭비의 원인이다. 이에 본 연구는 COBie를 벤치마킹하여 건축물 점검 및 유지보수 정보 관리용 COBie-IM 문서를 제안하고 이를 BIM에 연계하여 정보를 확인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건축물에서 발생한 결함의 손상등급에 따라 색상을 지정하여 시각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건축물 유지관리 단계에서 점검 및 유지보수 시 발생하는 정보들을 체계적으로 통합ㆍ관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결함에 대한 보수ㆍ보강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의사결정을 지원함으로써 업무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To maintain the normal function of an aging building, regular inspection, repair, and reinforcement must be performed. However, the form of information and decision-making generated in the current building maintenance stage still depends on inefficient methods. This causes an increase in cost and waste of time in building maintenance.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a COBie-IM document for building inspection and maintenance information management by benchmarking COBie, and suggested a method of checking information by linking it with BIM. In addition, a method for visualizing the designation of colors according to the damage grade of defects occurring in the building was suggested. Through this, we are able to systematically integrate and manage the information generated during inspection and maintenance in the building maintenance stage. This is expected to increase work efficiency by supporting decision-making that determines the priority of repair and reinforcement for defects.

      • KCI등재

        개인사에 새겨진 시대를 증언하는 여성서사의 의미 : 영화 「벌새」

        이채원(Lee Chaewo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0

        영화 「벌새」는 열네 살 소녀의 시선을 통해 개인사에 새겨진 시대사를 재현한다. 영화서사에서 명시적으로 호명된 1994년은 가부장이 지배하는 가정과 학벌지상주의를 설파하는 학교, 재개발을 향해 치닫는 사회의 구성원들모두가 자본주의 피라미드의 상층부로 향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 시대이다. 남성성의 폭력은 일상의 도처에 널려있고 동일성의 폭력은 다른 가치를 용납하지 않는다. 이 속에서 타자화 된 이들은 폭력에 시달리고 끝없이 배척된다. 영화 「벌새」에서 특히 주목할 점은 1994년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 영화에서 2021년 현재의 시대적 공기가 감지된다는 것이다. 즉 27년 전인 1994년을 재현하면서 지금 여기를 성찰하게 하는 여러 영화적 장치들이 배치되어있다. 가부장제의 폭력의 희생자인 중학생 은희는 집단의 획일화 된 가치의 위태로운 균열을 직시하는 영지 선생님을 만나서 자신을 사랑하는 법을 배우며 성장한다. 주변부에 머물렀던 여자아이에게 부여된 시점쇼트는 타자화 된삶을 면밀하게 바라보게 한다. 잘 알지 못하는 타자의 삶을 천편일률적인 잣대로 평가하거나 동정하지 않고 ‘환대’할 때 변화되는 여러 양상들을 소녀의 시선을 경유하여 전달한다. 이때 동일성의 추구 아래 무시되었던 개별성이드러나고 여기서 이 영화는 레비나스의 ‘타자의 철학’ ‘책임의 윤리학’과 만난다. 이러한 타자의 윤리는 세상을 다른 각도에서 보게 하며 억압된 것들을 부상시키고 새로운 세계를 상상하게 한다. 이러한 시선과 상상력의 근원에는 타자에 대한 억압에 저항하는 윤리적 투쟁인 페미니즘이 자리한다. 1994년 재개발 현장에서 찢긴 현수막은2009년 용산참사의 예시(豫示)가 되고, 성수대교 붕괴는 바로 다음 해 삼풍백화점 붕괴의 예시가 되며, 수학여행을 떠나기 전 학생들의 모습은 2014년 세월호 참사의 예시가 된다. 이렇듯 영화 「벌새」는 재난의 연속성을 암시하면서 재난의 근원에 자리한 지배이데올로기를 투시한다. 여기서 지배이데올로기는 동일성의 폭력이고 가부장제이며, 남성성을 추종한다. 이 모든 것을, 목소리를 내지 못하는 서발턴이었던 여자아이가 목격과 증언의 주체가 되어전달하게 되는 여성 성장서사를 구축하면서 이 영화는 개인사에 새겨진 시대의 재난의 여러 의미들을 질문하게 한다. The film, House of Hummingbird represents the disaster of the era engraved on the daily lifeof an individual through the gaze of a fourteen-year-old girl. In 1994, explicitly called in filmnarratives, patriarchy dominated the family, the school advocated academicism, and society rantoward development. All members of the family, school and society aimed to go to the upperlevels of the capitalist pyramid. Violence of masculinity was routine, and violence of identitydoes not tolerate other values. In such a situation, the othered people suffer from violence andare endlessly rejected. Middle school student Eun-hee, a victim of patriarchal violence, met ateacher named Young-Ji staring at the dangerous cracks of the uniform values of the society andlearned to love herself through her. The girl’s point of view shot looks at the life around theother, looks at the world from different angles, reminds me of suppressed things, and imaginesa new world. At the root of this gaze and imagination is feminism, an ethical struggle againstoppression of others. This film, which implies the continuity of disasters in Korean modernhistory, is a female narrative that shows the meaning of the history of the times engraved inpersonal history through the gaze and voice of a girl who became the subject of witnessing andtestimony.

      • KCI등재

        작물 표현체 플랫폼 기반 벼 이미지 분석 조건 확립

        이채원(Chaewon Lee),최인찬(Inchan Choi),이홍석(Hongseok Lee),김년희(Nyunhee Kim),안은숙(Eunsook An),김송림(Song Lim Kim),백정호(Jeongho Baek),지현소(Hyeonso Ji),윤인선(In-Sun Yoon),김경환(Kyung-Hwan Kim) 한국육종학회 2021 한국육종학회지 Vol.53 No.4

        Fast and accurate selection is essential for breeding to cope with rapid climate changes and a steeply increasing population. Consequently, technologies for high-throughput phenotyping (HTP) are emerging. These technologies, unlike conventional phenotyping methods,enable us to evaluate agronomic traits in a fast and massive manner. Thus, the HTP facility was built to acquire and analyze crop imagesusing RGB sensors at the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epublic of Korea. By testing various conditions to acquire images,we determined the conditions for phenotyping using the RGB sensor as follows: exposure 30,000 ms, gamma 75, and gain 100 using LEDlights in a blue background. Based on this condition, images from 96 individual plants of rice Dongjin cultivar were obtained every weekto measure plant height and shoot area, which are directly associated with yiel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image analysis were comparedwith the manually collected results. The r2 value between the projected plant height obtained from image analysis and the plant height obtainedfrom manual measurement was 0.989. Furthermore, the r2 value between the projected shoot area obtained from image analysis and the shootarea obtained from manual measurement was 0.981. These results show that image analysis is highly reliable and can be used for crop phenotyping. Therefore, we expect that the new method we developed will be used for breeding in the near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