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梅花詩에 나타난 李滉의 意識指向

        李在鎰(Jae-Il Lee)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8 동양한문학연구 Vol.27 No.-

          이황은 매화를 소재로 한 75題 106首의 시를 남겼으며, 그 중 62제 91수를 選拔하여 「梅花詩帖」이라는 단행본 시집으로 만들었다. 이와 같은 이황의 행위는 일관된 의미망 형성을 위한 의도적인 것으로 짐작되며, 따라서 결코 예사롭게 여길 바가 아니라고 하겠다. 매화는 분명 이황의 意識의 指向을 가늠할 수 있는 바로미터일 터인데, 그 의식지향이라는 것이 과연 무엇일까?<BR>  그 해답의 모색에 있어서 우선 매화에 대한 이황의 特異한 態度를 확인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그 태도는 한 마디로 酷愛라고 하겠다. 이황 스스로 자신이 매화를 혹애한다고 明言했거니와, 예컨대 매화의 寒傷에 대해 절절히 가슴 아파하며, 매화와 오랜 知己인 것처럼 서로의 胸襟을 贈答하는 등 그의 매화에 대한 行爲는 혹애라 아니할 수 없을 터이다.<BR>  이황의 그와 같은 매화에 대한 혹애의 이유는 매화가 자신과 同一視되었기 때문이고, 그 동일시의 媒介는 淸淨이라고 생각된다. 벼슬살이에서 무수히 엿보이는 이황의 고뇌의 바탕으로 여겨지는 그의 廉直性 내지 介潔性은 청정성에 다름 아니라 하겠으며, 由來上 매화는 청정의 表象이고 이황의 매화시들 역시 맑고 차가운 이미지 내지 배경, 仙界의 詩想, 隱士의 삶, 節槪 등으로 보아 그 모티브는 청정이라고 해야 할 터이다.<BR>  청정을 매개로 하는 이황의 매화 同一視는 贈答詩, 寒傷詩, 物我一體的交融의 詩라는 세 가지 측면으로 논의가 가능할 듯하다. 증답시는 말 그대로 이황과 매화 간에 주고받은 形式의 시인데, 그 形式은 이황의 매화 동일시의 극한적 內容을 담아낼 수 있는 가장 적합한 것이라고 하겠다. 한상시는 이황이 매화가 추위로 인해 손상된 모습을 마치 자신의 손상인양 애달파하면서 지은 시들에 붙이는 이름인데, 이 역시 이황의 극한적인 매화 동일시가 만들어낸, 매화시의 특이한 內容的 양상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황의 매화시는 주로 자아와 매화 간의 個我的 경계가 허물어진, 물아일체적 교융을 詩化한 것이라고 할 터이다.<BR>  결론적으로, 매화시에 나타난 이황의 의식지향은 內面的 淸淨이다. 내면적 청정은 人慾이 蕩滌된 상태이므로 天人合一의 境界이며, 精神의 絶對自由의 境地라고도 표현되는 意識의 自由이다. 따라서 매화시에 나타나는 이황의 의식지향이란 종국적으로는 自由에의 指向이라고 할 것이다.   Lee Hwang left 106 poems under 75 subjects on a theme of Ume blossom and among these, he selected 91 poems under 62 subjects to produce the independent volume of poetry titled 「Maehwasicheob」. It is expected that this Lee Hwang"s behavior was intended to form the consistent semantic network, Therefore, we should not overlook this point. Ume blossom might have been a barometer that can judge his aim for consciousness. If so, what is the aim for consciousness?<BR>  To explore the answer, we need to make sure of Lee Hwang"s unique attitude towards Ume blossom. The attitude might be called ‘tremendous love" in brief. Lee Hwang claimed himself that he possessed the tremendous love for Ume blossom. And for example, he expressed a deep pain on damage of Ume blossom due to a cold weather and he spoke his bosom as if he and Ume blossom were old friends. Nobody would deny that these behaviors originated from his tremendous love for Ume blossom.<BR>  The reason for Lee Hwang"s tremendous love for Ume blossom was because Ume blossom was identified with himself and the medium of this identification was considered to be cleanness. His integrity and pure character which were considered as the basis of Lee Hwang"s agony during his official life did not much differ from cleanness. According to history, Ume blossom was a representative of cleanness and in consideration of its pure/cold image or background, poetical imagination of God"s world, hermit"s life, fidelity, motive of Lee Hwang"s poems of Ume blossom may be cleanness.<BR>  Lee Hwang"s identification with Ume blossom by the medium of cleanness can be discussed in three aspects―poem of exchange talks, poem of damage due to cold weather and poem of union between material and ego. Poem of exchange talks means type of poetry in which Lee Hwang and Ume blossom exchanged the talks and the type is the most adequate to get an extreme content of Lee Hwang"s identification with Ume blossom. Poems of damage due to cold weather means that Lee Hwang produced this sort of poems when he confessed a heartrending sorrow to see the damaged Ume blossom due to cold weather as if he had been damaged. This also could be unique contents trend on poems of Ume blossom that Lee Hwang"s extreme identification with Ume blossom produced. Poem of exchange talks and poem of damage due to cold weather were the representative types, Lee Hwang"s poems of Ume blossom mainly could be said that addressed the union between material and ego without individual barrier.<BR>  In conclusion, Lee Hwang"s aim for consciousness in his poems of Ume blossom is internal cleanness. Internal cleanness means the completely cleared off state of human greediness. Therefore this is a state of union between God and man and freedom of consciousness can be demonstrated as absolute freedom state of mentality. Therefore, Lee Hwang"s aim for consciousness in his poems of Ume blossom can ultimately mean the aim for freedom.

      • KCI등재후보

        이황의 田園詩文의 자유지향성에 대한 미학적 연구

        이재일(Lee Jae-il)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7 동양한문학연구 Vol.25 No.-

          Lee Hwang is a master of Confucianism, the reality-oriented academic system. Nevertheless, freedom orientation is detected in him, which seems contradictory at first sight. That is because freedom orientation essentially tends to pursue the constant transcendence of reality.<BR>  Lee Hwang"s freedom orientation appears to be detected omnidirectionally in his poetry and prose. But his pastoral poetry and prose are especially important because the country he lived in retirement called Dosan is the place of freedom orientation.<BR>  Lee Hwang"s freedom orientation is considered to be deeply related to ego, inner world and the realization of life. Therefore, his freedom orientation can be said to belong to the categorization of aesthetics. According to Lee, Taek-hu, a distinguished Chinese scholar, aesthetics represents philosophy whose purpose is the mutual combination of rational insight and emotional transcendence, and life matters are considered to be placed at the heart of it.<BR>  For Lee Hwang, the country is the place of freedom. Freedom detected in his pastoral poetry and prose seems to be classified into longing for pastoral life and pleasures gained by pastoral life. And the pleasures can be subdivided into freedom of leisure and stroll, rapid progress of consciousness through the realization of change, the purification of consciousness through the purity of the country, and the pleasure of study and freedom.<BR>  Lee Hwang"s freedom orientation is basically characterized by the strong reflection of Taoism. That is because his aesthetic tendency has something common with Taoistic aura and Seongnihak he pursued originally absorbed much of Taoism. In addition, freedom orientation is a sort of human nature. Therefore, his freedom orientation does not contradict the fact that he pursued Seongnihak as his lifelong occupation.<BR>  Freedom orientation that belongs to aesthetics is vital clue to the deep understanding of Lee Hwang"s life. That is because, as Lee, Taek-hu asserted, the best or complete maturity of life lies in only aesthetic structure.   李滉은 현실지향의 학문체계인 儒家의 宗匠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황에게서는 자유지향성이 감지된다. 이는 일견 모순처럼 느껴진다. 왜냐하면 자유지향성은 본질적으로 일정하게 현실로부터의 초탈을 희구하는 성향을 내포하기 때문이다.<BR>  이황에게 자유지향성은 그의 詩文에 全방위적으로 드러나는 것으로 보이지만, 특히 전원시문이 중요한 것은 그가 은거한 陶山이라는 전원이 자유지향의 場인 까닭이다.<BR>  이황의 자유지향성은 자아·내면·삶의 자각 등과 깊이 관련되어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이황의 자유지향성은 美學의 범주에 속한다고 하겠다. 중국의 碩學 이택후에 의하면 미학은 이성적 통찰과 감성적 초월이 상호 교융하는 정감을 본체로 하는 철학으로서 그 頂點에는 ‘삶’이 자리하는 것으로 이해되는 것이다.<BR>  이황에게 전원은 자유의 공간이며, 그의 전원시문에 나타나는 자유는 그 전원에의 기거를 갈구하는 것과 전원에 기거하면서 접하는 樂을 읊은 것으로 대별될 듯하다. 그리고 전원에 기거하면서 접하는 락은 다시 한가로움과 소요의 자유, 변화 證得을 통한 의식의 비약, 전원의 純粹를 통한 의식의 淨化, 학문의 즐거움과 자유로 세분될 수도 있을 것 같다.<BR>  이황의 자유지향성은 근원적으로 道家的 성격이 강하다고 하겠는데, 그것은 학문 이전에 이황의 審美的 성향이 도가적 아우라와 상통한다는 점, 그리고 학문으로 말한다 하더라도 그가 추구한 성리학이 애당초 상당 부분 道家를 흡수하여 발달했다는 점에 기인하는 것이 아닐까 싶다. 위의 이유 外에 자유지향성은 인간의 본성이기도 할 것이므로, 이황의 자유지향성은 그가 성리학을 畢生의 業으로 삼았다는 사실과 결코 모순되는 것이 아니라고 하겠다.<BR>  미학 범주에 속하는 자유지향성은 이황의 內密한 삶의 결을 심도있게 이해하는 데 불가결한 단서라고 생각된다. 왜냐하면 이택후의 주장대로 최고 혹은 최후의 인생 성숙은 오직 심미 구조 중에만 있겠기 때문이다.

      • KCI등재

        "ウリナラ/한국", "ウリマル/한국어"의 거리 - 이양지의 이중언어 문학

        이재봉 ( Jae Bong Lee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2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51

        재일한인 작가 이양지에게 ``우리말``이란 도달해야 하는 목표였다. 그녀가 몇 가지 계기를 통해 민족을 자각한 순간, ``언어``문제는 급작스레 모습을 드러낸다. 그녀는 ``우리말``을 모르는 자신을 부끄럽게 느꼈고, ``우리말``과 가야금, 대금, 살풀이 등의 또 하나의 언어로 자신의 민족적 정체성을 회복하고자 했다. 이양지의 소설적 도정은 이 과정에 대응하는 것이었다. 여기에는 물론 ``언어``와 민족이 분리되지않는다는 근대적 관념이 내재되어 있다. 그러나 ``언어``와 ``민족``이 분리되지 않는다는 근대의 관념은 ``사이`` 또는 ``경계``를 인정하지 않는 폭력적인 것이었고 디아스포라는 이런 폭력에 무방비로 노출되어 있는 존재들이다. 따라서 이양지의 소설적 도정은 처음부터 실패가 예정되어 있는 것이기도 했다. 다시 말해 ``언어``를 통해서 민족으로 회귀하고자 했던 이양지의 시도는 성공할 수 없는 것이었다. 이것이 완벽하게 성공하려면 모든 언어는 같은 것을 말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전제가 성립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언어는 일 대 일로 대응되는 것이 아니다. 모어(일본어)가 그처럼 폭력적으로 자리하고 있는 한, 모국어(한국어)로의 회귀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언어는 민족으로 환원되지 않는다. 처음에는 ``우리말``로 인식되던 것이 시간이 경과될수록 ``한국어``로 상대화되어 가는 과정, 소설 속의 여러인물들이 보여주는 좌절과 절망은 이것을 보여준다. 그렇다면 이양지의 소설은 의도하지는 않았지만 언어와 민족이 분리되지 않는다는 언어 내셔널리즘의 허구를 폭로해 버렸다는 역설이 성립한다. 언어를 통해 민족으로 다가가기를 시도했던 그녀의 소설적 도정이 역설적으로 그 허구성을 폭로해 버린 것이다. 이런 점에서 어쩌면 그녀의 소설쓰기는 모어와 모국어의 폭력적 분할을 재확인하는 여정이었던 셈이다. To Yangji Lee, a Korean-Japanese writer, ``Urimal``(우리말) was the goal she had to arrive at. As she got aware of the nation, the problem of language arose as a cutting-edge issue. She became desperate to restore her own identity through learning how to speak ``urimal`` and how to play the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s because she was ashamed of her own ignorance of the Korean language. The course of Yangji Lee`s novels corresponds to that of such return to the nation. In her course, the modern idea that language and the nation couldn`t be separated was implied. But this idea operated as a violent mechanism that didn`t tolerate the in-between and the borders between nations and languages. Diasporic writers such as Yangji Lee were those who could not but be exposed to such violence without any defence. Therefore her novels destined to be a failure: her attempt to return to the nation through national language could not be successful. For it to be perfectly successful, it must be presupposed that every language can speak of and refer to the identical thing. But language cannot correspond to each other by one to one. As far as mother language(the Japanese language to her) was violently rooted in her, returning to national language(the Korean language) was in fact impossible. What was at first recognized as ``urimal`` get more and more relative as merely the Korean language and many characters in her novels suffered from serious frustration and despair. That made clear to her that language could not be reduced to the nation. Ironically, her novelistic attempt to approach the nation through the national language exposes the failure of that attempt itself. In short her novelistic writings reaffirm the violent division between mother language and national language.

      • SCOPUSKCI등재

        대학생에서의 담배 가격과 금연의지와의 관계

        이욱진(Lee Wook-Jin),이승준(Lee Seung-Jun),이재랑(Lee Jae-rang),이정명(Lee Jung-myung),이주형(Lee Joo-hyoung),박은철(Park Eun-choel),이후연(Lee Hoo-yeon) 한국역학회 2003 Epidemiology and Health Vol.25 No.2

        Background: The smoking rate of adult male is 68.2% in Korea and that of adolescent and women has risen recently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plans to raise the price of cigarettes by 1,000 Won per pack this year in hopes of securing funds to aid the underprivileged and discourage excessive smoking. . In this study, we tried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obacco price increase and willingness to quit smok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willingness to quit smoking.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 survey from 225 university students living in Seoul. The questionnaire contained items on age, sex, smoking history, economical status and the intention to quit smoking when the tobacco price be raised. Result: The proportion of smokers who has the intention to quit smoking if the price of tobacco be raised by 3,000 Won was 46.2%. The factors associated with willingness to quit smoking were age of initiating smoking, opinion for price of cigarette, self efficacy scores, current plans to quit smoking, and viewpoint of changes in the rate of smokers.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tobacco price rises will increase willingness to quit smok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

        백운동 별서원림(別墅園林)의 의미와 특징

        최정미 ( Choi Jungmee ),천득염 ( Cheon Deukyoum ),이재연 ( Lee Jaeyeoun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7 호남학 Vol.0 No.62

        백운동원림은 남도지방의 고유한 특성을 갖춘 별서정원이다. 노장적이며 자연적인 본분에 따라 처사의 삶을 산 입산조 이담로와 그의 손자 이언길은 백운동 별서를 처음 경영하고 일군 시조라고 할 수 있으며, 오늘의 모습을 갖춘 것은 18세기 중엽 이덕휘에서 19세기 중엽 이시헌에 이르기 까지 완성되었다고 추정된다. 이 공간은 원래 백운암(白雲庵)이라는 암자 터로 추정되는 곳에 은거를 위한 별서(別墅)로 조성하였으며 나중에는 이언길의 아들 이의권 가족이 옮겨옴으로써 별서이면서 영농과 주거의 성격을 함께한 복합적 공간이 되었다. 백운동 원림은 월출산을 배경으로 하고 계곡 주변의 경승요소를 정원 안과 밖으로 끌어들이는 뛰어난 경관미와 차경 안목이 돋보이는 입지적 특성을 지닌다. 이와 아울러 인간의 내면에 자리한 복잡한 정신세계의 심리를 정원의 구성요소로 표현하고, 정원 조영을 통해 이를 승화시키고자 한 작정자의 조영관이 투영된 원림이다. 좁은 진입부의 계곡, 멀리 올려다 보이는 산 정상부의 원경, 그 안에 안정적으로 자리한 대지와 그 주변의 경승으로 이루어진 경관미 등 다양한 입지적 특성을 갖는다. 또한 백운동원림은 다산과 제자들의 학문적 만남, 차를 통한 나눔의 공간이었다. 특히 이시헌과 다산 사이에 서신을 통해 개인사에 대한 내용을 비롯하여 차를 보내줄 것과 차 제조법을 상세히 알려주고 있는 것, 공부에 대한 당부 등을 읽을 수 있어 귀한 자료가 되고 있다. 백운동 원림의 조경식물은 매화, 난, 국화, 대나무 등의 사군자와 연(蓮), 소나무(松), 동백, 모란, 영산홍, 단풍(楓), 생달나무, 유자나무 등이 나타난다. 이는 여느정원에서와 비슷하지만 수종은 많은 편이 아니다. 특히 백운동은 우리나라에서 몇안 되는 유상곡수(流觴曲水)를 조영하고 있는 곳이다. 중국에서 곡수연은 왕희지의 난정(蘭亭)과 송나라 숭복궁의 범상정(泛觴亭)의 유구가 있고, 한국에서는 포석정, 일본에서는 평성궁 동원 발굴 석조수로(石組水路)와 평안시대 야리미즈(遣水) 곡수연의 예가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아주 드문 예이다. Baegundong Garden is a place Lee Dam-ro and his grandson, Lee Eon-gil recreated a scenic site as a treat away from their house located in Geumdang-ri below the mountain, Wolchulsan. Lots of scholars visited the garden and expressed the beautiful scenery and landscape in their poetry and prose, and paintings handed down today. The garden is one of the best private garden, allowing us feel the taste of Chosun scholars. The place called Byeolseo as a retreat was built up at the site estimated as a hermitage, Baegunam. And then, Lee Eui-gwon(1704-1759), son of Lee Eon-gil moved into the place with his family, and the place became the multiple space for living and farming as well as a treat. In addition, there were ancestors’ graves around the residential space, which means that the space was for both the alive and the dead. Especially, the correspondence between Lee Shi Hun and Jeong Yak-yong shows some personal things such as asking for some tea, informing how to make tea, and encouraging to study, which implies that Baegundong Garden was the place for social gatherings with tea between Dasan and his students and friends. Baegundong Garden has various landscape plants such as Maehwa (plum blossom), Orchid, Chrysanthemum, and Bamboos called Sagunja, Lotus, Pine trees, Camellia, Paeonia, Yeonsanhong(Korean azaleas), Maple trees, Japanese cinnamon, Fragrant Citrus, and so on. They are common in other gardens and not so many species of trees. But, Baegundong Garden has its unique features with its facility called Yusanggoksu which is a curved stream to float wine glasses at a banquet only a few remain in Korea.

      • 친환경 절수기법 적용지구 생물상 조사

        이재남 ( Jaenam Lee ),신현상 ( Hyunsang Shin ),강석만 ( Seokman Kang ),이승헌 ( Seungheon Lee ),장규상 ( Kyusang Jang ) 한국농공학회 2018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8 No.-

        기후변화로 인한 농업용수 부족은 농촌지역의 안정적인 농업생산에 어려움을 초래하고 있으며, 영농활동에서 발생한 비점오염물질이 하천으로 유입되면서 농촌지역의 환경오염은 점차 가중되고 있다. 이에 따라 기후변화 대비 관개용수 절약과 함께 수질오염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지만 이와 관련된 실증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수의 친환경적 절수기법이 적용 중인 시험지구를 대상으로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생물상 변화를 비교 및 분석하였다. 시험지구는 화성호의 상류부에 위치한 버들저수지로 농민들이 실제 경작하는 시험포장에서 논 물관리를 위한 수문모니터링이 진행되고 있다. 생물상 모니터링은 시험포장의 인근을 중심으로 논, 배수로, 소하천, 논 어도, 둥범 등에서 수행하였고, 그 범위는 수생태계를 기반으로 서식하는 양서·파충류, 담수어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로 하였다. 논 물관리에 따른 생물상 조사결과에 따르면 논에 풍부한 용수가 공급될 경우 개체수 및 종수가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종조성은 유사하였다. 본 연구는 논에서의 물관리 방법과 생물상 변화를 연계한 실증연구의 일환으로 농촌지역의 친환경적 측면을 고려해 농업용수의 최적 공급방법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KCI등재

        응답적 이해와 해석 텍스트 쓰기

        이재기 ( Jae Ki Lee ) 한국독서학회 2015 독서연구 Vol.0 No.34

        이 연구의 목적은 해석 텍스트 쓰기 현상을 분석하고, 해석 텍스트 쓰기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읽기 교육에서 해석 텍스트 쓰기의 의의와 가치는 다양하게 논의되어 왔으나, 해석 텍스트 현상이 충실히 분석되지 못함으로써, 그 의의와 가치가 선언적인 수준에 그친 감이 없지 않다. 이 연구에서는 해석 텍스트 쓰기 현상에 대한 섬세한 기술과 묘사, 그리고 설명을 통해 해석 텍스트 쓰기의 구체적인 면모를 드러내고, 해석 텍스트 쓰기 교육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2장에서는 바흐친의 ‘응답적 이해’ 개념을 인용하여 해석 텍스트 쓰기의 의의를 탐색하였다. 해석 텍스트 쓰기는 읽기, 쓰기의 오래된 비유인 해석학적 순환을 풍부하게 설명해주며, 독자의 창조적·비판적 이해를 촉진한다. 그리고 해석 텍스트 장르의 완결성과 통일성을 요구함으로써, 독자를 저자로 거듭나게 하는 의의를 지닌다. 3장에서는 독자 52명이 쓴 해석 텍스트를 분석함으로써, 해석 텍스트 쓰기라는 문식성 사건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는지를 충실하게 기술, 설명하고 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개인적, 사회문화적 맥락 도입 양상과 독자 설정양상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해석 텍스트의 문체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앞 장의 분석 내용을 토대로, 해석 텍스트 쓰기 교육의 방향을 몇 가지로 간추려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독자의 해석 현실에 근거한 교육내용 선정, 주제 통합적 독서와 보편 청중 구성, 해석 텍스트 저자 간의 대화, 다양함의 승인과 비평적 해석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terpretive text writing and search the direction of interpretive text writing. The implication and value of interpretative text writing has been discussed in various ways. But as the interpretive texts have not sufficiently been analyzed, the implication and values could not develop into more than the declarative level. This study deals with the detailed writing and description of the interpretive text writings, the detailed types of the interpretive text writing through the description and the method of education on the practical interpretive text writing. In Chapter 2, the meaning of the interpretive text writing was researched by citing the concept of “answerability”of Bakhtin. The interpretive text writing explains the hermeneutic cycle, which is the old way of metaphor on reading and writing and then facilitates the creative and critical understanding of the readers. In addition, as it requires the completeness and uniformity of the interpretive text genre, it helps the writer to be born as a reader. In Chapter 3, the interpretive texts of 52 readers are analyzed to faithfully describe and explain what happens in the literacy incident which is called as the interpretive text writing. In detail, the types of the introduction of individualistic and social-cultural context and the forms of reader’s descriptions are analyzed in addition to the analysis of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the interpretive texts. In Chapter 4, the several directions for education of interpretive text writing are suggested based on the contents of analysis of the previous chapters. Here the discussion is made on how position the teacher shall set in the scene of the interpretive text writing and what readers shall be organized by the author of text. In addition, the critical reading is suggested through the conversation between text authors and the introduction of active contex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