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감초 지표성분 분석법 확립 및 liquiritigenin의 함량 증대를 위한 감초의 수치에 관한 연구

        이종록,조미정,박상미,김상찬,박숙자,Lee, Jong-Rok,Jo, Mi-Jeong,Park, Sang-Mi,Kim, Sang-Chan,Park, Sook-Jahr 대한한의학방제학회 2010 大韓韓醫學方劑學會誌 Vol.18 No.1

        Objective : Licorice has been used for treating digestive disorder and also recommended as a detoxification agent. Liquiritigenin, a component of licorice, has been reported to have various biological activities. In this study, we aimed to establish the analytical method for liquiritigenin content in licorice and the processing method for the enhancement of liquiritigenin content in licorice. Methods : Processing was accomplished by roasting licorice at $250^{\circ}C$ for indicated time periods (5-20 min). Analysis of liquiritigrnin from roasted licorice was conducted using UPLC(Ultra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Results : We established UPLC method for the analysis of liquiritigenin using water : acetonitrile gradient as mobile phase. Furthermore, we standardized the processing condition of licorice to enhance liquiritigenin content using UPLC method. Processing of licorice was accomplished by roasting at $250^{\circ}C$ for indicated time periods (5-20 min) and by pretreating with 50% of acetic acid or 30% ethanol for 24 h. By roasting licorice, the liquiritigenin contents in the licorice were increased. The best roasting time of licorice was 6 min, while roasting for the time above 8 min resulted in diminishing liquiritigenin contents. Moreover, pretreatment with 50% of acetic acid or 30% ethanol picked up liquiritigenin contents in roasted licorice. Conclusion : The adequate processing condition of licorice for the enhancement of liquiritigenin contents was obtained by pretreating licorice with 50% of acetic acid or 30% ethanol for 24 h and then by roasting at $250^{\circ}C$ for 6 min.

      • KCI등재

        현호색(玄胡索)과 초초현호색(醋炒玄胡索)의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효과 비교

        이종록,박숙자,김영우,조일제,변성희,김상찬,Lee, Jong-Rok,Park, Sook-Jahr,Kim, Young-Woo,Cho, Il-Je,Byun, Sung-Hui,Kim, Sang-Chan 대한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 2011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Vol.24 No.3

        Objectives : Corydalis tuber has been used for promoting blood circulation and for relieving pain in Oriental medicine. In the present study, we focused on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Corydalis tuber and compared its antimicrobial activity with the processed Corydalis tuber. Methods : Processing of Corydalis tuber was accomplished by immersing in 5% of acetic acid for 12 h and then by roasting at $250^{\circ}C$ for indicated time periods(0-30 min).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MIC) and the zone of growth inhibition were determined against Propionibacterium acnes(P. acnes). Results : The methanolic extracts of Corydalis tuber showed potent antimicrobial effect(MIC 62.5 ${\mu}g/ml$). Its alkaloidal component, dehydrocorydaline, also exhibited antibacterial activity(MIC 25.0 ${\mu}g/ml$). After processing of Corydalis tuber, its inhibitory effect on the growth of P. acnes was significantly enhanced compared with that of unprocessed Corydalis tuber. Furthermore, elevated content of dehydrocorydaline was found in the processed than the unprocessed Corydalis tuber. However, the different roasting minutes effected on antimicrobial activity. The best roasting time of Corydalis tuber was 10 min, while roasting for the time above 15 min resulted in diminishing antimicrobial activity. Thus, it was concluded that the standardized processing condition of Corydalis tuber should be established to obtain enhanced antimicrobial(P. acnes) activity. Conclusion : For antimicrobial effect against P. acnes, the best processing condition of Corydalis tuber is immersing in 5% of acetic acid for 12 h and by roasting at $250^{\circ}C$ for 10 min.

      • 18세기 경주김씨(慶州金氏) 학주공파(鶴洲公派)의 대두와 기호학계에서의 위상

        이종록 ( Lee Jong-rok ) 한국계보연구회 2021 한국계보연구 Vol.11 No.-

        이 글은 서산 大橋[한다리]에서 세거했던 경주김씨 학주공파의 부상과 이를 가능하게 했던 動因을 遡及하여 분석한 것이다. 이들은 경주김씨 내에서 대안군파, 태사공파, 좌랑공파, 장단공파를 이어 학주공파로 분파되었다. 이들을 기록한 족보는 태사공파의 후손을 기록한 1685년(숙종 11)의 乙丑譜와 1784년(정조 8)의 甲辰譜가 있다. 족보 편수의 본래적 목적인 世系의 정비에 을축보가 김자수-김세필로 이어지는 사림 표방을 강조하고자 한 것이라면, 갑진보는 왕실의 일원임을 드러내고자 한 것이었다. 경주김씨 태사공파의 족보 간행을 둘러싼 수보 목적의 변화는 가문 내 중심축의 변화가 선행한 것이었고 동시에 정순왕후의 왕비 간택을 계기로 촉발된 학주공파의 대두가 존재했다. 하지만 단순히 왕후의 등장이 곧 그러한 변화를 가능케한 것은 아니었다. 당시 정순왕후의 至親들은 정치적으로 南黨-僻派을 조직하고 학문적으로는 湖論의 주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남당이 자립할 수 있었던 까닭은 정순왕후의 후원 외에도 호론의 학문적 조력이 있었기에 가능한 것이었고, 여기에서 金漢祿의 역할이 두드러진다. 김한록은 호락논쟁이 격화되는 시기에 호론의 종장 韓元震에게 수학하였다. 김한록은 한원진에게 호론의 학문적 정체성을 물려받았고, 점차 호론의 중심적 역할을 담당하는 위치로 나아갔다. 하지만 호론은 주요 학자들의 사후 학통의 전수를 지속하지 못하였고, 김한록이 사후 八字凶言으로 충역 시비에 휘말리면서 벽파에 속하던 경주김씨들이 연좌되었다. 이는 벽파와 호론이 역사적 흐름에서 단절된 사건이기도 하였다.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던 호론이 역사 속에 재등장한 것은 일제의 침략이 가시화되는 근대전환기에 이르러서였다. 1895~1896년 홍주에서는 홍주의병이라는 반개화·반침략 반일투쟁이 일어났는데, 이때 의병의 이념적 기반이 호론에 근거한 것이었다. 이때 의병을 주도한 金福漢, 金商悳, 李偰 등은 모두 호론을 계승했다는 의식을 담지하고 있었는데 학통에 있어서 호론의 적전으로 김한록을 지목하였다. 이는 내포지역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던 김한록의 호론 내의 위상이 비로소 추인된 것이라 할 수 있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emergence of of Kim Hong-wook of Gyeongju Kim Clan, who lived in Daegyo, Seosan, and the key motivation that made it possible. They were divided into Hakjugong-pa following the Daeangun-pa, Taesagong-pa, Jwaranggong-pa, and Jangdangongpa within Gyeongju Kim Clan. Eulchukbo in 1685 (the 11th year of King Sukjong's reign), which recorded the descendants of Taesagong-pa, and Gapjinbo in 1784 (the 8th year of King Jeongjo's reign) are the genealogical records of Gyeongju Kim Clan. If Eulchukbo had an intention to emphasize the advocacy of Sarim leading to Kim Ja-su and Kim Se-pil in terms of the original purpose of organizing genealogy, the purpose of organizing Gapjinbo was to reveal that it was a part of the royal family. The change in the purpose of organization surrounding the publication of genealogical records by Gyeongju Kim Clan’s Taesagong-pa was due to the change in the central force in the family, and simultaneously, the rise of Hakjugong-pa, triggered by selection of a spouse for the Royal family-the royal family’s selection Queen Jeongsun-had a great influence. However, simply the appearance of the Queen did not make such a change possible. At that time, Queen Jeongsun's close relatives politically organized Namdang-Byeokpa and academically, played a major role in Horon. The reason why the Namdang was able to stand on its own feet was because of the academic assistance of Horon in addition to the support of Queen Jeongsun, where Kim Han-rok's role stands out. Kim Han-rok studied with Han Won-jin, the instructor of Horon, at a time when the Horak debate was intensifying. Kim Han-rok inherited the academic identity of Horon from Han Won-jin, and gradually moved to a position that plays a central role in Horon. However, Horon failed to continue the transfer of scholarship after the death of major scholars, and Gyeongju Kim Clan, who belonged to Byeokpa, was taken over as Kim Han-rok was embroiled in a dispute over the loyalty with the "Eight letters of curse[Palja Hyung-eon 八字凶言]" after his death. This was also an event in which Byeokpa and Horon were cut off from historical stream. Horon, which had subsided below the surface, reappeared in history when the Japanese invasion became visible. From 1895 to 1896, an anti-Japanese struggle broke out in Hongju under the banner of anti-enlightment and anti-invasion called the Hongju Righteous Army. Kim Bok-han, Kim Sang-deok, and Lee Seol, who led the righteous army, all had a sense of inheriting Horon, and they pointed out Kim Han-rok as the heir of Horon in terms of academic background. This can be said that Kim Han-rok's status within the horon was formed around the Naepo area, and that status was finally confirmed.

      • SCOPUSKCI등재

        AIDS 환자에서 발생한 호산구성 농포성 모낭염

        이종록 ( Jong Rok Lee ),이성주 ( Sung Ju Lee ),최광성 ( Gwang Seong Choi ),김영근 ( Young Keun Kim ) 대한피부과학회 2002 대한피부과학회지 Vol.40 No.4

        Eosinophilic pustular folliculitis, first described by Ofuji, is characterized by recurrent crops of pruritic follicular papules and pustules that occur mainly on face, trunk and extremities. Since late 1980, many cases of eosinophilic pustular folliculitis have been reported in patients with the acquired immunodeficiency syndrome(AIDS). The distinguishing features of HIV-associated eosinophilic folliculitis include a different clinical presentation, the universal presence of pruritus and the absence of leukocytosis. A 26-year-old woman, who was HIV-seropositive, had erythematous follicular papules and pustules on face and anterior chest. Clinically and histologically, we confirmed eosinophilic pustular folliculitis. We report a case of eosinophilic pustular folliculitis in a patient with AIDS.

      • KCI등재

        영문 한국사 개설서의 고대사 서술 동향 - 2000년대 출간된 개설서와 비교역사학적 접근의 문제를 중심으로-

        이종록(Lee, Jong-rok) 고려사학회 2023 한국사학보 Vol.- No.91

        본 논문은 2000년대 이후 출간된 영미권 한국사 개설서의 현황을 검토하고, 이 중 한국고대사의 서술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Michael Seth의 A Concise History of Korea를 최근 영미권 한국사 개설서의 예시이자 국내 학계와의 한국고대사 서술 방식과의 차이를 보여주는 사례로 활용하였다. 해당 개설서의 저자는 한국고대사에 관한 장절에서 중국 문명과의 교류를 강조하는 동시에, 세계사 속에서 고대 한국 정치집단의 위치를 논의하는 특징을 보인다. 그러나 저자의 서술은 경우에 따라서는 한국고대사에 대한 국내 학계와의 시각 차이가 극명하게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는 저자만이 아니라 서구 학계에서 자주 취신하는 비교역사학(comparative history)적 접근의 결과로 여겨진다. 곧 본고에서는 국내 학계에서 영미권 개설서에 대해 비판하는 요소인 한사군 중심 서술이나 중국사에 종속된 서술은 이러한 방법론과 밀접하게 연관이 있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This paper reviews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history textbooks written in English published since the 2000s, and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that appear in the narrations of Korean ancient history. For this, it used Michael Seth’s A Concise History of Korea as an example of the recent textbooks to Korean history in the English-American countries to indicate the different narrative method from the Korean academia’s. The author’s method has a characteristic that emphasizes the cultural exchange with Chinese civilizations and the position of ancient Korean polities in the world history in chapters on ancient Korean history. Sometimes, the author’s opinions signifies clear differences in viewpoints on ancient Korean history from the Korean academia. These differences were the result of the comparative historical approach, which had been constantly adopted by the historians in English-speaking countries. This paper concluded that the narratives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history textbooks written in English such as focusing on the Chinese Han Commanderies or Sino-centric historical viewpoint, that the Korean academia often criticize, were closely related to this methodology.

      • KCI등재

        고구려(高句麗)의 동옥저(東沃沮) 정벌과 낙랑군(樂浪郡)

        이종록 ( Lee Jong-rok ) 한국고대학회 2016 先史와 古代 Vol.49 No.-

        『三國志』등의 사료에 따르면 高句麗가 농사에 적합하지 않은 땅에 위치하여 늘 식량 공급등의 경제적인 문제에 직면해 있었다고 한다. 때문에 고구려는 정복전쟁을 통해 경제적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였고, 1세기경의 동옥저 정벌은 그 전쟁의 하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런데 동옥저 정벌에 있어서 고구려에게 최대의 장애물은 이미 이 지역에 지배권을 확보하고 있었던 樂浪郡세력이었다. 따라서 大武神王代고구려는 정복전쟁은 그 목표가 바로 이들 낙랑군세력이었을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파악하였다. 고구려는 呑列縣을 비롯한 낙랑군의 縣을 공략하여 동옥저 지역의 교통로를 확보하였으며, 그 여파는 낙랑군이 하여금 영동 7현을 방기하는 이유 중 하나가 되었다. 그리고 동옥저에서 군현 세력이 사라지고 토착 小國들이 서로 相爭하는 기회를 틈타, 고구려는 본격적으로 이 지역에 대한 정벌을 추진하였다. 그러나 동옥저에서는 여전히 親漢勢力이자 군의 지배질서를 수용하던 집단이 잔존하고 있었다. 이들은 영동 7현의 방기 이후에도 여전히 樂浪郡의 소속으로써 그 정체성을 보유하고 있던 집단이던 것이다. 따라서 고구려는 이들 친한세력을 제압하는 방식으로 동옥저 정벌을 수행하였으며, 이것이 사료상에서 ‘樂浪國’이라는 나라와의 전쟁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이후 이들은 낙랑군을 대신하여 토착 세력들(渠帥)에게 지배자의 입장에서 조세의 貢納을 받으며 경제적 욕구를 충족했을 것으로 분석하였다. According to historical records such as Sanguozhi(三國志; the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Koguryo(高句麗) had constantly suffered economic problems because of its inadequate earth for agriculture. Thus, Koguryo used militaristic methods as a solution to their scarcity of provisions, and the invasion into East Okcho(東沃沮; Dongokcho) was an exemplary case for this mechanism in the first century. The biggest obstacle to Koguryo``s conquest of East Okcho was Chinese Lelang(樂浪) Commandery, which had already secured control over the region using local pro-Chinese groups in East Okcho. Consequently, the consistent purpose of King Taemusin(大武神王)``s campaigns was to defeat these groups. Koguryo attacked Lelang’s counties such as Tunlie(呑列縣) to acquire a route to East Okcho, and the invasion’s aftereffect severed the commandery’s direct reign over the region. After Chinese commanderies’ recession from East Okcho, small countries(小國) started quarrels with each other, a situation which allowed Koguryo to easily infiltrate into this region. Arguably, the leaders of small countries were the local pro-Chinese groups who kept their identity as a part of Chinese commandery even after the commandery``s recession. It was natural that Koguryo’s aggression targeted at these groups remained in East Okcho, since they were potential threats to Koguryo’s rule over the region. This invasion was described as a war with a kingdom named Lelang(樂浪國; Nangnangguk), supposedly one of the local countries under a pro-Chinese leader. After successful occupation of East Okcho, Koguryo adopted a similar method of Chinese commanderies’ control over the region, as it was the most effect way to satisfy their economic needs.

      • KCI등재

        高句麗와 玄菟郡의 관계와 幘溝漊 설치 배경 검토

        이종록(Lee Jong Rok) 한국고대학회 2018 先史와 古代 Vol.- No.55

        지금까지 많은 연구들에서 고구려 초기의 국가형성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현도군과의 대립의 중요성을 강조해 왔으며, 이를 전제로 하여 『漢書』 地理志 및 『三國志』 東夷傳에 기록된 현도군 관련사료를 통해 현도군과 고구려사회의 관계 및 그 변천을 추적해 왔다. 그러나 고구려와 현도군의관계는 시종 대립과 항쟁으로 한정되지 않고 타협으로 유지되고 있던 측면 또한 존재하였으며, 양자의 관계를 보다 명확히 밝히기 위해서는 이러한 측면에 대해서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본고에서는 먼저 현도군은 이전에 설치된 滄海郡이 부활하는 형태였다고 보았다. 또 창해군은 중국 문물을 토착 세력에게 제공하는 조건으로 설치되었으며, 압록강 중상류의 고구려인들은창해군이 설치된 예군남려의 28만구의 집단 중 하나였던 것으로 추정하였다. 그리고 이와 같은관계가 이후 현도군에서도 이어져, 文物의 제공의 조건으로 현도군의 유지가 가능했을 것으로 보았다. 이후 기원전 75년 이전 夷貊의 침략으로 인해 현도군은 그 치소를 신빈 방면으로 이전해야 했으나, 이와 같은 문물 제공은 유지되었던 것으로 판단한다. 그러나 신빈 방면에 이전된 제2현도군의 구조는 그 속현 수가 불과 3개인데 반해 인구가 지나치게 많은 특성과 더불어, 여타 기록에서 찾을 수 없는 형태로 高句驪라는 이름이 명시되어 있는 등 그 존재 양식에서 이질적인 특징이나타난다. 이는 제1현도군을 축출할 수 있었던 정도의 정치적 결집력을 완성시킨 고구려에 대해기존의 군현지배체제를 유지하려고 했던 한나라의 정책이 상충된 결과로 이해된다. 그리고 이 무렵에 설치된 幘溝漊는 고구려가 현도군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해야 했던 현도군과, 단일 교섭 창구를 통해 중국 문물을 수용하려 하였던 고구려가 합의한 결과로 해석하였다. 결론적으로 고구려와 현도군의 관계는 군의 소속이라는 명목상의 관계와 이를 대가로 중국의 문물을 回賜하는 형태였다고 추정된다. 그리고 이 관계는 창해군 개척때부터 추진되어 온 한나라의 이 지역에 대한 군현 편제 시도와, 토착 세력의 반발로 인해 이 시도가 무산되어가는 과정을 통해 변화를 겪으며, 이후 大武神王代에 소멸된 것으로 여겨진다. Many studies had emphasized on the significance of the Koguryŏ’s conflict against Xuantu Commandery(玄菟郡) in regard to the kingdom’s process of state formation. Under this hypothesis, the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Koguryŏ and Xuantu Commandery through historical sources such as “Treatise on Geography(地理志)” in the Book of Han (『漢 書』) or “Biographies of Dongyi” in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Yet, their relationship was not consistently hostile, since there was an aspect that they collaborated for their benefits in a certain extent.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long-lasted relationship and its ramifications,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is aspect that allowed the establishment of Xuantu Commandery. This paper first examined Canghai Commandery(滄海郡), which was established in 128 BC and Xuantu Commandery’s former self. This commandery was installed with the submission of the local residents to the Han dynasty’s and this submission was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dynasty provides the Chinese cultural products. Although the commandery was abolished after a few years, it is likely that Xuantu Commandery was established through the same process. In 75 BC, Xuantu Commandery relocated its capital to the area around Xinbin, Liaoning province, and the commandery’s directed interference to Koguryŏ was severed. Still, the provision of cultural products from the commandery continued, as it was the key element to maintain Koguryŏ’s submission and nominal subordination to the commandery. Ch’akkuru was constructed in this process, when the small groups of Koguryŏ refused to separately visits the commandery, but Xuantu Commandery tried to maintain provision of the cultural products.

      • KCI등재

        An Analysis on the Contents of the Stele of Koguryŏ in Ji’an with Regard to Koguryŏ’s Reorganization of Sumyoje

        Jong-Rok Lee(이종록)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2017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Vol.22 No.2

        高句麗의 守墓制에 관해서는 지금까지 학계에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수묘제의 운영과 그 구성원에 대해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여러 문제들에 대해 논란이 있다. 이러한 논란의 원인 중 하나는 廣開土王碑를 제외하면 관련 사료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2012년 集安高句麗碑의 발견으로 인해 수묘제에 대한 논의가 다시 활성화되는 동시에, 기존의 수묘제에 대한 해석에도 재고의 여지를 주게 되었다. 비록 집안고구려비의 建碑 연대 및 목적에 대해서는 견해가 엇갈리고 있으나, 기본적으로 이것이 당대의 수묘제와 깊은 관련이 있다는 것은 분명하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이 비에 관한 연구들은 수묘제에 관해 주로 논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에 따라 비의 발견 이후 짧은 기간 동안에 다양한 학설이 제시되어 왔다. 본고에서는 집안고구려비에 관한 기존의 논의를 검토하는 동시에, 이를 토대로 광개토왕비에서 전하는 수묘제 재정비의 배경에 대해 별도의 가능성을 제기해 보았다. 곧 비문의 守墓人 賣買 禁止 조항이 단지 수묘제에 한정된 문제가 아닌, 당대 고구려의 주민집단의 재편과 인력 부족을 극복하기 위한 정책의 일환이었다고 추정하였다. 이는 두 비문에서 공통적으로 언급하는 수묘인 매매가 守墓役에 한정된 관행이 아니라 고구려의 力役動員體制에서 전반적으로 나타나고 있던 현상이라는 가정으로부터 도출된 결론이다. 그리고 이 관행의 문제점을 인지한 고구려의 지배집단에 의해 집안고구려비와 같은 매매 금지령의 시행되었으며, 이는 4세기 무렵 前燕 및 百濟와의 전쟁으로 야기된 인력부족 현상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었다고 이해된다. Despite a considerable amount of research focused on Koguryŏ"s Sumyoje (守墓制), there are many unsolved issues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stodians of the royal tombs because the Stele of King Kwanggaet’o has been the only source to examine the system. In this sense, the Stele of Koguryŏ in Ji’an (集安高 句麗碑; Chiban Koguryŏbi in Korean),” found in 2012,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interpret the system, drawing scholarly attention to Koguryŏ"s Sumyoje again. Although the date and purpose of the stele is still amidst debate, historians generally agree that the purpose of the stele is related to the custodians for the royal tombs. Naturally, most of the recent articles on the newfound stele have addressed this system, broadening our perspective on Koguryŏ’s domestic administration. This paper, based on the interpretations and arguments of previous studies, argues that the Stele of Koguryŏ in Ji’an was a part of Koguryŏ’s general policy to reorganize their control over their inhabitants and overcome the shortage of manpower. Under the hypothesis that “selling and buying” the custodians and, ultimately, statute labors had been habitually practiced in Koguryŏ before this time, it is possible that the ruling class of Koguryŏ recognized the necessity to forbid this custom around the fourth century as the kingdom suffered a shortage of manpower especially after the continuous wars against the Yan dynasty and Paekch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